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99Y1 -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 Google Patents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99Y1
KR930008299Y1 KR2019910019361U KR910019361U KR930008299Y1 KR 930008299 Y1 KR930008299 Y1 KR 930008299Y1 KR 2019910019361 U KR2019910019361 U KR 2019910019361U KR 910019361 U KR910019361 U KR 910019361U KR 930008299 Y1 KR930008299 Y1 KR 930008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fixture
spr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41U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김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택 filed Critical 김성택
Priority to KR2019910019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299Y1/ko
Publication of KR930010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의 본 고안의 결합상태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덮개판을 일부 절개한 상태의 고정구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몸체 2 : 스프링삽입홈
3 : 고정구 삽입홈 4 : 안내홈
5 : 지지대 6 : 고정구
7 : 유동구 8 : 스프링
9, 13 : 체결공 10 : 커버
11 : 장공 12 : 고정나사
본 고안은 허리띠용 버클에 있어서, 버클체결구의 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클의 유동구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람이 식후 만복시 또는 의자의 앉는 자세에 따라 허리띠가 일정길이만큼 자동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거북한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하는 한편 허리띠가 늘어나도 타인이 알지못하게 버클내에서만 늘어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허리띠가 자동으로 늘어나는 버클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즉,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9-9954호(공고번호 91-5376호)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고안은 버클의 결합판체 내부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사각밀대로 고정한 다음 양측이 절대된 주판체를 체결하되 그 상부에는 저면양측에 축이 형성된 장식판체를 체결하되 저면에 형성된 축이 사각밀대와 체결되게 하고 장식판체의 일측중앙에는 고정구가 형성된 구성이였으나, 상기의 고안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까다롭고 이로인한 가격이 고가였으며, 장식판체가 저면양측에 체결된 축에 의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고정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축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고, 여러가지의 부속으로 인하여 부피가 두꺼워 사용시 필요이상으로 버클이 돌출되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1-14167호를 출원하였으나, 이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얇으며 미관상 미려하게 고안하였으나 고정구가 형성된 유동구가 x외각으로 돌출되어 타인이 알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클몸체의 저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스프링이 체결된 유동구를 삽입한 다음 커버로서 고정하여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몸체(1)의 저면중앙부에 스프링삽입홈(2)과 고정구삽입홈(3)을 형성하되 그 중간에 안내홈(4)을 관통연결되게 형성하고 여기에 지지대(5)와 고정구(6)가 형성된 유동구(7)를 삽입체결하되, 유동구(7)의 중간에 스프링(8)을 체결하며 버클몸체(1)의 4귀에 체결공(9)을 형성하고 커버(10)의 일측중앙부에는 장공(11)을 형성하며 커버(10)의 4귀에는 버클몸체(1)의 체결공(9), 과 같은 위치에 체결공(13)을 형성하여 고정나사(12)로서 체결하여서 된것으로, 미설명부호 21은 허리띠, 22는 체결구, 23은 허리띠를 체결할때 허리때의 선단을 안내하여 주는 안내레일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몸체(1) 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삽입홈(2)과 고정구 삽입홈(3)에 유동구(7)를 삽입체결하되 스프링삽입홈(2)에는 유동구(7)의 지지대(5)와 스프링(8)을 압착되게 같이 체결하며, 고정구삽입홈(3)에는 고정구(6)가 형성된 선단부를 삽입체결하면 된다.
이때 유동구(7)에는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8)이 유동구(7)의 지지대(5)와 버클몸체(1)사이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8)은 지지대를 일측으로 밀게 되어 고정구(6)는 언제나 고정구 삽입홈(3)에 일측에 있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공(11)이 형성된 커버(10)를 고정나사(12)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공(11)에는 고정구(6)가 관통하여 돌출하게되고 여기에 허리띠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식후 만복시에는 허리띠가 고정구(6)를 잡아 당기게 되고 고정구(6)가 일체로 형성된 유동구(7)는 스프링(8)을 압착하면서 일정길이만큼 늘어나게 되고, 이와 반대로 고정구(6)를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8)이 유동구(7)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5)를 밀어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간편하고 손쉬우며 버클의 몸체내에서만 고정구가 형성된 유동구가 움직이기 때문에 만복시에도 고정구가 밖에서 보이지 않아 라인이 알 수가 없는 것으로 미관상 보기가 미려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버클몸체(1)의 저면중앙부에 스프링삽입홈(2)과 고정구삽입홈(3)을 형성하되 그 중간에 안내홈(4)을 관통연결되게 형성하고 여기에 지지대(5)와 고정구(6)가 형성된 유동구(7)를 삽입체결하되, 유동구(7)의 중간에 스프링(8)을 체결하며 버클몸체(1)의 4귀에 체결공(9)을 형성하고 커버(10)의 일측중앙부에는 장공(11)을 형성하며 커버(10)의 4귀에는 버클몸체(1)의 체결공(9)과 같은 위치에 체결공(13)을 형성하여 고정나사(12)로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KR2019910019361U 1991-11-13 1991-11-13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KR930008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361U KR930008299Y1 (ko) 1991-11-13 1991-11-13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361U KR930008299Y1 (ko) 1991-11-13 1991-11-13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41U KR930010241U (ko) 1993-06-23
KR930008299Y1 true KR930008299Y1 (ko) 1993-12-20

Family

ID=1932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361U KR930008299Y1 (ko) 1991-11-13 1991-11-13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2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369A (ko) * 2002-04-04 2002-05-01 전경호 탄력을 갖는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41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3183A (en) Waistband device
WO2003086121A3 (en) Novel article of clothing
US6327751B1 (en) Code holding buckle
KR930008299Y1 (ko)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EP1379426A4 (en) INTERNAL MOUNTING JIG SYSTEM
CA2011200A1 (en) Cord lock device
CN204218115U (zh) 微调式皮带扣
DE59702109D1 (de) Verbindungselement und gegenstand mit einem integrierten verbindungselement
USD353152S (en) Wrap-around eyeglasses
CN204218113U (zh) 一种磁吸式腰带扣
SE8700236L (sv) Anordning vid oronhaltagning
KR930008300Y1 (ko) 허리띠용 버클의 고정구 유동장치
CN201733987U (zh) 针扣、自动扣两用的新型皮带扣
CN204351196U (zh) 挂钩式腰带扣
CN204483255U (zh) 新式皮带针扣
CN204483253U (zh) 磁吸推拉式腰带扣
EP0253771A3 (en) Jewelry fastener
CN204483258U (zh) 简易磁吸式皮带针扣
CN205143705U (zh) 推拉式能调松紧的皮带针扣
CN204218079U (zh) 一种伸缩皮带针扣
CN2059547U (zh) 压簧式带扣
CN204351194U (zh) 磁吸式自动腰带扣
CN2217897Y (zh) 对扣
CN204483272U (zh) 新型磁吸式自动皮带扣
KR830002982Y1 (ko) 집게단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