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636A -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 Google Patents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636A
KR930005636A KR1019920017640A KR920017640A KR930005636A KR 930005636 A KR930005636 A KR 930005636A KR 1019920017640 A KR1019920017640 A KR 1019920017640A KR 920017640 A KR920017640 A KR 920017640A KR 930005636 A KR930005636 A KR 93000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issue glue
protease
aprotinin
fibrin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티노비츠 우시
발 프레드릭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옥타파르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옥타파르마 아게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101992001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636A/ko
Publication of KR93000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36A/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혈액의 크리오침천물 및 다량의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3000 내지 5000KIU/ml 단위의 아프로티닌으로 이루어진 성분 A와 성분 A에 존재하는 피비리노겐을 특이적으로 분해시키고 피브린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성분 B를 포함하는 티슈 글루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개량된 티슈 글루는 전혈액의 크리오침천물로 이루어진 성분 A와 성분 A에 존재하는 피브리노겐을 특이적으로 분해시키고 피브린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뱀의 독으로부터 얻은 단백질분해효소로 이루어진 성분 B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Description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5)

  1. 전혈액의 크리오침전물 및 다량의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3000 내지 5000KIU/ml 단위의 아프로티닌으로 이루어진 성분 A와 성분 A에 존재하는 피비리노겐을 특이적으로 분해시키고 피브린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성분 B를 포함하는 티슈 글루.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의 크리오침전물이 농축된 티슈 글루.
  3. 제1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3,000 내지 5000KIU/ml 단위의 아프로티닌인 티슈 글루.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분해효소가 포유동물 또는 사람으로부터 유도된 트롬빈인 티슈 글루.
  5. 전혈액의 크리오침전물로 이루어진 성분 A와 성분 A에 존재하는 피브리노겐을 특이적으로 분해시키고 피브린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뱀의 독으로부터 얻은 단백질분해효소로 이루어진 성분 B를 포함하는 티슈 글루.
  6. 제5항에 있어서, 뱀독효소가 남아메리카 피트 살모사 Bothrpos Moujeni 의 독으로부터 분리된 배트록소빈(batroxobin)인 티슈 글루.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다량의 프로테아제 억제제, 바람직하게 아프로티닌을 3000 내지 5,0000KIU/ml 단위로 갖는 티슈 글루.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로오침전물이 바이러스 비활성인 티슈 글루.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들-크리오침전물의 크리오용액을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 성분 A의 제조, -바이러스 비활성, -살 바이러스 제제의 제거,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부가 및 성분 B로서 적당한 프로테아제의 적절한 용액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피브린 글루의 제조방법.
  10. 성분 A로서 피브리노겐, 피브로넥틴, 성분 ⅩⅢ 3000 내지 5,0000KIU/ml 아프로티닌인 프로테아제 억제제로 이루어진 티슈 글루.
  11. 성분 B가 제5항 및/또는 제6항의 단백질분해효소 또는 트롬빈인 제10항의 티슈 글루.
  12. 성분 A로서 피브리노겐, 피브로넥틴, 성분 ⅩⅢ, 성분 B로서 제5항 및/또는 제6항의 단백질분해효소를 함유하는 티슈 글루.
  13. 티슈 글루를 만들기 위해 크리오침전물 또는 피브리노겐, 피브로넥틴 및 성분 ⅩⅢ의 결합물과 다량의 아프로티닌 3000 내지 5,0000KIU/ml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방법.
  14. 티슈 글루를 만들기 위해 뱀독 프로테아제를 사용하는 방법.
  15. 티슈 글루를 만들기 위해 Bothrpos Moujeni로부터 분리된 배트 록소빈을 사용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7640A 1991-09-27 1992-09-26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KR930005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640A KR930005636A (ko) 1991-09-27 1992-09-26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EP91/01850 1991-09-27
KR1019920017640A KR930005636A (ko) 1991-09-27 1992-09-26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36A true KR930005636A (ko) 1993-04-20

Family

ID=6714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40A KR930005636A (ko) 1991-09-27 1992-09-26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6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kherjee et al.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 new thrombin-like serine protease (Russelobin) from the venom of Russell's Viper (Daboia russelii russelii) and assessment of its therapeutic potential
Bernardes et al. Isol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 new fibrin (ogen) olytic metalloproteinase from Bothrops moojeni snake venom
IL91306A (en) Tissue plasminogen variant having amino acid substitution in the protease domain having improved zymogenic or fibrin specific properties
NO923737D0 (no) Forbedret vevs-lim fremstilt ved anvendelse av kryopresipitat
Selistre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rombin-like enzyme from the venom of the snake Bothrops insularis (jararaca ilhoa)
DK0477274T3 (da) Faktor Xa baserede antikoaguleringspræparater
Sartim et al. Moojenactivase, a novel pro-coagulant PIIId metalloprotease isolated from Bothrops moojeni snake venom, activates coagulation factors II and X and induces tissue factor up-regulation in leukocytes
Ouyang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α-and β-fibrinogenases of Trimeresurus mucrosquamatus venom
Carone et al. BjSP, a novel serine protease from Bothrops jararaca snake venom that degrades fibrinogen without forming fibrin clots
Nandish et al. Anticoagulant, antiplatelet and fibrin clot hydrolyzing activities of flax seed buffer extract
Mcdonagh et al. Alternative pathways for the activation of factor XIII
Gasmi et al. Further characterization and thrombolytic activity in a rat model of a fibrinogenase from Vipera lebetina venom
Rabiet et al. Activation of prothrombin Barcelona evidence for active high molecular weight intermediates
Takeya et al. [24] Snake venom hemorrhagic and nonhemorrhagic metalloendopeptidases
KR930005636A (ko) 크리오침전물(cryoprecipitate)을 사용하여 제조한 개량된 티슈 글루(tissue glue)
Siigur et al. The direct actinc α-fibrin (ogen) olytic enzymes from snake venoms
Farid et al. Low molecular weight factor X activator from Cerastes vipera (Sahara sand viper) venom
Kang et al. Fibrin digestion by thrombin. Comparison with plasmin-digested fibrinogen
Torres et al. Bmoo FIBMP-I: a new fibrinogenolytic metalloproteinase from Bothrops moojeni snake venom
Komori et al. Characterization of clotting factors from Agkistrodon acutus venom
Stocker Snake venom proteases affecting blood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TW288046B (en) Nucleotide sequence of cDNA of a thrombin-like enzyme (ancrod) from Calloselasma rhodostoma and amino acid sequence of ancrod therefrom
Che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5, a hemorrhagic fibrinolytic protease from Crotalus molossus molossus (Northern blacktailed rattlesnake) venom
Howesa et al. Effects of three novel metalloproteinases from the venom of West Africa saw–scaled viper, Echis ocellatus on blood coagulation and platelets
Markland J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chool of Medicine, Los Angeles, Califor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