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07Y1 - Lamp assembly - Google Patents

Lam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07Y1
KR930005307Y1 KR2019930010147U KR930010147U KR930005307Y1 KR 930005307 Y1 KR930005307 Y1 KR 930005307Y1 KR 2019930010147 U KR2019930010147 U KR 2019930010147U KR 930010147 U KR930010147 U KR 930010147U KR 930005307 Y1 KR930005307 Y1 KR 930005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connector
band
holding
la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1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쓰히로 오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70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43366A/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쓰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30010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07Y1/en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램프 어셈블리Lamp assembly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할로겐족 백열전구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logen group incandescent lamp lamp assembly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램프 어셈블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mp assembly of FIG. 1 is assembled. FIG.

제3도는 제2도의 램프 어셈블리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p assembly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램프 어셈블리에서 상호 적절한 상관위치로 결합되어 있는 유지밴드와 제1의 접속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retaining band and the first connector coupled to each other in a proper correlation position in the lamp assembly of FIG.

제5도는 제4도의 선Ⅴ-Ⅴ를 따라 취한 제1접속기와 유지밴드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holding band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제6도는 제1도-5도의 실시예를 약간 수정한 제3도의 램프 어셈블리와 유사한 도면.FIG. 6 is a view similar to the lamp assembly of FIG. 3 with a slight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제7도는 본 고안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또다른 할로겐족 백열전구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halogen group incandescent lamp lamp assemb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제7도의 램프 어셈블리를 조립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lamp assembly of FIG.

제9도는 제8도의 램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p assembly of FIG.

제10도는 제7도의 램프 어셈블리에 사용된 유지밴드 및 제1접속기의 확대된 분해 사시도.10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band and the first connector used in the lamp assembly of FIG.

제11도는 제10도의 유지밴드와 제1접속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holding band and the first connector of FIG. 10; FIG.

제12도는 제11도의 선Ⅶ-Ⅶ를 따라 취한 유지밴드 및 제1접속기의 단면도.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band and the first connector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1. FIG.

제13도는 제12도에서 Ⅷ로 나타낸 벌브 협지편으로서, 제10도 내지 12도의 유지밴드상의 어느 하나의 벌브협지편을 나타내는 확대 부분 정면도.FIG. 13 is an enlarged partial front view showing one bulb clamping piece on the holding band of FIGS.

제14도는 제1도-제9도의 램프 어셈블리에서 사용된 제2접속기의 확대된 정면도.1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second connector used in the lamp assembly of FIGS.

제15도는 제7도-제14도의 실시예를 약간 변형한 또다른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lamp assembly slightly modified from the embodiment of FIGS. 7-14.

제16도는 제15도의 램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p assembly of FIG. 15.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램프 어셈블리 3 : 유리구1: lamp assembly 3: glass sphere

4 : 벌브 기저부 12 : 유지밴드4 bulb base 12 retaining band

14, 14', 15, 15' : 벌브 협지편 16 : 제1금속제 접속기14, 14 ', 15, 15': bulb clamp 16: first metal connector

18 : 지지벽 22 : 격벽18: support wall 22: partition wall

27 : 요부 30 : 제2금속제 접속기27: main part 30: second metal connector

34 : 블레이드형 단자 35 : 고정러그34: blade type terminal 35: fixed lug

37 : 접속기 38 : 접착제층37 connector 38 adhesive layer

본 고안은 전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전구 및 벌브홀더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할로겐족 백열전구와 같은 벌브를 플라스틱 재료로된 유지본체에 정확히 장착시킬 수 있는 개선된 장치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bulb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assembly consisting of a bulb and bulb holder assembly for an automobile headligh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assembly having an improved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mounting a bulb, such as a halogen incandescent bulb, on a holding body made of plastic material.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백열전구 조립체에 있어서, 실제로 플라스틱 성형된 관형의 유지본체를 가지고 유리구를 고정시켜 반사경에 장착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유지본체는 얻을 수 있는 치수의 정확도와 플라스틱의 유연성에 의한 유지 본체와 반사경 사이에 이루어지는 긴밀한 접촉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 또한 유리재료로 만들어진 전구를 플라스틱 유지본체로 유지시키는데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통산,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금속제의 유지밴드가 유리구의 밀봉된 기저부 주위로 감겨지고 그 하나의 유지밴드에 형성된 벌브 협지편의 대향쌍에 의해 벌브 기저부를 탄성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 유지밴드는 플라스틱 유지본체에 확고히 결합된 관형의 금속제 접속기에 플라즈마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전구벌브는 이제까지 2개의 금속제 부재, 즉 유지밴드와 접속기를 통해 플라스틱 유지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In incandescent light bulb assemblies for automobile headlights, it is known that the glass sphere is fixed to the reflector by actually holding the plastic molded tubular holding body. The holding body is molded of plastic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holding body and the reflector due to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s obtain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plastic. In addition, special consideration is needed to keep the bulbs made of glass material in the plastic holding body. In general, a metal retaining band is wound around the sealed base of the glass sphere for this purpose and elastically engages the bulb base by opposing pairs of bulb pinching pieces formed in one of the retaining bands. The holding band is plasma-welded to a tubular metal connector firmly bonded to the plastic holding body.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bulb bulb has been supported by the plastic holding body through two metal members, namely, the holding band and the connector.

또한 상기 2개의 금속제 부재를 만들기 위한 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문제의 2개 부재중의 하나인 유지밴드는 거기에 일체로 형성된 자기 바이어스된 협지편을 통해 벌브 기저부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고도의 탄성을 가진 물질이 먼저 유지밴드에 대한 재료가 될 필요성이 있다. 탄성에 대해서만 논의하지면, 유지밴드의 재료로서는 니켈은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for making the two metallic members. The retaining band, one of the two members in question, must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ulb base through a self biased sandwich piece integrally formed therein. Therefore, a highly elastic material needs to be the material for the holding band first. If only elasticity is discussed, nickel silver is the most preferred material for the holding band.

그러나, 니켈은으로 만들었을 때 유지밴드는 접속기가 용접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플라즈마 용접에 의해 접속기에 견고히 결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made of nickel silver, the holding band has a problem that even if the connector is made of a weldable material, it cannot be firmly coupled to the connector by plasma welding.

어떤 특정한 조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합금강이 플라즈마 용접에 보다 적합 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만들었을 때 유지밴드는 접속기에 알맞게 용접될 수 있으나 탄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로써 유지밴드는 전구벌브를 화실히 고정시킬 수 없게 되고 최악의 경우에 벌브 기저부를 균열 시키거나 파손되게 할 수 있다.Stainless alloy steels of any particular composition may be more suitable for plasma welding. When made of such a material, the retaining band can be welded to the connector but lacks elasticity. This prevents the holding band from holding the bulb bulbs upright and in the worst case can crack or break the bulb base.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은 형태의 램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이제까지 논의 되어 왔던 문제점이 없이 플라스틱 재료로 된 유지본체로써 유리재료의 전구벌브를 견고히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firmly holding a bulb bulb of a glass material as a holding body made of a plastic material without problems which have been discussed so far in the lamp assembly of the type described above.

간략히 말해서, 본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또는 다른 응용에에 적용하기 위한 램프 어셈블리는 전구벌브와의 벌브 기저부와 탄성결합에 의해 전구 벌브를 고정하는 유지밴드를 포함하고, 이 유지밴드는 전구벌브를 확실히 고정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지닌 제1의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스포트 용접에 의해 유지밴드에는 제2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제1접속기가 용접된다. 이 제2의 금속은 제1접속기가 유지밴드에 확실히 용접되기에 충분한 재료로 된다. 또한 용접가능한 제2접속기가 관형의 플라스틱 성형된 유지몸체에 부동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제1접속기에 용접 되어 있다.In short, a lamp assembly for application to automotive headlights or other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retaining band for fixing the bulb bulb by elastic coupling with the bulb base with the bulb bulb, which retains the bulb bulb. It is made of a first metal with sufficient elasticity to be securely fixed. By spot welding, a first connector made of a second metal is welded to the holding band. This second metal is made of a material sufficient for the first connector to be reliably welded to the holding band. The weldable second connector is also floatingly coupled to the tubular plastic molded retainer and also welded to the first connector.

따라서 전구벌브가 유지밴드와 제1 및 제2의 접속기를 통해 플라스틱 유지본체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bulb bulb can be accurately fixed to the plastic holding body through the holding ban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유지밴드의 재료로서는 특히 니켈은이 양호하다. 니켈은으로 만들었을 때 유지밴드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벌브 기저브와 탄성결합이 되도록 자기 편향되어 있는 대향된 쌍의 벌브 협지편에 의해 전구의 베이스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니켈은의 높은 탄성은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이나 사용중에 벌브 협지편에 의한 벌브 기저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니켈은을 선택한 이유는 양호한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다는데 있다. 유지밴드는 렘프 어셈블리 사용중에 전구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키게 된다.Nickel silv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a material of the holding band. When made of nickel, the retaining b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it 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base of the bulb by opposing pairs of bulb clamping pieces which are magnetically deflected to elastically engage the bulb base. The high elasticity of nickel silver has the additional purpose of preventing the bulb base from being damaged by the bulb clamping piece during assembly or use of the lamp assembly. The reason why nickel is selected is that it has good thermal conductivity. The retaining band effectively dissipates the heat generated by the bulb during use of the lamp assembly.

제1 및 제2의 접속기의 재료로서는 스테인레스 강, 특히 이후 설명되어질 어느 특정한 조성을 가진 오스테나이트 강이 적합하다.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진 제1의 접속기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니켈은의 유지밴드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Suitable materials fo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stainless steel, in particular austenite steel with any particular composi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nector made of stainless steel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retaining band of nickel silver by spot welding.

또한,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의 접속기는 서로 확실하게 플라즈마 용접된다. 실험에 의해 본 고안은 유리구와 플라스틱 유지본체 사이의 기계적인 불량접속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입증 되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made of stainless steel are reliably plasma welded to each other. Experiments have demonstrated that the present design significantly reduces the mechanical failure rate between the glass sphere and the plastic holding body.

본 고안의 상기한 특징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을 첨부도면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본 고안을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할로겐족 백열램프 어셈블리(1)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램프 어셈블리(1)는 적당한 고온재의 유리구(3)를 갖는 복식 필라멘트 전구(2)를 포함한다. 유리구(3)는 일단에 핀치 시일링에 의해 형성된 편평형 벌브 기저브(4)와 타단에 배기구(5)를 갖는다. 그 양단이 밀봉되어 유리구(3)에는 적당한 충전압력과 적당한 불활성 가스와 함께 소정량의 할로겐이 채워져 있다.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ccording to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y applying the halogen group incandescent lamp assembly 1 for use in automobile headlights. The lamp assembly 1 comprises a double filament bulb 2 with a glass sphere 3 of a suitable high temperature material. The glass sphere 3 has a flat bulb base 4 formed at one end by pinch sealing and an exhaust port 5 at the other end. Both ends are sealed, and the glass sphere 3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halogen together with a suitable filling pressure and a suitable inert gas.

참고번호 6은 유리구(3)의 기저부(4)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두쌍의 리드선이다. 벌브구(3)내에 유리 브리지(7)는 일렬로 규정된 위치에 두쌍의 리드선(6)을 유지하여 사전할당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2개의 필라멘트(8)를 가설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필라멘트는 한쌍의 리드선(6)의 선단간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6)은 하방으로, 또는 벌브 기저부(4)의 후방으로 돌출해 있는 부분을 갖는다.Reference numeral 6 is a pair of lead wires extending through the base 4 of the glass sphere 3. The glass bridge 7 in the bulb sphere 3 can hold two pairs of lead wires 6 in a line defined position so that two filaments 8 can be placed at positions spaced at pre-assigned intervals, each filament Is connected between the ends of the pair of lead wires 6. The lead wire 6 has a part which protrudes below or behind the bulb base 4.

제1도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벌브구(3)의 기저부(4)는 한쌍의 비교적 확장된 측플랜지(9)를 포함한 I형 단면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는 벌브 기저부(4)의 웨브부가 폭방향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소형 결합돌부(10)를 갖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As best seen in FIG. 1, the base 4 of the bulb bulb 3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comprising a pair of relatively extended side flanges 9. 1 and 3 show that the web portion of the bulb base portion 4 has a pair of small engaging protrusions 10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결합돌부(10)는 벌브 기저부(4)의 결합부이다.Coupling protrusion 10 is a coupling portion of the bulb base (4).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참고번호 11은 백열전구(2)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벌브 유지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대체로,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벌브 유지 어셈블리(11)는 벌브 기저부(4)를 에워싸고 그것과 확실히 결합된 금속제 유지밴드(12), 유지밴드(12)에 강력히 결합되어 디스크형의 제1금속제 접속기(16),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하우징에 장착될 경질의 플라스틱재의 대체로 관형인 유지본체(21), 및 제1금속제 접속기(16)를 통해서 유지밴드(12)를 유지본체(21)에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관형의 제2금속제 접속기(30)로 이루어진다. 이후, 벌브 유지 어셈블리(11)의 주요한 구성요소들(12,16,21 및 30)을 계속해서 상세히 설명한다.Reference numeral 11 in FIGS. 1 to 3 denotes a bulb holding assembly for holding the incandescent bulb 2 firmly. In general, as illustrated in FIG. 1, the bulb retaining assembly 11 is strongly disc coupled to the metal retaining band 12, the retaining band 12, which encloses the bulb base 4 and is securely coupled thereto. The holding band 12 is held by the first metal connector 16, a generally tubular retaining body 21 of a rigid plastic material to be mounted in an automobile headlight housing (not shown), and a first metal connector 16. And a tubular second metal connector 30 for firmly connecting to 21). The main components 12, 16, 21 and 30 of the bulb retaining assembly 11 will then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 내지 제3도에 유지밴드(12)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1금속제 접속기(16)와 공동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유지밴드(12)를 확대하여 예시하였다. 유지밴드(12)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벌브 기저부(4)와 조립될 일반적으로 관형 또는 상자형부분(13)을 갖는다. 관형부분(13)은 벌브 기저부(4)의 웨브부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긴 측면에 대향하여 순방향으로 뻗어있는 두쌍의 탄성 U형 벌브 협지편(14 또는 14')을 갖는다. 벌브 협지편(14 또는 14')의 각 쌍은 벌브 기저부(4)의 플랜지(9)의 쌍들간에 꼭 맞도록 칫수가 정해지고 상호간에 간격이 이루어져 있다.Although the retaining band 12 is shown in FIGS. 1 to 3, the retaining band 12 is enlarged and illustrated in FIGS. 4 and 5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metal connector 16. The retaining band 12 has a generally tubular or box-shaped portion 13 that is open at both ends and will be assembled with the bulb base 4. The tubular portion 13 has two pairs of elastic U-shaped bulb clamping pieces 14 or 14 'that extend in the forward direction opposite the long side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web portion of the bulb base 4. Each pair of bulb clamping pieces 14 or 14 'is dimensioned to fit snugly between the pairs of flanges 9 of the bulb base 4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유지밴드(12)의 관형부(13)는 마주보는 한상의 넓은 측면의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고 보통 내부로 그리고 후방으로 뻗어서 벌브 기저부(4)의 표면에 거의 나란하게 놓여있는 선단(15a) 및 (15'a)로 끝나는 다른 두쌍의 벌브 협지편(15,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벌브 협지편(15a및 15')의 이들 선단(15a 및 15'a)는 벌브 기저부(4)의 양측면에 있는 한쌍의 결합돌부(10)와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The tubular portion 13 of the retaining band 12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broad side of the opposite phase and usually extends inwardly and rearwardly and lies almost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bulb base 4 and (15a) and ( It is formed to include two other pairs of bulb clamping pieces 15 and 15 'ending with 15'a). These tips 15a and 15'a of the bulb clamping pieces 15a and 15 'are firmly engaged with the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10 on both sides of the bulb base 4.

전술한 구성의 유지밴드(12)에 있어서, 벌브 협지편(14) 및(14')의 전방의 두쌍과 벌브 협지편(15a및 15')의 후방의 두쌍 양자 모두는 벌브를 견고히 협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바이어스하게 백열전구(2)의 편평 기저부(4)에 대해 탄성적으로 협지되어야 한다.In the holding band 12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oth the front pair of bulb clamping pieces 14 and 14 'and the rear pair of bulb clamping pieces 15a and 15' both securely hold the bulb. It should be biased elas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at base 4 of the incandescent bulb 2 with its own bias.

그러므로, 양호한 열전도서의 면에서 뿐만 아니라, 고탄성의 측면에서 유지밴드(12)의 재료로 니켈은을 제안한다. 니켈은은 잘 알려진 바와같이, 외관이 은과 유사한 아연, 니켈 및 동의 비철합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니켈은의 성분은 약61-67%의 동, 16.519.5%의 니켈 0.1%이하의 납, 0.25%이하의 철, 0.5%이하의 망간 및 나머지 퍼센트의 아연이다. 황동, 즉 구리아연 합금은 본 고안의 요건에 부합하는 유지밴드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Therefore, nickel silver is proposed as a material of the holding band 12 not only in terms of good thermal conductivity, but also in terms of high elasticity. Nickel is, as is well known, a nonferrous alloy of zinc, nickel and copper similar in appearance to silver. Particularly preferred nickel silver components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bout 61-67% copper, 16.519.5% nickel less than 0.1% lead, less than 0.25% iron, less than 0.5% manganese and the remaining percentage zinc. . Brass, i.e., copper zinc alloy, is another example of a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make a holding band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보통 원반형인 제1금속제 접속기(16)는 내부중심에 형성된 사각형의 부착구(17)를 갖는다. 이 부착구(17)는 유지밴드(12)의 관형부분(13)을 상당히 면밀하게 수납하도록 칫수와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한쌍의 지지벽(18)은 부착구(17)를 경계짓는 한쌍의 대향하는 긴변에 직각으로 그리고 순방향으로 뻗어있다.The first metal connector 16, which is usually disk-shaped, has a rectangular attachment hole 17 formed at an inner center thereof. This attachment port 17 is dimensioned and shaped to receive the tubular portion 13 of the retaining band 12 very closely. The pair of support walls 18 extend at right angles an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pair of opposing long sides delimiting the attachments 17.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지밴드(12)는 그 후단에 있는 한쌍의 플랜지가 접속기와 맞닿을 때까지 제1접속기(16)의 부착구(17)에 삽입된다. 한쌍의 지지벽(18)은 점용접, 특히 플라즈마 용접에 의해 관형부분(13)의 한쌍의 넓은 벽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밴드(12)와 제1접속기(16)는 제5도의 상태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retaining band 12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port 17 of the first connector 16 until the pair of flanges at its rear end abut the connector. The pair of support walls 18 are fixed to the pair of wide walls of the tubular portion 13 by spot welding, in particular plasma welding. Thus, the holding band 12 and the first connector 16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FIG.

제4도에는 펀칭에 의해 제1접속기(16)의 주변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본실시예에서는 4개의 부착구(19)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부착편(20)은 제1접속기(16)의 펀칭된 부분을 전방으로 구부려서 지지벽(18)에 인접하여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In FIG. 4, four attachment holes 19 ar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16 by punching. A plurality of attachment pieces 20 are formed one by one adjacent to the support wall 18 by bending the punche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6 forward.

고탄성은 제1접속기(16)의 재료의 필수 속성은 아니다. 오히려, 제1접속기는 유지밴드(12)뿐만 아니라 제2금속제 접속기(30)에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용접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의 양호한 용접가능성의 측면에서 제1접속기(16)의 재료로서 스테인레스 강이 좋다. 철에 더하여, 크롬과 니켈을 함유하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은 다른 종류의 스테인레스 강보다 의도하는 목적에 보다 잘 충족될 것이다. 현재로 바람직한 성분은 18-20%의 크롬, 8-10.5%의 니켈, 0.08%이하의 탄소, 1.0%이하의 실리콘, 2.0%이하의 망간, 0.045%이하의 인, 0.03% 이하의 유황, 및 나머지의 철이다.High elasticity is not an essential attribute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or 16. Rather, the first connector should be able to be easily and firmly welded not only to the holding band 12 but also to the second metal connector 30. Stainless steel is preferr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or 16 in view of its good weldability. In addition to iron, stainless steels containing chromium and nickel will better serve their intended purpose than other types of stainless steel. Currently preferred components are 18-20% chromium, 8-10.5% nickel, 0.08% or less carbon, 1.0% or less silicon, 2.0% or less manganese, 0.045% or less phosphorus, 0.03% or less sulfur, and The rest is iron.

제2도 및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벌브(2)는 유지밴드의 관형부분(13)내에 벌브 기저부(4)를 삽입시켜서 유지밴드(12)에 의해 유지된다. 유지밴드(12)에 벌브 기저부(4)의 완전삽입이 이루어졌을 때, 두쌍의 벌브 협지편(14및14')은 벌브 기저부(4)의 웨브부의 대향측면쪽으로, 그리고 벌브구(3)의 기저단부쪽으로 눌러진다. 또한, 유지밴드상의 다른 두쌍의 협지편(15 및 15')는 벌브 기저부(4)와 결합하여 잠근다.As can be seen in FIGS. 2 and 3, the bulb 2 is held by the retaining band 12 by inserting the bulb base 4 into the tubular portion 13 of the retaining band. When the bulb base 4 is fully inserted into the retaining band 12, the two pairs of bulb clamping pieces 14 and 14 ′ are directed toward opposite sides of the web portion of the bulb base 4 and of the bulb bulb 3. Pressed towards the base end. In addition, the other two pairs of clamping pieces 15 and 15 'on the retaining band engage and lock with the bulb base 4.

따라서, 유지밴드(12)는 우발적인 분리 또는 이탈가능성에 대해 확실히 백열전구(2)를 협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holding band 12 firmly holds the incandescent lamp 2 against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detachment or detachment.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성형된 대체로 관형의 유지본체(21)는 제3도에서 전방본체부(23)와 후방본체부(24)간의 경계를 이루는 격벽(22)를 갖는다. 전방본체부(23)는 주로 백열전구(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반면에 후방본체부(24)는 백열전구에 대한 접속기의 역할을 한다. 유지본체(21)는 그 장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플랜지(26)를 갖는다. 플랜지(26)는 램프 어셈블리(1)를 램프 축방향 주위로 정확한 각 위치로 도시되지 않은 램프 하우징에 장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플랜지(26)상의 소정의 각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지만 제1도 및 제2도에는 단지 2개만 도시되어 있는 요부(27)를 갖는다.The generally tubular holding body 21, preferably formed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has a partition 22 that forms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body portion 23 and the rear body portion 24 in FIG. The front body portion 23 mainly serves to support the incandescent bulb 2, while the rear body portion 24 serves as a connector for the incandescent bulb. The holding body 21 has a flange 26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plurality of flanges 26, in this embodiment, are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positions on the flange 26 for use in mounting the lamp assembly 1 to the lamp housing, not shown in the exact angular position around the lamp axial direction. The openings have recessed portions 27, which are shown only two in FIGS. 1 and 2.

본체(21)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환상홈(28)은 플랜지(26)로부터 전방으로 위치한 자리에 있으며, 상기 홈(28)에 0링형 시일(29)이 끼워맞춰 고정된다.The annular groove 28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is located forward from the flange 26, and a zero ring seal 29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28.

이 시일은 램프 어셈블리(1)와 도시되지 않은 램프 하우징간의 이음매를 봉해서 방수에 기여한다.This seal seals the seam between the lamp assembly 1 and the lamp housing (not shown) and contributes to waterproofing.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금속제 접속기(20)는 유지본체(21)의 전방부(23)에 밀접하게 내장되도록 외형과 외경을 가지며, 백열전구(2)를 유지본체(21)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데 기여한다. 제1접속기(16)에 용접시키고저 할 때에는 제2접속기(30)로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용접가능한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로 제2접속기(30)는 제1접속기(16)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econd metal connector 20 has an outer shape and an outer diameter so as to be closely embedded in the front part 23 of the holding body 21, and holds the incandescent lamp 2. It contributes to the mechanical connection to (21). When welding to the first connector 16, the second connector 30 should be made of a weldable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us, in practice,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nector 16.

제1도에서 주지된 바와같이, 제2접속기(30)는 스트립 또는 띠모양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관형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스트립의 만나는 양단을 구부려 접어 결합시킴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noted in FIG. 1, the second connector 30 may be formed by bending a strip or strip of stainless steel sheet in a tubular shape to bend and fold the opposite ends of the strip.

제1금속제 접속기(16)에 있는 각각의 부착구(19)에 수납되는 선단(32)을 갖는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접속기 플랜지(31)는 제2접속기(30)의 전방으로부터 순방향으로 그리고 내부로 뻗어있다. 적당수(예를들면, 3개)의 구멍(33)은 이후에 설명되는 목적을 위하여 제2접속기의 주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connector flanges 31 having forward ends 32 accommodated in respective attachment holes 19 in the first metal connector 16 ar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or 30. And stretches into the interior. An appropriate number (eg three) of holes 33 are formed at intervals around the second connector for the purpose described later.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본체(21)의 전방부(23)에 제2접속기(30)를 설치한 다음, 유지본체는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다음에, 가소성 수지이기 때문에, 유지본체는 녹아서 제2접속기(30)의 구멍(33)으로 일부 흘러들어가서 유지본체내의 소정위치에 제2접속기를 고착시킨다.As shown in FIGS. 2 and 3, after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23 of the holding body 21, the holding body may be heated by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Next, because it is a plastic resin, the holding body melts and partially flows into the hole 33 of the second connector 30 to fix the second conne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olding body.

제1도 및 제2도에서, 유지본체(21)의 후방부(24)내에는 3개의 블레이드형 단자(34)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자(34)는 그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려진 설치돌기부(35)를 갖는다. 각 설치돌기부(35)는 구멍(36)을 갖는다. 설치돌기부(35) 및 단자(34)의 인접부는 유지본체(21)의 격벽(22)에, 즉 설치돌기부(35)의 구멍(36)이 격벽에 있는 각각의 테이퍼구(25)와 중심이 일치되는 격벽상의 그 위치에 매설된다. 격벽(22)에 있는 구멍(25)을 통해서, 도선(37)은 구멍(36)내의 한쪽 끝에 수납되어 설치돌기부(35)에 용접된다.In FIG. 1 and FIG. 2, three blade-type terminals 34 are provided in the rear part 24 of the holding body 21. As shown in FIG. Each terminal 34 has a mounting projection 35 bent at right angles therefrom. Each mounting projection 35 has a hole 36. The adjoining portions of the mounting projection 35 and the terminal 34 are centered on the partition wall 22 of the holding body 21, that is, the holes 36 of the mounting projection 35 are centered with the respective taper holes 25 on the partition wall. It is buried at that position on the corresponding bulkhead. Through the hole 25 in the partition 22, the conducting wire 37 is received at one end in the hole 36 and welded to the installation protrusion 35. As shown in FIG.

앞에서 제1접속기(16)를 유지밴드(12)에 부착하는 방법. 이 유지밴드를 백열전구(2)의 기저부(4)에 설치하는 방법, 및 제2접속기(30)를 유지본체(21)의 전방부(23)내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은, 백열전구(2), 유지밴드(12) 및 제1접속기(16)의 서브 어셈블리를 유지본체(21) 및 제2접속기(30)의 서브 어셈블리에 접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Attaching the first connector (16) to the retaining band (12) from the front. The method of installing this holding band in the base part 4 of the incandescent lamp 2 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2nd connector 30 in the front part 23 of the holding body 21 were demonstrated. Next, a method of connecting the subassembly of the incandescent lamp 2, the holding band 12 and the first connector 16 to the subassembly of the holding body 21 and the second connector 30 will be described.

제2접속기(30)에 있는 핑거(31)의 선단(32)은 우선 제1접속기(16)에 있는 각각의 부착구(19)에 삽입된다. 부착구(19)는 핑거선단(32)를 수납하기에 충분히 큰 것이며 백혈전구(2)에 관하여 적당히 유지본체(21)의 회전을 허용하는 틈새가 있다. 따라서 백열전구(2)와 유지본체(21)은 벌브 필라멘트(8)가 유지본체플랜지(26)에 있는 위치 결정 요구(27)에 관하여 정확히 자리잡을 때까지 수동적으로 서로 회전된다. 다음에 제2접속기(30)의 핑거선단(32)은 제1접속기(16)에 있는 부착편(20)에 플라즈마 용접된다. 2개의 접속기(16) 및 (30)은 양자가 모두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견고하게 서로 용접될 것이다. 이제 전구(2)는 유지밴드(12)와 제1 및 제2접속기(16 및 30)에 의해서 유지본체(21)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The tip 32 of the finger 31 in the second connector 30 is first inserted into each attachment port 19 in the first connector 16. The attachment port 19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finger tip 32 and there is a gap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retaining body 21 with respect to the leukocyte bulb 2. Thus, the incandescent bulb 2 and the holding body 21 are manually rotated with each other until the bulb filament 8 is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ing request 27 in the holding body flange 26. The finger tip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then plasma welded to the attachment piece 20 in the first connector 16. The two connectors 16 and 30 will be firmly welded to each other since both ar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bulb 2 is now securely mounted to the holding body 21 by the holding b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6 and 30.

벌브 기저부(4)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리드선(6)은 납땜에 의해서 접속기(37)에 종래와 같이 일체화된다.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한 납땜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lead wire 6 extending outward from the bulb base 4 is integrated into the connector 37 as conventionally by soldering. It is proposed to solder by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제2의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6도에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 약간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된 램프 어셈블리는 접착재의층(38)으로 그 특징을 이루어 접착재층(38)은 도선(37)을 블레이드형 단자(34)의 설치돌기부(35)에 납땜한 후에 유지본체(21)의 후방부(24)에 접착재를 충전하여서 유지본체(21)의 후방부(24)에 형성되어 있다.FIG. 6 shows a slight modification to the embodiment of FIGS. 1 to 5. The deformed lamp assembly is characterized by a layer of adhesive material 38 so that the adhesive material layer 38 is soldered to the mounting projection 35 of the blade-type terminal 34 and then rear of the holding body 21. The portion 24 is filled with an adhesive and formed on the rear portion 24 of the holding body 21.

접착재층(38)은 램프 어셈블리(1)의 방수성을 개량하고 단자(34)를 유지본체(21)내의 제자리에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adhesive layer 38 is intended to improve the waterproofness of the lamp assembly 1 and to hold the terminal 34 firmly in place in the holding body 21.

[제3의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7도 내지 제9도에는 본 고안의 제3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있는 할로겐족 백열램프 어셈블리(39)가 도시되어 있다. 이 램프 어셈블리(39)의 백열전구(2)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램프 어셈블리(1)의 전구(2)와 동일 구성의 것이다.7 to 9 show a halogen group incandescent lamp assembly 39 constitu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andescent bulb 2 of the lamp assembly 39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ulb 2 of the lamp assembly 1 of FIGS. 1 to 5.

백열전구(2)를 협지하기 위한 벌브 유지 어셈블리는 제7도 내지 제9도에서 참고번호 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서 처럼, 벌브유지 어셈블리(40)는 금속제 유지밴드(41), 제1금속제 접속기(50),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와 동일 구성의 경성플라스틱 유지본체(21), 및 제2금속제 접속기(57)로 이루어져 있다.The bulb holding assembly for clamping the incandescent bulb 2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0 in FIGS. 7 to 9.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5, the bulb holding assembly 40 has a rigid plastic retainer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mbodiment of the metal retaining band 41, the first metal connector 50, and FIGS. The main body 21 and the 2nd metal connector 57 are comprised.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제1접속기(50)와 공동으로 확대 도시된 유지밴드(41)를 나타낸다. 니켈은 또는 유사한 탄성금속제로 제작된 유지밴드(41)는 대체로 단면이 사각형인 관모양으로, 그 전방에 형성된 마주보는 두쌍의 U형 벌브 협지편(43 및 43')을 갖는 부분(42)을 갖는다. 이들 벌브 협지편(43) 및 (43')는 그 자체의 바이어스하에 벌브 기저부(4)의 웨브부의 양측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한쌍의 요부(44)는 유지밴드(41)의 전방단부에 있는 각 벌브 협지편(43) 또는 (43')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들 요부(44)는 벌브 협지편(43 및 43')의 길이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하여 그러므로 그들의 탄성을 증대시킨다. 제10도에 보인 바와같이, 벌브 기저부(4)의 측부림(9)과 접촉하는 벌브 협지편(43 및 43')의 선단의 가장자리(43a) 및 (43'a)는 측부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둥글게 된다. 대향한 서로 다른 두쌍의 벌브 협지편(45 및 45')은 유지밴드(41)의 양측의 벽으로부터 내부로, 후방으로 뻗어있도록 협지편(43 및 43')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나란하게 놓여있는 구부려진 선단(45a 및 45'a)으로 끝난다. 협지편(45 및 45')의 이들 선단은 또한 벌브 기저부상에 형성된 결합돌부(10)와 견고하게 맞물려 벌브 기저부(4)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유지될 것이다.10 to 12 show the retaining band 41 shown enlarged jointly with the first connector 50. The holding band 41 made of nickel silver or similar elastic metal has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has a portion 42 having two pairs of opposite U-shaped bulb clamping pieces 43 and 43 'formed in front thereof. Have These bulb clamping pieces 43 and 43 'are elastically held relative to both sides of the web portion of the bulb base 4 under its own bias. A pair of recessed portions 4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bulb clamping piece 43 or 43 'at the front end of the holding band 41. These recesses 44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bulb clamping pieces 43 and 43 'and therefore increasing their elasticity. As shown in FIG. 10, the edges 43a and 43'a of the tips of the bulb clamping pieces 43 and 43 'in contact with the side edges 9 of the bulb base 4 do not damage the side edges. So that it is rounded. Two opposite pairs of bulb sandwiching pieces 45 and 45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sandwiching pieces 43 and 43' so as to extend inwardly and rearwardly from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retaining band 41, and side by side. Ends with bent tips 45a and 45'a. These tips of the sandwich pieces 45 and 45 'will also be firm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10 formed on the bulb base and will remain elastic on both sides of the bulb base 4.

제13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상술한 벌브 협지편(43,43',45 및 45')는 그런 협지편을 만들기 위하여 니켈은 시트를 펀칭할 때 발생되는 버어(46)를 갖는다. 그런 펀칭의 방향과, 상술한 바와같이 이들을 구부릴 때 협지편의 방향은 버어(46)가 벌브 기저부(4)와 접촉되지 않도록 결정되어야 한다.As enlarged in FIG. 13, the above-described bulb clamping pieces 43, 43 ', 45 and 45' have a burr 46 which is generated when nickel is punched into the sheet to make such clamping pieces. The direction of such punching and,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of the clamping piece when bending them should be determined so that the burr 46 does not contact the bulb base 4.

유지밴드(41)의 마주보는 한쌍의 넓은 측면(48 및 48')은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진 한쌍의 플랜지(47 및 47')를 갖는다. ㅇ지밴드(41)의 이 넓은 측면(48 및 48')유지밴드의 후방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비교적 작은 한쌍의 보스(49 및 49')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opposing pair of wide sides 48 and 48 'of the retaining band 41 has a pair of flanges 47 and 47' bent at right angles outward therefrom. The wide sides 48 and 48 'of the support band 41 are formed to include a relatively small pair of bosses 49 and 49'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and.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의 접속기(16)와 같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용접 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제1의 접속기(50)은 유지밴드(42)의 관형부분(42)을 비교적 근접하게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진개구(51)가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의 형태로 된다. 한쌍의 지지벽(52)은 개구(51)를 향한 한쌍의 대향된 긴 모서리로부터 전방 및 직각으로 연장된다. 직각의 지지벽(52)은 유지밴드(41)상의 어느 하나의 보스(49) 및 (49')와 결합하기 위해 그 중심에 그멍(53)을 형성하고 있다.The first connector 50 made of weldable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uch as the first connector 16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receive the tubular portion 42 of the retaining band 42 relatively close. The opening 51 having a size and shape of the degree is in the form of a disk formed in the center. The pair of support walls 52 extend forward and at right angles from the pair of opposed long edges facing the opening 51. The right support wall 52 forms a groove 53 at the center thereof to engage any one of the bosses 49 and 49 'on the retaining band 41.

제12도에 명백히 나타낸 것과 같이, 유지밴드(41)의 관형부분(42)은 유지밴드의 한쌍의 플랜지(47) 및 (47')가 제1의 접속기에 접하게 될 때까지 제1접속기(50)내의 개구(51)로 삽입된다. 유지밴드(41)의 넓은 측벽(48) 및 (48')상의 한쌍의 보스(49) 및 (49')는 유지밴드의 관혀부분(42)이 제1의 접속기 개구(51)에 충분히 삽입되었을 때 제1접속기(50)의 지지벽(52)내의 구멍(53)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간에 적합하게 위치되어 유지밴드(41)와 제1의 접속기(50)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2개의 부분(41) 및 (50)은 제1접속기(50)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매우 용접이 용이한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용이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용접된다.As is clearly shown in FIG. 12, the tubular portion 42 of the retaining band 41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50 until the pair of flanges 47 and 47 'of the retaining band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In the opening 51). The pair of bosses 49 and 49 'on the wide sidewalls 48 and 48' of the retaining band 41 may be sufficient to ensure that the conduit 42 of the retaining band has been ful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opening 51. The first connector 50 is coupled to the hole 53 in the support wall 52. Therefore, the retaining band 41 and the first connector 50 are suitably positioned with each other and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The two parts 41 and 50 are easily and firmly welded to each other since the first connector 50 is made of a very easy-to-weld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Claims (1)

내용없음No content
KR2019930010147U 1988-03-24 1993-06-08 Lamp assembly KR9300053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147U KR930005307Y1 (en) 1988-03-24 1993-06-08 Lamp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0627A JPH01243366A (en) 1988-03-24 1988-03-24 Electric lamp with base
JP70627 1988-03-24
KR1019880011692A KR890015340A (en) 1988-03-24 1988-09-10 Lamp assembly
KR2019930010147U KR930005307Y1 (en) 1988-03-24 1993-06-08 Lamp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692A Division KR890015340A (en) 1988-03-24 1988-09-10 Lamp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07Y1 true KR930005307Y1 (en) 1993-08-13

Family

ID=2730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147U KR930005307Y1 (en) 1988-03-24 1993-06-08 Lamp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0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574A (en) Incandescent lamp with a metal coupling to a plastic lamp base for automotive headlamp and like lighting applications
US4864183A (en) Electric lamp assembly having improved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light bulb and molded plastic holder body
EP0193997B1 (en) Capped electric lamp
US4547838A (en) Electric lamp assembly with a molded plastic base
US6270235B1 (en) Lamp and lamp based assembly
EP0188260A2 (en) Replaceable lamp unit and automobile headlight utilizing same
JPH04337242A (en) Replacement type bulb assembly proper for automobile headlight
JPS5814030B2 (en) Lamp and socket assembly
EP0129869A1 (en) Method of making replaceable lamp unit for automotive headlight
US4427255A (en) Plastic based glass halogen lamp
JP2000173320A (en) Electric bulb
US5121304A (en) Vehicle lamp
US5952773A (en) Capped electric lamp
EP0179524B1 (en) Electrical lamp provided with a cap
US6461027B1 (en) Rear combination lamp
KR930005307Y1 (en) Lamp assembly
US4282565A (en) Sealed, prefocused mount for plastic PAR lamp
EP0812004B1 (en) Automobile lamp bulb
US5221874A (en) Electric lamp having lead-throughs clamped and welded to lamp cap contacts
US4338708A (en) Lamp assembly method
JPS6110242Y2 (en)
JPH047561Y2 (en)
JP3467357B2 (en) Socket for a baseless light bulb, a baseless light bulb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JPH0527949B2 (en)
JPS62157669A (en) Lamp with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