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68Y1 -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68Y1
KR930004068Y1 KR2019900018313U KR900018313U KR930004068Y1 KR 930004068 Y1 KR930004068 Y1 KR 930004068Y1 KR 2019900018313 U KR2019900018313 U KR 2019900018313U KR 900018313 U KR900018313 U KR 900018313U KR 930004068 Y1 KR930004068 Y1 KR 930004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pring
outer cylinder
r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72U (ko
Inventor
츠카사 야마모토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0001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068Y1/ko
Publication of KR920009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1실시예 구성의 횡단면도.
제2a도, 제2b도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외통의 1예를 도시한 종단 극면도 및 우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1실시예에서의 스프링부착척의 평면도.
제4도는 척링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녹크부 2 : 스프링
3 : 외통 4 : 봉상물
5 : 척 6 : 후방기부
7 :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 8 : 전면
9 : 후면 10 : 걸림부
11 : 스프링안내삽입홈 12 : 돌기부
13 : 테이퍼면 14 : 돌출부
15 : 척링 16 : 연결용 구멍
17 : 빠짐방지편 18 : 돌기부
20 : 물어잡음부
본 고안의 봉상으로 된 지우개고무라던가 연필심, 크래욘심, 파스텔심, 아이브로우 등과 같은 봉상물, 특히 면을 가진 형상의 봉상물도 출몰시킬 수 있도록 된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가히 일본국에 일본국실용 실안등록출원 소62-26097호 및 동 평1-82841호로 봉상물조출용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례들도 모두 척율 가진 내통과 외통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을 필요로 하게 되어, 그 만큼 제조비가 비싸지게 될 뿐만 아니라 평면을 가진 형상의 봉상물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로 된다.
또 후자인 평 1-82841호의 예에서는, 내통의 뒷쪽계단부와 여기에 마주보는 외통부분사이와, 외통의 뒷쪽블록부와 내통의 뒷쪽 오목부사이 또는 외통의 뒷쪽블록부와 내통의 뒷쪽오목부사이, 또는 외통의 뒷쪽블록부와 내통의 장공후면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들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여러개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비싸지게 됨은 물론, 스프링의 부착도 쉽지 않고, 외통을 필요에 따라 2쪽으로 분할해야 하는 등 문제로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녹크부(1)을 녹크조작하여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따라 척(5)을 이동시켜 척링(15)의 동작에 따라 척(5)이 개폐시켜지도록 함으로써 봉상물(4)이 외통(3)의 앞끝으로 부터 조촐되도록 된 봉상물조촐기용기에 있어서, 상기 척(5)의 후방기부(後方基部;6)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7)의 후면(9)과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10)사이에 스프링(2)이 끼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척(5)에 형성된 관통구멍(9)의 후면(9)과 외통(3)내면에 형성된 걸림부(10) 사이에 스프링(2)이 끼워설치됨으로써 내통이 필요없게 되어, 그 만큼 싸게 제조할 수가 있게 되고, 또 평면을 가진 형상의 봉상물(4)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스프링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1 실시예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1실시예 구성을 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a도, 제2b도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외통의 1례를 종단 측면도 및 우측면도로 도시한 것인 바, 도면중 참조부호 3은 외통이고, 15는 뒷부위 상, 하면에 각각 연결용 구멍(16)과 빠짐방지편(17)을 갖는 박형의 척링으로써, 이 척링(15)은 그 상하의 연결용 구멍(16)이 외통(3)의 앞부위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18)에 빠짐방지편(17)쪽에서 밀어넣어져 느슨하게 끼워짐으로 외통의 앞쪽부위에 연결되어, 일단 연결되면 빠짐방지편(17)에 의해 빠지지 않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척(5)은 길이가 긴 핀셀형상으로 되면서 그 후방기부(6)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상햐방향)으로 스프링 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제3도 참조). 그리고 이 관통구멍(7)의 전, 후면과 외통(3)의 뒷부위 상, 하면에 형성된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의 끝면에 있는 걸림부(10) 사이에는 스프링(2)이 설치되어 있다(제2a도, 제2b도 참조).
한편 외통(3)의 대략중앙부 좌, 우 내면에는 각각 돌기부(12)가 형성되고, 이 좌, 우 돌기부(12)를 타고 넘어 척(5)이 뒷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테이퍼면(13)을 가진 돌출부(14)가 척(5)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척(5)의 부착과 스프링(2)의 설치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의 전, 후면(8, 9) 사이에 장착하고 나서 외통(3)의 뒷끝으로부터 척(5)를 그 선단부의 물어 잡음부(20) 쪽에서 끼워 척(5)을 눌러넣게 되면, 스프링(2)이 외통(3)의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에 안내되어 지면서 삽입되는 한편, 척(5)의 돌출부(14)의 테이퍼면(13)이 외통(3)의 돌기부(12)에 닿아, 척(5)이 안쪽으로 휘어져 외통(3)의 앞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척링(15)내에 척(5)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이어 돌출부(14)가 돌기부(12)를 타고넘게되면 척(5)이 복원되어 빠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스프링(2)의 앞끝이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의 걸림부(10)에 닿아 스프링(2)이 이 걸림부(10)와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의 후면(9)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게 된다.
그런 다음 척(5) 뒷끝의 녹크부(1)를 눌러 척(5)이 벌려진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박형의 봉상물(지우개고무 ; 4)를 척(5)의 앞끝에 으로부터 삽입하게 되면 봉상의 지우개고무(4)가 셋트되게 된다.
한편 스프링(2)의 내부직경을 크게 하고 척(5)의 스프링보유 지지용 관통구멍(7)의 전면(8)과 후면(9 ; 녹크부(1)도 포함)에도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봉상지우개고무를 척(5)의 뒷끝쪽으로부터 끼워 넣어 셋트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외통(3)을 손으로 잡고 척(5) 뒷끝의 녹크부(1)를 녹크해서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또는 그 탄발력에 따라 척(5)을 이동시키면, 척(5)의 앞끝에 있는 물어잡음부(20)가 척링(15)의 작용에 의해 개폐되어져, 이 척(5)에 의해 봉상지우개고무(4)가 앞끝으로부터 조출되어 사용상태로 된다.
이어 봉상지우개고무(4)가 짧아졌을 때에는, 녹크조작을 해서 짧아진 것 만큼 봉상지우개고무(4)를 조출시키면 된다.
또한 봉상지우개고무(4)를 끌어들일 때에는, 척(5) 뒷끝에 녹크부(1)를 통상의 녹크조작량 이상으로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밀어넣게 되면 척(5)의 앞끝 물어잡음부(20)가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봉상지우개고무(4)의 앞끝을 눌러주게 되면 끌어 들여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2)이 외통(3)의 뒷부위에 형성된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의 걸림부(10)와 척(5)의 스프링 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의 후면(9)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예들에서 필요로 하던 내통이 필요치 않게 되어 그 만큼 싸게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편평형상의 봉상물(4) 에도 적합한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스프링(2)을 설치할 때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의 전, 후면 사이에 스프링(2)을 셋트시켜, 이 스프링(2)이 셋트시켜진 척(5)을 그 선단부의 물어잡음부(20) 쪽에서부터 외통(3)의 뒷끝쪽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외통(3)의 뒷부위에 형성된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에 안내되어지면서 척(5)과 함께 스프링(2)을 삽입해서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의 걸림부(11)와 척(5)의 스프링 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의 후면(9) 사이에 끼우게 되면, 스프링(2)이 쉽게 설치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척(5)도 외통(3) 및 척링(15)내에 삽입해서 설치할 수가 있어 외통(3)의 돌기부(12)와 척(5)의 테이퍼면(13)가 진 돌출부(15)에 의해 척(5)이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는 상기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스프링(2)도 1개 뿐이기 때문에 보다 싸게 제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스프링(2)의 부착도 상기와 같이 비교적 쉽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외통(3)을 2쪽으로 분할 할 필요로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녹크부(1)로 녹크조작하면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따라 척(5)이 이동해서 척링(15)의 작용으로 척(5)이 개폐되어, 이 척(5)에 의해 봉상물(4)이 외통(3)의 앞쪽 끝으로부터 조출될 수가 있도록 된 봉상 물조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척(5)의 후방기부(6)에 길이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이 형성되면서 이 관통구멍(7)의 후면(9)과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10) 사이에 스프링(2)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싸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을 가진 봉상물(4)에는 적합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녹크부(1)의 녹크조작에 따라 스프링(2)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으로 척(5)이 이동해서 척링(15)의 작용으로 척(5)이 개폐됨으로써 봉상물(4)이 외통(3)의 앞끝쪽으로부터 조출되도록 된 봉상물조촐기용기에 있어서, 상기 척(5)의 후방기부(6)에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스프링보유지지용 관통구멍(7)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7)의 후면(9)과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10) 사이에 스프링(2)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봉상물조촐기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0)가 외통(3)의 뒷부위내면에 형성된 스프링안내 겸 삽입홈(11)의 끝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촐기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5)의 외면에 테이퍼면(13)을 가진 돌기부(14)가 형성되어, 이 돌기부(14)가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2)에 닿아 척(5)이 뒷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촐기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KR2019900018313U 1990-11-27 1990-11-27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KR930004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313U KR930004068Y1 (ko) 1990-11-27 1990-11-27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313U KR930004068Y1 (ko) 1990-11-27 1990-11-27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72U KR920009472U (ko) 1992-06-16
KR930004068Y1 true KR930004068Y1 (ko) 1993-06-30

Family

ID=1930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313U KR930004068Y1 (ko) 1990-11-27 1990-11-27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0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72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3511A (en) Writing instrument
US4518273A (en) Instrument for writing and drawing with pivotable cover
KR920010191A (ko) 핀치 밸브
KR890016406A (ko) 안경테용 스프링작용힌지
KR930004068Y1 (ko) 봉상물조출용기의 스프링부착장치
US3344484A (en) Writing instrument
US2473688A (en) Clip for writing instruments
KR870001660Y1 (ko) 이중 누름식 필기구
US2538294A (en) Clip for fountain pens and the like
US2557710A (en) Clip for pens
US3399021A (en) Hard fiber core pen and its cartridge
KR920004683Y1 (ko) 필기구의 클립걸림장치
KR870000022Y1 (ko) 이중 노크식 필기구
CN219505729U (zh) 一种活动铅笔
JPH0226709Y2 (ko)
KR950004017Y1 (ko) 필기구가 접속되는 분필의 인출구조
KR930003575Y1 (ko) 필기구의 필심 출몰장치
JPS6345333Y2 (ko)
KR200172652Y1 (ko) 안전볼펜
KR910007434Y1 (ko) 봉상물 조출용기
US2762338A (en) Desk set
KR880000987Y1 (ko) 볼펜
KR870002709Y1 (ko) 샤아프 펜슬
JPH0737908Y2 (ja) マーキングペン
KR860003283Y1 (ko) 샤아프 연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