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39Y1 -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 Google Patents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39Y1
KR940001439Y1 KR2019910008529U KR910008529U KR940001439Y1 KR 940001439 Y1 KR940001439 Y1 KR 940001439Y1 KR 2019910008529 U KR2019910008529 U KR 2019910008529U KR 910008529 U KR910008529 U KR 910008529U KR 940001439 Y1 KR940001439 Y1 KR 940001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reep
holder
groove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5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1553U (en
Inventor
조성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승기업
김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승기업, 김인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승기업
Priority to KR2019910008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439Y1/en
Publication of KR930001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5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39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0End pieces terminating in a needle point or analogous contact for penetra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화선 분기 터미날의 와이어 고정접속장치Wire fixing connector of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제1도의 (a)(b)는 종래의 와이어 고정접속 클립과 홀더의 분해 사시도.(A) and (b) of FIG. 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wire fixing connecting clip and a holder.

제2도는 본 고안의 와이어 홀더에 대한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a)(b)(c)는 본 고안의 와이어 홀더에 대한 정면, 측단 및 단면도.Figure 3 (a) (b) (c) is a front, side and sectional view of the wir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 (a)(b)는 본 고안의 와이어 홀더에 콘넥터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 및 측단면도.Figure 4 (a) (b) is a front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wir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터미널 12 : 와이어 고정실11: terminal 12: wire fixing chamber

13 : 격벽 14 :지지대13 bulkhead 14 support

15 : 삽입홈 16 : 삽입공15: insertion groove 16: insertion hole

17 : 걸림턱 20 : 와이어17: hanging jaw 20: wire

22 : 와이어크립 21 : 와이어 홀더22: wire clip 21: wire holder

23 : 와이어선 211 : 손잡이 홈23: wire wire 211: handle groove

214 : 와이어 공 216 : 크립홈214: wire ball 216: creep groove

217 : 지지부 212 : 핀공217: support portion 212: pin ball

221 : 절결면 222 : 접속홀221: notch 222: connection hole

본 고안은 전화국으로 해당 건물의 단자함까지 선로가 설치되고 단자함에서 사무실등의 전화선을 연결할 때 전선의 외피를 벗기지 않은 채로 전선을 와이어홀더의 인입공에 선택적으로 끼우고, 이를 터미널에 조립하면 전선의 외피가 절결되면서 내부의 동선이 전도체인 와이어 클립에 견고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고안된 전화선 분기터미널 와이어 고정접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lephone station where the line is installed to the terminal box of the building, and when connecting the telephone line of the office or the like from the terminal box, the wir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wire holder without removing the outer shell of the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wire fixing connection designed to allow the inner copper wire to be firmly connected to a wire clip as a conductor as the outer shell is cut.

일반적으로, 전화국으로 부터 전화기에 배선되는 전화선은 대부분 메인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주변 건물이나 그밖의 장소에 고정된 분기 터미널에 연결되어, 내외선 단자짹에 배선되고, 이에 사용자의 전화국번에 해당되는 2개의 와이어가 연결되므로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상점등의 사용자 전화기까지 배선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telephone line from the telephone company to the telephone is mostly connected to the branch terminal fixed to the building or other place around the user through the main cable, and wir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terminal jacks. By connecting two wires, the user's telephone in each home, office, and shop is wired.

이때, 메인케이블을 통해 분기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선과 각 전화기 까지 배선되는 와이어선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메인 케이블의 여러 와이어선을 분기터미널 양측으로 배열되어진 접속봉에 연결시켜야만 접속되는 것이므로, 우선 각 와이어선의 외피를 일일이 벗기고, 접속봉 내측에 나사조립 되어진 볼트를 해체시켜 볼트의 외측에 동선 일부를 권회한 다음, 다시 접속봉에 나사결합을 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많은 숫자의 각 와이어선을 분기 터미널의 접속봉이 접속 고정되었으며, 이에 맞는 전화국번을 따라 각 사용자의 전화기까지 배선하기 위한 전선을 상기 접속봉에 외피를 벗기고, 볼트에 동선을 권회하여 분기 터미널의 접속봉에 나사결합 시키는 작업에 의해서 전화국으로 부터 연결된 메인 케이블과 전화기로 배선되는 전선을 분기 터미널에서 연결시킬 수가 있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 wire connected to the branch terminal and the telephone line through each main cable is normally connected only when several wires of the main cabl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s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branch terminal. Strip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wires by peeling off the outer skin of each wire wire, dismantling the bolts assembl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winding a part of copper wire on the outside of the bolt, and screwing the connecting rod again. Is connected and fixed, and the wire for wiring to the telephone of each user along the telephone station number is stripped of the outer shell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pper wire is wound around the bolt and screwed to the connecting rod of the branch terminal. Wires from the main cable to the telephone and from the telephone Branch was able to connect the terminal.

이렇게 비교적 원시적인 연결작업을 수행하면 작업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비효율적임은 물론 많은 작업자가 동원되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었고, 선로 연결후에 발생되는 이상으로 보수를 하고자 할 때는 다시 번거로운 볼트의 해체와 체결, 그리고 권회되어 있던 동선을 풀고 다시 감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보수작업시에도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음은 물론, 작업후에는 그 주위에 많은 동선과 외피의 일부가 흩어겨 주위환경을 해치거나 재료손실이 컸었던 문제점이 있었다.This relatively primitive connection work delays a lot of work time and is inefficient, and requires many workers. Therefore, it is inexpensive.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repeat the process of unwinding and rewinding the wound copper wire, which caused many inconveniences during repair work, and after the work, many copper wires and parts of the shell were scattered around to har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material loss. There was an issue.

따라서, 본 고안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52293호(1990. 8. 6 공고 제90-7119호)에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국선을 과전압 및 과전류를 차단시키는 보안플러그를 통해 본체에 결합되는 와이어클립(33)에 구비하고, 본체의 양측으로는 다수개의 분기공을 절결시키며, 격판의 조립공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와이어클립(33)이 설치되고, 와이어홀더(35)의 중앙부에는 장방형 안내공(37)을 수직으로 절결시켜 와이어클립(33)이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스크류 와이어 홑더(35)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에 탄동간(38)이 단속되고, 분기선(D)이 인입공(36)에 끼워져 하강될 때 와이어클립(33)의 안내경사면(33a)과 피복절단부(33b)에 의해 분기선(D)의 외피가 절결되며, 동(D')이 협지공(33c)의 하단부에 위치될 때 탄동간(38)의 걸림턱(39)이 본체의 고정바 저면에 걸려지게 하고, 와이어홀더(35)가 분리될때는 그의 저면 일측에 돌출된 돌출편(40)이 고정바의 돌출부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선의 외피틀 벗기지 않고도 배선할 수 있었다.Therefor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52293 (August 90, 1990-7119),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iled in advance, registered a plurality of trunk lines connected through a main cable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in the wire clip 33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security plug to block the cut off, cut off a plurality of branch hole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 wire clip 33 is formed in the assembly hole of the diaphragm, the wire holder A rectangular guide hole 37 is vertically cu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35 to allow the wire clip 33 to move up and down, and the intermittent section 38 is intermittent to a fixing bar that is fixed inside the single wire 35 of the screw wire. When the branch line D is inserted into the leading hole 36 and descends,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line D is cut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33a and the cover cut portion 33b of the wire clip 33, and the copper D ' )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hole 33c. The locking jaw 39 of the liver 38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fixing bar of the body, and when the wire holder 35 is separated, the protrusion piece 4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liver is caught by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bar. It was structured to prevent that, and it was possible to wire without peeling off the outer shell of an electric wir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 와이어홀더(35)에 하나의 인입공(36)만을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는 와이어클립(33)에도 하나의 협지공(33c)만을 형성시켜 놓음에 따라 소정의 굵기를 갖는 한가지의 와이어만을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공(36)의 깊이가 짧아 분기선(D)이 상하, 좌우로 움직일 경우 절단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와이어클립(35)이 본체의 격판 사이에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여러회 사용하게 되면 협지공(33c)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분기선(D)이 손쉽게 빠져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only one inlet 36 is formed in the wire holder 35, and only one clamping hole 33c is formed in the wire clip 33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to the problem that only the wire of the use, the depth of the inlet hole 36 is short, there is a fear that the branch line (D) is cut when moving up and down, left and right, as well as the wire clip 35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body If the flow is installed to be used several times, the gap between the narrowing hole (33c) is widened,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the branch line (D) easily falls out.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1991. 5. 3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345호를 개량출원한 바 있으며, 개량출원된 전화선의 분기 터미날은 와이어 홀더(4)의 일측면에 돌출된 안내돌기(6)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와이어 인입공(6a,6b,6c)을 형성시키고, 와이어 클립(3)에는 상기 와이어 인입공(6a,6b,6c)에 대응되는 다단의 협지공(8a,8b,8c)을 형성시키되, 와이어 클립의 상부 넓이는 본체의 격판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의 넓이와 일치되게 형성시켜 주므로서, 전화선 분기터미널에 분기선을 연결시킬 때, 분선기의 굵기에 무관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입공에 끼워지는 분기선의 길이가 종래보다 길어지게 되어 분기선이 상하좌우로 움직이더라도 절단될 우려가 적음은 물론, 와이어 클립이 격판사이에 꼭 끼워지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협지공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분기선이 협지공으로 부터 빠져버리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시킬 수 있는 전화선의 분기 터미널을 선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의 선출원된 고안에서는 터미널본체에서 와이어 홀더가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턱 구성을 갖추고 있어서, 와이어 홀더와 와이어홀더의 결합 부위에 대한 면적이 커져서 터미널 본체의 크기가 대우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 application for improvement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6,453 on 1991. 5. The branch terminal of the improved application telephone line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wire holder 4. The guide protrusion 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 entry holes 6a, 6b, 6c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wire clip 3 has a plurality of stages corresponding to the wire entry holes 6a, 6b, 6c. The pinholes 8a, 8b, and 8c are formed, but the upper width of the wire clip is formed to match the width of the gap formed between the diaphragms of the main body, so that when the branch line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Not only can it be connected to the thickness, but also the length of the branch lin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is longer than before, so even if the branch line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there is little risk of cutting, and the wire clip is tightly inserted between the diaphragms.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pincers does not open even after long-term use, the branch line of the telephone line has been selected in advance to prevent the branch line from escaping from the pincers.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holder from being pulled out in the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terminal body is large because the area for the coupling portion of the wire holder and the wire holder is increased.

터미널 본체가 커지게 되면 제작단가의 상승과 설치시에 주변 공간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terminal body becomes large, it takes up a lot of peripheral space during the rise and installation of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was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handle.

특히, 종래의 분기터미날에 전화선을 접속시키는 작업을 하나의 와이어 홀더와 클립에는 하나의 와이어 만을 삽입할 수 있어서, 2가닥이 1조로 된 전화선 와이어를 모우 분기 터미널에 접속고정 시키기 위해서는 2개씩의 와이더 홑더와 와이어 클립이 소요되므로 인한 부품수의 증가가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조립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In particular, only one wire can be inserted into a wire holder and a clip to connect a telephone line to a conventional branch terminal, and two wires are used to connect and fix a pair of telephone line wires to a split branch terminal.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due to the need for more straighteners and wire clips has contributed to the ease of wiring and the difficulty of assembly and handling.

따라서, 전화선 분기 터미널에서는 최소한의 면적으로 터미널 본체를 형성하면서 1조의 2가닥 와이어를 용이하게 접속 고정 시킬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Therefore, in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a configuration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and fixing a pair of two-wires while forming a terminal body with a minimum area is required.

또한 와이어 홀더가 분기터미널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거림 없이 안정하게 고정됨이 요구되며, 홀더자체에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와이어 고정됨이 요구되며, 홀더자체에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와이어 홀더의 취급을 용이하게 함이 요구되며, 와이어의외피가 절결되면서 도전체의 접속을 이루는 와이어 클립은 전화선 분기터미널에 조립된 상태에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the wire holder is stably fixed without shaking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holder is coupled to the branch terminal body, and the wire fixing is required by the structure formed on the holder itself, and the wire holder is easy to handle by the structure formed on the holder itself. When the outer skin of the wire is cut off, the wire clip forming the connection of the conductor is required to achieve a stable coupling state assembled in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따라서, 본 고안은 전화선 분기 터미널에 조립되는 와이어 홀더와 와이어 클립의 기능을 증가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와이어 클립과 홀더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functions of the wire holder and the wire clip assembled to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can minimize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wire clip and the holde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s follows.

전화선 분기 터미널(11)에 형성하는 와이어 고정실(12)이 일측에 구획 형성되어 와이어 클립(22)이 와이어 고정실(12)에 삽입고정되고, 이에 전화선 와이어(20)가 관통된 와이어 홀더(21)가 상기 와이어클립(22)에 끼워져 접속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전화선 분기 터미널(11)의 와이어 고정실(12)을 형성하는 격벽(13)의 양측 중앙에서 와이어 크립(22)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15)을 수직하게 형성하는 지지대(14)를 형성하고, 와이어 고정실(12)의 바닥에 삽입공(16)을 뚫어 형성하고, 삽입공(16)저면에 걸림턱(17)을 형성한다.The wire fixing chamber 12 formed in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11 is partitioned at one side so that the wire clip 22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chamber 12 and fixed thereto, and the wire holder 20 through which the telephone wire wire 20 is penetrated. In the case where the wire clip 22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wire clip 22, the wire crepe 22 can be fitted at both centers of the partition 13 forming the wire fixing chamber 12 of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11. A support 14 is formed to vertically form the insertion groove 15, and the insertion hole 1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ire fixing chamber 12, and the locking step 17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hole 16. To form.

상기의 삽입홈(15)과 삽입공(16)으로 끼워지는 와이어 크립(22)을 상단에 와이어의 절결면(221)과 와이어 접속홈어 클립(22)이 이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크립(22) 하단에는 고정편(223)을 형성한다.The cut wire 221 of the wire and the wire connecting groover clip 22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wire crepe 2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 and the insertion hole 16, and the wire crepe 22 is formed. The lower end forms a fixing piece 223.

상기 고정편(223)은 와이어 크립(22)의 하단을 길게 연장시켜 적당한 곳에서 접어 그 끝단의 경사진 턱(224)이 와이어 크립(22)면에 닿아 있다.The fixing piece 223 extends the lower end of the wire creep 22 to be folded at an appropriate place, and the inclined jaw 224 at the end thereof contacts the wire creep 22 surface.

와이어 분기 터미널(11)의 와이어 고정실(12)에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하는 와이어 홀더(21)는 상단에 사각홈을 파내어 손잡이 홈(211)을 파내고, 그 중앙에 핀공(212)을 뚫어 형성하며, 와이어 홀더 상단 아래부터 하단까지 격벽의 두께와 높이로 절개하여 격벽홈(213)을 형성하며, 상기의 와이어 홑더 전면에는 와이어 삽입공(214)을 뚫어 형성한다.The wire holder 21 having a width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chamber 12 of the wire branch terminal 11 is dug a square groove at the top to excavate the handle groove 211 and a pin hole 212 in the center thereof. It is formed, and cut into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f the wire holder to form a partition groove (213), and the wire insertion hole 214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ire.

와이어 홀더(21)의 저면에는 와이어 크립홈(216)늘 파내어 형성하되, 와이어 크립홈(216)을 저면에서 격벽(13)의 높이까지 파내어 형성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wire holder 21 is formed by digging out the wire creep groove 216, and the wire creep groove 216 is dug from the bottom to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3.

이때, 크립의 중앙에는 전단면이 브이 형상으로 파여져 있으므로, 와이어 크립홈(216)의 상면에도 크립의 전단면에 삽입될 수 있는 와이어 지지부(217)를 브이 형상으로 남겨두어 형성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ront end of the creep is dug in the center of the creep, the wire support 217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cree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creep groove 216 to be left in the v shape.

상기 브이 형상의 와이어 지지부(217)는 본원 고안에서 매우 특정적인 부분으로 와이어선을 크립에 삽입할 때에는 와이어를 크립의 접속홀(222)로 눌러주는 작용을 이루고, 조립후에는 와이어선 꺽임위치를 접속홀어크립(22)에서 연장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는 굵기가 매우 얇은 전화선 와이어의 반복적인 굽음에 의한 끊어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V-shaped wire support 217 is a very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reep, the wire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hole 222 of the creep. It extends from the connection hole creep 22, which serves to prevent breakage due to repeated bending of the very thin telephone line wire.

그리고, 격벽홈을 중심으로 와이어 크립홈(216)의 양쪽에는 격벽의 지지대(14)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지지대(14)를 감싸는 지지홈(218)을 파내어 형성한다.Then, both sides of the wire creep groove 216 around the partition groove are formed by digging the support groove 218 sli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4 of the partition to surround the support 14.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통상의 전화선 와이어 접속잡업과 같이 와이어(20)를 와이어 홀더(21)의 와이어 삽입공(214)으로 삽입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tarts by inserting the wire 20 into the wire insertion hole 214 of the wire holder 21 as in a conventional telephone line wire connection job.

상기의 와이어 홀더(21)가 조립되는 전화선 분기 터미널(11)의 와이어 고정실(12)의 지지대(14)사이에는 이미 와이어 크립(22)이 끼워져 있고, 접혀진 끝단의 경사진 턱(224)은 분기 터미널(11)의 삽입공(16)저면의 걸림턱(17)에 걸려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고 있다.A wire crepe 22 is already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s 14 of the wire fixing chamber 12 of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11 to which the wire holder 21 is assembled, and the inclined jaw 224 of the folded end is Engaged in the locking step 17 of the bottom of the insertion hole 16 of the branch terminal 11 to achieve a stable fixed state.

와이어 홀더(21)를 와이어 고정실(12)에 삽입하면 와이어 크립홈(216)이 격벽(13)에서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14)와 와이어 크립(22)에 끼워진다.When the wire holder 21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chamber 12, the wire creep groove 216 is fitted to the support 14 and the wire crepe 22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13.

따라서, 와이어 삽입공(214)에 끼워진 와이어(20)는 크립의 절결면(221)에 의해 와이어의 피복이 절결되면서, 와이어 접속홀(222)로 삽입도어 도전체들의 접속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wire 20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hole 214 is cut off the coating of the wire by the cut surface 221 of the creep, thereby making the connection of the insertion door conductors to the wire connection hole 222.

상기처럼 와이어(20)가 크립의 접속홀(222)으로 삽입될 때 접속홑(222)의 폭이 좁기 때문에 와이어(20)에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와이어 홀더(21)의 브이형상 지지부(217)선단이 접속홀(222)전후의 와이어(20)상면에 닿아 있고, 이러한 상태로 와이어 고정실(12)에 와이어 홀더(21)가 끼워지므로,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wire 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22 of the creep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iece 222 is narrow, the bending phenomenon occurs in the wire 20, but the V-shaped support part 217 of the wire holder 21 is formed. Since the tip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20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hole 222, and the wire holder 21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chamber 12 in this state, a phenomenon occurs that the wire 20 is inserted in the process of bending. You will not.

이때, 와이어 크립(22)의 접속홀(222)이 삽입되는 와이어(20)의 굵기로인해서 약간 벌어지겠으나, 와이어홀더(21)와 고정실(12)의 크기가 같고, 크립홈(216)의 양측면에 지지대(14)를 감싸는 지지홈(21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실(12)과 와이어 홀더(21)의 조립상태로서 와이어 클립은 벌어지지 않고, 전화선의 와이어(20) 양측을 조이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와이어 크립의 양측이 조여지면 와이어선과 크립의 접촉력이 증가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며, 와이어 홀더(21)에 두가락의 와이어(20)를 끼워 분기 터미널(11)의 고정실(12)에 와이어홀더(21)를 삽입하면, 두가닥의 와이어(20)가 와이어 크립(22)에 동시에 접속되는 것이어서, 여러가닥을 작업할 때 작업량과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며, 와이어 홀더(21) 자체에 손잡이 홈(211)을 형성하였고, 이 손잡이홈(211)에는 핀공(212)이 뚫려져 있어서, 와이어 교체 작업시에 손으로 잡거나 핀공에 드라이버와 같이 가느다란 직경의 봉을 가진 수동공구 끝은 핀공에 끼워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 홀더는 전화선 분기터미널에서 아무런 누름작용없이 분리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connection hole 222 of the wire creep 22 is slightly opene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20 is inserted, the size of the wire holder 21 and the fixing chamber 12 is the same, the creep groove 216 Since support grooves 2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4 to surround the support 14, the wire clips are not opened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xing chamber 12 and the wire holder 21, and both sides of the wire 20 of the telephone line are opened. Tightening is performed, and when both sides of the wire creep are tightened,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wire and the creep is increased, and the fixing chamber of the branch terminal 11 is inserted by inserting two wires 20 into the wire holder 21. When the wire holder 21 is inserted into 12, two wires 20 are connected to the wire crepe 22 at the same tim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work and working time when working with multiple strands, and the wire holder. (21) The handle groove 211 is formed in itself, the handle groove The pin hole 212 is drilled in the 211, and when the wire replacement operation is carried out by hand or the tip of a manual tool having a rod with a thin diameter like a screwdriver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the wire holder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It is isolated without any pressing at.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고정접속 장치는 와이어 크립의 하단을 접어 형성한 경사진 턱의 구성으로 분기터미널의 와이어 삽입공과 걸림턱 사이에 와이어 크립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와이어 홀더에는 와이어 삽입공을 하나이상 뚫어 소요부품의 감소와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전화선 분기 터미날의 크기와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과 함께 두가닥의 와이어가 일시적으로 접속되어 작업의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와이어 홑더내의 지지대와 지지홈으로는 와이어 삽입을 밀어줌과 삽입된 상태에서의 와이어 크립을 조임하며, 와이어선과 와이어 크립의 접촉도가 증가됨과 동시에 와이어선의 눌림으로 이탈되지 않는 안정된 조립을 유지하게 하고, 와이어 홀더의 혼잡이 홈과 핀공에 의해 홀더 분리시 손가락이나 수공구의 접촉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 fixing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of an inclined jaw formed by folding the lower end of the wire creep so that the wire creep is firmly fixed between the wire insertion hole and the locking jaw of the branch terminal, and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holder. One or more balls can be used to reduce required parts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parts, simplifying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and simplifying work by temporarily connecting two wires. The support and the support groove in the unfolder push the wire insertion and tighten the wire creep in the inserted stat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wire wire and the wire creep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it maintains a stable assembly that is not released by the wire wire being pressed. When the holder is separated by the messy groove and pin hole of the wire holder, The advantage is that the contact is very efficient.

Claims (1)

전화선 분기 터미널(11)의 와이어 고정실(12)에 와이어 크립(22)이 고정되고, 전화선 와이어(20)가 끼워진 와이어 홀더(21)를 상기 와이어 크립(22)에 끼워 와이어(20)의 동선이 와이어 크립(22)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크립(22)은 하단을 연장시켜 접어서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경사진 턱(224)을 형성하고, 와이어 크립(22)에 씌워지는 와이어 홀더(21)에는 상부에 핀공(212)을 가진 손잡이 홈(211)을 형성하고, 중앙에 격벽홈(213)을 절개하여 격벽홈(213)을 기준으로 양쪽에 와이어 삽입공(214)을 형성하고, 와이어 홑더(21)저면에서 측면에 이르도록 절개하여 크립홈(216)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 삽입공(214)상단에서 크립홈(216)상단 사이에 와이어 삽입을 안내 지지하는 브이형 와이어 지지부(217)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분기 터미널의 와이어 고정 접속장치.The wire crepe 22 is fixed to the wire fixing chamber 12 of the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 11, and the wire holder 21 into which the telephone wire wire 20 is fitted is inserted into the wire crepe 22 to move the copper wire of the wire 20. In the structu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wire crepe 22, the wire crepe 22 extends at the lower end to form an inclined jaw 224 which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s covered with the wire creep 22. In the losing wire holder 21, a handle groove 211 having a pin hole 2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rtition groove 213 is cut in the center thereof so that wire insertion holes 2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groove 213. And forming a creep groove 216 by cutting the wire unfolder 21 to the side from the bottom of the wire unfolder 21, and a guide for supporting the wire insertion between the top of the creep groove 216 at the top of the wire insertion hole 214.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wire support 217 Wire anchoring connection for telephone line branch terminals.
KR2019910008529U 1991-06-10 1991-06-10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KR9400014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529U KR940001439Y1 (en) 1991-06-10 1991-06-10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529U KR940001439Y1 (en) 1991-06-10 1991-06-10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553U KR930001553U (en) 1993-01-21
KR940001439Y1 true KR940001439Y1 (en) 1994-03-16

Family

ID=1931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529U KR940001439Y1 (en) 1991-06-10 1991-06-10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439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553U (en)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13493A (en) Modular telephone plug
KR940001439Y1 (en) Wire connector in telephone terminal board
CA2013702C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having similar or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US5672065A (en) Ground rod connecting device
US5961342A (en) Dual sid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strip
JPH08115757A (en) Cable-wire connecting terminal block
US3451037A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CN213905713U (en) Cable with improved insulation
US4822300A (en) Cable wir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rapid cable connections
KR20180115023A (en)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JP4381549B2 (en) Waterproof branch connector
US2987694A (en) Lamp socket
CN216488694U (en) Multi-clamping-position concealed bottom box
KR200167086Y1 (en) A terminal block
KR200198502Y1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contact device
SU1026206A1 (en) Cable lug
KR102450984B1 (en) The wiring duct
JPH04131862U (en) centralized wiring connector
KR100332489B1 (en) A terminal block
KR200213524Y1 (en) The grounding clamp for monitor signal cable
KR200249751Y1 (en) Telephone line connection for terminal plate
JPH0228632Y2 (en)
KR900007119Y1 (en) Branch terminal
JPH026609Y2 (en)
JPS587801Y2 (en) Insulated wir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