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550B1 - 오버 헤드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오버 헤드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550B1
KR930003550B1 KR1019900020519A KR900020519A KR930003550B1 KR 930003550 B1 KR930003550 B1 KR 930003550B1 KR 1019900020519 A KR1019900020519 A KR 1019900020519A KR 900020519 A KR900020519 A KR 900020519A KR 930003550 B1 KR930003550 B1 KR 93000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lm sheet
holes
projec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017A (ko
Inventor
김문현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550B1/ko
Publication of KR92001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버 헤드 프로젝터
제 1(a), (b) 및 제 (c)도는 종래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의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3(a) 및 3(b)도는 본 발명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및 배변도.
제 4(a) 및 4(b)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관된 프레임 및 들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제 5(a)도는 제 4 도의 프레임 및 들체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의 발췌평면도, (b)는 제 5(a)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 2 : 골드미러
4 : 프레넬렌즈 5 : 수광학계
7 : 반사경 8 : 스크린
9 : 광축 10 : 프레임
13, 13' : 회동구 15 : 들체
16,16' : 지지편 17,17',17a,17b : 장공
18,18a : 파형면 19,19a : 파형면
20,20a : 슬라이더 21,21a : 스프링
22,22' : 지지봉
본 발명은 오버 헤드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에 투영하였을 때에 좌우 및 상하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오버 헤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는 제 1 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제 1(a)도의 측면도에서 광원(1)의 일측으로 골드미러(2)를 비스듬히 놓고, 이의 전방으로 프레넬렌즈(3)를 설치하고 이의 상면에 투영할 필름씨트(4)를 놓고 이어서 이의 전방으로 수광학계(5)를 설치하고, 이의 전방으로 반사경(7)을 설치하여 그 광토를 대략 직각으로 변경시켜서 스크린(8)으로 영사하여 여기에서 결상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부호 6은 광학계(5)에서 포커스를 조절하는 레버(6)이고, 9는 광축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로젝터는 광원(1)에 광이 발산되면, 골드미러(2)에 의하여 광이 반사되며, 이 골드미러(2)는 광원(1)에서 발산되는 광중에서 열선 즉, 적외선에 가까운 광은 투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시켜서 이에 발생되는 열을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한 골드미러(2)에서 반사된 광은 프레넬렌즈(3)로 통과하면서 그 광도를 강하게 하면서 이의 상면에 놓인 필름씨트(4)를 투과하여 이의 전방에 있는 수광학계(5)로 입사하게 된다.
이 수광학계(5)에서 상기한 필름씨트(4)의 상이 확대 되면서 반사경(7)에 의하여 그 광로가 변경되어 스크린(8) 상에 필름씨트(4)의 화상이 네모지게 결상되며, 이때에 수광학계(5)에 설치된 레버(6)를 조절하여 필름씨트(4)의 상의 포커스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는 스크린(8)에 결상되는 화상이 광축(9)에 수직으로 되어야만 화상이 네모지게 바르게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프로젝터는 실제로 강당등에서 세미나 및 브링핑용 등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 연사가 단상의 중앙에 통상적으로 있게되고, 이 연사가 관중을 보다 그리 높지 않은 연단에서 설명할 경우에는 상기한 프로젝터에서 영사되는 화상을 연사의 머리위로 비춰서 연단의 중앙부위로 오게 할수 있으나, 그러나 대개의 경우에는 연사가 설명하는 단상의 높이가 관중석 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한 프로젝터에서 투영 되는 화면이 단상에 있는 연사가 가리게 되어 이를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프로젝터를 회전시켜서 연사를 피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영사하여야 한다. 이렇게 되면, 제 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이 프로젝터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스크린상에 결상된 화면의 좌우가 대칭으로 되어 있지 못하고, 제 1(c)도의 예에서와 같이 좌측보다 우측이 작어져서 제대로 내용을 나타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것이며,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프로젝터의 광축(9)과 수직으로 올리게 되면, 스크린에서 예컨대 제 1(c)도에서 좌측으로 앉은 관객이 스크린을 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 자체를 올려서 일일이 화상을 다시 맞춰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동시에 그렇지 않으면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의 좌우가 비대칭인 상태인 화상을 그대로 보면서 브리핑등을 행하여야 하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시키는 데에 근본적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스크린과 광축이 수직이 아닌 상태에서도 화상의 좌우가 동일하게 투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크린과 광축이 수직으로 투영될시에도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의 배율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된 오버 헤드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오버 헤드 프로젝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원과 이를 일측으로 반사시키는 골드미러와, 이의 전방으로 설치된 프로넬렌즈와, 이의 전방에 놓이는 필름씨트를 확대 투영시키는 수광학계와, 이 투영되는 광을 스크린으로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구비한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한 필름씨트(4)가 좌, 우 및 상, 하 방향으로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이동되게 구성된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조절장치는 상기한 필름씨트를 삽입시키고 떼고 붙이기 위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한 필름씨트와 부합되는 투시부를 가지며, 상하로 회동구가 각각 설치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이 삽착되고, 이의 상하부에 지지편을 돌출되게 형성시켜서 상기한 회동구가 삽입되는 장공을 형성시키고, 좌우면에는 상기한 프로젝터 본체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지지봉이 설치된 물체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회동구와 지지봉이 각각 삽입되는 장공은 이의 일측면에는 파형면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파형면을 가진 슬라이더를 스프링으로 탄설하고, 상기한 회동구가 삽입되는 장공을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봉이 삽입되는 장공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버 헤드 프로젝터를 이동시킴이 없이 스크린(8)을 이 프로젝터에서 투영되는 광의 광축과 수직으로 만나지 않게 설치하여도 이 스크린(8)에 투영되는 화상의 좌우 배율이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원리로 상하의 배율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한다.
지금, 제 2 도에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씨트(4)가 수평광을 받아서 이 수평광에 의하여 수광학계(5)을 동시키면 이 광은 주광학계(5)의 초점(F)을 통하여 확산 되면서 스크린(8)에 투영되어 필름씨트(4)의 화면을 화상으로 결상된다. 이때에 상기한 스크린(8)이 광축(9)에 대하여 직각으로 만나야 정확하게 스크린(8)에 좌우, 상하의 배율이 일치되어 그 배율이 완전대칭으로 된다.
이때에 스키린(8)을 필요에 따라서 제 2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늘리면 이미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좌우의 배율의 불균일이 일어나고, 또한 화상이 정확하게 결상이 되지 않는다. 또한 상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필름씨트(4)를 상기한 스크린(8)의 회전운동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도면에서 우측으로 약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광축(9)을 중심으로 필름씨트(4)는 우축(4R)이 약간 길게 되고, 좌축(4L)은 이에 상응해서 약간 짧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광학계(5)를 통과하면, 스크린(8)에 투영되는 화상이 좌우가 반대로 되어서 필름씨트(4)의 좌축(4L)이 우측으로, 우축(4L)이 좌축으로 되어서 이 스크린(8)상에서의 좌측의 화상이 축소되는 것이 크게 보상이 되는 동시에 스크린(8)상에서의 우측은 축소되어 전체적인 스크린(8)상에서의 화상은 네모반듯하게 투영이 되고, 또한 상기한 필름씨트(4)가 광로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를 갖고 비스듬히 위치되어 이에 따라 스크린(8)상에 정확하게 결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것은 스크린(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스크린(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될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 반대로 행하면 되는 것이며, 또한 스크린(8)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시에도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행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한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 3(a)도에서 광원(1)의 일측으로 골드미러(2)를 설치하여 광원(1)의 광로를 바꾸도록 하면 이의 전방에 프레넬렌즈(3)를 설치하고, 이 프레넬렌즈(3)의 상면으로 필름씨트(4)가 설치되며, 이의 전방으로 포커스를 조절하는 레버(6)을 가진 주광학계(5)를 설치하고 이에 반사경(7)을 통하여 스크린(8)으로 투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필름씨트(4)를 삽입시켜서 좌우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프레임(10)은 사각체로 형성하며 이의 내부에는 역시 사각형태의 투시부(11)를 상기한 필름씨트(4)에 부합되게 형성시키며, 양측면에 필름씨트(4)가 삽입되고 꺼내지기 위한 입구(12) 및 출구(12')를 형성시키며, 상부면과 하부 면에 각각 손잡이(14) (14')를 가진 회농봉(13)(13')을 설치 시켜서 구성한다.
또한, 이 프레임(10)을 끼워 넣어서 이 프레임(10)을 상하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들체(15)는 상기 상기한 프레임(10)과 대응되게 형성시키며, 이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6)(16')를 설치하며, 이 지지편(16)(16')에 장공(17)(17')을 형성하고, 이 장공(17)(17')에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파형면(18)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파형면(19)을 가진 슬라이더(20)를 스프링(21)으로 탄력설치하여 슬라이더(20)가 이동이 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이 들체(15)의 양측면에는 지지봉(22)(22')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로젝터의 본체에는 상기한 들체(15)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한 장공(17)(17')과 동일한 형태, 즉 파형면(18a), 파형면(19a)을 가진 슬라이더(20a)를 스프링(21a)으로 탄력설치하여 이들 수직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 시켜서 여기에 상기한 지지봉(22)(22')을 삽입시켜서 이 들체(15)가 상하로 회전운동이 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필름씨트(4)를 프레임(10)의 입구(12)를 통하여 삽입시키고, 이를 광원(1)에 의하여 발산되는 광을 골드미러(2)를 통하여 발산되는 광중에서 열선, 즉 적외선은 투과시켜서 광원(1)에서 발산되는 열을 차단시키고, 그외의 광은 반사시켜서 프레넬렌즈(3)로 입사시키게 된다. 이 프레넬렌즈(3)에서 광은 광도를 높이면서 투과하여 이의 전방에 있는 필름씨트(4)을 투과 하여 이의 영상을 주광학계(5)를 통하여 확대 되면서 이의 전방에 있는 반사경(7)을 통하여 광로 변경되면서 이의 광축(9)과 수직으로 설치된 스크린(8)에 화상을 투영하게 된다.
이때에 이 스크린(8)을 필요에 따라서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필름씨트(4)가 삽입된 프레임(10)을 상기한 스크린(8)의 회전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이 프레임(10)의 상하부에 돌설된 회동구(13)(13')를 중심으로 이의 손잡이(14)를 잡고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이를 우측으로 약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한 회동구(13)는 둘체(15)의 장공(17)(17')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장공(17)(17')에는 일측으로는 파형면(18)이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면에도 파형면(19)을 가진 슬라이더(20)가 스프링(21)으로 탄력설치 되어 있어서 이에 삽입된 회동구(13)(13')는 상기한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이를 지지하는 면에 파형면(18)(19)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회동구(13)(13')가 임의로 슬라이딩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프레임(10)은 광축에서 대해서 우축(4R)이 약간 길게되고, 좌측(4L)은 이에 상응해서 약간 짧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광학계(5)를 통과하면, 스크린(8)에 투영되는 화상이 좌우가 반대로 되면서 필름씨트(4)의 좌측(4L)이 우측으로, 우측(4R)이 좌측으로 되어서 이 스크린(8)상에서의 좌측의 화상이 스크린(8)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축소되는 것을 크게 확대시켜서 이를 보상하는 동시에 스크린(8)상에서의 우측이 확대되던것을 반대로 이를 축소시켜서 전체적인 스크린(8) 상에서의 화상은 균형을 이루어서 좌우의 배율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필름씨트(4)가 이에 끼워 넣어진 프레임(1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광축에 대하여 경사졌기 때문에 이에 따라 스크린(8)상에 화상은 정확하게 결상이 되어진다.
상기한 것은 스크린(8)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운동될 경우에 대해서 작동을 설명한 것이지만, 스크린(8)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것과 반대로 실행하면 되고, 또한 스크린(8)의 상하로의 회전운동을 시킬시에는 상기한 프레임(10)이 끼워 붙여진 들체(15)를 사용하게 된다.
즉, 이 들체(5)의 좌우면에서 돌출된 지지봉(22)(22')이 프로젝터의 본체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17a)(17b)에 삽입되고, 이를 일측면에는 파형면(18a)과 타측면에는 파형면(19a)을 가진 슬라이더(20a)가 스프링(21a)으로 탄력설치되어 전술한 좌우방향으로의 조절작동과 동일하게 상하로 이 들체(15)을 회전운동 및 이동시켜서 조정하게 되면, 그 작동 원리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필름씨트(4)의 삽입 또는 꺼냄, 또한 이 프레임(10)과 들체(15)의 좌우,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 및 이동을 각각 수동식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이에 작동연계장치를 별도로 부착시켜서 자동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따라서, 오버 헤드 프로젝터를 강단등에서 세미나등을 행할시나, 또는 기타 회의실등에서 브리핑을 행할시에, 연사가 필요에 따라서 스크린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회동 시킬시에, 이에 따라서 프로젝터를 이에 맞게 일일이 프로젝터 본체의 방향을 바꿔주지 않아도 이를 간단하게 본 발명에 의하여 정확하게 맞춰줄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대폭적으로 재고시킨 것이며, 또한, 정상적으로 사용 할때에도 필요에 따라서 좌, 우의 배율 및 상하의 배율을 증감시킬 수 있어서 투영되는 화면의 효과를 아울러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광원(1)과, 이를 일측으로 반사시키는 골드미러(2)와 이의 전방으로 설치된 프로넬렌즈(3)와, 이의 전방에 놓이는 필름씨트(4)를 확대 투영시키는 주광학계(5)와, 이 투영되는 광을 스크린(8)으로 광축(9)에 대하여 수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7)을 구비한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한 필름씨트(4)를 좌, 우 및 상, 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되게 하도록 구성된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헤드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장치는 상기한 필름씨트(4)를 삽입시키고 꺼내지 위한 입구(12)와 출구(12')가 형성되고 상기한 필름씨트(4)와 부합되는 투시부(11)를 가지며, 상하로 회동구(13)(13')가 각각 설치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이 끼워 붙여지고, 이의 상하부에 지지편(16)(6')을 돌출되게 형성시켜서 상기한 회동구(13)(13')가 삽입되는 장공(17)(17')을 형성시키고, 좌우면에는 상기한 프로젝터 본체에 형성된 장공(17a)(17b)에 삽입되는 지지봉(22)(22')이 설치된 들체(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헤드 프로젝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동구(13)(13')와 지지봉(22)(22')이 각각 삽입되는 장공(17)(17')(17a)(17b)은 이의 일측면에는 파형면(18)(18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파형면(19)(19a)을 가진 슬라이더(20)(20a)를 스프링(21)으로 탄설하고, 상기한 회동구(13)(13')가 삽입되는 장공(17)(17')을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봉(22)(22')이 삽입되는 장공(17a)(17b)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헤드 프로젝터.
KR1019900020519A 1990-12-13 1990-12-13 오버 헤드 프로젝터 KR93000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519A KR930003550B1 (ko) 1990-12-13 1990-12-13 오버 헤드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519A KR930003550B1 (ko) 1990-12-13 1990-12-13 오버 헤드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17A KR920013017A (ko) 1992-07-28
KR930003550B1 true KR930003550B1 (ko) 1993-05-03

Family

ID=193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519A KR930003550B1 (ko) 1990-12-13 1990-12-13 오버 헤드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5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17A (ko) 199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99005A (ja) 光吸収構成
US4002408A (en) System and device for overhead projection
EP0196335A1 (en) Projector
US6834968B2 (en) Teleprompter with directional screen
KR930003550B1 (ko) 오버 헤드 프로젝터
US20220412537A1 (en) Diffused light focusing method for use in film, television, and photographic media
US3822936A (en) Optical system for panoramic projection
US4527872A (en) Composite process cinematography system and method
US2786387A (en) Reflecting mirror optical projector apparatus
US3692399A (en) Microfilm viewer
US20090041450A1 (en) Slide copying device
US4171883A (en) Television projector and stand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3244069A (en) Projector with movable light source
US3893759A (en) Off-axis viewing apparatus
US5331360A (en) Adaptor for overhead projector
US5730517A (en) Projector
US3567319A (en) Illumination system
US5179399A (en) Theatre in the roun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4237493A (en) Television support and picture projector
JPH06258714A (ja) 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ー
US3402262A (en) Multiple viewing system for educational television and the like
JP3326373B2 (ja) 投写装置
US3471229A (en) Optic axis or light path adjusting system for slide projectors
JPH0456297B2 (ko)
US3229571A (en) Equipment utilizing a pair of inclined spaced mirrors for projecting a composite optic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