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31Y1 - 밧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밧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31Y1
KR940002231Y1 KR2019910002670U KR910002670U KR940002231Y1 KR 940002231 Y1 KR940002231 Y1 KR 940002231Y1 KR 2019910002670 U KR2019910002670 U KR 2019910002670U KR 910002670 U KR910002670 U KR 910002670U KR 940002231 Y1 KR940002231 Y1 KR 940002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groove
charger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270U (ko
Inventor
서병현
Original Assignee
서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현 filed Critical 서병현
Priority to KR2019910002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231Y1/ko
Publication of KR920017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2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밧데리 충전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밧데리케이스 11, 21, 31 : 밧데리 충전부
12 : 충전단자 13 : 돌턱
14 : 괘지홈 22, 32 : 밧데리 수납홈
23, 25, 27, 34 : 양극단자 24, 26, 28, 35 : 음극단자
33 : 파지요홈 41 : 파지돌부
42 : 괘지턱
본 고안은 원통형, 직육면체형 및 매립직육면체형등 충전용 밧데리의 종류에 따라 충전기의 형태를 달리하여 다수의 충전기를 사용하던 것을 형태가 다른 여러 종류의 밧데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동시에 하나의 충전기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밧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등 대개의 경우, 전자제품 사용시에는 AC 전원을 사용하거나 어댑터(Adapter)를 이용하여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해결 될 수 있으나 라디오, 테이프레코더등을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야외 등지에서 사용할 때에는 밧데리를 이용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밧데리를 사용시에는 한번 사용하면 방전하여 쓸모없게되는 1차전지보다 충전하여 반복사용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2차전지인 충전용 밧데리가 통용되고 있다 할 것인바, 산업기술의 발달과 소비자 기호의 다양성에 다른 디자인의 변화로 인한 밧데리 형상 또한 원통형의 비롯한 직육면체형 등 여러가지가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같은 밧데리 형상의 상이함에 따라 양극과 음극의 위치 및 형태 또한 서로 달라서 여러형상의 충전용 밧데리를 하나의 충전기에서 충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각기의 충전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하였으나, 본 고안은 원통형 및 직육면체 형상의 밧데리는 물론이고 별도의 밧데리케이스를 착탈가능토록 구성하여 한쪽면에 양극과 음극단자가 동시에 있는 매립직육면체용 밧데리까지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하나가 3-4개의 기능을 갖고 있어서 여러형상의 밧데리를 동시에 또는 선태적으로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 편리함은 말할 것도 없고 충전기 구입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밧데리 충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 우케이스(1) (2)로 분리되어 결합고정되고 플러그(3)가 출몰가능케 구성된 충전기에 있어서, 좌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밧데리케이스(4)를 착탈시킬 수 있는 밧데리 충전부(11)가 마련되고 우케이스(2)에는 180mAh와 600mAh의 원통형 밧데리(20a) (20b)를 탄지고정시킬 수 있는 밧데리 충전부(21)가 마련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직육면체형 밧데리를 탄지고정시킬 수 있는 밧데리 충전부(31)가 마련되었고, 매립직육면체용 밧데리의 밧데리 충전부(11)는 좌케이스(1)에 양,음극의 충전단자(12)가 현출되어 있고 돌턱(13)에 L형의 괘지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밧데리케이스(4)는 일면이 개방된 양벽면의 외면에 파지돌부(41)가 형성되고 그 개방단부에는 돌턱(13)이 괘지홈(14)에 삽입괘지되는 괘지턱(42)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의 밧데리를 충전시키는 밧데리충전부(21)는 우케이스(2)에 181mAh와 600mAh의 원통형 밧데리(20a) (20b)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밧데리 수납홈(22)이 형상되는데 그 하단부에는 양극단자(23)와 음극단자(24)가 현출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각각의 양극단자(25) (27)와 음극단자(26) (28)가 현출되어 있으며, 직육면체형의 밧데리 충전부(31)는 상기 좌, 우케이스(1) (2)를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되는 좌, 우케이스(1, 2)의 전면에 파지요홈(33)이 형성된 밧데리 수납홈(32)의 형성되고 그 상, 하단에는 양극단자(34)와 음극단자(35)가 현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a는 플러그(3)를 밀어 인출하기 위한 플러그 밀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정의 밧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플러그(3)와 일체로된 플러그밀편(3a)을 밀어 플러그(3)를 돌출시킨후 AC 전원의 콘센트에 꽂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80mAh의 원통형 밧데리(20a)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케이스(2)의 수납홈(22)에 마련된 양극단자(23) (25)와 음극단자(24) (26)에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충전시킬 수 있으며 600mAh의 원통형 밧데리(20b)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우케이스(2)의 밧데리 수납홈(22)에 마련된 양극단자(23) (27)와 음극단자(24) (28)에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매립직육면체형 밧데리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좌케이스(1)의 충전단자(12)와 밧데리(도시하지 않았음)의 양극 및 음극단자가 대향되게 밧데리 케이스(4)내에 삽입한 후 밧데리케이스(4)의 괘지턱(42)을 돌턱(13)의 괘지홈(14)에 삽입시켜 윗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좌케이스(1)의 돌턱(13) 괘지홈(14)에 밧데리 케이스(4)가 결합하게 되고 매립직육면체형 밧데리의 양, 음극단자와 좌케이스(1)로 부터 현출된 충전단자(12)가 접속연결됨으로써 매립직육면체형 밧데리가 충전되게 된다.
또한, 직육면체형 밧데리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직육면체형 밧데리를 좌, 우케이스(1) (2) 전면에 위치한 수납홈(32)에 끼운다음 수납홈(32)의 양극단자(34)와 음극단자(35)에 직육면체형 밧데리의 양, 음극을 접속연결시키면 된다. 이때 수납(32)의 측면에는 직육면체형 밧데리를 수납홈(32)에서 쉽게 끼우거나 꺼낼 수 있도록 파지요홈(33)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밧데리 충전기는 플러그(3)가 출몰가능하게 되고 좌, 우케이스(1) (2)로 된 밧데리 충전기의 3면에 밧데리 충전부(11) (21) (31) 및 밧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22) (32)과 밧데리 케이스(4)가 구성되어 있어서 원통형, 직육면체형 및 매립직육면체형의 밧데리를 선택적 또는 일괄적으로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충전기가 필요함이 없이 하나의 충전기로도 제기능을 다할 수 있고 충전기 구입비용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 음극의 충전단자(12)가 현출되고 돌턱(13)에 L형의 괘지홈(14)이 형성된 밧데리 충전부(11)가 마련되어진 좌케이스(1)와 밧데리 수납홈(22)을 갖는 우케이스(2)에 출몰(out-in)가능 플러그(3)가 구성되고 우케이스(2)의 밧데리(22)에 원통형 밧데리(20a, 20b)를 착지 고정할 수 있는 양극(23) (25) (27) 및 음극(24) (26) (28)이 형성된 돌출, 평면 형상과 밧데리 충전부(21)로 구성되어진 밧데리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 충전기의 좌케이스(1) 돌턱(13)의 괘지홈(14)에는 일면이 개방되고 그 측면에 파지돌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단부에 L형 괘지턱(42)이 형성되어 있어서 밧데리 케이스(4)가 착탈가능하며, 좌, 우케이스(1) (2)의 전면에 파지요홈(33)과 밧데리 수납홈(32)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양극, 음극단자(34) (35)가 돌출되어 있는 밧데리 충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충전기.
KR2019910002670U 1991-02-26 1991-02-26 밧데리 충전기 KR940002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670U KR940002231Y1 (ko) 1991-02-26 1991-02-26 밧데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670U KR940002231Y1 (ko) 1991-02-26 1991-02-26 밧데리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70U KR920017270U (ko) 1992-09-17
KR940002231Y1 true KR940002231Y1 (ko) 1994-04-11

Family

ID=1931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670U KR940002231Y1 (ko) 1991-02-26 1991-02-26 밧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170B1 (ko) * 1996-12-24 2000-02-15 전주범 칼라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170B1 (ko) * 1996-12-24 2000-02-15 전주범 칼라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270U (ko) 199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3014A (en) Serially connected charger
KR960006135B1 (ko)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는 에너지 사용 장치
US3665285A (en) Polarity-mated re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unit
US20070285049A1 (en) Jump starter with built-in battery charger
US20070273325A1 (en) Power station with built in battery charger
US6392381B1 (en) Rechargeable power supply pack for hand tools
JP2019068552A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CA2375659A1 (en) Power tool and convertible remote battery pack therefor
CA2018655A1 (en) Externally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a computer
EP0627127A1 (en) Energy pack and individual battery cell cartridge
US4213079A (en) Battery charger adapter
US8183830B2 (en) Adjustable charger
US4628242A (en) System for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US5998964A (en) Portable appliance charging system
US5459389A (en) Dual-charging system for a portable electric appliance
US4352052A (en) Adaptor for charging small cells in large-cell charger
KR940002231Y1 (ko) 밧데리 충전기
US5697808A (en) Battery adapter for adapting a large capacity battery to a hand phone
US5172042A (en) Battery size changer aid
CN209963106U (zh) 通用型电池仓及具有电池仓的电器
US7121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sitional power supply adaptor
JPH0619264U (ja) 電池判別機能付充電器
JPH0594953U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020036480A1 (en) Battery pack
US20050212480A1 (en) Charger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