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435Y1 - Camera - Google Patents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435Y1
KR930005435Y1 KR2019860007395U KR860007395U KR930005435Y1 KR 930005435 Y1 KR930005435 Y1 KR 930005435Y1 KR 2019860007395 U KR2019860007395 U KR 2019860007395U KR 860007395 U KR860007395 U KR 860007395U KR 930005435 Y1 KR930005435 Y1 KR 930005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tate
lens
c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3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15215U (en
Inventor
마사요시 모리가와
신사꾸 이나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5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21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불사용시에 카메라 렌즈가 자동으로 표준 위치로 복귀되는 카메라Camera whose camera lens automatically returns to its normal position when not in use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에 적용한 경우의 우 전방에서 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ight front when applied to the camera-integrated VT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좌 전방에서 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left.

제3도는 우 후방에서 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from right rear.

제4도는 몸체만을 우 후방에서 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nly from the right rear.

제5도는 파지부만을 좌 후방에서 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grip portion seen from the left rear.

제6도는 몸체와 파지부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body and the gripping portion.

제7도는 광학 뷰파인더를 들여다보았을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시도.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looking into the optical viewfinder. FIG.

제8도는 방진 커버와 카메라부의 렌즈와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st cover and the lens of the camera unit.

제9도는 컴퓨터에 대한 제어 회로도.9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for a comput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몸체 2 : 파지부1 body 2 holding part

3 : 몸체 케이스 4 : 파지 케이스3: body case 4: gripping case

5 : 카메라부 6 : VTR부5: camera portion 6: VTR portion

9 : 방진 커버 12 : 광학 뷰파인더9: dust cover 12: optical viewfinder

20 ; 훅크 31 : 광학 모드 표시부20; Hook 31: Optical Mode Display

34 : 광도부 45 : 링크34: light section 45: link

본 고안은 카메라 일체형 VTR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s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camera integrated VTR.

광각, 표준, 망원등으로 전환되는 광학계의 렌즈에 대한 방진 커버를 렌즈의 전면에 덮도록 닫혀졌을때, 이 방진 커버에 의해 링크를 중립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하므로서, 렌즈는 불사용시에 있어서, 항상 표준 상태로 되돌려지고, 따라서 이후의 촬상시에는, 불시에 카메라를 상용하여도, 항상 표준 상태에서 촬영된다.When the dustproof cover for the lens of the optical system switched to wide angle, standard, telephoto, etc. is closed to cover the front of the lens, the dust cover allows the link to rotate to the neutral position, so that the lens is always in use when not in use. The image is returned to the standard state, and therefore, at the time of subsequent imaging, the image is always taken in the standard state even if a camera is used unintentionally.

카메라에 있어서, 그 본래의 광학계와 뷰파인더의 광학계와는, 대부분의 경우 거의 공통적으로 구성되고, 파인더를 제외하면, 본래 촬영될 피사체상을 알 수가 있다. 즉 광각 상태가, 표준 상태이거나, 망원 상태인가등을 판단한다.In the camera, the original optical system and the optical system of the viewfinder are configured almost in common in most cases, and except for the finder, the subject image to be originally photographed can be know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de-angle state is a standard state or a telephoto state.

그런데 카메라를 보다 간이형으로 구성하고, 따라서 본래의 광학계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각, 료준, 망원의 3단 전환으로 하고, 파인더에 대해서는 본래의 촛점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camera is configured with a simpler type, and therefore, the original optical system is set to three-stage switching of wide angle, ryojun, and telephoto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iginal focusing configuration for the finder.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연속하여 카메라를 촬영중이면, 지금 현재, 이 카메라의 광학계는 어느 상태로 되어 있느냐가 촬영자에게는 기억되어 있으므로, 수시로, 그 촛점 전환을 행할 수가 있으나, 일단 볼사용 상태로 되면, 이것이 잊혀져 버리는 경우가 많아진다. 따라서 재차의 사용시에는 표준 이외의 광각 또는 망원(말하자면 죤 포커스 포지션)으로 되어 있거나 하면, 핀트가 어긋날 가능성의 문제점이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if the camera is photographed continuously, the photographer remembers the state of the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at present, and the focus can be switched from time to time. This is often forgotte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cus may be out of alignment when the lens is used at a wide-angle or telephoto (that is, john focus position) other than the standard when used again.

촛점 전환에 구성한 렌즈의 방진 커버를 상기 렌즈에 대향시켰을때, 즉 덮개를 닫았을 때, 이 방진 커버에 의해 링크를 조작하고, 이에 의해 렌즈의 촛점 전환 레버를 중립위치 즉 렌즈계의 표준 위치로 이동하였다.When the dust cover of the lens configured for focus switching is opposed to the lens, that is,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link is operated by the dust cover, thereby moving the lens focus switch lever to the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standard position of the lens system. It was.

따라서 일단 덮개를 닫으면, 렌즈는 표준 위치로 반드시 전환되고, 말하자면 핀트가 흐려지는 일이 없다.Therefore, once the lid is closed, the lens is necessarily switched to the standard position, so that the focus is not blurred.

다음 도면에 대해서,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Next, the case where it is applied to the camera integrated VTR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은 몸체(1)와 VTR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Camera integrated VT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case applied to the body (1) and VTR.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일체형 VTR은 몸체(1)와 파지부(2)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1 및 2와 함께 이들의 케이스(3,4)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몸체 케이스(3)는 거의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파지 케이스(4)도 거의 직방체상을 이루나, 윗면(4C)에서 우측면(4f) 및 아래면(4d)에 걸쳐서, 촬상자의 우수의 손바닥과 잘 어울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amera-integrated VT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separating the body 1 and the gripping portion 2, and the cases 3 and 4 together with 1 and 2 are formed of synthetic resin. Therefore, the body case 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holding case 4 also forms an almos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is made of curved surfaces that go well together.

몸체 케이스(3)내에는 카메라부(5) 및 VTR부(6)가 각각 수납되어 있으며, 또다시 몸체(3)의 전면(3a)의 상부에 있어서 형성된 4각상의 창구멍(8)에 대향하여, 전면(3a)보다 약간 후퇴한 위치에 창틀(47)이 고정되고, 카메라부(5)의 대물렌즈(7)는 창틀(47)에 형성된 창틀(47a)에서 외부로 이르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이전면(3a)의 배면측에는 창틀판(47)과의 사이에 있어서, 적당한 수단에 의해 방진커버(9)가 상하로 습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 가장자리가 전면(3a)의 창구멍(8)에서, 약간 외방으로 돌출되어서 커버(9)의 손잡이(10)로 되어 있다. 또한, 이커버(9)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덮개가 열린 상태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쪽으로 슬라이드한 상태 즉 닫힌 상태와의 2개의 위치에서 클릭 형태로 유지된다.In the body case 3, the camera part 5 and the VTR part 6 are accommodated, respectively, and are opposed to the quadrangular window hole 8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rface 3a of the body 3 again. The window frame 47 is fixed to the position slightly receding from the front surface 3a, and the objective lens 7 of the camera portion 5 extends from the window frame 47a formed on the window frame 47 to the outside. Thus, the dustproof cover 9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front surface 3a so as to be free to slide up and down by a suitable means, and the upper edge thereof is the window hole of the front surface 3a. In (8), it slightly protrudes outward and becomes the handle 10 of the cover 9.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cover 9 has two sliding states, i.e.,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and a lid, in an open state, and as shown in FIG. It remains in the form of a click at the location.

몸체 케이스(3)의 윗면(3c)에서 죄측면(3e)에 걸쳐서, 몸체 케이스(3)와 동일 윤곽이 되도록 덮개(1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 그 아래 가장자리를 힌지로서 몸체 케이스(3)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덮개(11)가 열린 상태에서, VTR부(6)의 카셋트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테이프 카셋트 장작부(도시하지 않음)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The cover 11 is fixed so as to have the same contour as the body case 3 from the upper surface 3c of the body case 3 to the concave side 3e, which is the hinge of the lower edge of the body case 3. ) Is rotated freely and the tape cassette firewood (not show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sette mounting portion (not shown) of the VTR section 6 while the lid 11 is open. It is composed.

한편, 파지부(2)에 있어서는, 그 파지 케이스(4)내의 상부에 있어서, 광학 뷰파인더(12)가 짜여져 있다. 13은 대물렌즈로서 파지 케이스(4)의 전면(4b)의 상부에 있어서, 이것에 형성된 창구멍(14)에서 외부로 이르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lding part 2, the optical viewfinder 12 is woven in the upper part in the holding case 4. 13 is an objective lens, which extends outward from the window hole 1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4b of the gripping case 4.

그래서 이 파지 케이스(4)의 후면(4b)의 상단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말하자면 아이캡(15)이 고정되고, 이것에는 전압렌즈(도히하지 않음)가 고정되고, 이렇게 하여 대물렌즈(13)로부터 접안 렌즈 사이에서 광학계가 형성되고, 광하 뷰파인더(1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광학 뷰파인더(12)는, 상기한 카메라부(5)의 대물렌즈(7)에 의한 광학계와는 완전히 독립하고 있다.Thus, the eye cap 15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face 4b of the holding case 4, and the voltage lens (not shown) is fixed thereto, and thus the objective lens 13 An optical system is formed between the eyepieces, and the optical beam viewfinder 12 is configured. The optical viewfinder 12 is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optical system by the objective lens 7 of the camera unit 5 described above.

파지 케이스(4)내에서는 건전지(16)가 착탈이 자유롭게 수납된다. (17)은 이 건전지(16)의 출입구이며, 파지 케이스(4)의 전면(4a)에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건전지를 집어낸 상태에서는 이 출입구(17)를 폐쇄하도록 덮개(18)(제2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건전지를 수납할때는, 그 선단에서 덮개(18)를 밀어 열어서 이것을 내부로 밀어넘어뜨리고, 건전지를 뽑아 내므로 덮개(18)가 자동적으로 일어나서 출입구(17)를 닫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2도에서는, 덮개(18)는 그 기복의 중도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 파지 케이스(4)에는 그 우측면(4f)에 대향하도록 밴드(19)가 고정되어 있으며, 촬상자는 이 밴드(19)와 파지 케이스(4) 사이에 우수를 끼워넣어서 이 파지 케이스(4)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holding case 4, the battery 16 is detachably stored. Reference numeral 17 denote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battery 16 an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4a of the holding case 4. In addition, in the state which picked up the battery by this, the cover 18 (refer FIG. 2) is provided so that this door 17 may be closed. When storing a battery, it pushes the cover 18 from the front end, and it opens it inside. The cover 18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ise and close the doorway 17 by pushing over and extracting the battery. In addition, in FIG. 2, the cover 18 has shown the halfway state of the ups and downs. In addition, the band 19 is fixed to the holding case 4 so as to face the right side surface 4f, and the imager puts the rainwater between the band 19 and the holding case 4 to hold the holding case 4. ) Is supposed to be held.

몸체 케이스(3)의 우 측면(3f)과, 파지 케이스(4)의 좌 측면(4e)과는, 이들 양자가 서로 대접하는 결합 측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각 면에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The right side 3f of the body case 3 and the left side 4e of the gripping case 4 serve as coupling sides in which both of them face each other, and coupling means are formed on each of these surfaces.

이에 대해서 제4도 및 제5도를 사용해서 설명을 하면, 몸체 케이스(3)의 우측면 (3f)에는 여러곳에(도면에서는 4개소) L자 형상을 한 훅크(20)가 각각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 되어져 있으며, 한편 파지 케이스(4)의 좌측면(4e)에는 상기한 각 훅크(20)와 대향하여 凹부(21)가 형성되어지고, 또다시 이들 각 凹부(21)에 연속하여 파지 케이스(4)내를 전방으로 진행하는 걸어맞춤 凹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4 and 5, the hook 20 having an L-shape at various places (four places in the drawing) faces forward on the right side surface 3f of the body case 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left side 4e of the gripping case 4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21 facing the hooks 20 described above,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oncave portions 21 again. Engaging recesses 22 are formed to advance the grip case 4 forward.

따라서 이제 몸체 케이스(3)의 훅크(20)를 파지 케이스(4)의 각 凹부(21)내에 끼워넣을때에는, 몸체 케이스(3)의 우측면(3f)과 파지 케이스(4)의 좌측면(4e)은 서로 밀접하고, 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몸체 케이스(3)를 전방으로 어긋나게 하므로서 각 훅크(20)의 선단이, 각각의 凹부(21) 내의 걸어맞춤 凹부(22)내에 삽입하고, 양자(3) 및 (4)는 합체된다. 즉 몸체(1)와 파지부(2)가 합체하게 된다.Thus, when the hook 20 of the body case 3 is now inserted into each recess 21 of the grip case 4, the right side 3f of the body case 3 and the left side of the grip case 4 ( 4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tip of each hook 2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recess 22 in each recess 21 by shifting the body case 3 forward. Both 3 and 4 are coalesced. That is, the body 1 and the gripping portion 2 are coalesced.

이 합체 상태에서 로크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로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3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 케이스(4)의후면(4b)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레버(23)가 고정되어 있으며, 한편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24)에 연접된 걸립편(25)의 선단이 凹부(21)내에 돌출되고, 이 걸림편(25)을 갖고 훅크(20)부(21)내를 이동(습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lock in this coalescing state, the locking means as described below is provided. That is, in FIG. 3, as shown in FIG. 5, a lever 23 capable of sli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4b of the holding case 4, and as shown in FIG. The tip end of the gripping piece 25 connected to the spring 24 protrudes in the concave portion 21, so as to prevent movement (sliding) in the hook 20 portion 21 with the gripping piece 25. Consists of.

따라서, 몸체 케이스(3)와 파지 케이스(4)의 합체에 있어서, 훅크(20)가 凹부(21)내에 들어갔을때, 걸림편(25)은, 스프링(24)에 대항하여 후퇴하고, 또다시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훅크(20)가 걸어맞춤 凹부(22)내 까지 일단 들어가면 걸림편(25)이 凹부(21)내에 돌출하여 훅크(20)를 로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로크 수단(26)은 어느 1개의 凹부(21)내에 설치하면 된다.Therefore, in the union of the body case 3 and the holding case 4, when the hook 20 enters into the indentation 21, the locking piece 25 retreats against the spring 24, and As shown in FIG. 6 again, once the hook 20 enters into the engagement recess 22, the locking piece 25 protrudes into the recess 21 to lock the hook 20. As shown in FIG. Such locking means 26 may be provided in any one recess 21.

제6도의 상태에 있어서, 레버(23)를 스프링(24)에 대항하여 몸체 케이스(3)와는 역방향으로 습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몸체 케이스(3)는 후방으로 어긋나게 하므로서 3과 4를 서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In the state of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23 is swu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case 3 against the spring 24, the body case 3 is relatively displaced to the rear so that 3 and 4 are mutually shifted. Can be separated.

또한, 몸체 케이스(3)의 상술한 결합 측면 즉 우 측면(3f)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2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파지 케이스(4)의 좌 측면(4e)에는, 각 접점(27)과 대향하여 도전 핀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기적 접점(28)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하는 바와 같이 3과 4가 결합하게 되었을때, 각각 접점(27,28)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파지 케이스(4)내에 건전지(16)로부터, 몸체 케이스(3)내의 카메라부(5) 및 VTR부(6)에 각각 전원 전류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지 케이스(4)의 후면(4b)에는 트링거 스위치용의 푸시버턴(30)을 갖고, 여기에서는 신호도 서술한 접점(27,28)중의 어느 것을 통하여 몸체(1)내에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이 푸시버턴(30)은 최조의 제1회째의 푸시로 스탠바이 상태로 되고, 다음 제2회째의 푸시로 테이프가 주행하고, 기록이 행해진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s 27 made of a metal plate are formed o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ide, that is, the right side 3f of the body case 3, and on the left side 4e of the gripping case 4,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s 28 composed of conductive pins are fixed opposite to the contacts 27. When 3 and 4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s 27 and 28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ower supply current is applied to the camera unit 5 and the VTR unit 6 in the body case 3 from the battery 16 in the holding case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ar side 4b of the gripping case 4 has a push button 30 for a tringer switch, in which a signal is supplied to the body 1 through any of the contacts 27 and 28 described above. It is. In practice, this push button 30 is in a standby state by the first push of the maximum, the tape travels by the second push, and recording is performed.

몸체 케이스(3)의 우 측면(3f)(결합측면)에는 제4도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본예에서는 4개)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광학적 모드 표시부(31)가 설치되고 있으며, 한편 파지 케이스(4)의 좌 측면(4e)(결합측면)에는 제5도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몸체 케이스 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한 위치에 있어서 광도부(34)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right side 3f (coupling side) of the body case 3, as shown in FIG. 4, an optical mode display unit 31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four in this example)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on the left side 4e (engagement side) of the gripping case 4, as shown in FIG. 5, the light intensity portion 34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ptical mode display portion 31 of the body case 3 described above. Formed.

즉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의 각 발광 소자에 대향하여 복수(본예에서는 4개)의 창구멍(32)이 설치되고, 또 다시 광학 뷰파인더(12)의 광학계내의 촛점 위치에, 사각형의 마스크(33)가 배치되어 있으며(제3도 참조), 이 마스크(33)의 4개 모서리 부분과, 상술한 각 창구멍(32) 사이에 각각 플래스틱 또는 유리로 되는 광도관(35)(광 파이버)이 설치되어 있다. 즉 광도관(35)의 일단은 창구멍(32)내에 꼭 감합되어서 그 단면이 직접 몸체 케이스(3)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와 대향되고, 다른쪽 단어 마스크 (33)의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된 창구멍내에 꼭 감합되어 있다. 제7도는 뷰파인더(12)를 들여다 보았을때에 이는 화상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스크(33)의 시야 테두리(36)밖에 있어서, 각 광도관(35)의 단면이 위치하고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4 in this example) window holes 32 are provided to face each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optical mode display unit 31, and the rectangular mask 33 is positioned at the focal position in the optical system of the optical viewfinder 12 again. ) Is arranged (see FIG. 3), and the light conduit 35 (optical fiber) made of plastic or glass is provided between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mask 33 and each of the window holes 32 described above. It is. That is, one end of the light conduit 35 is fitted into the window hole 32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directly opposed to the optical mode indicator 31 of the body case 3, and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other word mask 33. It fits in the window hole tightly. 7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when looking into the viewfinder 12, outside the viewing frame 36 of the mask 33, where the cross section of each light pipe 35 is located.

따라서 몸체(1)내의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각 모드 상태에 의하여 몸체(1)의 광학적 모드 표시부(31)를 구성하는 LED등의 발광 소자가 점등하였을때, 이 점등이 광학 뷰파인더(12)내에서 각각 표시된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such as the LEDs constituting the optical mode display unit 31 of the body 1 are turned on by the state of each mode of the camera unit 5 and the VTR unit 6 in the body 1, the lighting is turned on. Each is displayed in the optical viewfinder 12.

다음에 모드 표시의 예를 설명하나, 설명에 편피하기 위해, 제7도에 있어서 특히 부호(a) 내지 (d)를 붙여서 표시한다.Next, an example of mode display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order to avoid the explanation, in Fig. 7, reference numerals (a) to (d) are indicated.

먼저(a)는 실내등에 있어서, 촬상시와 같이 색 온도가 낮은 경우에 점등시킨다. 이경우는 몸체(1)내의 카메라부(5)에 있어서 광학계내의 색 필터를 전환하면 된다. 제2도에 있어서 도시된 37은, 이 전환 레버를 표시하고, 상하로 습동한다. (b)는 스탠바이 상태의 표시이다. 즉 상술한 푸시버터(30)을 1회 푸시하면 b가 점등한다. 이푸시버턴(30)을 또다시 한번 더 푸시하면 b는 소등하고, c가 점등하여 촬상증(기록증)임을 표시한다. d는 광량부족 상태를 표시한다. 이경우는 조명을 하면 족하다. 또한, 몸체(1)내에 있어서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상술한 각 모드를 광학적 모드 표시부(31)에 있어서 각 발광 소자로 발광 표시시키는 수단은 공지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들의 발광 소자로서, 서로 색이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First, (a) is turned on in a room lamp when the color temperature is low as in imaging.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in the optical system may be switched in the camera section 5 in the body 1. 37 shown in FIG. 2 displays this switching lever and slides up and down. (b) shows the standby state. That is, when the above-mentioned push butter 30 is pushed once, b turns on. When the push button 30 is pushed again, b turns off and c lights up to indicate that it is an imaging card (recording card). d indicates a light shortage condition. In this case, lighting is enough. Incidentally, in the body 1, the means for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modes of the camera unit 5 and the VTR unit 6 with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optical mode display unit 31 is know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Moreover, as these light emitting elements, those with different colors may be used.

몸체(1)에 있어서 카메라부(5)는 대물렌즈(7)를 전진 후퇴시키므로서, 망원, 표준 및 광각의 3개의 위치로 전환하도록 되어져 있다. 이 렌즈(7)의 전진 후퇴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7)의 경동(3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39)내에, 이 경동(38)을 수납하여 또한 이것을 전후로 안내하는 고정통의 내면에 돌출시킨 돌기(어느것이나 도시하지 않음)이 걸어맞춤되고, 한편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 케이스(3)의 좌측면(3e)의 전부에 있어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촛점 전환 레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환 레버(40)의 후면에 고정된 연결판(41)의 일부가 경동(38)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부(42)에 형성된 잘린부분(43)에 대해서, 경동(38)의 전면에 돌출시킨 돌기(44)가 걸어맞춤되고, 따라서 전환 레버(40)의 상,중,하의 습동에 의해 경동(38)은 전진 후퇴하고, 카메라부(5)의 광학계는 말하자면 광각, 표준, 망원 상태로 된다.In the body 1, the camera unit 5 is adapted to switch to the three positions of telephoto, standard and wide angle while retracting the objective lens 7 forward. The forward retreat of the lens 7 stores the tilt 38 in a screw groove 39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lt 38 of the lens 7 and guides it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not shown) which protrud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cylinder is engaged, and as shown in FIG. 2, the focus of sliding up and down on all of the left side 3e of the body case 3 is shown. A switching lever 40 is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8, a part of the connecting plate 41 fixed to the rear of the switching lever 40 extends in front of the tilt 38, and this extension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43 formed in the portion 42, the projections 44 project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ilting wheel 38 are engaged, and thus the tilting wheel 38 is moved by the upper, middle, and lower sliding motions of the switching lever 40. ) Retreats forward, and the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unit 5 is in a wide angle, standard, and a telephoto state.

이같은 경도(38)의 아래쪽은 링크(45)가 설치되고, 이 링크(45)가 축(46)을 거쳐서, 몸체 케이스(3)의 창구멍(8)의 후방으로 감합된 창틀(47)(이 창틀(47)은 제1도에 도시된다)의 후면에 대해서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고정되어져 있다. 그래서, 이 링크(45)의 일단은 구부러지고, 이 절곡부(45c)가 연결한(41)의 연장부(42)의 투공(42a)에 가볍게 걸어 맞춤되어 있으며, 전환 레버(40)가 중립(표준)위치에 있을때에는, 링크(45)는 제8도에 있어서 실선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 상태에 있다.The lower side of such a hardness 38 is provided with a link 45,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window hole 8 of the body case 3 via the shaft 46 and the window frame 47 (this The window frame 47 is fixed to swing freely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shown in FIG. 1). Thus, one end of the link 45 is bent, and is lightly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42a of the extension portion 42 of the bent portion 45c to which the bent portion 45c is connected, and the switching lever 40 is neutral. When in the (standard) position, the link 45 is almost horizontal,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한편, 방진 커버(9)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단의 좌우에 있어서 맞붙이기 부분(48a,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진 커버(9)를 윗쪽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7)의 전방을 차폐하였을때, 이들 양 맞붙이기부분(48a) 및 (48b)가 각각, 링크(45)의 좌우의 하단(45a) 및 (45b)과 서로 접하거나 또는 약간의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joining parts 48a and 48b are formed in the dustproof cover 9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dustproof cover 9 slides upwards, and FIG. When the front of the lens 7 is shielded as shown in Fig. 2, these joining portions 48a and 48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45a and 45b of the link 45, respectively. Or face each other with a slight gap.

따라서 이제 전환 레버(40)를 표준(중립)위치에서 상방으로 습동시킨때에는 광각 상태로 되고, 링크(45)는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으면, 그 충합부(48a)가 링크(45)의 하단(45a)과 맞붙이게 되고, 이것을 실선으로 도시하는 거의 수평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결판(41) 즉 전환레버(4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고, 즉 렌즈(7)도 표준 위치로 되돌아간다.Therefore, when the switch lever 40 is swung upward from the standard (neutral) position, it is in a wide angle state, and the link 45 is inclined as indicated by a dashed line. Therefore, when the cover 9 is closed in this state, the fitting portion 48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45a of the link 45, and is rotated to an almost horizontal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As a result, the connecting plate 41, that is, the switching lever 40,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that is, the lens 7 also returns to the standard position.

또한, 커버(9)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전환 레버(40)를 아래쪽으로 습동시켰을때에는 링크(45)는 상술한 것과는 역 방향으로 기울어져, 망원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9)를 닫을때는 그 맞붙이기 부분(48b)이 링크(45)의 하단(45b)과 맞붙이게 되고, 이 링크(45)를 거의 수평 상태로 되돌린다. 즉 전환레버(40)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간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lever 40 slides downward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9 is open, the link 45 is inclin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lephoto lever is in a telephoto state. When the cover 9 is closed in this state, the joining portion 48b abuts against the lower end 45b of the link 45, and returns the link 45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That is, the switching lever 40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이와 같이, 불사용의 커버(9)가 닫히므로서 카메라부(5)의 광학계를 표준 상태로 세트할 수 있고, 따라서 그후의 촬상시에는 전환 레버(40)를 조작하지 않는 한은 표준 상태로 촬상하게 된다.Thus, the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part 5 can be set to a standard state by closing the unused cover 9, and therefore, imaging is performed in a standard state unless the switching lever 40 is operated at the time of subsequent imaging. Done.

몸체 케이스(3)내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커버(9)의 아래쪽에 있어서 커버 열림 감지용 스위치(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커버(9)열린 상태에서 이 스위치(50)가 예컨대 온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body case 3, as shown in FIG. 8, the cover open detection switch 50 is fixed in the lower part of the dustproof cover 9, and this switch 50 is opened in the cover 9 opened state. Is for example turned on.

이 스위치(50)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스위치(51a), (51b), (51c)...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져 있다. 이들의 스위치(51a), (51b)...와는, 예컨대 테이프 오 소거 방지 검출용 스위치, 먼저 설명한 푸시버턴(30)에 의한 조작 스위치 등이다. 그래서 직류 전원 단자(52)가 저항기(53) 및 상술한 각 스위치(50), (51a), (51b)..., (151n)의 직렬 회로를 통해서 접지되고, 각 스위치의 직렬 회로와 저항기 (53)와의 접속점이 컴퓨터(54)의 제어 단자(5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컴퓨터(54)는 카메라부(5) 및 VTR부(6)의 여러 종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그 제어 단자(55)에 직류전원(전압)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동작하지 않는다.This switch 5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switch 51a, 51b, 51c ... as shown in FIG. These switches 51a and 51b are, for example, a switch for detecting tape erasure prevention, an operation switch by the push button 30 described above, and the like. Thus, the DC power supply terminal 52 is grounded through the resistor 53 and the series circuits of the switches 50, 51a, 51b, ..., 151n described above, and the series circuit and resistor of each switch. The connection point with 5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55 of the computer 54. The computer 54 controls various kinds of operations of the camera unit 5 and the VTR unit 6, and does not operate when a DC power source (voltage) is added to the control terminal 55.

따라서 각 스위치가 모두 온되고, 즉 모든 기록 조건이 만족되면, 컴퓨터(54)의 제어 단자(55)가 접지 전위로 되며, 컴퓨터(54)가 동작 상태로 된다.Therefore, when each switch is all turned on, that is, when all the record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ontrol terminal 55 of the computer 54 becomes the ground potential, and the computer 54 is brought into an operating state.

이상 설명한 본고안에 의하면, 몸체(1)의 카메라부(5)에 있어서, 그 촬영(촬상)시에, 전환 레버(40)를 조작하여 표준 위치 이외의 광각 또는 망원 상태에서 사용한 후, 방진커버(9)를 닫으므로서 카메라부의 렌즈는 자동적으로 표준 포지션으로 되돌려지고, 따라서 이후의 촬상시에, 전환 레버(40)의 전환을 잊어버리는 일이 있어도 핀트 벗어남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특히, 몸체(1)의 광학계와 뷰파인더의 광학계가 전혀 별개인 경우에 몸체측의 광학계의 상태를 알 수가 없으므로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posal, in the camera portion 5 of the body 1, when the shooting (imaging), the switch lever 40 is operated and used in a wide angle or telephoto state other than the standard position, and then the dust cover ( By closing 9), the lens of the camera portion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standard position, and therefore, has a feature of not causing a deviation in focus even if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lever 40 is forgotten during subsequent imaging. Therefore, as in the above embodiment, in particular, when the optical system of the body 1 and the optical system of the viewfinder are completely separate, the state of the optical system on the body side is not convenient.

Claims (1)

습동하여 렌즈의 전방을 커버하는 방진 커버(9)를, 상기한 렌즈(7)의 전면으로 습동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렌즈의 촛점 전환 레버(40)를 중립 위치로 가져오는 링크(45)를 갖도록 이루어진 불사용시에 카메라 렌즈가 자동을 표준 위치로 복귀되는 카메라.In the state of sliding the dust-proof cover 9 which covers the front of the len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7, the link 45 which brings the focus switching lever 40 of the lens to the neutral position is A camera in which the camera lens automatically returns to its standard position when not in use.
KR2019860007395U 1985-05-27 1986-05-27 Camera KR930005435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899 1985-05-27
JP1985078899U JPS61196228U (en) 1985-05-27 198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215U KR860015215U (en) 1986-12-30
KR930005435Y1 true KR930005435Y1 (en) 1993-08-16

Family

ID=1367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395U KR930005435Y1 (en) 1985-05-27 1986-05-27 Camera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96228U (en)
KR (1) KR93000543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215U (en) 1986-12-30
JPS61196228U (en) 198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3783B1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US7352961B2 (en) Waterproof housing compatible for a plurality of cameras
KR101114133B1 (en) Imaging device
US4041507A (en)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US6181380B1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light weight and easy to assemble lens barrier supporting mechanism which requires little force to operate
US4589747A (en) Electronic flash incorporated camera
KR930005435Y1 (en) Camera
KR930006846Y1 (en) Video camera
KR930002363Y1 (en) Camcoder
US5819127A (en) Lens cover that slides along front surface of a camera body
JP2000029104A (en) Stroboscope built-in type film unit with lens
KR950004164Y1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US5892996A (en) Lens cover that slides along front surface of a camera body
JPH10304229A (en)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US5523813A (en) Switch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c camera hav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US4571043A (en) Dustproofing device for thin vertically disposed camera
JPH0591398A (en) Camera
US5678100A (en) Douser mounting structure for a photographic camera having a panoramic photographing function
US3941464A (en) Miniature motion picture camera
JPH05225965A (en) Battery mounting device
US7050714B2 (en) Camera with movable lens barrel
JP2007088666A (en) Imaging device
JP2004179793A (en) Image pickup apparatus
US5895136A (en) Miniature flash circuit switch with high current capability
US5822640A (en) Camera including dual sided auxiliary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