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038B1 - 자이러토리 분쇄기 - Google Patents

자이러토리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038B1
KR930006038B1 KR1019860002666A KR860002666A KR930006038B1 KR 930006038 B1 KR930006038 B1 KR 930006038B1 KR 1019860002666 A KR1019860002666 A KR 1019860002666A KR 860002666 A KR860002666 A KR 860002666A KR 930006038 B1 KR930006038 B1 KR 93000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chamber
fluid
jac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763A (ko
Inventor
배치 조셉
게일 스태포드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바아버-그린 캄패니
로버트 지. 스태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아버-그린 캄패니, 로버트 지. 스태포드 filed Critical 바아버-그린 캄패니
Priority to KR101986000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038B1/ko
Publication of KR87000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이러토리 분쇄기
제1도는 본 발명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상측 프레임 부재의 조절수단에 의한 회로선도.
제3도는 제1도의 선(3-3)의 평면을 따라 취한 확대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원추형 자이러토리 분쇄헤드와, 상대적으로 고정된 보울(bowl)이 분쇄공간을 형성한 자이러토리 분쇄기(gyratory crush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상작동시에는 보울이 분쇄헤드에 대해 정상작동 위치로 바이어스 되고, 분쇄할 수 없는 물질(tramp iron:이후 트램프 광석이라칭함)이 분쇄공간을 통과할시에는 분쇄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울이 필요로한 위치로 상승되고, 그러한 물질이 통과한 후에 보울이 그의 정상 작동위치로 즉각적으로 복귀되도록한 자동수단(트램프 광석을 자동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1979년 10월 15일자로 출원되어 본 출원에 표기된 미국 특허출원 제 06/084,834호의 CIP 출원이다.
본 발명에 관한 유형의 분쇄기에 있어서, 대체로 원추형인 분쇄헤드는 직립편심축에 장치되어 상기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gyrate)되어진다. 분쇄기의 상대적으로 고정된 프레임에는 분쇄헤드의 어느정도 위에 놓이고 그를 둘러싸며 그것과 함께 협동하여 환상형 분쇄챔버를 포함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한 환성형 분쇄보울이 있다. 분쇄되어질 물질은 분쇄챔버를 통해 하향으로 공급되어 분쇄헤드가 선회함에 따라 보울과 헤드사이에서 분쇄된다.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기술에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소위 트램프 광석(tramp iron)(거의 분쇄할 수 없는 물질)을 환상형 분쇄챔버에 넣는 것이다.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에 들어있을 경우 보울이 헤드에 대해 상승되는 것을 제한할 경우, 보울 또는 헤드 또는 이들 모두의 분쇄면에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손상된 표면을 교체할 동안에는 실질적으로 분쇄기를 작동시키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된 하측 프레임 부재에 동심적으로 장치된 상측 프레임 부재상에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보울을 배치시켰었지만, 분쇄챔버내의 트램프 광석에 의해 하측 프레임을 밀어낼 수 없었다. 상측 프레임 부재의 중량이 정상분쇄시에 보울에 가해지는 상향력에 대해 상측 프렘임을 유지하기에 충분치 않기 때문에 상측 프레임 부재를 강력한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바이어스 시키므로 상측 프레임 부재는 정상적인 분쇄시에 하측 프레임 부재상에 단단히 안착 유지되지만, 트램프 광석이 있을때에 전개되는 강력한 힘에 의해 상승되었었다. 그 스프링은 미리 하중이 가해진 상태하에 있으므로 그에 의해서 보울은 유지되며, 보울이 트램프 광석에 의해 상승될때 스프링에서의 매우 높은 힘은 실질적으로 좀더 증가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스프링 장치는 분쇄면에 대한 손상을 상당히 방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프링력이 해제되고, 상측 프레임 부재가 트램프 광석을 분쇄공간을 통해 떨어지도록 하는데 충분히 상승시키기 때문에 트램프 광석의 제거를 위해 분쇄기의 사용중지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스프링인장이 해제는 스프링을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스프링력을 상측 프레임 부재에 전달하는 다수의 타이로드상의 너트를 제거해야만 하며, 이러한 해제중에 스프링에 저장된 높은 에너지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해를 줄 수도 있었다.
트램프 광석에 대한 단점을 해결코자 하기 위해서 비교적 많은 특허가 허여되었었다. 이러한 것들중 최초의 것은 그랜더에게 허여된 1954년 미국특허 제 2,679,984호 인바, 이 특허에는 통상의 스프링이 상측 프레임 부재에 가해지는 예정된 하향 바이어스힘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공기 압력 실린더 잭으로 교체되었다. 상측 프레임 부재는 분쇄챔버에서 공기 시스템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트램프 광석에 의해 가해지는 힘하에서 상승될 수 있으므로, 공기 압력이 릴리이프 밸브에 의해 미리 설정된 최대 밸브압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스프링과 유사한 기능을 하였다. 트램프 광석을 해제하기 위해서, 수동작동 밸브를 개방시키므로써 실린더의 압력을 해제한 다음, 상측 프레임 부재를 상승시킨다. 비록 그러한 장치가 스프링으로 바이어스되는 상측 프레임 부재보다 우수한 장점을 제공한다할지라도, 보울의 상승이 필요하게 될 경우 보울의 강력한 상승을 제공할 수 없었으며, 더구나, 높은 압력에서의 공기의 많은 공급을 필요로하며 에너지 효율이 없다는 중요한 단점을 갖었다.
존슨에게 허여된 두개의 미국특허 제 3,118,623호, 제 3,281,083호와, 베커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3,038,670호에는 정상의 하향력을 상측 프레임 부재에 가하도록한 단동 유체압력 잭(single-acting fluid pressure jack)의 사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의 장치에서 실린더 잭은 잭에 가해지는 바이어스력의 수동개방의 범위를 제외하고는 스프링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발머와 그의 동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3,140,635호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코자한 바, 스프링은 상측 프레임 부재를 종래의 방식보다는 약간 하향으로 향하게 하고, 수동으로 제어되는 단동 유체 압력잭은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에 물려있을때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상측 프레임 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배치되었다. 시몬과 그의 동료의 미국특허 제 3,009,660호 및 시몬의 미국특허 제 3,162,387호에는 동일한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한 기타의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테일러 주니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2,597,548호에는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해 보울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분쇄공간내에 트램프 광석을 넣었지만 보울의 하향 스프링 바이어스된 복귀운동이 분쇄챔버를 통해서 트램프 광석을 통과시키기 위한 시간을 지연토록한 일방블리드밸브(one-way bleed valve)를 장착시킨 유체 피스톤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사실, 이 장치는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이 보울이 상승할때 증가되며 트램프 광석이 보울을 트램프 광석의 제거시에 그의 높이 위로 상승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시종일관 작동될 수 없다. 따라서, 보울의 스프링력은 분쇄챔버에 갇힌 트램프 광석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켐니츠의 미국특허 제 3,396,916호의 분쇄기에서, 보울은 보울상의 원통형 외측면과 협동하여 환상형 유압실린더를 한정하는 고정된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원통형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그 보울은 그의 피스톤으로 착용하도록한 실린더내에 수용된 원주플랜지를 갖었다. 원주 플랜지의 상ㆍ하에 있는 환상형 실린더내의 압력유체는 보울의 최고 위치를 조절하며, 트램프 광석의 해제를 위해 보울을 상승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었다. 그 보울은 선택된 높이에서 유압적으로 쇄정되었으므로 유압시스템의 밸브가 보울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수동적으로 편이될때까지 상당한 정도를 상향될 수 없었다.
젤가드의 미국특허 제 2,791,383호의 분쇄기에서, 다수의 복동 유압잭(double-acting hydraulic jack)은 보울을 포함하는 상측 프레임 부재와, 하측 프레임 부재사이에 연결되어 있었다. 예정 압력하의 유체는 잭의 하측챔버내에 유지되며, 그들의 상측챔버내에 효과적으로 갇힌 유체는 요망하는 높이로 보울을 유지한다. 보울을 하측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핸드펌프가 존재하는 바 이 펌프에 의해 유체는 잭의 상측챔버안으로 가해질 수 있으며, 보울을 조절가능하게 상승시키기 위해서 수동작동 밸브가 존재하는 바, 그를 통해 상측 챔버는 조절가능하게 배수될 수 있다. 압력 릴리이프밸브가 상측 잭 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바, 이 압력 릴리이프밸브는 분쇄공간내에 있는 트램프 광석이 보울상에 상향력을 가함으로써 챔버내의 압력이 예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이들 챔버를 신속히 배수하기 위해 개방되어 트램프 광석의 제거를 위해서 보울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킨다. 각각의 이러한 트램프 광석이 제거된후 보울은 수동펌프의 작동에 의해 그의 작동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그 장치는 보울을 상승시킬시에 상측 잭 챔버 밖으로 소정의 유체의 누수가 있으며 분쇄공간의 폭을 증가시키며, 그후 보울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지 않고 다른 어떤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웹스터의 미국특허 제 3,754,716호에는 상기의 것과 유사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는 바, 젤가드의 핸드 펌프는 전기구동 펌프로 대체되었으며, 보울의 조정위치는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보울이 트램프 광석의 해제를 위해 상승되었을 경우, 보울은 예정된 시간동안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며 이후, 상승되기전에 점유되었던 전기적으로 감지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전기 및 유체 제어시스템은 보울이 기계적으로 한정된 위치를 갖지 않으며, 모든 잭이 모울을 경사진 위치에 설정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복잡하였다.
미국특허 제 2,680,571호에는 복동 공기잭이 오목부위를 포함하는 상측 프레임 부재에 정상적인 하향 바이어스력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구조가 기술되었다.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에 존재할 경우 하향 바이어스의 자동 해제를 위한 것이 없지만 수동작동 밸브는 잭을 재연결하도록 재배치될 수 있었으며, 그러한 잭은 트램프 광석을 해제하기 위해 상측 프레임 부재를 상승시킨다. 전술한 기타의 특허중 어떤 특허에 기술된 장치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 2,680,571호의 분쇄기내의 공기잭은 분쇄기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사실 그들 공기잭은 상측 프레임 부재의 상부위로 어느정도 돌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분쇄기의 높이를 증가시켜 기계가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구나, 분쇄될 물질은 윗쪽에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공급되며, 그것은 분쇄기에 낙하될 수 있는 것으로 부터 어느 정도 상승되어야만 하며, 물질을 분쇄기에 공급되며, 그것은 분쇄기에 낙하될 수 있는 것으로 부터 어느 정도 상승되어야만 하며, 물질을 분쇄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에너지는 분쇄기의 높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이다. 분쇄기를 오래사용하고, 공급물질이 통상적으로 무거운 것을 고려해 볼때 분쇄기 높이가 높으면 상당히 많은 직접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특허 또는 이와 유사한 기타의 특허는 분쇄공간에 있는 트램프 광석 또는 기타의 분쇄 가능치 않은 물질의 존재를 감지하며, 이러한 물질의 감지에 반응하여 보울상의 하향력을 신속ㆍ자동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구비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오랫동안 지속될 필요가 있는 것이 기술되어야 한다. 이러한 자동 반응 장치의 제공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점은 우선적으로 트램프 광석의 존재를 탐지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수동 시스템에서 분쇄기 구동모터의 감속 또는 정지는 트램프 광석의 존재를 신호화하는데 의존해왔지만, 그때에 모터의 감속은 감지되어 실질적인 손상의 정도는 이미 발생할 수 있었다. 보울을 지지하는 상측 프레임 부재가 젤가드의 특허에 있는 바와같이 상승에 대해 유압적으로 쇄정되지 않을 경우, 트램프 광석의 존재의 상당한 정도는 상측 프레임 부재의 경사 상승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상승은 분쇄기의 주변 주위 어느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된 조절장소에 있는 작동자는 그러한 상승을 즉각적으로 관찰하여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 제자리(양호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안된다. 트램프 광석의 존재에 반응하여 상승될 수 있도록 보울에 가해지는 하향력을 위해 제공된 소정의 장치는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내에 들어있을 경우 보울이 하향되는 경향이 있는 경사를 고려해야만 한다.
보울은 분쇄공간내의 트램프 광석의 탐지시 전격적으로 상승되어 분쇄공간을 통해 트램프 광석을 자유로히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위치로 유지하지만, 자동적인 트램프 광석 해제구는 보울이 상승됨에 따라 보울상의 하향력의 증가가 거의 없도록 배치되어야만 함으로, 보울은 트램프 광석에 가해지는 상향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정상작동중에 보울은 트램프 광석의 상승작용에 견디도록 그것에 작용하는 하향력에 의해 한정된 작동 위치에 제한 되어야 한다. 보울의 정상위치는 보울이 상승된 후 보울이 직접 복귀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 바람직하기로는 단단한 교대수단(abutment means)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이러토리 분쇄기내의 트램프 광석의 존재를 제공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여러가지의 필요조건을 필요로하며 그들의 몇몇은 다른 요소들과 상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장치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필요조건의 모든 것을 해결하거나 보상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정지된 하측 프레임 부재에서 선회하며 보울과 협동하여 분쇄공간을 한정하도록한 분쇄헤드를 포함하는 유형의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예정된 하향력이 보울에 정상적으로 가해져서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작동위치에 유지되며, 보울이 상승될때 분쇄공간내에 있는 트램프 광석이 있으므로서 그러한 하향력이 소정의 정도로 증가되지 못하도록한 에너지 효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자이러토리 분쇄기내에서 물질이 분쇄공간을 통과되도록한 범위로 보울을 상승시킴으로써 분쇄공간내에 있는 분쇄가능치못한 물질의 존재에 반응하며 보울과 분쇄헤드 사이에 있는 물질에 의해 보울과 분쇄헤드의 대향면에 가해지는 반동력의 실질적인 증가없이 수행되므로, 이들 표면은 그들이 작동할시 분쇄가능한 물질로 부터의 손상보다 분쇄공간내의 트램프 철재로 부터의 손상을 덜 받게되는 에너지 효율 자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목적은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분쇄면에 대한 매우 긴 사용시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기를 정지시키거나 분쇄공간면에 손상을 가히지 않고서도 분쇄공간을 통해서 트팸프 광석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작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의 장치는 작동자의 신체 부위에 접종할 필요가 없으며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에 있을 경우 보울에 가해지는 하향력을 해제시키거나,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을 통과할 경우 이러한 하향력을 제한할 필요가 없는 전자동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술한 마지막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전자동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것은 분쇄공간에 있는 트램프 광석의 존재를 작동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트램프 광석을 분쇄기의 끝으로 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도록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울을 그의 작동 위치로 하측으로 바이어스 하기 위해 사용된 종래의 강력한 스프링을 필요치 않으며, 분쇄기 주위에서 작업할시 특히 보울이 정비 또는 수리되기 위하여 상승 되어야만 할때 튕겨져 나오는 스프링의 위험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분쇄기 구조체의 광범위한 또는 경비가 많이 드는 수정을 필요치 않고서도 종래의 보울지지 스프링대신 설계되어 분쇄기상에 설치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비 또는 수리를 하기 위해서 보울을 실질적인 높이로 유압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어떤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같이 수용된 자동 트램프 광석을 갖는 정상의 분쇄작동을 위해 다른 위치에 될 수 있는 수동 작동 제어밸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보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있어서, 보울은 적당한 상측 프레임 부재와 연결된 나사 연결구를 가지므로, 분쇄공간은 상측 프레임 부재내의 보울의 회전에 의해 조절되어 원추에 대한 보울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로킹링이 보울의 바람직스럽지 못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울의 최고 높이를 조절하고, 보울을 높이 조절구의 소정의 선택 위치에 쇄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구비한 것과 전혀 상반된 구조 및 장치를 갖는 전술한 몸체의 부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환상형 하측 프레임 부재내에서 선회하는 분쇄헤드 및 상기의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작동 위치에 지지되는 환상형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의 원추체와 협동하여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보울을 구비한 분쇄기를 기술한 본 명세서에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그의 높이를 상기의 위치와 대향되게 세정된 하향력을 상측 프레임 부재에 부가하는 바, 그 힘은 분쇄 공간 내의 분쇄가능치 않은 물질의 존재에 의해서 상측프레임 부재의 높이가 상기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그의 크기를 거의 증가 시키지 않고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 주위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에 배치된 다수의 복동 잭을 특징으로 하는 바, 각각의 잭은 실린더에서 활주가능한 피스톤과, 그의 피스톤의 대향측에서 실린더내에 있는 한쌍의 압력 챔버로 구성된다. 또한 본 장치는 잭이 상기 챔버중 하나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상측 프레임 부재에 가해지는 하향력에 전달할 수 있는 하측 프레임 부재와 상측 프레임 부재사이에서 상기의 잭의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각각의 잭의 상기의 하나의 챔버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유압수단을 갖는 바, 상기의 유압 수단은 예정된 압력에서 유체의 공급원을 제공하며, 축압기와, 상기의 축압기를 유체로 충전하기 위한 펌프, 및 축압기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 압력보다 적을 경우 유체를 펌프로 부터 축압기까지 흐르게 하고, 그곳에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 압력과 동일할 경우 축압기의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의 펌프 및 축압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압력 반응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장치는 모든 잭 실린더 중 한개의 챔버 및 그의 다른 챔버사이에 연결된 정상적으로 폐쇄된 릴리이프 밸브수단을 갖는 바, 상기의 밸브 수단은 상기의 한 챔버에 있는 유체의 압력이 예정량에 의해 상기의 예정압력을 초과할때 유체를 한챔버로 부터 다른 챔버까지 이송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서, 참조번호(3)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 하는 자이러토리 분쇄기의 상대적으로 고정된 하측 프레임 부재를 지칭한다. 그 하측 프레임 부재(3)는 분쇄기내의 분쇄챔버의 하측부(5)를 한정하는 직립 환상형벽(4)을 갖는다. 원추 또는 분쇄헤드(7)가 하측 프레임 부재(3)의 편심축(6)상에 장치되어 편심축(6)의 회전에 의한 선회운동(gyratory motion)을 제공한다. 상측 프레임 부재(8)는 하측 프레임 부재의 환상 형벽(4)의 상측에 동심적으로 장치되는 바, 그 상측 프레임 부재는 상측으로 수렴하고 하측 및 내측으로 면하는 환상형의 절두원추 보울(9)을 포함한다. 분쇄해드(7)에 대해 상측으로 둘러쌓여진 보울(9)은 분쇄헤드와 협동하여 어느정도의 환상형 분쇄공간(10)을 형성하는 바, 그 공간은 적당한 분쇄챔버를 구성한다.
편심축(6)과, 편심축을 구동하는 분쇄헤드(7)는 하측 프레임 부재(3)의 스터디 베어링(12)에 장치된다. 회전운동은 하측 프레임 부재에 저어널된 수평으로 연장된 구동축(14)에 의해서 편심축(6)에 전달된다.
하측 프레임 부재의 환상형 벽(4)의 링부위는 상측으로 경사지는데,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면하고 방사상 내측으로 면하는 한개의 동심 원추면(16)과,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면하고 방사상 외측으로 면하는 또다른 동심 원추면(17)으로 형성된다. 환상형의 상측 프레임 부재(8)의 하부 주위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원주 홈(18)이 있는 바, 그 원주홈은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원추면(16,17)과 만나는 하측으로 발산하는 면을 가지고, 상측 프레임 부재가 하측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측 프레임 부재는 이들이 만나는 면의 결합에 의해 하측 프레임 부재와 동심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보울(9)은 상측 프레임 부재(8)와 나사가 형성된 연결구(21)를 갖는 환상형 보울 지지체(20)를 포함한다. 기계의 고정 분쇄면으로 작용하는 보울 라이너(22)는 교체하기 위하여 그로부터 용이하게 이탈가능한 방식으로 보울 지지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 부재(8)와 보울 지지체(20)사이에 있는 나사가 형성된 연결구(21)는 보울 지지체를 상측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ㆍ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하며, 분쇄헤드(7)에 대해서 분쇄공간(10)의 폭을 조절하도록 한다. 분쇄작용이 접선력을 보울에 가하기 때문에, 로킹링(23)이 회전에 대하여 보울 지지체(20)를 해제하도록 상측 프레임 부재(8)안으로 나삽된다. 여기에서 도시된 특별한 보울 및 로킹링은 본 출원인과 공동 양수인이 풀진과 그의 동료의 1979년 3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 제 21,721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차를 기술함으로써, 상측 프레임 부재(8)와 보울 지지체(20)간의 연결의 독특한 형태는 본 발명에 대해서는 중요치 않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보울지지 및 보울 쇄정을 위한 공지된 모든 장치를 가진 분쇄기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분쇄되어질 물질은 보울 지지체상의 굴뚝형 오퍼(24)에 의해 환상형 분쇄공간(10)안으로 공급되는데, 이렇게 공급된 물질은 하측으로 경사진 분쇄공간(10)을 지나면서 보울라이너(22)와 분쇄헤드(7)사이에서 분쇄 되어져서 선회된다.
분쇄작용은 보울(9)에 실질적인 상향력을 가하는 바, 이러한 상향력은 상측 프레임 부재(8)을 하측 프레임 부재상에 안착시키지 못하도록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그러한 상향력은 다수의 복동 실린더 잭(25), 타이링(26), 및 다수의 타이로드(27)로 구성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복동 실린더 잭(25)은 고정된 하측 프레임 부재(3)와 타이링(26)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라이로드(27)는 타이링(26)을 상측 프레임 부재(8)와 연결시킨다.
복동 실린더 잭(25)은 고정된 프레임 부재(3) 주위의 원형의 장방형 주변 구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들의 축은 분쇄기축으로부터 동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잭(25)의 실린더(35)는 그의 피스톤(36)위에서 상측 또는 블라인드 단부 챔버(59)와, 그의 피스톤 아래에서 하측 또는 로드 단부챔버(60)를 갖는다. 각각의 잭(25)을 고정된 하측 ㅍ레임 부재(3)에 연결시키는 것은 그의 상측 부근에 있는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기한 스터디 플랜지(28)이며, 잭 실린더(35)의 상측 단부에는 회전 연결구(29)가 있다.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28)는 각각의 회전 연결구(29)를 위해 한쌍의 고정된 하향 돌기러그(30)를 갖는다. 러그(3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러그에 고정되어 있는 수평핀(31)은 동축구형 부재(32)를 지지하며, 잭 실린더는 그의 상단부에서 구형부재(32)가 계합되는 구형소켓(33)을 갖는다. 따라서, 잭은 플랜지(28)와의 연결에 대해 모든 방향으로 제한된 요동을 위해 자유롭게 된다.
각가의 잭의 피스톤 로드(36')는 상측 회전 연결구(29)과 유사한 형태인 타이링(26)에 대해 회전 연결구(38)를 갖는다. 각각의 잭이 최상측에서 실린더(35)와, 하향으로 돌출한 피스톤 로드(36')를 하향으로 돌출한 피스톤 로드(36')를 갖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는 그위에 있는 실린더에 의해 오염 및 먼지로부터 어느정도 보호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36')는 실린더(35)와 타이링(26) 사이에 연장된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측상으로 팽창 및 수측 가능한 보호 부츠(37)에 의해 둘러쌓여져 있다.
하부 프레임 부재의 기저부 근처에서 하측 프레임 부재(3)를 둘러쌓고 있는 타이링(26)은 잭(25)의 팽창에 의해 하향운동을 하고 그들의 수축에 의해 상향운동을 한다. 타이링(26)은 그러한 상ㆍ하운동을 한정하며 그위와, 하측 프레임 부재(3)상의 안내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실질적인 회전 및 방사상 운동에 대해 제한 받는 바, 상기의 하측 프레임 부재는 타이링상의 직경적으로 반대 위치에서의 타이링으로 부터 하측으로 돌기한 한쌍의 관형 안내부재(40)와, 그의 반대측에서 하측 프레임 부재의 하부근처에 있는 플랜지형 지지체(42)에 고정되어 헐거운 활주부품과 함께 관형 안내부재(40)안으로 돌출한 한쌍의 직립 스터드형 안내부재(41)를 포함한다(제3도 참조).
잭(25)에 의해 타이링(26)에 가해지는 상승 및 하강력은 잭으로부터 전일한 원주거리로 이격되어있으며 하측 프레임 부재(3) 주위에 있는 잭과 교대되는 직립 타이로드(27)에 의해 상측 프레임 부재(8)에 교대로 전달된다. 각각의 리이로드(27)는 그의 하측 단부에서는 타이링(26)과 연결 되어 있으며, 그의 상측 단부에서는 상측 프레임 부재(8)상에 있는 원주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힘수용 플랜지(44)와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44)는 상측 프레임 부재(8)의 하부 근처에 있지만, 하측 프레임 부재 상에서 잭지지 플랜지(28)위에 있다. 각각의 타이로드(27)는 하측 프레임 부재상의 구멍에서 잭지지 플랜지(28)를 통과하는 바 그 그멍은 타이로드를 위한 실질적인 공간(음새)을 제공한다.
각각의 타이로드(27)의 양 단부에는 라이로드로 전달되는 또는 타이로드로 부터 전달되는 수직력에 의한 접촉을 제공하는 너트(46-49)를 수용하기 위해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타이로드(27)의 하측 단부는 타이링(26)의 구멍과, 타이링의 상ㆍ하에서 조화된 상ㆍ하 운동으로 타이링 및 타이로드를 제한하는 너트(46,47)와, 상측 프레임 부재상의 플랜지(44)와 유사하게 연결된 타이로드의 상측부에 있는 너트(48,49)를 관통한다. 타이로드는 타이링(26)안으로 들어가며, 상측 플랜지(44)는 약간 느슨하게 타이로드(27)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너트(46-49)에 의해 제공된 약간 느슨한 연결구와 더불어 이들은 타이로드를 타이링(26)과 플랜지(44)에 대해 어느정도 회전 또는 운동하도록 하므로 타이로드에 대해 상측 프레임 부재(8) 및 타이링(26)의 경사를 수용한다.
너트(47,48)를 조절하면 잭(25)으로 부터 그의 모든 주위에 균일한 상측 프레임 부재(8)에 가해지는 힘을 하측으로 바이어스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잭(25) 또는 타이로드(27)는 분쇄기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상측 프레임 부재(8)의 상측의 높이수준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며, 더구나, 분쇄기 동체의 측면과 완전히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이, 상측 프레임 부재(8)가 잭(25)의 수축에 의해 하측 프레임 부재(3)와 결합되지 못하도록 상승되기 때문에, 잭의 팽창을 위해 작용하는 대단히 강력한 힘은 상측 프레임 부재를 상승시키려는 분쇄력에 대해 상측 프레임 부재를 하측으로 유지하는데 쓰인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한 유압 회로에 의해서, 상측 프레임 부재(8)에 가해지는 잭(25)의 하향력은 예정치로 유지되며, 상측 프레임 부재를 분쇄공간(10)내에 있는 트램프 철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것을 견딘다. 또한 유압 회로는 상측 프레임 부재의 상승이 있을때 하향력의 증가는 거의 없게 된다.
대체로 유압회로 장치는 압력하의 시스템에서 유체를 유지하기 위한 축압기(53)와, 저장기(52)로 부터 유체를 취출하는 축압기를 충전하기 위한 펌프(50), 및 상기의 펌프와 축압기와 협동하여 축압기에서의 유체압을 소정치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 조절수단(이후 상세히 기술됨)을 포함한다. 펌프(50)는 전기모터(51)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압력 조절수단은 압력 반응스위치(55)를 포함하며, 이 스위치에 의해서 모터(51)는 축압기에서의 압력을 상기의 예정치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도록 ONㆍOFF 된다. 또한 압력 조절수단은 축압기의 유체압이 상기의 소정치를 초과할 경우 개방되어 과도한 유체를 저장기(52)에 방출하는 릴리이프 밸브(56)를 포함한다. 펌프(50)로 부터 하류에 그러나, 축압기(53) 및 릴리이프 밸브(56)로 부터 상류에 연결된 체크밸브(54)는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펌프를 통해 방출하는 것으로 부터 축압기를 보호한다.
축압기(53)의 압력 유체부에는 축압기를 정비 및 수리하기 위해서 유압시스템의 나머지 부위로부터 차단하도록 수동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니이들 밸브(72)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니이들 밸브(72)는 개방되어 있으며, 비록 펌프(50)에 의해 축압기의 충전시 소정의 물질 효과를 가지도록 유체흐름에 대한 충분한 제한이 않을지라도 축압기의 안 또는 밖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소정의 드로틀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유압시스템은 수동작동 선택밸브(57)를 통해 몇몇의 유압 잭(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선택밸브(57)의 정상위치에서, 그것은 축압기(53)의 유체부위를 모든 잭 실린더(35)의 상측(블라인드단부) 유체쳄버(59)와 교대로 연동하는 헤데 또는 메니포울드(58)와 연결시킨다. 각각의 실린더(35)의 하측(로드단부) 쳄버(60)는 또다른 메니포울드(61)와 연결되어 있다. 선택밸브(57)가 정상위치에 있을때, 그것은 메티포울드(61)를 저장기(52)와 연결시킨다. 저장기(52)는 그안의 유체가 메니포울드(61)의 정상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갖도록 배치되므로, 실질적으로 압력이 없는 유체는 메니포울드(61) 및 잭의 하측쳄버(60)에 충전된다. 두개의 메니포울드(58,61)는 분쇄기의 주변에서 잭(25)의 모든 것의 실린더챔버(59,60)에 편리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밸브(57)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 즉, 분쇄기가 작동할때 항상 점유하는 정상위치에 있을때, 잭실린더의 상측(블라인드 단부) 쳄버(59)의 유체는 축압기(53)에 의해 예정된 압력으로 유지되며, 그러한 압력의 유체는 상측 프레임 부재(8)에 가해지며, 강한 하향바이어스는 작동위치에 있으며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장치된 상측 프레임 부재를 유지하게 된다. 하측 실린더(60)에는 압력이 작용치 않기 때문에, 잭(25)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바이어스력의 크기는 축압기(53)에서 유지되는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유압시스템 [예컨데, 피스톤(36)를 지니는]에서 어떠한 누수도 없을 경우 펌프(50)는 예정된 유체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축압기가 재충전될 필요가 없을때 또는 재충전될 필요가 있으므로서 압력 스위치(55)의 조절하에서 자동을 작동한다. 따라서, 모터(51), 즉 보울 제어장치의 에너지 소모장치는 드물게, 또는 단주기동안만 작동한다.
다수의 릴리이프밸브(67)가 상측 쳄버헤더(58)와 하측 쳄버 메니포울드(61)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바, 각각의 릴리이브 밸브는 헤더(58)내의 압력이 예정된 량에 의해 상기의 유체압력치를 초과했을 때 헤더(58)로 부터 메니포울드(61)로 유체를 개방 및 통과시키도록 조절된다. 많은 릴리이프 밸브(67)가 있으므로 각각의 쌍의 잭(25)을 위해 존재하는 바, 각각의 릴리이프 밸브(67)는 잭 실린더의 쌍과 헤더(58) 및 메니포울드(61)의 연결 부근에 위치된다. 트램프 광석 또는 기타의 분쇄할 수 없는 물질이 분쇄공간(10)에 들어가서 상측 프레임 부재(8)에 가해져서 아주 센 상향력이 그것을 그위 자동위치로 부터 상승시킬때, 그러한 상향은 분쇄기의 일측에서만 발생할 것이며, 분쇄기의 그러한 측에서 하나 또는 몇몇의 잭(25)만이 보울의 상승에 의해 그들의 피스톤(36)을 상승시킬 것이다. 피스톤이 상기의 잭에서 상승될 경우 상측 챔버(59)내의 유체의 압력이 어느정도 갑자기 증가할 것이다. 니이들 밸브(72)의 드로틀 효과와, 축압기(53)의 큰 간격 때문에 증가된 압력은 축압기의 실질적인 충전에 가해지는 것보다는 인접 릴리이프 밸브(67)에 가해지며, 릴리이프 밸브(67)는 신속히 개방되므로 상측 챔버(59)내의 압력은 해제되며, 챔버(60)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도록 동일한 실린더의 하측 쳄버(60)안으로 유체를 이송한다. 상측 블라인드 단수 쳄버(59)로 부터 방출되는 유체의 량은 하측로드단부 쳄버(60)의 공극을 채우는데 필요로 하는 것 보다는 어느정도 많으며, 초과된 유체는 메니포울드(61) 및 선택밸브(57)를 통해 저장기(52)로 배수된다. 릴리이프밸브(67)를 신속히 개방하고 유체를 상측 쳄버(59)로 부터 하측 쳄버(60)로 신속히 이송하기 위해서, 잭(25)으로 사용되는 복동 실린더의 부분을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이프밸브(67)는 인접쳄버(59)의 압력이 완전히 해제되기 전에 재폐쇄될 것이지만, 이러한 장치는 상측 프레임 부재가 분쇄공간(10)에 트램프 광석을 수용하도록 상승될지라도 그러한 방식으로 적용할 것이 분명하며, 보울에 가해지는(그리고 분쇄쳄버의 물질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바이어스는 분쇄중에 보울에서 유지되는 정상의 하향 바이어스를 거의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분쇄공간(10)이 있는 트램프 광석이 보울(9)과 분쇄헤드(7)의 대향면에 가해지지 않을 것이며 이들면보다 아주 큰 힘이 정상의 분쇄중에 유지하는데 필요하므로 이들 표면들은 트램프 광석에 의해 손상을 받지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분쇄면의 거의 정상적인 힘의 연속으로 인하여 분쇄헤드(7)는 설치된 것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방법으로 선회할 것이며 트램프 광석은 보울이 그것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만큼 상승시키는 동안 분쇄공간(10)을 통해 작동될 것이다. 일단 트램프 광석이 분쇄공간을 통과하면, 상측 프레임 부재(8)는 그것에 대한 연속 하향 바이어스하에서 스스로 신속히 재위치 될 것이다. 펌프(50)는 축압기를 재충전하기 위해 간단히 작동되어 크램프광석의 통과중에 발생하는 압력시스템으로 부터 유체의 적은손실을 보상할 수도 있다.
트램프 광석이 분쇄기에 의해 취급되는 불상사 때문에, 분쇄기 출력으로 부터 그러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작동자가 그곳을 통과하는 트램프 광석의 통로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압력 반응 스위치(62)가 유압 시스템에 연결되어 충분히 높은 압력에 의해 폐쇄되어 릴리이프 밸브(67)중 하나를 개방시키며, 신호장치(66)가 그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의 폐쇄에 의해 활성화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보울 구조체를 수리 및 정비하기 위해 상승위치로 상측 프레임 부재(8) 및 보울(9)을 완전히 상승시키기 위해서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데 이러한 보울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선택밸브(57)는 축압기(53)를 하측 쳄버 메니포울드(61)와 연통시키고, 상측 쳄버 메니포울드(58)를 저장기(52)와 연결시키는 위치로 수동적으로 작동된다. 잭 실린더의 하측 쳄버(60)에는 축압기의 예정된 압력에서 유체가 공급되며, 상측 쳄버(59)는 저장기(52)와 연통된다. 안정을 위해서, 압력 릴리이프 밸브(74)는 매니포울드(6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니포울드(61)의 압력이 예정된 량이상으로 전술한 예정된 값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연통된 출구는 저장기(52)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밸브(57)는 잭 실린더(35) 및 그들의 메니포울드(58,61)가 축압기(53)를 포함하는 압력 시스템으로 부터 해체되어 장치의 수리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차단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삼위밸브(three-position valve)이다.
예컨데,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전형적인 장치에서, 축압기(53)에서의 예정된 유체압력은 통상적으로 1540psi이다. 즉, 펌프(50)는 압력이 1400psi로 강화될때마다 작동되며 압력이 1540psi에 도달할때 정지된다. 그리고, 릴리이프 밸브(56,67,74)의 각각은 1600psi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된다. 1540psi의 에정된 압력과 1600psi의 릴리이프 밸브 압력간의 차이는 릴리이프 밸브의 불필요한 개방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만, 분쇄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정상 분쇄작동중에 그들에게 가해지는 힘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 명세서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트램프 광석이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손상을 주지않으며, 트램프 광석이 정상의 분쇄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분쇄기를 통과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을 분명이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정지된 환상형 하측 프레임 부재(3)에서 회전하는 분쇄헤드(7)와, 분쇄헤드(7)와 협동하여 분쇄공간(10)을 형성하는 보울(9)을 가지며,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지지되도록 결합된 환상형 상측 프레임 부재(8), 및 상기의 상측 프레임 부재가 그의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예정된 하향력을 상기의 상측 프레임 부재에 정상적으로 가하기 위한 보울 제어수단으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의 보울 제어수단에는 실린더(35)내에서 활주할 수 있는 피스톤(36)과, 상기의 피스톤(36)의 양측에서 상기의 실린더(25)내에 있는 한쌍의 압력쳄버(59,60)를 구비한 다수의 복동 유압 잭(25)를 프레임 부재(3,8) 주위의 원주구간에 배치시키고, 잭 실린더(35)의 쳄버(59)의 유체 압력이 하향력을 상측 프레임(8)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28,29,26,27,44)을 상측 프레임 부재(8)와 하측 프레임 부재(3)사이에 있는 잭(25)사이에 설치시키며, 예정된 압력으로 유체의 공급을 제공하는 유압수단을 모든 잭의 쳄버(59)와 연결시키고, 쳄버(59)의 유체압력이 소정량에 의해 상기의 에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유체를 쳄버(59)에서 쳄버(60)까지 전달하기 위해서 개방되도록 할 릴리이프밸브(67)를 모든 잭 실린더(35)의 쳄버(59)와 쳄버(60)사이에 연결시키며, 분쇄기가 분쇄작동을 하는 동안에 모든 잭 실린더(35)의 쳄버(60)를 가압되지 않은 유체 공급원(52)에 배수하기 위한 수단(61,57)을 설치시키되, 상기의 유압수단을 축압기(53)와, 축압기(53)에 유체를 충전하기 위한 펌프(50), 및 축압기의 유체의 압력이 상기의 예정 압력보다 적을 경우 유체를 상기의 펌프(50)에서 상기의 축압기(53)까지 공급하고, 축압기의 유체의 압력이 상기의 예정압력과 동일할 경우 축압기의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펌프(50)와 축압기(5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압력반응 제어수단(55)으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 밸브수단(57)을 잭 실린더 쳄버(59,60)와, 유압수단(53), 및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시키되, 상기의 선택밸브수단이 정상위치에서는 모두 실린더의 쳄버(59)가 유압수단(53)과 연결되고, 모든 실린더의 쳄버(60)가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되며, 보울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위치에서는 모든 실린더의 쳄버(60)가 유압수단(53)과 연결되고, 모든 실린더의 쳄버(59)가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되도록 한 자이러토리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재(25)을 상측 프레임 부재(8)와 하측 프레임 부재(3) 사이에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의 수단을, 모든 잭(25)의 실린더(35)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그의 상부근처에서 하측 프레임 부재(3)상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기된 원주플랜지(28)와, 모든 잭의 피스톤(36)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플랜지(28)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관계로 하측 프레임 부재(3)를 이동가능하게 둘러싸는 타이링(26)과, 플랜지(28)위에 설치되어 상측 프레임 부재(8)상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기된 원주플랜지(44), 및 프레임 부재(3,8) 주위의 주변적으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시킨 다수의 세장 타이로드(27)로 구성시키되, 각각의 타이로드가 그의 하측 단부에서 타이링(26)과 연결된 연결구(47)와 그의 상측 단부에서 플랜지(44)와 연결된 연결구(48)를 갖도록한 자이러토리 분쇄기.
  4. 정지된 환상형 하측 프레임 부재(3)에서 회전하는 분쇄헤드(7)와, 분쇄헤드(7)와 협동하여 분쇄공간(10)을 형성하는 보울(9)을 갖는 환상형 상측 프레임 부재(8)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 부재(8)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측 프레임 부재(8)를 정상작동위치에서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지지하지 위한 교대수단(18 ; 16,17)을 상측 프레임 부재(8) 및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설치시키고, 실질적인 적립축을 구비한 실린더(35)와, 실린더(35)내에서 활주가능하며 하향으로 돌기된 로드(36')를 갖는 피스톤(36)과, 피스톤(36)의 대향측에서 실린더(35)내에 형성된 상측 압력쳄버(59)와 하측 압력쳄버(60), 및 분쇄기가 분쇄작동을 하는 동안에 수단(61,57)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영역으로 배수되도록한 모든 실린더(35)의 하측 쳄버(60)를 구비한 다수의 복동 유압 잭(25)을 하측 프레임 부재(3) 주위에서 주변적으로 이격된 구간에 설치시키고, 하측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서 각각의 잭 실린더(35)의 상측 단부 및 하측 프레임 부재(3) 간의 회전 연결구(29)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장치하고, 각각의 잭(25)의 피스톤 로드(36')가 회전연결구(38)를 갖도록 하측 프레임 부재(3)를 둘러싸는 타이링(26)를 설치하며, 타이링(26)에 가해지는 상향력 및 하향력이 상측 프레임 부재(8)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의 하단부에서 타이링(26)과 연결된 연결구(47)와, 그의 상단부에서 상측 프레임 부재(8)와 연결된 연결구(48)를 가진 다수의 세장 타이로드(27)를 프레임 부재(3,8) 주위의 주변적으로 이격된 구간에 배치시키고, 예정된 압력으로 유체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유압수단을 모든 잭 실린더(35)의 상측 쳄버(59)와 연결시키며, 잭(25)의 상측 쳄버(59)의 유체의 압력이 소정량으로 상기의 예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의 상측 쳄버로부터 하측 쳄버까지 유체를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개방되는 릴리이프 밸브(67)를 각각의 잭(25)의 실린더(35)에 인접배치시키되, 상기의 유압수단을 축압기(53)와, 축압기(53)에 유체를 충전하기 위한 펌프(50) 및, 축압기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압력보다 적을 경우 유체를 펌프(50)에서 축압기(53)까지 공급하고, 축압기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 압력과 동일할 경우 축압기의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펌프(50)와 축압기(5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압력반응 제어수단(55)으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선택밸브(57)를 설치하여 정상위치에서 각각의 잭(25)의 상측 쳄버(59)가 유압수단(53)과 연결되고, 각각의 잭의 하측 쳄버(60)가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되며, 보울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위치에서는 각각의 잭(25)의 하측 쳄버(60)가 유압수단(53)과 연결되고, 각각의 잭의 상측 쳄버(59)가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되도록한 자이러토리 분쇄기.
  6. 정지된 환상형 하측 프레임 부재(3)에서 회전하는 분쇄헤드(7)와, 분쇄헤드(7)와 협동하여 분쇄공간(10)을 형성하는 보울(9)을 갖는 환상형 상측 프레임 부재(8)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 부재(8)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상측 프레임 부재(8)를 정상작동위치에서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지지하기 위한 교대수단(18 ; 16,17)을 상측 프레임 부재(8) 및 하측 프레임 부재(3)에 설치하고, 실질적인 적립축을 구비한 실린더(35)와, 실린더(35)내에서 활주가능한 피스톤(36), 및 피스톤(36)의 대향측에서 실린더(35)내에 형성된 한쌍의 압력쳄버(59,60)를 구비한 다수의 복동 유압 잭(25)을 하측 프레임 부재(3) 주위에서 주변적으로 이격된 구간에 설치시키고, 잭의 상측 쳄버(59)의 유체압력이 하향력을 작동위치에 유지하고자하는 상측 프레임 부재(8)에 부가되도록 하기위한 수단(28,29,26,27,44)을 상측 프레임 부재(8)와 하측 프레임 부재(3) 사이에서 작동하기 위해서 잭(25)의 각각을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정상 및 보울상승위치에서 모든 잭(25)의 쳄버(59,60)와 연결된 연결구(58,61)을 갖는 선택밸브(57)를 설치하며, 정장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모든 잭(25)의 챔버(60)와 연결되며, 보울상승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모든 잭(25)의 쳄버(59)와 연결되도록 한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을 장치하고, 선택밸브(57)가 정상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모든 잭(25)의 챔버(59)와 선택밸브(57)를 연결시키고, 선택밸브(57)가 보울-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모든 잭의 쳄버(60)와 선택밸브(57)를 연결시키기 위한 유압수단을 설치하고, 잭의 상측 챔버(59)의 유체압력이 소정량으로 상기의 예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개방되어 잭의 챔버(59)를 다른 쳄버(60)와 연결시키기 위한 압력 릴리이프 밸브(67)를 각각의 유압 잭(25)과 인접되게 배치시키되, 상기의 유압수단을 축압기(53)와, 공급원(52)으로 부터 유체를 배수하여 축압기(53)를 충전하기 위한 펌프(50)와, 축압기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압력보다 적을 경우 유체를 펌프(50)에서 축압기(53)로 향하게 하고, 축압기의 유체가 상기의 예정압력과 동일할 경우 축압기의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펌프(50)와 축압기(5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압력반응 제어수단(55)으로 구성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잭의 피스톤(36)이 하향으로 돌기된 로드(36')를 가지며 각각의 잭 실린더(35)의 쳄버(59)가 그의 상측 쳄버이되, 하측 프레임 부재(3)를 둘러싸는 원형의 메니포울드(58)에서 잭의 상측 쳄버(59)가 각각의 주변적으로 이결된 연결구를 가지며, 하측 프레임 부재(3)를 둘러싸는 원형의 메니포울드(61)에서 잭의 하측 챔버(60)가 각각의 주변적으로 이결된 연결구를 가지며, 상기의 압력 릴리이프 밸브수단이 다수의 릴리이프 밸브(67)와, 두개의 유압잭을 한개의 잭을 포함하되, 메니포울드(58)는 선택밸브(57)를 유압수단(53)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선택밸브(57)에 연결시키고, 메니포울드(61)는 선택밸브(57)를 상기의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선택밸브(57)에 연결시키며, 릴리이프 밸브(67)를 두개의 유압잭의 챔버(59,60)에 있는 연결구 부근에서 메니포울드(58,61)에 연결시켜서 된 자이러토리 분쇄기.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잭(25)의 피스톤(36)이 하향으로 돌기된 로드(36')를 가지며 각각의 잭 실린더(35)의 쳄버(59)가 그의 하측 쳄버이되, 가압되지 않은 유체의 공급원(52)이 하측 쳄버내의 가압되지 않는 유체의 정상유지를 위해서 잭 실린더(35)의 하측 챔버(60)의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 자이러토리 분쇄기.
  9. 제6항에 있어서, 드로틀수단(72)을 축압기(53)와 선택밸브(57) 사이에 설치시켜서된 자이러토리 분쇄기.
KR1019860002666A 1986-04-08 1986-04-08 자이러토리 분쇄기 KR93000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666A KR930006038B1 (ko) 1986-04-08 1986-04-08 자이러토리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666A KR930006038B1 (ko) 1986-04-08 1986-04-08 자이러토리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763A KR870009763A (ko) 1987-11-30
KR930006038B1 true KR930006038B1 (ko) 1993-07-03

Family

ID=1924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666A KR930006038B1 (ko) 1986-04-08 1986-04-08 자이러토리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0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763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491A (en) Gyratory crusher with automatic tramp iron release
CA1206941A (en) Conical crusher
US2791383A (en) Hydraulic control for gyratory crusher
US4192472A (en) Cone crusher
US4391414A (en) Cone crusher
CA1057718A (en) Gyratory crusher
US2909330A (en) Pulverizing mill and process of pulverizing material
CA2092752C (en) Rock crushing machine
US46977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performance conical crushing
US3140834A (en) Seal for gyratory crushers
US5312053A (en) Cone crusher with adjustable stroke
AU2015206780B2 (en) Top supported mainshaft suspension system
US6772970B2 (en) Gyratory crusher spider piston
KR930006038B1 (ko) 자이러토리 분쇄기
US4589600A (en) Cone crusher
US3057563A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gyratory crusher shafts
US3804342A (en) Crusher release clearing system
US3797759A (en) Crusher adjusting system
US3539118A (en) Gyratory crusher securing and adjusting mechanisms
WO1995021024A1 (en) Cone crusher having inclined hold-down cylinders
US3688995A (en) Gyratory crusher adjusting mechanisms
WO1979000017A1 (en) Hydroset pressure relief system
GB2188253A (en) Gyratory crusher
US3985309A (en) Crusher clearing system
US4923129A (en) Gyratory rock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