KR940002282Y1 -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82Y1
KR940002282Y1 KR2019910010887U KR910010887U KR940002282Y1 KR 940002282 Y1 KR940002282 Y1 KR 940002282Y1 KR 2019910010887 U KR2019910010887 U KR 2019910010887U KR 910010887 U KR910010887 U KR 910010887U KR 940002282 Y1 KR940002282 Y1 KR 940002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light emitting
volum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8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3814U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 모
박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 모, 박상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 모
Priority to KR2019910010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282Y1/en
Publication of KR930003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1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82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음량조절 및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Cordless phone with volume control and display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제어회로도.1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 음량조절 수단의 상세회로도.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volume control means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안테나 20 : 기능제어부10: antenna 20: function control unit

30, 90 : 스피커 40 : 부저구동부30, 90: speaker 40: buzzer drive unit

50 : 통화구동부 60 : 음량조절부50: call driver 60: volume control unit

70, 80 : 발광다이오드70, 80: light emitting diode

본 고안은 음량조절기능과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된 음의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안테나에 표시수단을 장착하여 전화기의 벨(bell)음이 울릴때와 통화중일때 각각 상이한 색상이 발광되도록 하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lephone having a volume control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and in particular, the volume of the received sound can be freely adjusted, and the display means is mounted on the antenna when the bell sound of the telephone is ringing and during a c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telephone which allows different colors to emit light.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무선전화기에는 하나의 음량이 출력되도록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음량이 고,저(high and low)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난청의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고정된 음량조절기능이 불편하다는 것은 통상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At present, the fixed volume control function is inconvenient for users of hearing loss because not only one volume is fixed to be output to all kinds of wireless telephones used but also the volume is separated into high and low. Is usually to be understood.

또한, 슬라이드(slire)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음량조절용 가변저항기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저항기를 구동하는 스위치는 회전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구현 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radiotelephone adopting a slide method is applied with a variable resistor for volume control, a switch for driving the variable resistor should be implemented in a rotary or slide type.

이러한 스위치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먼지등에 의한 슬러지가 상기 스위치의 접촉부분에 묻게 되므로 잡음 등의 음량상태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When such a switch is used for a long time, sludge due to dust or the like is buri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switch, so that a volume state such as noise is not goo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무선전화기의 회로에 업-다운(up-down)방식의 음량조절회로를 부가하여서 음의 증폭도를 계단식으로 증감하도록 한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diotelephone which adds an up-down volume control circuit to a circuit of a conventional radiotelephon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ound. There is thi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안테나의 끝부분에 표시소자를 내장하여 링(ring)신호 발생시 또는 통화(talk)시에 상기 표시소자에서 발광하도록 하여 표시기능을 강화시킨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telephone having a display function enhanced by embedding a display element at the end of an antenna so as to emit light from the display element when a ring signal is generated or during a cal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테나로 부터 무선신호를 입력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와 반대로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제어회로를 구비한 통사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회로에서 제공된 전기적 음성신호가 업-다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계단식으로 증폭되게 하는 업-다운 방식의 음량조절회로와, 링신호발생시와 통화중일때에 상기 안테나에 내장된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wireless signal from an antenna to convert a voice signal, and conversely, in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having a function control circu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An up-down volume control circuit which causes the electric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circuit to be amplified stepwise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switch, and a display for driving the display element built in the antenna during ring signal generation and during a call. It comprises a means.

본 고안에서, 상기의 업-다운 방식의 음량조절회로는 업-다운 스위치가 조작될 때 마다 음의 증폭도를 계단식으로 크게 또는 작게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control circuit of the up-down method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ound amplification step by step whenever the up-down switch is operat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표시수단은 상기 안테나의 상단에 적색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여 링신호 발생시에는 적색표시 소자를 구동하고, 통화중일 때에는 녹색표시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eans may be equipped with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on top of the antenna to drive a red display element when a ring signal is generated, and to drive a green display element during a call.

상기의 표시수단은 표시소자 대신에 광섬유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eans may be displayed using an optical fiber instead of the display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제어회로도이다.1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기능제어회로(20)는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화하는 기능과, 이 전기적 신호로부터 부저(45)를 울리게 하는 링신호와 수신용 스피커(30)로 제공되는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과, 통화용 스피커(9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안테나(10)를 통하여 무선신호로 출력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무선전화기에 구현된 회로이다.In the figure,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provides a function of converting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 ring signal for ringing the buzzer 45 from the electrical signal, and a receiving speaker 30. It is implemented in a conventional radiotelephone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into a voice signal, and a function of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call speaker 9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outputting it as a wireless signal through the antenna 10. It is a circuit.

이러한 기능제어회로(20)는 공지의 기술이고 또한 본 고안에서도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기술적수단을 상기 회로(20)에 부가한 것이기 때문에 특정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uch a function control circuit 20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is added to the circuit 2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excep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specific signal.

상기 기능제어회로(20)의 출력단자 SIN로부터 제공된 신호는 전기적 음성신호로서 종래에는 직접 수신용 스피커(30)로 공급된다.The signal provided from the output terminal SIN of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is an electric voice signal and is conventionally supplied directly to the receiving speaker 30.

이때의 음성신호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단일의 음량을 갖는 신호이거나 또는 고,저(high and low)의 2단 음량을 갖는 신호였기 때문에 무선기의 사용자가 불편하였던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ior art, the user of the radio was inconvenient because it was a signal having a single volume or a signal having two levels of high and low in the prior art.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음성신호를 음량조절부(60)를 거쳐서 상기 수신용 스피커(30)로 제공되게 한 구성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is provided to the receiving speaker 30 via the volume adjusting unit 60.

상기 음량조절부(60)는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를 업-다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계단식으로 증폭되게 하는 업-다운 방식의 음량조절 회로로서, 그 구체적인 회로구성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The volume control unit 60 is an up-down volume control circuit for amplifying the electrical voice signal stepwise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switch, the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 of which is shown in FIG.

제 2 도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단자 IN을 통해 입력한 다음 단자 OUT를 통해 수신용 스피커(30)로 출력하게 하는 음량조절부(60)의 증폭회로(61)는 업-다운 스위치(62)(6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입력음성신호를 증폭한다.In FIG. 2, the amplification circuit 61 of the volume control unit 60 for inputting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terminal IN and then outputting it to the receiving speaker 30 through the terminal OUT is an up-down switch 62. The input audio signal is amplified by the operation (63).

즉, 업 스위치(62)를 누를 때마다 하나의 펄스신호가 발생되어서 상기 증폭회로(61)의 UP단자로 제공되고, 또한 다운스위치(63)를 누를 때마다 하나의 발생되어서 DOWN단자로 제공된다.That is, each time the up switch 62 is pressed, one pulse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P terminal of the amplification circuit 61, and each time the down switch 63 is pressed, one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DOWN terminal. .

상기 증폭회로(61)는 상기 업스위치(62)에 의해 펄스를 인가할 때마다 상기 입력음성신호의 증폭도를 높게하고, 이와 반대로 다운스위치(63)에 의해 증폭도를 낮게 하는 회로로서, 본 고안에서는 TC9153AP소자를 사용한다.The amplifying circuit 61 is a circuit for increas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input audio signal every time a pulse is applied by the up switch 62, and conversely, the amplification degree is lowered by the down switch 63. TC9153AP element is used.

상기 펄스폭의 크기는 저항(64, 65)과 콘덴서(66,67)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른다.The magnitude of the pulse width depends on the time constant determined by the resistors 64 and 65 and the capacitors 66 and 67.

그리고, 다이오드(68, 69)는 상기 스위치(62)(63)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가 각각 상이한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접속된 것이다.The diodes 68 and 69 are connected to allow the pulses generated by the switches 62 and 63 to flow in different directions.

이와같이, 기능제어회로(20)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음성신호는 사용자의 업-다운스위치(62)(63)의 조작에 의해서 계단적으로 증폭된 다음 수신용 스피커(30)로 제공된다.In this way, the electric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is amplified stepwise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up-down switches 62 and 63 and then provided to the receiving speaker 30.

또한, 본 고안에 적색 발광다이오드(70)와 녹색 발광다이오드(80)가 상기 안테나(10)의 끝부분에 장작되어 있고 또한 부저구동부(40)와 통화구동부(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70 and the green light emitting diode 80 are mounted at the end of the antenna 1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zzer driver 40 and the call driver 50, respectively. .

제 2 도에서는 회로동작의 설명을 위해 상기 다이오드(70)(80)가 안테나(10)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안테나(10)의 끝부분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In FIG. 2, the diodes 70 and 80 are shown separated from the antenna 10 for explanation of the circuit operation. However, the diodes 70 and 80 are actually embedded at the end of the antenna 10. In FIG.

따라서, 무선전화기에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기능제오회로(20)의 출력단자 BELL에서는 소정펄스신호(이하 링신호라칭함)가 출력되어서 부저(45)를 울리기 위해 부저구동부(40)로 제공된다.Therefore, when the reception signal is input to the radiotelephone,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BELL of the functional error circuit 20 and is provided to the buzzer driver 40 to ring the buzzer 45.

즉, 상기 링신호는 부저구도용 트랜지스터(42)를 주기적으로 온, 오프시키기 때문에 부저(45)에서는 링신호가 울리게 된다.That is, since the ring signal periodically turns on and off the buzzer composition transistor 42, the ring signal sounds at the buzzer 45.

상기 트랜지스터(42)의 콜렉터에는 상기 기능제어회로(20)의 출력단 DIP으로부터 제공된 신호가 부저구동(46) 및 저항(44)을 거쳐서 인가되도록 접속되어 있다.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42 is connected such that a signal provided from the output terminal DIP of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is applied via the buzzer drive 46 and the resistor 44.

또한, 상기 저항(44)의 양단에는 링스위치(41)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링스위치(41)의 온,오프에 따라 부저구동이 제어된다.In addition, since the ring switch 4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sistor 44, the buzzer driving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n and off of the ring switch 41.

이러한 부저구동부(40)와 병력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색 발광다이오드(70)에도 상기 링신호가 제공되기 때문에 부저구동과 함께 안테나(10)에서는 연동되는 적색발광이 주기적으로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ring signal is also provided to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zzer driver 40 in a history, the red light interlocked with the buzzer driver 40 is periodically displayed.

한편, 상기 링스위치(41)와 연동되는 토크(talk) 스위치(51)를 포함하는 통화구동부(50)는 상기 기능제어회로(20)의 단자 T/P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통화용 스피커(90)를 구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all driving unit 50 including a talk switch 51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ring switch 41, the speaker for the call to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erminal T / P of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Drive.

이때, 상기 스피커(90)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는 기능제어회로(20)의 입력단자 RV에 제공되어서, 이로써 상기 기능제어회로(20)에서는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다음 안테나(10)를 하여 발신한다.At this time, the electric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peaker 90 is provided to the input terminal RV of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whereby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converts the electric voice signal into a radio signal and then an antenna ( 10) make a call.

상기 통화구동부(50)의 트랜지스터(52)는 통화용 스피커(90)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이고, 이 트랜지스터(52)의 제어는 상기 링스위치(41)와 연동되는 토크스위치(51)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transistor 52 of the call driver 50 is an element for driving the speaker 90 for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of the transistor 52 is performed by the torque switch 51 interlocked with the ring switch 41. .

즉, 부저(45) 및 적색발광다이오드(70)에서 소리음과 발광이 되는 중에 토크스위치(51)를 온시키면 상기 링스위치(41)는 오프되어서 부저음과 적색발광이 중지되고, 아울러 통화용 스피커(90)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orque switch 51 is turned on while the buzzer 45 and the red light emitting diode 70 are sounding and emitting light, the ring switch 41 is turned off to stop the buzzer sound and the red light emitting, and the speaker for the call ( Through 90), the voice signal can be transmitted.

여기서, 음성신호를 송출할 때, 즉 통화중일때 상기 통화용 스피커(90)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52)에는 녹색 발광다이오드(80)가 적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녹색발광표시가 안테나(10)의 끝부분에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green light emitting diode 80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52 which drives the speaker 90 when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hat is, during a call. At the end of the

이와같이, 수신신호음에 의해서 부저가 울리때 안테나에서는 적색발광표시가 동시에 일어나고, 통화중일 때에는 녹색발광표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하여 본 고안을 적용한 표시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buzzer sounds due to the reception signal, the antenna emits red light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phone is busy, the green light is displayed on the antenna, thereby enhancing the display fun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표시수단으로서 적색 또는 녹색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데, 본 고안에서는 이 소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표시수단으로서 광섬유를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red or green light emitting diode is used as the display mea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lement, but an optical fiber can be applied as the display mea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는 음성의 음량조절을 계단식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전화기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람직한 음량신호를 들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volume of the voice in a stepwise manner,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volume sig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of the radiotelephone.

또한, 통화중이거나 부저가 울릴 때, 이에 상응하는 색상의 발광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무선전화기의 시각적 표시기능을 강화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all or a buzzer ring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olor of light emission, which not only satisfies the user's needs, but also enhances the visual display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Claims (3)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적신호로부터 부저(45)를 울리게 하는 링신호와 수신용 스피커(30)로 제공되는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아울러 통화용 스피커(90)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1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하는 기능제어회로(20)를 구비한 통상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제어회로(20)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음성신호가 업-다운 스위치(62)(63)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각기의 펄스에 의해서 계단식으로 증폭되게 하는 음량조절부(60)와, 상기 링신호 발생시와 통화중일 때 각기 상이한 색을 발광하고, 이 발광수단이 상기 안테나(10)의 끝부분에 내장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조절 및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Converts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s the radio signal from the electrical signal into a ring signal for ringing the buzzer 45 and an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receiving speaker 30, In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having a function control circuit 20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put from 90 into a ra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the antenna 10,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function control circuit 20 is provided. The volume control unit 60 allows the audio signal to be amplified stepwise by the respective pulse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switches 62 and 63, and emits different colors when the ring signal is generated and during a call.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 display means built in the end of the antenna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발광수단은 적색 및 녹색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조절 및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A radiotelephone having a volume control and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means is composed of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dio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발광수단은 관섬유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조절 및 표시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The radiotelephone having a volume control and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means is made of tubular fiber.
KR2019910010887U 1991-07-15 1991-07-15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KR9400022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887U KR940002282Y1 (en) 1991-07-15 1991-07-15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887U KR940002282Y1 (en) 1991-07-15 1991-07-15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14U KR930003814U (en) 1993-02-26
KR940002282Y1 true KR940002282Y1 (en) 1994-04-13

Family

ID=1931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887U KR940002282Y1 (en) 1991-07-15 1991-07-15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28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14U (en)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GB2222747A (en) Cordless telephone
JPH06216978A (en) Transmitter-receiver
GB2344028A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hands free arrangement and voice recognition
CN101277323A (en) Headset with multi-button control for a mobile communicationdevice
KR940002282Y1 (en) Volume-controllable cordless telephone
US5206898A (en) Transmission control unit
JPH0231545A (en) Wireless telephone set with remote control for television
US4901345A (en) Telephone set usable as an acoustic coupler
JPH0823366A (en) Sound signal controller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H0951369A (en) Telephony set with earphone/microphone set
US6445789B1 (en) Telephone having hand-set to be used also as voice input/out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JP2894882B2 (en) Hands-free telephone equipment
KR100367283B1 (en) Telephone that is dialed with electronic dialing tone-sound of a cellular phone
KR200188909Y1 (en) Input/output switching circuit using relay contact
KR100226222B1 (en) Wireless telephone with automatic receiving signal using ear-mic phone
JP2610976B2 (en) DTMF dialer
KR950010378Y1 (en) Keyphone with laud bell connecting device
JPH03211945A (en) Telephone set for automobile
KR200347105Y1 (en) Auto-talk Circuit By Earphone Jack Of Cellular-phone
KR200241850Y1 (en) Receiving level display circuit in speaker phone
JPH0540603Y2 (en)
JPH0227854A (en) Wireless telephone set
KR900007064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utting tv volume while responding the call
KR200266227Y1 (en) Voice dialing hands f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