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79Y1 -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79Y1
KR930007479Y1 KR2019910018611U KR910018611U KR930007479Y1 KR 930007479 Y1 KR930007479 Y1 KR 930007479Y1 KR 2019910018611 U KR2019910018611 U KR 2019910018611U KR 910018611 U KR910018611 U KR 910018611U KR 930007479 Y1 KR930007479 Y1 KR 930007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winding
winding structur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8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22U (ko
Inventor
고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8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479Y1/ko
Publication of KR930010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제 1 도는 일반적인 전기 소제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종래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좌측부재 22 : 우측부재
21a, 22a : 돌설부 21b, 22b : 보조돌설부
23 : 나사부재 25 : 관통공
26 : 제1기밀부재 27 : 제2기밀부재
A : 전선
본 고안은 전기 소제기의 본체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권회시키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중 전선에 흡착된 수분의 침투를 방지토록 하여 절연효과를 향상시킨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소제기는, 구동수단의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바닥상에 있는 먼지등의 오물을 흡입토록 하여 청소를 행하게 되며, 근래에는 물걸레기능을 갖는 습,건식 전기 소제기도 제안되고 있다.
제 1 도는 이와같은 습,건식 전기 소제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부호(1)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A)를 권회시켜 내장한 소제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소제기 본체(1)의 상측에는 물걸레 청소시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세척수를 저장한 세척수통(2)이 내장되어 있고, 이 세척수통(2)과 상기 소제기 본체(1)의 일측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구 공급관(3)과 먼지등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고무관(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입고무관(4)의 선단에는 접속관(5) 및 연장관(6)이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연장관(6)의 선단에는 먼지등의 오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물걸레 청소를 행하는 흡입구(7)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전기소제기의 전선(A)은 본체(1)내에 설치되어 있는 얼레부재에 감겨져 있으며, 사용시에 인출토록 하고 있다.
제 2 도는 종래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돌설부(8)상에 다수의 구멍(8a)이 형성되어 있는 좌측부재(9)와, 역시 동일형상의 돌설부(10)상에 다수의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는 우측부재(11)를 고착부재(12)로써 결합하고 있다.
상기 좌측부재(9)의 일측에는 관통공(13)을 형성하여 권회되어있는 전선(A)의 선단을 관통시킨후 전동기(도시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정단자(14)에 항상 접속되도록 탄성단자(15)를 탄발설치하고 있다.
도면에서 우측(11)내에 설치된 탄성부재(16)는 그 탄성력에 의해 전선(A)을 권회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전기소제기의 전선감기구조에 있어서는 물걸레를 이용한 습식청소시 전선(A)의 외측에 다량의 수분이 흡착되어지는데 이 수분은 관통공(13)을 통하여 고정단자(14) 및 탄성단자(15)에 침투될 뿐만아니라 좌.우측부재(9),(11)의 접합부 사이로 수분이 침투되어 누전 및 합선등으로 인한 여러가지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분에 의한 누전 및 합선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더욱 안전성을 갖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는, 돌설부를 갖는 좌.우측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전선을 권회시키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보조돌설부와, 상기 보조돌설부가 형성된 상기 좌측부재의 관통공에 삽입설치된 제1기밀부재와, 상기 제1기밀부재가 삽입설치된 상기 좌측부재와 상기 우측부재의 틈새에 개재된 제2기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 3 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도면에서 부호(20)은 전선(A)이 권회되는 얼레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얼레부재(20)는 좌측부재(21)와 우측부재(22)가 나사(23)에 의해 맞대어 결합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좌측부재(21)는 내측에 전선(A)이 권회되는 돌설부(21a)와, 이 돌설부(21a)의 외측에 형성되는 보조 돌설부(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부재(22)는 상기 좌측부재(21)와 동일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우측부재(22)도 전선(A)이 권회되는 돌설부(22)와, 이 돌설부(22a)의 외측에 형성되는 보조 돌설부(22b)로 이루어져, 상기 돌설부(21a),(22a)내에는 전선(A)이 권회되어지는 권회부(24)가 형성되어진다.
또, 상기 보조 돌설부(21b),(22b)는 상기 돌설부(21a)(22a)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부재(21)의 일측에는 권회된 전선(A)의 선단이 통과되도록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25)의 내부에는 제1기밀부재(26)가 삽입설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부재(21),(22)의 사이에는 제2기밀부재(27)를 개재시켜 나사(2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관통공(35)내에 삽입설치된 전선(A)의 선단에는 탄성단자(28)가 고정단자(29)의 일측에 항상 접촉되도록 탄발설치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30은 탄성력에 의해 전선(A)을 권회부(24)내에 권회되도록 얼레부재(20)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는, 습식 청소시 전선(A)의 외측에 다량의 수분이 흡착되어도 관통공(25)내에 삽입설치된 제1기밀부재(26)에 의해 수분이 관통공(25)을 통하여 침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좌.우측부재(21),(22)사이에 개재된 제2기밀부재(27)에 의해 좌.우측부재(21),(22)의 틈새로도 전혀 수분이 침투되지 않게되어 완전한 절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얼레부재(20)의 회전력에 따라 전선(A)에 흡착된 수분이 양돌설부(21a),(22a)를 넘치게되어도 보조돌설부(21b),(22b)에 의해 고정단자(29)등을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되어 누전이나 합선등의 전기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소제기의 코드릴 구조는 제1기밀부재(26) 및 제2기밀부재(27)에 의해 전선(A)에 흡착된 수분이 탄성단자(28)나 고정단자(29)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확실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조 돌설부(21b),(22b)에 의해 돌설부(21a),(22a)를 넘쳐서 유입되는 수분이 더이상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더욱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어 습식청소시 전선에 흡착된 수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의 누전 및 합선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더욱 안전성을 갖게되는 것이다.

Claims (2)

  1. 돌설부(21a)(22a)를 갖는 좌.우측부재(21)(22)가 서로 결합되어 탄성부재(30)에 의해 전선(A)를 권회시키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21a)(22a)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보조돌설부(21b)(22b)와, 상기 보조 돌설부(21b)가 형성된 상기 좌측부재(21)의 관통공(25)에 삽입설치된 제1기밀부재(26)와, 상기 제1기밀부재(26)가 삽입설치된 상기 좌측부재(21)와 상기 우측부재(22)의 틈새에 개재된 제2기밀부재(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돌설부(21b)(22b)는 상기 전선감기구조(21a)(22b)의 높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제기의 전선감기구조.
KR2019910018611U 1991-11-05 1991-11-05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KR930007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611U KR930007479Y1 (ko) 1991-11-05 1991-11-05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8611U KR930007479Y1 (ko) 1991-11-05 1991-11-05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22U KR930010422U (ko) 1993-06-23
KR930007479Y1 true KR930007479Y1 (ko) 1993-10-30

Family

ID=1932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8611U KR930007479Y1 (ko) 1991-11-05 1991-11-05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4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22U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328Y1 (ko) 자동청소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0751462B1 (ko) 스팀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KR930007479Y1 (ko)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KR940001037Y1 (ko) 걸레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
US7051401B2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930007478Y1 (ko) 전기 소제기의 전선감기 구조
CN115381346B (zh) 一种排风效果好的多功能表面清洁机
CN213640743U (zh) 一种语音控制的扫地机器人
CN211284935U (zh) 一种衣领、袖口清洁器
CN211093768U (zh) 一种具有兼容式抽吸开口的清洁用地刷
KR930005701Y1 (ko) 전기 소제기용 손잡이의 절연구조
CN217090584U (zh) 具有疏水结构的清洗机
CN212972830U (zh) 一种电动马桶刷
KR920008684Y1 (ko) 진공청소기
CN217365628U (zh) 一种具有限位作用的地刷水箱固定结构
KR940001989Y1 (ko) 진공청소기의 전원공급회로
CN217610864U (zh) 一种清洁设备
KR200359191Y1 (ko) 전동식 걸레 청소기
KR940019275A (ko) 자동청소기
CN213963247U (zh) 一种扫地机器人布套式抹布
CN214856418U (zh) 用于表面清洁设备的清洁头
KR200144861Y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헤드구조
KR200254231Y1 (ko) 습, 건식 진공청소기
KR100401597B1 (ko) 전기청소기
CN2488464Y (zh) 拖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