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54Y1 - 패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54Y1
KR930003354Y1 KR2019900006763U KR900006763U KR930003354Y1 KR 930003354 Y1 KR930003354 Y1 KR 930003354Y1 KR 2019900006763 U KR2019900006763 U KR 2019900006763U KR 900006763 U KR900006763 U KR 900006763U KR 930003354 Y1 KR930003354 Y1 KR 930003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m
stud
nut
transvers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407U (ko
Inventor
제이. 코센자 프랭크
Original Assignee
렉스노드 인코오포레이티드
엠. 에이. 영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노드 인코오포레이티드, 엠. 에이. 영거스 filed Critical 렉스노드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900006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354Y1/ko
Publication of KR910021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bayone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널 체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의 조립체 구성요소들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의 수용기 조립체 캠 너트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른 캠 너트의 평면도.
제4도는 제2 및 3도에 도시된 캠 너트의 저면도.
제5도는 체결과정중의 조립된 바람직한 예의 단면도.
제6도는 패널들이 조여진 상태에 있을때의 구성요소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체결과정의 종료시의 바람직한 예의 단면도.
제7도는 상부패널이 제5도에 도시된 것보다 상당히 두꺼운 것으로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바람직한 예의 단면도.
제8도는 체결과정 종료후를 나타내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터드 조립체 12 : 수용기 조립체
13 : 스터드 14 : 코일 스프링
16 : 그로미트(grommet) 17 : 보유 링
18 : 스터드 머리부 20 : 생크(shank)
41 : 수용기 하우징 42 : 캠 너트
본 고안은 패널(panel)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체결된 때, 패널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패널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1/4회전(quarter―turn), 신속분리형 제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1/4 회전형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당히 진보된 것이다. 수십년동안, 체결구 구성요소들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4분의 1회전을 요하는 신속고정 및 신속분리형 체결구가 각종 산업분야에 제공되어 왔다.
이런 타입의 체결구는 환영 받아 왔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체결구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그러한 문제들중 하나는 체결된 패널들이 진동 또는 다른 정규작동 하중하에 분리되는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는, 패널 표면들이 약간만 분리되어도, 체결된 패널들을 가진 시스템 또는 기계에 해로운 간격이 발생된다. 그러한 체결구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각종 파지(grip)간격, 즉 패널두께의 변도에 적응할 수 없다는 점이다.
체결된 패널들의 전체 두께가 약간만 변하여도 4분의 1회전 체결구가 작동할 수 없게 되는 데, 그 이유는 그 체결구가 파지 간격의 변동에 적응하도록 조절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 및 다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아직까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종래의 장치에 의해 문제점을 해결한다 할지라도, 그 경우, 기계적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된다. 그러한 종래기술의 예들로는 “제이.엠.섬머스”등의 미국특허 제2,878,542호(1959. 3. 24. 특허됨)가 있다. 그러한 4분의 1회전 체결구 이전의 종래 장치가 “오.제이.휴얼스터”의 미국특허 제2,486,411호(1949. 11. 1. 특허됨)에 도시 및 기술되어 있다. 양 특허의 장치들이 이 기술분양에서 약간 진보된 기술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아직도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예를들어 “섬머스”의 체결구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휴얼스터”의 체결구는 구조가 더 복잡하고, 체결된 패널들이 낮은 작동하중하에서 분리되게 한다. 또한, “휴얼스터”의 장치는 구성요소들을 저정하기 위해 특수한 공구를 요한다. “섬머스”의 체결구가 4분의 1회전형 체결구이지만, 그 체결구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특별한 과정이 요구된다. 통상의 패널의 휨, 불완전한 패널 결합, 및 패널들위 및 사이에 정착한 우연한 파편들에 기인하여, “섬머스”의 체결구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먼저, 스터드(stud)부분을 반시계 방향으로 최소한 1/4회전 시킨 다음, 수용부(receptacle)을 결합시키기 위해 시계 방향으로 적어도 1/2회전시켜야 한다.
공지의 종래 기술의 견지에서, 본 고안은 1/4회전형 체결구 분야에서 상당히 진보된 것으로 믿어진다. 여러 가지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며, 이것이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상세하게 인식될 것이다.
본 고안은, 어느 한 패널에 하중이 가해진때 패널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2개의 패널 또는 그와같은 것을 서로 함께 취부하는 체결장치이다. 본 고안은, 체결구 구성 요소들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1/4회전이상, 그러나 완전 회전보다 적은 회전을 요한다.
본 고안의, 2개의 조립체들은, 즉 제1패널에 배치되는 스터드(stud) 조립체와 제2패널에 배치되는 수용기(receptacle) 조립체가 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스터드 조립체는, 생크(shank)의 일단부의 머리부와 타단부의 횡핀(cross-pin) 또는 캠 플로어를 가진 회전 가능한 스터드를 포함한다. 코일스프링이 생크 주위에 감겨있고 머리부와 횡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에 관통구멍을 가진 그로미트(grommet)가 패널 구멍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 컵 또는 용기가 스프링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로미트의 관통구멍내에 결합된다. 그로미트와 스프링 용기가 협동하여, 스터드 머리부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로 작용한다.
수용기 조립체는 제2채널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수용기 하우징과, 그 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캠 너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 캠 너트는 횡핀 포획부분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체결된 패널들 사이가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자체고정(self-locking)방식으로 구성 및 조립된다. 스터드의 횡핀이 먼저 캠 너트에 의해 포획되고 다음, 캠 너트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구 구성 요소들과 패널들을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함께 고정시킨다.
체결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역의 과정이 수행된다.
체결구가 사용되는 조건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파편이 조립체들중 하나로 들어가, 요구되는 파지 간격이 변화되는 조건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장치는 양호하게 작동한다. 수용기 조립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도입되는 스터드 조립체가 먼저, 캠 너트의 회전전에 수용기 조립체에 의해 포획된다. 그리하여, 체결구는 패널들이 체결되지 않은때 일어날 수 있는 휨, 파편 정착, 등에 의한 전체 패널두께의 어떤 변동에 관계없이 조립체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체결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고안의 장치는 , 비교적 큰 파지 범위내에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융통성을 가진다. 본 고안이, 패널이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1/4회전이상을 요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체결장치는 1/4회전형 체결구에서 상당히 진보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이점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서, 바람직한 예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조립전 분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2개의 조립체, 즉 제1, 즉 상부패널에 취부되는 스터드 조립체(10)과 제2, 즉 저부패널에 취부되는 수용기 조립체(12)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예의 스터드 조립체(10)은 스터드(13), 코일스프링(14), 스프링 컵 또는 용기(15), 그로미트(grommet)(16), 및 보유 링(17)을 포함한다. 스터드(13)은 통상의 구조이고, 머리부(18), 미리 선택된 길이의 생크(shank)(20), 상기 머리부(18)의 반대측 생크(20)의 단부에 위치하는 모서리가 까인 자유단부(21), 및 그 관통구멍내에 취부될 수 있는 크기의 캠 플로어 또는 횡핀(23)을 가지고 있다. 상기 머리부(18)에는, 스터드를 회전시킬 때 조작자가 사용하기 위해 그 머리 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고정된 날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4)는 스터드 생크(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스프링 컵 또는 용기(15)는 외벽(24), 내벽(25), 개구부(27)을 가진 저벽(26), 상기 컵의 나머지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상부표면(28), 및 그 상부표면(28)과 내벽(25)사이에서 연장하는 경사진 연결벽(29)를 구비하고 있다.
내벽(25)는 그의 길이를 따라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벽(26)의 개구부(27)은 , 스터드 생크(20)의 외경보다 크지만 코일스프링(14)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개구부(27)의 크기는, 스터드 생크(20)이 방해없이 통과할 수 있으나 코일스프링(14)와 스터드 머리부(18)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선택된다. 스터드 컵(15)는 내벽(25)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hollow)를 가지고 있다.
그로미트(16)은 제1, 즉 상부패널(31)의 준비된 구멍(30)내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 그로미트의 높이는 패널(31)의 두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다. 그로미트(16)의 상단부, 즉 제1단부에 견부(shoulder) 또는 플렌지(33)이 제공되어 있고, 그 플렌지는 패널 구멍(3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있다. 똑바른 외벽(34)에 의해 형성된 중앙 몸체부분이 플렌지(33)의 하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있다. 그 중앙 몸체부분의 외경은 패널구멍(30)의 직경보다 작다. 플렌지(33)의 반대측 그로미트 단부에 제2의 작은 견부 또는 플렌지(35)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플렌지(35)의 외경은 패널구멍(30)의 직경보다 작으나 중앙 몸체부분의 외경보다 크다.
그로미트 내부는 내벽(36)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로 되어있다.
내벽(36)은 그로미트의 하부 플렌지(35)에 인접하여, 돌출테두리 또는 접합물(37)을 가지고 있다. 패널구멍(30)내에 그로미트(16)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스플리트(split) 구조의 보유 링(17)이 사용된다. 그 보유 링(17)은 패널구멍 및 그로미트 하부 플렌지(35)의 것보다 큰 외경과, 패널구멍(30)의 직경보다 작으나 그로미트 몸체부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몇몇 적용예들에서, 다른 패널쪽으로 향한 패널(31)의 표면에서 구멍(30)에는 ,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유 링(17)을 수용하고, 서로 함께 체결된 2개의 패널들이 꼭맞게 접하도록 하는데 충분한 크기의 요홈부(39)를 제공하도록 카운터 보어(counterbore)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예의 수용기 조립체(12)는 2가지 부품, 즉 수용기 하우징(41)과 캠 너트(42)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기 하우징(41)은 외벽(43)과, 나사홈을 가진 내벽(44)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몸체부를 가지고 있다. 그 하우징의 저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에서 하우징(41)의 상부는 그 하우징을 제2패널(45)에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평평한 표면부분(46)이 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있고, 1쌍의 돌출부분(47,48)을 가지고 있다. 각 돌출부분(47,48)은 리벳트(51,52)가 통과하는 구멍(49,50)을 가지고 있다. 그 리벳트에 의해 수용기 하우징(41)이 제2패널(45)에 취부된다. 하우징 내부는 중공이다.
캠 너트(42)는 수용기 하우징 내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외부 나사홈(53)이 너트(42)의 외벽 표면을 따라 연장하여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캠 너트를 위한 큰 나사각 나사홈이 멀티-리이드(multi-lead)(예를들어 4개 리이드)나사홈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홈을 가진 수용기 하우징내에서 최소의 회전으로 캠 너트를 신속하게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나사홈 형태가 이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인식될 것이다.
제1-4도를 참조하면, 캠 너트(42)의 내부를 양호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캠 너트는 내벽(54)를 가지고 있다.
캠 너트의 상부부분에, 내벽(54)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3각형 벽 표면(55,56)이 제공되어 있다. 각 표면(55,56)의 정점(57,58)은 캠 너트(42)의 상부 개구연부(59)에 또는 그에 인접히 위치된다. 3각형 벽 표면(55,56)의 경사진 연부는 각 장점으로부터 표면(62)까지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다.
상기 3각형 벽표면(55,56)은 캠 너트(42)의 중앙개구부(63)쪽으로 그리고 그 개구부내로 정렬된 방식으로 스터드 횡핀(23)을 안내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너트(42)의 캠 부분은 캠 너트 내벽(5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너트 내부의 하부부분내에 위치되어 있다.
제3 및 4도에서 캠부분의 구조가 통상적인 것이고, 상부표면(62), 스터드 횡핀(23)을 수용하기 위한 1쌍의 마주보는 슬로트 부분을 가진 중앙의 개구부 또는 관통구멍(63), 및 스터드 생크(20)을 수용하기 위한 원형 중앙부분을 가지고 있다. 1쌍의 마주보는 캠 표면, 즉 경사면(64,65)가 상부표면(62)로부터 저부표면(66)쪽으로 연장하여 있다. 각 경사면(64,65) 말단부에는 멈추개(detent)(68,69)가 저부표면(66)위의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그 멈추개들은 스터드 횡핀(23)을 위한 포획 기구로 작용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예의 각 부품들이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그로미트(16)이 제1패널의 구멍(30)내로 삽입되고, 보유링(17)이 하부 플렌지(35)위의 위치에서 벽(34)주위에 설치된다. 스프링 컵(15)가 그로미트(16)내에 배치된 다음, 코일스프링(14)가 스프링 컵(15)내에 배치되고, 마지막으로 스터드 생크(20)이 스프링, 스프링 컵 및 그로미트를 통과하여 삽입된다. 생크의 모서리가 깎인 단부(21)이 그로미트의 저부를 지나 연장할 때, 횡핀이 생크의 구멍(22)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스터드 조립체가 사용을 위해 준비된다.
수용기 조립체는, 캠 너트(42)의 상부 개구 연부(59)가 수용기 하우징의 상부표면(46)에 또는 그 표면 약간아래에 위치될 때까지 캠 너트가 하우징 내부에 나사 결합된 후에 설치를 위해 준비된다. 수용기 하우징(41)은 캠 너트(42)와의 조립전, 캠 너트가 하우징내에서 축방향 이동을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나사홈 부분들이 결합하는데 충분하게 표면(43)을 따라 타원형으로 변형된다. 다음, 제2의 패널(42)의 미리 준비된 구멍(71)이 캠 너트(42)의 내부와 정렬된 후 상기 하우징이 제2패널(45)의 하측부(70)에 리벳트로 부착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장치는 사용을 위해 준비된다. 사용시 본 고안의 독특한 특징들이 인식될 것이다. 다음에, 제5-8도를 참조하여 그 특징들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정규 작동하중하에서 패널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지의 1/4회전 체결구들의 단점없이 공지의 1/4회전 체결구들이 신속 분리 특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2개의 패널들이 서로 신속 분리 특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2개의 패널들이 서로 함께 취부될 수 있게 된다.
제5도에, 스터드 조립체(10)의 그와 짝을 이루는 수용기 조립체(12)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생크(20)과 횡핀(23)이 캠 너트 개구부(63)을 통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통과한다. 횡핀(23)은 스터드 머리부의 1/4회전후 멈추개(68,69)내에 포획된다. 이 시점전에는 캠 너트는 회전되지않고, 스터드만이 멈추개(68,69)내에 횡핀(23)을 배치하기 위해 대략 90도 회전된다. 제5도에서, 체결과정의 이 시점에서 스터드 머리부는 그로미트의 상부 플렌지(33)과 접촉하여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스프링 컵 저벽(26)은 상부표면(62)상에 얹히지만, 그때까지 스프링(14)는 아직 압축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압축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부패널이 하부 패널로부터 상방으로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패널들이 서로로부터 먼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패널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즉 체결된 패널들이 분리가능하지 않도록 패널들의 체결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 조작자는 대략 3/8-3/4회전만큼 스터드를 회전시키기만 하면된다. 그러한 회전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고, 스프링 컵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미트내에 착좌되고 캠너트가 수용기 하우징내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이동된다.
체결구의 초기사용에 있어서 원래의 출발지점으로부터, 캠 너트는 스터드 조립체와 협력하여 수용기 하우징내 그의 자신의 수준에 위치되어, 패널들이 분리도지 않게 취부되도록 한다. 조작자는 이러한 상태가 달성된 때를 알수 있는데, 이는 스터드의 머리부가 그로미트 또는 패널 상부표면과 일치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체결구는 자체 고정타입이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또는 추가기구를 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수한 구조에 의해 본 고안의 장치는 진동 또는 다른 하중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일정 범위의 파지 간격내에서 단일의 체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융통성이 있다는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체결장치가 제7 및 8도에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가지 도면들의 모든 부품들은 다른 파지 범위들에서의 본 고안의 사용을 나타내도록 2가지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제5 및 6도에 도시된 상부패널331)이 체결장치의 파지 범위의 일단에서의 본 고안의 사용을 나타내고, 제7 및 8도에 도시된 상부패널(31′)가 파지 범위의 다른 일단에서의 본 고안의 사용을 나타낸다. 제7 및 8도에서, 상부패널(31′)는 패널(31)보다 상당히 큰 두께를 가진다. 패널(31′)의 하측면(38′)는 그로미트 보유링(17)을 위해 앞에서 설명된 요홈부(39)를 형성하도록 구멍(30′)에서 카운터 보어를 가지고 있다.
제7 및 8도로부터, 체결과정이 제5 및 6도에 대하여 도시 및 기술된 것과 동이함을 볼수 있다. 패널들이 조여진때(제8도 참조), 이 예에서의 캠 너트는 상부패널(31′)의 큰 두께에 기인하여, 제6도예에서 보다 적게 축방향 하방으로 이동한다. 양 예들에서, 최종 결과는 동일하다. 즉 체결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될때까지 2개의 패널들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서로 함께 취부되고, 외부 하중에 의해 분리되는 일이 없게된다. 체결장치의 초기 결합은, 특히 패널 두께가 최소의 파지범위에 있을 때 캠 너트(42)가 패널 두께를 위한 그의 적절한 수준에 위치하도록 많은 회전을 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체결장치의 자동적인 기능이고, 따라서 조작자가 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른 부가적인 지식을 요하지 않는다.
체결장치가 초기에 자동적으로 적절한 수준에 설정된 때, 체결 장치의 제거 및 삽입은 통상의 1/4회전 체결구의 특징과 유사하다.
본 고안의 장치는, 요구되는 파지범위가 특정 체결장치의 설계범위내에서 있는 한 수 없이 여러번 신뢰성 있게 재사용될 수 있다. 체결장치를 분리시키는데 있어서는 스터드를 회전시키면, 스프링이 그의 압축된 상태로부터 이완될때까지만 캠 너트가 축방향 상방으로 회전되다. 미리 정해진 회전부하에서, 횡핀이 캠의 멈추개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캠 너트의 계속적인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그 체결장치는 통상의 1/4회전형 체결구와 매우 흡사하다. 캠 너트의 나사각의 경사도에 따라, 신속설치 또는 제거가 3/8 회전 정도로 낮은 회전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 장치가 다시 체결되어야 할 때, 캠 너트는, 스프링이 캠 경사면을 따라 멈추게(횡핀을 포획 및 보유하는)내로 횡핀을 회전시키는데 충분하게 압축되도록 필요한 간격을 제공하는 수용기 하우징내 일정깊이에 위치된다. 다음, 캠 너트는 2개의 패널들을 서로 함께 견고히 취부하도록 수용기 하우징내 적절한 수준까지 더 회전될 수 있다.
상기한 바로부터, 본 고안은 공지의 1/4회전 체결구들의 바람직한 신속분리 특징을 제공하면서도, 하중하에서, 체결된 패널들이 분리되어 패널표면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일이 없게하는 점에서 매우 진보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어떤 범위의 파지 간격내에서 사용 가능하고 스터드 횡핀이 캠 너트의 회전전에 캠의 멈추개 내에서 고정되는 점에서 절대 안전하다. 그 결과, 조작자가 부주의하여 캠 너트를 회전시켜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일이 없게된다. 또한, 바람직한 예의장치의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따라서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예는 구조의 선택에 의해 개조될 수 있는 구조적 특징들을 포함함이 당업자에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된 날개부가 스터드 머리부의 나사 드라이버 홈 또는 다른 구동홈으로 대치될 수도 있다. 수용기 하우징을 제2패널에 취부하는 것이 리벳트의 사용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바람직한 예에 기술 및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의 보호가 제한된다.

Claims (4)

  1. 제1패널(31)과 제2패널(45)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단부에 횡핀(23)을 구비한 회전스터드(13) 및 상기 회전스터드(13)을 가압하여 제2패널(45)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 코일스프링(14)를 포함한, 상기 제1패널(31)에 결합되는 스터드 조립체(10); 및 나사홈이 있는 내벽(44)를 가진 수용기 하우징(41) 및 상기 나사홈이 있는 내벽(44)와 결합되는 외측나사홈(53)과 내측캠부(62-69)를 가진 캔 너트(42)를 포함하는 상기 제2패널(45)에 결합되는 수용기 조립체(1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캠부(62-69)는 상기 횡핀이 상기 수용기 조립체(12)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횡핀(23)을 포획할 수 있고, 상기 회전스터드(13)의 다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 너트(42)가 회전됨과 동시에 수용기 하우징(41)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축방향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내측 캠부(62-69)는 상기 횡핀(23)을 포획하여 상기 제1패널(31)과 제2패널(45)를 체결하며, 상기 캠부(62-69)는 임의의 축선방향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상기 회전스터드(13)의 회전만으로 상기 횡핀(23)을 상기 캠부(62-69)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제1패널(31)과 제2패널(45)를 분리시킬 수 있는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너트(42)가 상부표면(62), 하부표면(66) 및 상기 상부표면(62)로부터 하부표면(66)으로 연장한 2개의 대항 캠표면(64)(65)를 포함하며, 상기 캠표면(64)(65)는 멈추개(68)(69)를 가진 상기 하부표면(66)의 인접부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너트(42)가 상기 횡핀(23)을 통과시킬 수 있는 치수의 중앙개구부(63); 및 상기 횡핀(23)을 상기 중앙개구부(63)내로 안내하도록된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 벽표면(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핀(23)이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측 캠부(62-69)에는 상기 스터드 조립체(10)과 상기 수용기 조립체(12)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 상기 횡핀(23)을 수용할 수 있는 치수 및 형태를 가진 대향 배치된 2개의 멈추개(68,6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체결장치.
KR2019900006763U 1984-12-24 1990-05-17 패널 체결장치 KR930003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763U KR930003354Y1 (ko) 1984-12-24 1990-05-17 패널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593584A 1984-12-24 1984-12-24
US685,935 1984-12-24
KR1019850009468 1985-05-17
KR2019900006763U KR930003354Y1 (ko) 1984-12-24 1990-05-17 패널 체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468 Division 1984-12-24 1985-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407U KR910021407U (ko) 1991-12-20
KR930003354Y1 true KR930003354Y1 (ko) 1993-06-11

Family

ID=7027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763U KR930003354Y1 (ko) 1984-12-24 1990-05-17 패널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3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92B1 (ko) * 2002-02-27 2004-08-09 엄경환 손가락을 이용한 음계 발생장치 및 음계 발생장치 사용방법
KR100922859B1 (ko) * 2008-08-19 2009-10-20 주식회사 리바트 판상부재 결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92B1 (ko) * 2002-02-27 2004-08-09 엄경환 손가락을 이용한 음계 발생장치 및 음계 발생장치 사용방법
KR100922859B1 (ko) * 2008-08-19 2009-10-20 주식회사 리바트 판상부재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407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8991A1 (en) Fastener
US6261042B1 (en) Quick-release fastener system
EP0353066B1 (en) Push-on fastener
US4877364A (en) Captive screw and assembly
KR100264098B1 (ko) 실연용 및/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DE2328346C2 (de) Zentrifuge
US5080269A (en) Fixation device
US4666055A (en) Electrical outlet box with polygonal mounting bore
JPH07508089A (ja) ネジ部材を係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5746558A (en) Locking apparatus for fastening system
US4667916A (en) Overhead hanger and joint construction
US5076747A (en) Panel fastener having internal threads and having maximum retaining ring retention capability
US5082406A (en) Self locking panel fastener with device for visually indicating whether fastener is locked
GB2178473A (en) Fastener eg cable clamp
KR930003354Y1 (ko) 패널 체결장치
JPH0733844B2 (ja) 締め具構成要素
US4507006A (en) Quick-release mechanical coupling for a kitchen appliance
US3474846A (en) Locking fastener
KR920009598B1 (ko)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US2642108A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nuts
JP2576880B2 (ja) ナットー保持器組立体
US2936501A (en) Fastening device
US5964559A (en) Attachment bolt locking assembly
EP0117217A1 (en) Fast-acting bi-directional positive drive fastener assembly
EP0341853A1 (en)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