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01B1 -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01B1
KR930004601B1 KR1019850010092A KR850010092A KR930004601B1 KR 930004601 B1 KR930004601 B1 KR 930004601B1 KR 1019850010092 A KR1019850010092 A KR 1019850010092A KR 850010092 A KR850010092 A KR 850010092A KR 930004601 B1 KR930004601 B1 KR 93000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ke
retaining plate
spokes
imita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1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32A (ko
Inventor
유르겐 헴펠만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엔아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한스 아아르 바이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한스 아아르 바이슈 filed Critical 엔아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7000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00Spoked wheels; Spokes thereof
    • B60B1/02Wheels with wire or other tension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8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wheel bolts or wheel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4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18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simulating spoked or wir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의 일부분의 정면도로서,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 있는 상기 장식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식체의 중앙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배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중앙 조립체의 몇몇 요소들의 스냅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장식체의 일부분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4도의 단면도와 동일한 방향과 위치에서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2 : 외축 링 조립체 14,114 : 중앙 조립체
16,116 : 스포크 18,118 : 외측 링
22,122 : 스포크 수용구멍 24,124 : 중심 잡기 스페이서
26,126 : 클립 28,128 : 고정 브래킷
42,142 : 축방향 내측 스포크 44,144 : 축방향 외측 스포크
46,146 : 내측 스포크 보유판 48,148 : 외측 스포크 보유판
50,150 : 상부 스포크 보유판 64,68,164 : 스포크 수용 슬로트
70,170 : 회전 방지 스프링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륜 장식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스냅 결합 구조의 특징을 갖는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중앙 조립체를 가지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 장식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는 옛날에 많은 자동차에 사용되었던 실제의 와이어 스포크 차륜의 외관을 모방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의 와이어 스포크 차륜은 여러 가지 고려 사항 때문에 오늘날에는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소유자들은 이러한 차륜의 격식있는 모양을 원하고 있고, 따라서, 여러 가지 디자인의 이러한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들이 현재 자동차 제조회사들로 부터 공급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는 중앙 조립체와 외측 링 조립체 사이에 대략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관형 스포크들을 설치하여 만들어진다. 전형적으로, 이들 장식체는 개별적으로 조립된 다수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장식체의 한가지 결점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그 장식체가 도로 사정에 의해 야기된 변형이나 진동을 받을 때 여러 가지 개개의 구성 요소들이 덜거덕 거릴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을 조립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제조 비용을 요한다. 그러한 비용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개별적인 제작, 취급, 보관 등의 비용을 고려하면 더욱 더 증가한다. 자동차 차륜에 부착된 때 모조 장식체의 무게가 스프링하 중량(unsprung weight)을 나타내기 때문에, 승차감과 조종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전체 차량 무게를 줄이기 위해 그 구성요소들 각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적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중앙 조립체를 갖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중앙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은, 별도의 기계적 고정구들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또한 각각의 스포크들을 견고하게 죄어 사용시 구성 요소들이 덜거덕 거리는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 가벼운 스냅 결합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금속판으로 된 부품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무거운 주물로 된 부품이 제거될 수 있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4도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가 도시되어 있고, 이 장식체는 대체로 외측 링 조립체(12)와 중앙 조립체(14)를 포함하고, 그들 사이에서 대체로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스포크들(16)을 가지고 있다.
외측 링 조립체(12)는 환형 링 형태의 외측 링(18)을 포함한다. 그 외측 링(18)은 바퀴 림(rim)(20)의 윤곽을 대체로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바퀴 림을 위한 장식 덮개를 제공한다. 외측 링(18)은 요구되는 미적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크롬도금과 같은 방법으로 밝게 처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외측 링(18)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포크 수용 구멍들(22)을 갖는다. 그 스포크 수용 구멍들(22)은 요구되는 방사상 배치 형태로 스포크들(16)을 수용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포크 수용 구멍들(22)은 이 모조 장식체에 대해서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다. 설치시 외측 링(18)이 대체로 바퀴 림(20)의 중앙에 오게 하기 위한 중심 잡기 스페이서들(24)이 외측 링 주위의 다수의 원주방향 위치들에 배치된다. 외측 링 조립체(12)는 그 외측 링 조립체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 다수의 클립들(26)을 사용함으로써 바퀴 림(20)과 결합된다. 그 클립들(26)은 바퀴 림(20)의 표면과 마찰 결합하거나 그 표면을 물어 외측 링 조립체(12)를 바퀴 림에 부착하는 것을 돕고, 특히 이 장식체와 바퀴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중앙 조립체(14)에는 자동차 바퀴 림에 이 중앙 조립체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수단은 2개 이상의 플랜지(30)를 가진 대략 컵모양의 부재로 된 고정 브래킷(28)과, 이 고정 브래킷의 중심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뻗은 볼트(31)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30)는 고정 브래킷이 자동차 바퀴에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너트(32)가 통과하는 구멍들을 가진다. 자동차 바퀴와 고정 브래킷(28)에 부착된 중앙 조립체(14)를 보유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너트(33)가 볼트(31)에 나사결합된다. 그 너트(33)는 풀거나 조일 때 특수한 공구를 요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난 방지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이와 같은 중앙의 부착 및 잠금 구조는 “바퀴 장식체 중앙 보유 장치”라는 명칭으로 1982년 2월 11일자 출원된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 제347,683호와 “바퀴 장식체 보유 장치”라는 명칭으로 1982년 2월 26일 출원된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 제352,570호에 아주 자세히 나타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포크(16)는 중앙부(34)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1쌍의 다리들(36)을 가지는 대략 Y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다리들(36)의 말단부는 모조의 조정 너트(3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너트의 끝에는 외측 링(18)의 스포크 수용 구멍(22) 안에 꼭 맞게 수용되도록 하는 치수와 형상으로 된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사실감 있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스포크들(16)은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과 축방향 외측 스포크들(44)의 두 그룹으로 배열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은 축방향 외축 스포크들(44)에 비해 더 짧은 반경방향 길이를 가지며 그 외측 스포크들 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미적 외관을 달성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써, 스포크 수용 구멍들(22)은, 축방향 내외측 스포크들(42, 44) 각각의 다리(36)가 여러 축방향 위치들에서 외측 링(18)에 끼워지도록 축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러한 모양이 제2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축방향 내외측 스포크들(42, 44)이 바람직한 상호 교차 외관을 제공한다.
중앙 조립체(14)는 내측 스포크 보유판(46), 외측 스포크 보유판(48), 상부 스포크 보유판(50) 및 상부 윤곽판(52)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축방향 내외측 스포크들(42, 44)의 중앙부(34)를 수용하는 환형홈(54)과 요홈부(56)를 갖는다.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은 또한, 환형 홈(54)과 요홈부(56)에 각각 인접한 1쌍의 반경방향 연장 면들(57, 59)과, 볼트(31)가 통과하는 중앙 구멍(58)을 가지고 있다.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가장자리(60)가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의 반경방향 외측 끝에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잘 도시된 것처럼,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은 그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고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2)를 갖는 링 모양의 부재이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은 또한, 다수의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64)을 가지고 있다.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2)가 가장자리(60) 위에 스냅 결합될 때까지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이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의 가장자리(60)에 접촉하여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축방향으로 압착된 때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이 중앙 조립체(14)에 의해 보유된다. 따라서,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64)의 단부들이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을 죄어 고정시킨다.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들에 상세히 설명된 것처럼, 고정 브래킷(28)과 내측 스포크 보유판(46) 사이에 걸쳐 회전 방지 스프링(70)이 설치되어 회전 방지 결합을 제공한다.
축방향 외측 스포크들(44)은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상부 스포크 보유판(50) 사이의 조임 결합에 의해 중앙 조립체(14)에 고정된다. 이들 보유판은 체결구(71)와 같은 기계적 고정쇠에 의해 서로 그리고 상부 윤곽판(52)에 부착되거나, 혹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부 윤곽판(52)은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68)을 갖는 원판형 판부재이며, 그 스포크 수용-슬로트들의 단부에 축방향 외측 스포크들(44)이 물린다. 상부 윤곽판(52)은 바람직하게는 크롬 도금되거나, 또는 소망의 외관을 제공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처리된다. 중앙 조립체(14)는 너트(33)에의 접근을 위해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는 원판(66)을 수용하기 위한 둥근 중앙 오목부를 가진다.
구성 요소들의 덜거덕거림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이 장식체는 조립된 때 중앙 조립체(14)가 평상시 고정 브래킷(28)과의 접촉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벗어나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3)의 나사 결합시 중앙 조립체(14)는 고정 브래킷(28) 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져 구성 요소들의 약간의 휨을 야기함으로써 그 조립체에 응력을 가하고 덜거덕거림을 막는다.
이 장식체를 조립하는데 있어 다수의 조립 순서가 수행될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순서에서는,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이 외측 링(18)의 적절한 스포크 수용 구멍들(22) 속으로 밀어 넣어진다. 다음, 축방향 내측 스포크들(42)의 중앙부(34)가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의 환형 홈(54)과 일치되게 배치된다. 이 단계는 중앙부(34)가 환형홈(54) 안에 적절히 안착할 수 있도록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그후,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은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조임결합을 하도록 그 내측 스포크 보유판에 스냅 결합된다. 다음, 축방향 외측 스포크들이 적절한 스포크 수용 구멍들(22) 속으로 밀어 넣어지고, 그 스포크들의 중앙부(34)가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의 요홈부(56) 내에 배치된다. 그후, 상부 스포크 보유판(50)과 상부 윤곽판(52)이 체결구들(71)에 의해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에 부착된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48)과 상부 윤곽판(52)의 제조는 단일체의 원형판을 만들고 그것을 원형으로 절단하여 두 개의 링 부재로 자르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후, 플랜지(62)가 별도의 금속 성형 작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축방향 내외측 스포크들(42, 44)의 다리들(36)은 실제의 와이어 스포크 차륜의 모양을 모방하는 상호 엇갈린 외관을 제공하도록 스포크 수용 구멍들(22)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및 6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는 중심 잡기 스페이서들(124)과 클립들(126)을 가진 외측 링 조립체(112)를 포함하여, 전술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 클립들(126)은 바퀴 림(120)에 결합하여 외측 링 조립체를 바퀴 림에 부착하도록 작용한다. 중앙 조립체(114)는 볼트(131)와 너트(133)를 사용하여 고정 브래킷(128)에 연결된다. 이 고정 브래킷(128)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너트(132)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13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각 스포크(116)가 중앙부(134)와 1쌍의 다리들(136)을 가지며, 그 다리들 끝 부분에는 모조의 조정 너트(138)가 제공되어 있다. 내측 스포크 보유판(146)은 전술한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스포크들(142)과 외측 스포크들(144)의 중앙부(134)가 결합되는 환형 홈(154)과 요홈부(156)를 가진다. 반경 방향 연장면들(157, 159)이 각각 환형 홈(154)과 요홈부(156)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이 제1실시예의 상부 윤곽판(52)과 일체로 되어 있고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68) 대신에 스포크 수용 구멍들(168)을 갖고 있다는 점과,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다리들(136)이 그들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들에서 서로 만나도록 외측 스포크들(144)의 중앙부(134)는 조여져 있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다르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의 외부 표면 전체는 호감이 가는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도금되거나 광택 가공된다. 제1실시예에서 처럼 내측 스포크 보유판의 가장자리(160)는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의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162)와 조임 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를 가진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은 스포크 수용 구멍들(168)과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164)을 가진다.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이 내측 스포크 보유판(146)에 스냅 결합되면 내측 스포크들(142)은 면(157)과 스포크 수용 슬로트(164)의 단부 사이에 물리게 되고, 외측 스포크들(144)은 상부 스포크 보유판(150)과 면(159) 사이에 물린다. 상부 스포크 보유판(150)과 내외측 스포크 보유판들(146, 148)은 체결구(71)나 접합에 의해 서로 함께 부착된다. 원판(166)이 중앙 조립체(144)의 중앙 부분을 제거가능하게 덮는다. 중앙 조립체(114)와 고정 브래킷(128) 사이에 회전 방지 스프링(170)이 설치된다.
이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의 조립에 유용한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내측 스포크들(142)의 다리들(136)이 외측 링(118)의 원하는 스포크 수용 구멍들(122) 내에 배치된다. 다음, 내측 스포크 보유판(146)이 외측 링 조립체(112) 안의 중앙에 배치되고, 내측 스포크들(142)의 중앙부(134)가 환형 홈(154) 안에 위치되도록 최종 위치로 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다음, 내측 스포크들(142)이 스포크 수용 슬로트들(164) 안에 있도록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이 내측 스포크 보유판(146) 위에 느슨하게 배치된다. 다음, 외측 스포크들(144)의 중앙부(134)가 스포크 수용 구멍들(168) 속으로 삽입되고, 다리들(136)이 스포크 수용 구멍들(122) 속에 끼워지게 하는데 충분한 정도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밀어진다. 상부 및 내측 스포크 보유판들(150, 146)이 아직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의 이 지점에서 그러한 축방향 이동이 허용된다. 마지막으로, 외측 스포크 보유판(148)이 내측 스포크 보유판(146)에 서로 물려 결합하도록 스냅 결합되고, 내외측 및 상부 스포크 보유판들(146, 148, 150)이 고정쇠나 접합에 의해 연결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도의 변형된 구조는 상술한 제1 혹은 제2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내측 스포크 보유판(246)의 외측 가장자리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62)를 가지며, 이 플랜지(262)가 외측 스포크 보유판(248)의 외측 가장자리(260)의 외측 반경방향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다.

Claims (13)

  1. 외측 링 조립체(12), 상기 외측 링 조립체와 결합하고 대략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포크들(16), 및 상기 스포크들이 결합되는 중앙 조립체(14)로서, 축방향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상기 스포크들이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스포크 수용 구멍들(64)을 가진 축방향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을 포함하는 중앙 조립체(14)로 이루어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스포크 보유판들(46, 48) 중 하나가 그의 외측 가장자리에, 그 보유판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하나의 보유판의 외측 가장자리(60)와 스냅 결합하는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64)은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의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슬로트들로 되어 있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64)이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을 관통하는 일열의 구멍들로 되어 있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이 별도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과 반경방향 내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들(64)이 상기 외측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연장한 다수의 슬로트들로 되어 있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64)은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의 상기 외측 부분을 관통한 일열의 구멍들로 되어 있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이 스포크들(16)의 중앙부(34)를 지지하는 다수의 요홈부들을 가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에 상부 스포크 보유판(50)이 부착되고, 그 상부 스포크 보유판(50)은 상기 스포크들(16)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포크의 중앙부(34)를 밀어 상기 요홈부에 결합시키게 하는 표면을 가지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상기 상부 스포크 보유판(50)이 기계적 체결구(71)에 의해 서로 고착된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들(16)이 축방향 내측 그룹의 스포크들(42)과 축방향 외측 그룹의 스포크들(44)로 나누어지고,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이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포크들(42, 44) 각각에 결합하는 반경방향 연장 면들(57, 59)을 가지는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의 외측 가장자리가, 보유판들을 함께 고정하도록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의 외측 가장자리에 잠금 결합하고 반경방향 내측 및 축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2)를 가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246)의 외측 가장자리가, 보유판들을 함께 고정하도록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248)의 외측 가장자리(260)에 잠금 결합하고 반경방향 내측 및 축방향으로 향하는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262)를 가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12. 외측 링 조립체(12)와 ; 중앙부(34)와 다리(36)를 가지며 축방향 내측 그룹(42)과 축방향 외측 그룹(44)으로 나뉘어진 다수의 스포크들(16)과 ; 상기 내외측 그룹의 스포크들을 각각 수용하는 제1 및 제2구멍들(64, 68)을 가진 외측 스포크 보유판(48)과, 별도의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을 포함하는 중앙 조립체(14)로 이루어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내측 그룹의 스포크들(42)을 상기 외측 링 조립체(12)에 끼우고,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을 상기 외측 링 조립체(12) 안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내측 그룹의 스포크들(42)을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일치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을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 위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그룹의 스포크들(44)의 중앙부들(34)을 상기 제2구멍들(68) 안에 끼우고, 상기 외측 그룹의 스포크들(44)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측 그룹의 스포크들(44)의 다리들(36)을 상기 외측 링 조립체(12) 안에 결합시키고, 상기 내측 스포크 보유판(46)을 상기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에 스냅 결합시켜 상기 보유판들을 기계적으로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의 조립방법.
  13. 다수의 구멍(22)을 갖는 외측 링(18), 중앙부(34)와 다리(36)를 가진 다수의 스포크들(16), 및 축방향 내측 스포크 보유판(46)과 축방향 외측 스포크 보유판(48)을 포함하고 그 보유판들 중의 하나가 외주에 역으로 구부러진 플랜지(62, 262)를 가진 중앙 조립체(14)로 구성된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보유판들(46, 48) 중 어느 하나의 보유판을 상기 외측 링(18)의 중심 축선에 위치시키고, (b) 상기 스포크들(16)의 다리들(36)을 상기 외측 링(18)의 상기 구멍들(22) 안에 삽입하고, (c) 상기 스포크(16)의 중앙부(34)를 상기 하나의 보유판에 결합하도록 위치시키고, (d) 다른 보유판을 상기 하나의 보유판과 일치되게 배치하고, (e) 상기 두 보유판들을 서로에 대해 눌러 상기 하나의 보유판의 상기 플랜지들(62, 262)이 상기 다른 보유판의 외측 가장자리(60, 260)에 스냅 결합하게 함으로써 상기 스포크들(16)을 상기 중앙 조립체(14)에 고정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 조립 방법.
KR1019850010092A 1985-01-02 1985-12-31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KR93000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832885A 1985-01-02 1985-01-02
US688,328 1985-01-02
US688328 1985-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32A KR870005832A (ko) 1987-07-07
KR930004601B1 true KR930004601B1 (ko) 1993-06-01

Family

ID=2476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10092A KR930004601B1 (ko) 1985-01-02 1985-12-31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1160302A (ko)
KR (1) KR930004601B1 (ko)
GB (1) GB2169250B (ko)
HK (1) HK374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234A (en) * 1985-12-23 1988-06-07 Ni Industries, Inc. Anti-rotation/retention clip for wheel trim
US5056872A (en) * 1988-01-19 1991-10-15 Ni Industries, Inc. Wheel trim
US4900096A (en) * 1988-01-19 1990-02-13 Ni Industries, Inc. Wheel trim
US4943121A (en) * 1988-01-19 1990-07-24 Ni Industries, Inc. Wheel tri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9250A (en) 1986-07-09
HK37492A (en) 1992-06-04
GB2169250B (en) 1988-04-13
GB8530944D0 (en) 1986-01-29
KR870005832A (ko) 1987-07-07
JPS61160302A (ja) 198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6092A (en) Decorative wheel cover for truck wheel
US4457560A (en) Hubcap with improved retention structure
EP0692641A2 (en) Device for connecting parts having holes with different centre-to-centre distances
US7004549B2 (en) Wheel cover retention apparatus
US20060261668A1 (en) Wheel cap and retainer assembly
EP1472103B1 (en) Locking ring assembly for wheel rim assembly
US6059376A (en) Universal mount for tire rims
US6402254B1 (en) Retaining article for wheel ornamentation including integral support
US4316638A (en) Wheel trim
US6039406A (en) Hubcap fastener structure
KR930004601B1 (ko)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US4009911A (en) Wheel trim and method
US4210367A (en) Wheel trim assembly
US5096263A (en) Wheel trim attachment system
US4178043A (en) Simulated wire wheel trim for automotive wheels
US4463990A (en) Simulated wire wheel trim and method
US3771834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decorative wheel rings
EP1264712A1 (en) Elastic wheel
KR930009724B1 (ko) 와이어 스포크 차륜 모조 장식체와 그의 조립 방법
US20100084909A1 (en) Spoke wheel protector
US4422692A (en) Simulated wire wheel trim for automobile wheels
US3860296A (en) Wheel trim for different size wheels
US3897113A (en) Rim mounting
US4430786A (en) Method of making a wheel cover simulating a wire spoke wheel
JP2005324799A (ja) アルミ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