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90Y1 -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90Y1
KR930006290Y1 KR2019880021541U KR880021541U KR930006290Y1 KR 930006290 Y1 KR930006290 Y1 KR 930006290Y1 KR 2019880021541 U KR2019880021541 U KR 2019880021541U KR 880021541 U KR880021541 U KR 880021541U KR 930006290 Y1 KR930006290 Y1 KR 930006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signal
power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648U (ko
Inventor
조중현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회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290Y1/ko
Publication of KR900013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03K17/78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controlling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제1도는 일반적인 기계식 릴레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아 2 : 요크
3 : 접극자 4 : 보빈
5 : 스프링 6 : 가동대
7 : 접점 8 : 무접점릴레이
81 : 구동제어 및 표시부 82 : 트리거부
83 : 구동부 9 : 부하
PC1:포토커플러 SCR1:다이리스터
TC1: 트라이액 LED2: 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무접점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식 릴레이의 결함인 접점의 불량 및 마모에 의한 동작의 불확실성과 수명단축을 개선한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계식 릴레이는 이의 정면도인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이 감긴 보빈(4)의 구멍에 밀착되게 코아(1)를 삽입하며, 리벳팅하여 요크(2)에 고정시키고, 일측단이 스프링(5)에 탄력 지지되는 접극자(3)의 타측단에 가동대(6)를 부착함과 아울러, 이 가동대(6)의 종단에 접점(7)을 용접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계식 릴레이는 보빈(4)에 감긴 코일에 전류가 흘러 코아(1)가 자회됨에 따라 스프링(5)의 복원력보다 강한 전자력이 발생하여 요크(2)와 접극자(3)가 접촉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접극자(3)가 회동함에 따라 코아(1)의 상단면에 접촉되고, 이에따라 가동대(6)의 접점(7)이 고정접점(7a)으로 부터 개방된다.
한편, 보빈(4)에 감긴 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전자력이 발생하지 않아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접극자(3)는 코아(1)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가동대(6)의 접점(7)이 고정접점(7a)에 접촉된다.
이처럼 접극자(3)가 코아(1)상단에 접촉되었다. 떨어졌다 하게되면 접극자(3)의 타측단에 부착된 가동대(6)가 그 접극자(3)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점(7)이 고정접점(7a)에 개방 및 단락된다.
이러한 기계식 릴레이는 코일의 자화여부에 따라 접점이 단락, 개방되므로 접점이 마모되어 접점불량이 발생하며, 수명이 단축되고, 이에 의해 릴레이의 신뢰성이 낮았다.
상기의 결합을 해결키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접점이 없는 전자식 릴레이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의 회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 다이오드(D1), 발광다이오드(LED2) 및 포토커플러(PC1)로 구성되어 구동전원(E)이 인가될때 저전위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릴레이 구동을 표시하는 구동제어 및 표시부(81)와, 저항(R2-R4), 트랜지스터(Q1), 다이리스터(SCR1) 및 다이오드(D2)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제어 및 표시부(81)의 저전위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82)와, 저항(R5,R6), 콘덴서(C1), 브리지다이오드(BD1) 및 트라이액(TC1)으로 구성되어, 교류전원(AC)을 상기 정류한 후 상기 트리거부(82)에 공급하고, 상기 트리거부(82)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부하(9)에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구동부(83)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4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접점 릴레이(8)의 가동단자(M1,M2)에 인가되는 제4a도에 나타낸 교류전원이 브리지다이오드(BD1)에 의해 전파정류되어 다이리스터(SCR1)의 애노우드에 인가됨과 아울러 저항(R2),(R3)을 각기 통해 포토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이때 스위치(SW1)가 단락되어 제4b도에 나타낸 구동전원(E)이 무접점릴레이(8)의 전원단자(B1,B2)에 인가되면, 그 전원(E)을 저항(R1), 발광다이오드(LED2) 및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하게 되고, 이에따라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어 상기 무접점릴레이(8)가 동작함을 알려줌과 아울러,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1)가 온된다.
따라서 포토트랜지스터(PT1)의 콜렉터로 부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로부터 다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그 다이리스터(SCR1)가 도통된다. 따라서 이때 브리지다이오드(BD1)의 플러스축으로 부터 출력된 정류전원이 그 다이리스터(SCR1), 다이오드(D2) 및 저항(R4)을 통한 후 그 브리지다이오드(BD1)의 마이너스측으로 입력되어 트라이액(TC1)의 게이트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트라이액(TC)이 도통되고, 이에의해 교류전원이 트라이액(TC1)을 통해 흐르게 되어 교류전원의 전압이 제4d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하(9)에 인가된다.
한편, 스위치(SW1)가 개방되면 무접점릴레이(8)의 전원단자(B1,B2)에 구동전원 (E)이 인가되지 않아 포토커플러(PC1)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소등되고, 이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1)가 오프되어 이의 콜렉터로 부터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이 고전위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이에따라 다이리스터(SCR1)의 애노우드 및 캐소우드간의 전압이 낮아져 다이리스터(SCR1)는 도통되지 못한다. 따라서 브리지다이오드(BD1)에 의해 교류전원이 전파정류된 신호의 흐름이 차단되어 트라이액(TC1)을 트리거시키지 못하므로 교류전원이 흐름 또한 차단되어 부하(9)에 교류전원의 억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두접점릴레이(8)의 가동단자(M1,M2)간에는 제4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교류전원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접점이 없는 릴레이로 동작하기 때문에 접점마모에 의한 접촉불량, 아크발생등이 해결되며,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수명이 길어져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전원(E)의 공급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어 릴레이 구동을 표시함과 아울러 포토커플러(PC1)의 도통에 의해 저전위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 및 표시부(81)와, 상기 구동제어 및 표시부(81)의 저전위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고 다이리스터(SCR1)를 도통시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트리거부(82)와, 교류전원(AC)을 브리지 다이오드(BD1)에 의해 정류하여 상기 트리거부(82)에 구동전원으로 인가하고 상기 트리거부(82)의 트리거신호를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1)를 통해 인가받아 트라이액(TC1)을 도통시켜 상기 교류전원(AC)을 부하(9)에 공급하는 구동부(83)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KR2019880021541U 1988-12-26 1988-12-26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KR930006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541U KR930006290Y1 (ko) 1988-12-26 1988-12-26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1541U KR930006290Y1 (ko) 1988-12-26 1988-12-26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48U KR900013648U (ko) 1990-07-05
KR930006290Y1 true KR930006290Y1 (ko) 1993-09-17

Family

ID=1928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541U KR930006290Y1 (ko) 1988-12-26 1988-12-26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2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648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290Y1 (ko) 전자식 무접점 릴레이
US4408250A (en) Circuit for remotely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relay
US3711749A (en) Reed switch
JP4884858B2 (ja) 電源切替装置
RU2249271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сирова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ом
CN210467711U (zh) 一种改善磁通过零现象的接触器
SU1319096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 с форсировкой
SU1653010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 со встроенным выпр мителем
KR200203680Y1 (ko) 전류불꽃감소형전자개폐기
KR940006442Y1 (ko) A/b접점형 무접점 릴레이
SU9859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SU1554036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с форсировкой
SU7146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рможени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
JPH0548335Y2 (ko)
SU12479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м приводом
SU1658348A1 (ru) Асинхрон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SU758298A1 (ru) > ЭЛЕКТРОМАГНИТ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1
SU1520602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 с форсировкой
KR200203681Y1 (ko) 단면으로접합하는전류불꽃감소형전자개폐기
SU8198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магнитнымпуСКАТЕлЕМ
RU5889U1 (ru) Импульсное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реле на герконе
KR200454957Y1 (ko) 아크 발생이 방지된 릴레이
SU158044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контактором
SU1665423A1 (ru) 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ое герконовое реле
CN2567759Y (zh) 无触点新型断相保护交流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