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544Y1 -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544Y1
KR940001544Y1 KR2019910012504U KR910012504U KR940001544Y1 KR 940001544 Y1 KR940001544 Y1 KR 940001544Y1 KR 2019910012504 U KR2019910012504 U KR 2019910012504U KR 910012504 U KR910012504 U KR 910012504U KR 940001544 Y1 KR940001544 Y1 KR 940001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instrument
support
inclination angle
percussion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440U (ko
Inventor
한광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2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544Y1/ko
Publication of KR930005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제1도는본 고안 지지간의 전자타악기 경사각 조정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지지간의 결합사시도.
제3도는본 고안 지지간의 작용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지지간의 작용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악기 설치대 1' : 지지간
2,2' : 희동봉 5,5' : 결합공
6,6' : 고정편 10,10',10a,10a',10b,10b' : 위치조절홈
14,14',14'',14''' : 안내편 15,15' : 슬라이드 몸체
17,17' : 조절편
본 고안은 각종 타악기의 음악을 재형하여 연주할 수 있는 전자타악기를 지지간의 회동에 의하여 경사각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조정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연주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타악이 위치경사각을 타악기 설치대에 장착된 지지간의 회동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즉 지지간의 회동봉과 슬라이드 몸체를 조절핀과 스프링 및 조절구와 위치조절홈에 의하여 연동될 수 있도록 하고 타악기 설치대의 외측 주면상에 돌출 결합된 슬라이드 몸체를 눌러 회동봉을 전, 후로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봉에 고정된 타악기의 위치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 경사각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방식으로서 악기의 위치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는 나사체결에 의한 방식이나 핀에 의한 방식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는 나사체결에 의존할 경우 고정은 견고하게 이루어지나 장기간 사용, 또는 빈번하게 사용(악기의 각도 조절시)될 경우 나사의마모로 인하여 제품이 파손될 우려와 함께 수명의 단축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핀으로써만 고정하는경우는 견고성이 저하될 우려와 함께 불안정한각도조절 상태로 인하여 연주조건에 악 영향을 끼치게 될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을 지양하고 제반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된 조건하에 연주자에게 최적의 분위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원하는 상태로 악기의 위치 경사각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습자나 기타 연주자에게 부담감을 최소화 시키고 연습 또는 실연시 연주에 몰두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악기 설치대(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간(1')의 회동봉(2)(2')이 중심부에 삽입공(3)(3'),(4)(4')을 천설하고 일측 회동봉(2') 선단부를 이와 대향되는 회동봉(2) 선단의 결합공(5)(5')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편(6)(6')을 형성하며 상기 회동봉(2')외주면으로 걸림턱(7)이 형성된 지지환(8)을 개재하고 그 내벽으로 스프링(9)을 삽입한 다음 상, 하 단면에 위치조절홈(10a')(10b)(10b')과 측벽으로 장공(11″)(11''')이 형성된 조절구(12')를 나사(13″)(13''')로 회동봉(2')과 고정하고 안내편(14″)(14''')에 삽입공(16″)(16''')을 갖는 슬라이드 몸체(15')를 형성하면서 그 안내편(14″)(14''')을 상기 장공(11')(11″)개재하여 조절핀(17')을 삽입공(4) (4')(16″)(16''')에 끼워넣고, 조절핀(17')이 위치 조절홈(10a')(10b)(10b')중 그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한뒤, 상기 회동봉(2')과 대향되는 회동봉(2)은 그 외주면으로 안내편(14)(14')에 삽입공(16)(16')을 갖는 슬라이드 몸체(15)를 형성하고 상, 하 단면에 위치조절홈(10)(10')(10a)과 측벽으로 장공 (11)(11')이 형성된 조절구(12)를 나사(13)(13')로 회동봉(2)과 고정하여 조절핀 (17)을 삽입공(3)(3')(16) (16')에 끼워 넣어서, 조절핀(17)이 위치조절홈(10)(10') (10a)중 그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한 다음 회동봉(2)(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6)(6')은 결합공 (5)(5')에 후크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18)은 연결봉(19)는 타악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는 지지간의 종, 횡단면도로서 이점쇄선의도시된 부분은 지지간 (1')의 슬라이드 몸체(15)를 눌렀을때 지지간(1')의 원주방향 고정수단이 해제됨을 표시한 것이다.
우선 지지간(1')을 회동시켜 지지간(1')에 고정된 타악기(19)을 위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타악기 설치대(1)의 외측 주연에 돌출 결함된 슬라이드 몸체 (15)를 누르면 슬라이드 몸체(15)와 일체일 안내편(14)(14')이 장공(11)(11')을 통과하면 이때 조절핀(17)은 조절구(12)의 위치조절홈(10)(10')(10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의 조절핀(17) 이탈동작과 동시에 안내편(14)(14')은 슬라이드 몸체(15')를 밀어내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몸체(15')는 조절구(12')의 장공(11″) (11''')을 통과 조절핀(17')과 함께 스프링(9)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양측 조절핀(17)(17')이 다수의 위치조절홈(10)(10')(10a)(10a') (10b)(10b')중 어느 하나의 홈에 삽입되었던 상태에서 빠져나와 회동봉(2)(2')의 고정상태는 일시적으로 해제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슬라이드 몸체(15)가 눌러진 상태)에서 회동봉(2)(2')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켜(이와 동시에 조절핀(17) (17')도 회동됨)적합한 위치, 즉 타악기(19)의 위치 경사각을 조정하고자 하는위치의 위치조절홈에서 세팅한 다음, 슬라이드 몸체(15)의 눌러진 상태를 해제시키면 이와 동시에 최초의 상태(제4도 및 제5도의 실선 단면도 상태)로 복귀되는데, 이는 압축되었던 스프링 (9)의 탄발력에 의한 것으로 스프링(9)은 역으로 조절핀(17')을 밀어내고 조절핀(17')은 위치조절홈(10a)(10b)(10b')중 사전 결정된 홈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몸체(15')와 함게 후퇴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몸체(15')는 슬라이드 몸체(15)를 슬라이드 몸체 (15)는 조절핀(17)과 함게 후퇴함과동시에 조절핀(17)은 상기 조절핀(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위치조절홈(10)(10')(10a)의 결정된 홈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치 경사각 조정작업은 완료되고 회동봉(2)(2')과 연결봉(18) 및 타악기(19)는 견고한 고정상태에서 유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상태의 유지는 스프링(9)의 탄발력과 스톱피 역할을 하는 조절구(12)(12') 걸림턱(7)에 의해 지속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지지간에 의한 타악기의 위치경사각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또한 적정한 상태로 견고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서, 연주자의신체 조건이나 악기조건을 적합한 상태로 조성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으며, 한편 조절구의 위치조절홈을 많은 갯수로 제작하는 경우는 더욱 정확하고 타악기 위치 경사각의 조정폭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안출되는 고안이다.

Claims (1)

  1. 타악기 설치대(1) 내부에 타악기를 연결하는 지지간(1')을 설치하되, 지지간 (1')은, 삽입공(3)(3'),(4)(4')이 천설된 회동봉(2)(2')의 외주면에 조절구(12)(12')를 고정하고, 조절구(12)(12')의 장공(11)(11')(11″)(11''')을 관통하여, 삽입공 (16)(16')(16″)(16''')이 천설된 슬라이드 몸체(15)(15')의 안내편 (14)(14')(14″)(14''')을 삽입하며, 조절구(12)(12')의 위치조절홈(10)(10')(10a)(10a')(10b) (10b')중어느 하나와 삽입공(16)(16')(16″)(16''')및 삽입공(3)(3')(4) (4')으로 조절핀(17)(17')을 결합한 다음, 타악기 설치대(1)의 양측 다수의 걸림턱(7)에는 지지환 (8)과 조절핀(17')사이에 스프링(9)을 탄설하여 슬라이드 몸체(15)의 압압에 따라 회동봉(2)(2')의 회동에 의하여 타악기(19)의 위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간에 의한 전자 타악기의 위치 경사각 조정장치.
KR2019910012504U 1991-08-06 1991-08-06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KR940001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504U KR940001544Y1 (ko) 1991-08-06 1991-08-06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504U KR940001544Y1 (ko) 1991-08-06 1991-08-06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40U KR930005440U (ko) 1993-03-22
KR940001544Y1 true KR940001544Y1 (ko) 1994-03-18

Family

ID=1931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504U KR940001544Y1 (ko) 1991-08-06 1991-08-06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40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5943B2 (ja) 楽器用肩当て
EP2609755B1 (en) A microphone mounting apparatus
US7235729B2 (en) String securing apparatus for string instrument
US4691611A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EP0652547B1 (en) Adjusting mechanism for neck aligner in stringed instrument
US8927842B1 (en) Drum system
US20070131091A1 (en) Support for a musical keyboard instrument
EP1878006B1 (en) Shoulder rest for a violin and a viola
US7547834B2 (en) String replacement assistance apparatus
US6686524B2 (en) Tremolo unit for string instrument
WO2006117564A1 (en) Shoulder rest
US5842742A (en)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a drum chair
TW200402028A (en) Pedal for Drum
JPS59211093A (ja) 電気バスギター
US5277094A (en) Device for inserting strings
KR940001544Y1 (ko) 지지간에 의한 전자타악기의 위치경사각 조정장치
US4109888A (en) Flute lyre holder
US5553529A (en) Thumbrest ring adapter for musical instrument
US4077296A (en) Tone control and tuning apparatus for a stringed instrument
US4787285A (en) Anchor bolt device for tremold device
US3240097A (en) Peg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US20040182222A1 (en) Cymbal stand extension
JPS6230050Y2 (ko)
JP2000200082A (ja) 弦楽器用エンドピン
KR200200158Y1 (ko) 스탠드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