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96Y1 -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96Y1
KR930007596Y1 KR2019880008013U KR880008013U KR930007596Y1 KR 930007596 Y1 KR930007596 Y1 KR 930007596Y1 KR 2019880008013 U KR2019880008013 U KR 2019880008013U KR 880008013 U KR880008013 U KR 880008013U KR 930007596 Y1 KR930007596 Y1 KR 930007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amping
output
video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4022U (ko
Inventor
김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8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96Y1/ko
Publication of KR890024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4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04N5/10Separation of line synchronising signal from frame synchronising signal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판별회로의 블록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판별회로의 상세도.
제 3a ∼ 3e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핑 및 클리핑부 2 : 반전증폭부
3 : 공진부 4 : 클리핑부
5 : 정류부 6 : 판별부
본 고안은 수신된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복조한 영상신호 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재생된 영상신호등이 입력되는지를 판별하여 에이에프티(AFT)회로, 뮤트(MUTE)회로, 채널메모리회로 및 자동선국회로 등에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영상신호 판별용 집적소자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였으나, 집적소자가 고가여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고, 집적소자의 주변회로가 매우 복잡함은 물론 집적소자가 영상신호의 유무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집적소자의 동작점을 조정해야 되는 등의 결합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집적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판별호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단자(IN)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동기신호의 하단부를 일정레벨로 클램핑하는 클램핑 및 클리핑부(1)와, 상기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하는 반전증폭부(2)와, 상기 반전증폭부(2)의 출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동기 신호에 공진되는 공진부(3)와, 상기 공진부(3)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클리핑부(4)와, 상기 클리핑부(4)의 출력신호를 정류하고, 이 정류전압에 따라 전원단자(Vcc)의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정류부(5)와, 상기 정류부(5)의 출력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6)로 구성하였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램핑 및 클리핑부(1)는 전압(Vcc1)을 저항(R1)을 통해 접지저항(R2), 접지콘덴서(C1)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접속하고 풀업 저항(R10)이 접속된 입력단자(IN)를 저항(R3), 콘덴서(C2)를 순차 통해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접지저항(R4)에 접속함과 아울러 반전증폭부(2)의 트랜지스(TR1) 베이스에 접속하여 구성하고, 반전증폭부(2)는 전압(Vcc1)이 콘덴서(C3), 코일(L1)을 순차 통해 일측에 접속된 저항(R6)의 타측과 전압(Vcc1)이 일측에 접속된 저항(R5)의 타측을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출력이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에 접속하여 그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공진부(3)에 접속하여 구성하며, 공진부(3)는 반전증폭부(2)의 출력에 일측이 접지된 콘덴서(4) 및 코일(L2)을 공통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클리핑부(4)에 접속하여 구성하고, 클리핑부(4)는 공진부(3)의 출력을 콘덴서(C5)를 통해 캐소드가 접지된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정류부(4)에 접속하여 구성하며, 정류부(5)는 전압(Vcc1)이 저항(R7)을 통해 애노드에 접속된 다이오드(D3)의 캐소드에 클리핑부(4)의 출력을 접속하고 상기 저항(R7)과 다이오드(D3)의 접속점에 접지 콘덴서(C6)를 접속하여 그 접속점을 판별부(6)에 접속하여 구성하고, 판별부(6)는 정류부(5)의 출력을 저항(R6)을 통해 일측이 접지된 콘덴서(C7)의 타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 전압(Vcc2)이 인가된 풀업 저항(R9)을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서 판별신호가 출력되게 구성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C9는 전압(Vcc1)에 접속된 콘덴서이고 R11, C8는 입력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처리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저항, 콘덴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3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1, Vcc2)로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단자(Vcc1)의 전원은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어 콘덴서(C1)에 충전됨에 따라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 인가되고, 입력단자(IN)로 제 3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기신호가 포함된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그 영상신호는 저항(R11) 및 콘덴서(C8)를 통해 영상신호 처리회로로 입력됨과 아울러 클램핑 및 클리핑부(1)에 입력되고, 영상신호가 저항(R3) 및 콘덴서(C2)를 통해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인가된 클램핑 및 클리핑부(1)는 제 3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동기신호의 하단부를 일정레벨 클램핑하여 반전증폭부(2)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수평동기신호의 하단부를 일정레벨 클램핑하는 이유는 노이즈 등을 영상신호로 판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 무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수평동기신호의 클램핑 레벨은 저항(R1,R2)의 값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출력신호는 반전증폭부(2)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출력신호를 제 3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전증폭하여 콜렉터로 출력하고, 그 반전증폭부(2)의 출력신호는 공진부(3)의 콘덴서(C4) 및 코일(L2)을 통해 공징되어 제 3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현파로 변환된 후 클리핑부(4)의 콘덴서(C5)를 통해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인가되므로 클리핑부(4)는 제 3e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진부(3)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정류부(5)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정류부(5)는 전압(Vcc1)이 저항(R7)을 통해 다이오드(D3)의 애노드에 인가됨과 아울러 콘덴서(C6)에 충전되는데 클리핑부(4)의 출력이 상기 다이오드(D3)의 캐소드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콘덴서(C6)의 충전전위가 조정되고 이 충전전위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수평동기신호 검출시 정류부(5)의 다이오드(D3)가 온되어 판별부(6)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그의 바이어스 전압 이하가 인가됨으로 오프되어 고전위가 출력되어진다.
즉, 입력단자(IN)로 영상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판별부(6)의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됨으로써 전원단자(Vcc2)의 전원이 저항(R9)을 통해 출력됨으로 영상신호가 입력됨을 알리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입력단자(IN)로 영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클램핑 및 클리핑부(1)가 전압(Vcc1)을 저항(R1)(R2)에 의해 분압하여 다이오드(D1)를 통해 고전위를 반전증폭부(2)에 출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로 저전위가 출력되고, 공진부(3)에서 저전위가 출력되어 클리핑부(4)는 다이오드(D2)가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정류부(5)는 전원단자(Vcc1)의 전원이 저항(R7)을 통해 콘덴서(C6)에 충전되고 이 충전된 고전위가 판별부(6)에 입력되어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전원단자(Vcc2)의 전원이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TR2)로 흐르게 되므로 판별부(6)는 영상신호가 없음을 알리는 저전위의 판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가의 집적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렴한 저항 및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만을 사용하여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그 회로의 구성이 간단함은 물론 별도의 조정점이 없어 회로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동기신호의 하단부를 일정레벨 클램핑하는 클램핑 및 클리핑부(1)와, 상기 클램핑 및 클리핑부(1)의 출력신호를 반전증폭하는 반전증폭부(2)와, 상기 반전증폭부(2)의 출력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동기신호에 공진되는 공진부(3)와, 상기 공진부(3)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클리핑부(4)와, 상기 클리핑부(4)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단자(Vcc1)의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정류부(5)와, 상기 정류부(5)의 출력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영상신호가 있으면 고전위, 없으면 저전위인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KR2019880008013U 1988-05-30 1988-05-30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KR930007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013U KR930007596Y1 (ko) 1988-05-30 1988-05-30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013U KR930007596Y1 (ko) 1988-05-30 1988-05-30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22U KR890024022U (ko) 1989-12-04
KR930007596Y1 true KR930007596Y1 (ko) 1993-11-05

Family

ID=1927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013U KR930007596Y1 (ko) 1988-05-30 1988-05-30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4022U (ko)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250Y1 (ko) 스위칭 집적회로를 이용한 음성 및 영상신호의 자동절환장치
KR970073034A (ko) 초고속 자동 채널기억 및 절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115812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124819A (en) Disturbing signal detection circuit
JPS5811150B2 (ja) テレビ信号識別装置
US4496978A (en) Noise detecting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employing the same
KR930007596Y1 (ko) 영상신호의 유무 판별회로
US4568979A (en) Television receiver muting apparatus
US4194087A (en) Control circuit and FM stereo receiver using same
GB1445159A (en) Synchronous detection
FI61982B (fi)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amplitudmodulerade signaler
EP0059379A2 (en) Noise detecting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employing the same
US3070657A (en) Horizontal deflection synchronizing device
KR970009230A (ko) 티브이(tv) 자동선국장치 및 자동선국방법
KR890006332Y1 (ko) 텔레비젼의 음성자동 뮤팅회로
US3483322A (en) Noise cut-off sync-separator
KR930004540Y1 (ko) 모니터 겸용 tv수상기의 모드전환장치
US3920891A (en) Peak detector and sample and hold circuit
US4527196A (en) Television receiver comprising a video signal detector of a type which detects with the aid of a reference signal
KR960010672Y1 (ko)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영상기기에서의 채널자동 검색회로
KR960000316Y1 (ko) 궤환회로(feed back)를 이용한 동기 검출회로
KR930007190Y1 (ko) 다방송 수신 시스템의 공용 디엠파 시스 회로
KR930008706Y1 (ko) 비디오 신호 선택 출력회로
KR940008704Y1 (ko) 영상신호 입력자동 절환회로
KR910006091Y1 (ko) 방송신호 유무에 따른 음성 뮤우트와 텔레텍스트 리셋트 기준 신호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