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364Y1 - Power control apparatus of camcoder - Google Patents

Power control apparatus of camco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364Y1
KR930002364Y1 KR2019870010472U KR870010472U KR930002364Y1 KR 930002364 Y1 KR930002364 Y1 KR 930002364Y1 KR 2019870010472 U KR2019870010472 U KR 2019870010472U KR 870010472 U KR870010472 U KR 870010472U KR 930002364 Y1 KR930002364 Y1 KR 930002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gate
input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4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01498U (en
Inventor
요시오 사까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9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64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Power control device of video recording device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메라 일체형 VTV(비디오 기록 장치)의 개략선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mera integrated VTV (video record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선도.3A and 3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detection swit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선도.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tection swit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스위치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선도.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detection swit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배터리 2 : 주전원 스위치1: battery 2: main power switch

3 :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 4 :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3: power off auxiliary switch 4: automatic / manual switch

6 : 검출 스위치 8 : OR 게이트6: detection switch 8: OR gate

9 : 인버터 10 :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M. M)9 Inverter 10 Mono Multi Vibrator (M.M)

본 고안은, 경량 소형의 예를들면 카메라 일체형 VTR등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비디오 기록장치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recording apparatus that is most suitable for use in a light weight small size such as a camera integrated VTR or the like.

본 고안은, 경량 소형의 예를들면 카메라 일체형의 VTR에 사용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기록 장치의 촬상 렌즈가 아래쪽으로 향하여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검출 스위치의 출력에 의해 비디오 기록 장치의 불사용 상태를 판별하여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배터리의 쓸데 없는 소모나 불필요한 화상 촬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a video recording apparatus used for a light weight small sized VTR of a camera type, for example, by providing a detection switch for detecting that the imaging lens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is directed downward. The output is judged to be in an unused stat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and automatically shuts off the power, thereby preventing wasteful use of the battery and unnecessary image capturing.

종래에, 경량 소형의 비디오 카메라, 예를들면, 카메라 일체형 VTR등에 있어서는, 독립된 구동 전원으로서 배터리가 내장되고, 예를들면 최장 1시간 정도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촬영에 있어서는,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것으로 각부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여 대기 상태로 하고, 녹화 단추를 누름으로서 촬영이 된다. 촬영 종료후에 있어서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로 되고, 예를 들면, 어깨에서 벨트를 죽 늘어뜨리고 촬상 렌즈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운반된다.Conventionally, in a light weight small size video camera, for example, a camera-integrated VTR or the like, a battery is built as an independent driving power supply, and, for example, shooting for up to one hour is possible. In photography, photography is taken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su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each part to make a standby state, and pressing a recording button. After the shooting is finished, the power switch is turned off, for example, the belt is squeezed from the shoulder and the imaging lens is conveyed downward.

그러나, 촬영을 빈번하게 행할때 등에 있어서는, 전원 스위치나 녹화 단추를 오프하는 것을 잊고 전원 스위치나 녹화단추를 온으로 한 채로 운반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나 녹화 단추가 오프로 되어 있어도, 운반중에 실수로 온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를 쓸데없이 소모시켜 버리는 동시에, 최악의 경우에는, 지면등의 불필요한 화상을 촬영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특히, 오토포커스 기구를 구비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의 부하 전류가 흘러서 배터리의 소모가 심하고 장시간의 예정된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However, when shooting frequently, the camera may be transported with the power switch or the recording button turned on while forgetting to turn off the power switch or the recording button. For example, the power switch or the recording button may be turned off. Even if it is, it may turn on by mistake during transportation. In such a case, the battery was wasted, and in the worst case, an unnecessary image such as the ground was taken. In particular, in the form provided with the autofocus mechanism, there is a fear that the load current of the motor flows and the battery is consumed excessively, and the scheduled shooting for a long time is im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기록 장치의 불사용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의 쓸데없는 소모를 방지할 수가 있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 unused state of a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and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battery.

본 고안은 비디오 기록 장치의 촬상 렌즈가 아래쪽으로 향해지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6)를 구비하고, 검출 스위치(6)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해진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witch 6 for detecting that the imaging lens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etection switch 6 is directed downward. It is a power control device of a video recording device.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6)가 설치되고, 검출 스위치(6)의 출력이 OR 게이트(8)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과 동시에, 인버터(9)를 거쳐서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출력이 OR 게이트(8)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OR 게이트(8)의 출력에 의해, 전원 공급로중에 삽입된 전원 차단 스위치(3)가 제어되고, 소정시간 이상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을때만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오프로 된다.A detection switch 6 for detecting that the lens portion 24 is directed downward is provided, and the output of the detection switch 6 is suppli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and at the same time, the inverter 9 is turned on. It is supplied via the input terminal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and the output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is suppli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By the output of the OR gate 8, the power cutoff switch 3 inserted in the power supply path is controlled, and the power cutoff auxiliary switch 3 is turned off only when the lens portion 24 is directed downward for a predetermined time. .

다음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에 있어서, (1)로 도시되는 것이 각부의 구동 전원으로 되는 배터리이다. 또한,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메라 일체형 VTR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선도이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1, a battery shown as (1) is a driving power source for each part. 2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amera integrated VTR to which this invention was applied.

배터리(1)의 음극쪽이 접지되고, 양극쪽이 주전원 스위치(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주전원 스위치(2)의 출력단자가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의 한쪽의 입력단자(4a)에 접속됨과 동시에, OR게이트(8)의 출력에 의거하여 온/오프하는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는, 예를 들면 높은 곳에서 외계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소위, 부감 촬영시에 사용이 되는 것이다.The negative side of the battery 1 is grounded, and the positive side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ain power switch 2. A power cut-off auxiliary switch 3 which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4a of one of the automatic / manual switching switches 4 and on / off based on the output of the OR gate 8 while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power switch 2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e switch 4 for automatic / manual switching is used, for example, in so-called bird's-eye shooting, which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external world from a high place.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의 출력단자가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의 다른쪽 입력단자(4b)에 접속된다.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off auxiliary switch 3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4b of the switch 4 for automatic / manual switching.

또한, 주전원 스위치(2)의 출력단자가 저항(5)을 거쳐서 검출 스위치(6)의 한쪽 단자(6a)에 접속되고, 검출 스위치(6)의 다른쪽 단자(6b)가 저항(7)을 거쳐서 접지됨과 함께, OR 게이트(8)의 한쪽 입력단자 및 인버터(9)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인버터(9)의 출력단자가 예를들면 상승구간에 의해 트리거되는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출력단자가 OR 게이트(8)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OR 게이트(8)의 출력단자가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의 제어 단자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power switch 2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6a of the detection switch 6 via the resistor 5, and the other terminal 6b of the detection switch 6 is connected via the resistor 7. It is grounded and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nverter 9.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9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onomultivibrator 10 triggered by the rising section, for example. The output terminal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is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The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power disconnect auxiliary switch 3.

주전원 스위치(2) 및 자동/수동 전환용의 스위치(4)의 각각은,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일체형 VTR(21)의 렌즈부(24)측이 되는 본체부(22)의 측면에 설치되고, 수동으로 조작된다.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는, 통상의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4b)와 출력단자가 접속된 상태로 되고, 예를들면 높은 곳에서 외계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소위 부감 촬영이 행해질 때 입력단자(4b)와 출력단자가 접속된 상태로 된다.Each of the main power switch 2 and the switch 4 for automatic / manual switching is, for example, a main body portion which is the lens portion 24 side of the camera-integrated VTR 21 as shown in FIG. 22) is installed on the side and operated manually. In the case where normal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e switch 4 for automatic / manual switching is in a state where the input terminal 4b and the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The input terminal 4b and the output terminal are in a connected state when so-called desensitization photographing for continuously photographing is performed.

또한,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OR 게이트(8)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예를들면, OR 게이트(8)의 출력이 하이레벨(high level)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온으로 되고, OR 게이트(8)의 출력이 로우 레벨(low level)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오프로 된다.Further, the power-off auxiliary switch 3 is controlled by the output of the OR gate 8, for example, is turned on when the output of the OR gate 8 becomes high level, and OR It turns off when the output of the gate 8 becomes a low level.

검출 스위치(6)는,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연직 방향(수평면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해서 ±10°의 범위내로 렌즈부(24)가 향해질때 비도록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etection switch 6 detects that the lens portion 24 is directed downward. For example, the detection portion 6 faces the lens portion 24 within a range of ± 1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t is configured to be empty when it loses.

예를들면, 검출 스위치(6)로서 수은 접점 릴레이가 사용되고, 제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은 접점 릴레이가 본체부(22)에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제1도에 도시하는 소정의 관계로 단자(6a), (6b)가 접속된다.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은 접점 릴레이의 내부에 봉입된 수은(26)이 제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6a), (6b)의 양자에 접촉하여, 단자(6a)와 단자(6b)와의 사이가 도통 상태로 된다. 또한,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경우에는,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6a), (6b)의 양자에 수은(26)이 접촉치 않고, 단자(6a)와 단자(6b)와의 사이는 비도통 상태로 된다.For example, a mercury contact relay is used as the detection switch 6, and as shown in FIG. 3B, the mercury contact relay is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is shown in FIG. The terminals 6a and 6b are connected i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When the lens portion 24 is not directed downward, the mercury 26 encapsulated inside the mercury contact relay contacts the terminals 6a and 6b as shown in FIG. 3B. The terminal 6a and the terminal 6b are in a conductive state. In addition, when the lens portion 24 is directed downward, as shown in FIG. 3A, mercury 26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both the terminals 6a and 6b, and the terminal 6a and the terminal ( It is in a non-conduction state with 6b).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전원 스위치(2)가 온되고, 통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검출 스위치(6)가 도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OR 게이트(8)의 한쪽 입력단자가 하이 레벨로 됨과 동시에,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10)의 입력단자가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OR 게이트(8)의 출력은,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출력에 관계없이 하이레벨로 되고,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온된다.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온되므로서, 배터리(1)의 전원 전압이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11), 기록계(12), 뷰파인더계(13) 및 오토 포커스계(14)에 공급되고, 대기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main power switch 2 is turned on and the normal photographing is performed, since the detection switch 6 is in a conducting state,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at a high level. At the same time, the input terminal of the mono multi vibrator 10 goes low. Therefore, the output of the OR gate 8 becomes high level irrespective of the output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and the power cut-off auxiliary switch 3 is turned on. As the power-off auxiliary switch 3 is turned on,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battery 1 passes through the auto / manual switching switch 4, the system controller 11, the recorder 12, the viewfinder system 13 and auto It is supplied to the focus system 14, and will be in a standby state.

오토 포커스 기구에 의해 핀트가 맞추어지고, 뷰파인터(23)로 모니터하면서 녹화 단추가 눌러져서 촬영이 행해진다.The focus is adjusted by the auto focus mechanism, and the recording button is pressed while monitoring with the view finder 23 to perform shooting.

또한, 통상의 촬영시에 있어서, 예를들면 급격한 촬영자세의 변화등에 의해 검출 스위치(6)가 순간적으로 비도통 상태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OR 게이트(8)의 한쪽 입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 됨과 동시에, 인버터(9)의 출력에 의해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가 트리거 되어서 OR 게이트(8)의 다른쪽 입력 단자가 하이 레벨로 되어, 소정의 시간 유지된다.In addition, during normal shooting, for example, when the detection switch 6 is temporarily turned off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shooting position,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at a low level. At the same time, the mono multivibrator 10 is triggered by the output of the inverter 9 so that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at a high level and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게이트(8)의 다른쪽 입력 단자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있는 사이에 검출 스위치(6)가 도통 상태로 복귀하여, OR 게이트(8)의 한쪽 입력 단자가 하이 레벨로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이 하이 레벨 상태로 유지된다. 즉,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시정수에 의해 규정된 소정 시간 이상 검출 스위치(6)가 비도통 상태로 되지 않는 한,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오프로 되는 일이 없다.The detection switch 6 returns to the conduction state while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maintained at the high level, so that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is at the high level, and the output of the OR gate is high. This high level state is maintained. That is, as long as the detection switch 6 is not in the conduction stat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defined by the time constant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the power cut-off auxiliary switch 3 is not turned off.

통상의 촬영이 종료되고, 예를들면, 주전원 스위치(2)를 오프시키는 것을 잊고 온 상태로 카메라 일체형 VTR(21)이 운반되는 경우에는,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지기 때문에, 검출 스위치(6)가 비도통 상태로 된다.When the normal photographing is finished and the camera-integrated VTR 21 is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witch 2 is forgotten to be turned off, for example, the lens unit 24 is directed downward, so that the detection switch (6) becomes a non-conductive state.

이로 인하여, OR 게이트(8)의 한쪽 입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 됨과 동시에,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출력이 소정 시간후, 로우 레벨로 되고, OR 게이트(8)의 다른쪽 입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 됨과 동시에,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10)의 출력이 소정 시간후, 로우 레벨로 되고, OR 게이트(8)의 다른쪽 입력 단자가 로우 레베로 되어서 OR 게이트(8)의 출력이 로우 레베로 된다. 따라서,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가 오프로 되고, 시스템 제어기(11), 기록계(12), 뷰파인더계(13) 및 오토 포커스계(14)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As a result,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becomes low level, while the output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becomes low level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becomes low level. At the same time, the output of the mono multivibrator 10 becomes low level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8 becomes low level, and the output of the OR gate 8 becomes low level. Therefore, the power cut-off auxiliary switch 3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voltages supplied to the system controller 11, the recorder 12, the viewfinder system 13, and the auto focus system 14 are automatically shut off.

높은 곳에서 외계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소위, 부감 촬영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수동 전환용 스위치(4)의 입력단자(4a)와 출력단자가 접속되기 때문에,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3)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배터리(1)의 전원전압이 자동/스동 전환용 스위치(4)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11), 기록계(12), 뷰파인더계(13) 및 오토 포커스계(14)에 공급된다. 따라서, 렌즈부(24)를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로 지장없이 촬영이 이루어진다.In the so-called over-shooting, which photographs the external world continuously from a high pla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put terminal 4a of the automatic / manual switching switch 4 and the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the power-off auxiliary switch 3 ),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battery 1 passes through the auto / switching switch 4, the system controller 11, the recorder 12, the viewfinder system 13, and the autofocus system ( 14). Therefor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 with the lens portion 24 facing downward.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검출 스위치(6)로서는, 수은 접점 릴레이외에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와 자석을 사용한 구성으로 하거나,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와 작동기 부착 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등)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리드 스위치와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리드 스위치가 본체부(22)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지점(32)에서 매달아 놓은 자석(31)이 소정의 위치로 배치되어,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한 때에는, 제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도통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동기 부착 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등)와 추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작동기 부착 스위치가 본체부(22)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지점(35)에서 매달아 놓은 추(34)가 소정의 위치로 배치되어,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5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의 작동자(33)가 가압되어, 단자(6a)와 단자(6b)가 도통 상태로 되고, 렌즈부(24)가 아래 쪽으로 향한 때에는, 제5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자(33)와 추가 접촉되지 않아, 단자(6a)와 단자(6b)가 비도통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the detection switch 6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ed switch and a magnet may be used as shown in FIGS. 4A and 4B in addition to the mercury contact relay. As shown in FIG. 5B, a configuration using a weight and an actuator switch (micro switch, etc.)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 reed switch and a magnet, the reed switch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the magnet 31 suspended at the point 3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lens portion 24 is When facing downward, as shown in FIG. 4A,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a non-conductive state. In the case of using a switch with an actuator (such as a micro switch) and a weight, the switch with the actuator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the weight 34 suspended from the point 35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lens unit 24 is not disposed downward, the operator 33 of the micro switch is pressed by the weight as shown in FIG. 5B, so that the terminal 6a and the terminal 6b are pressed. When the lens portion 24 is turned downward, as shown in FIG. 5A, the additional contact with the operator 33 is performed so that the terminals 6a and 6b are in a non-conductive state. It is composed.

또한, 검출 스위치(6)로서, 자기 센서와 추로 조합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witch 6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with a magnetic sensor and a weight.

본 고안에서는, 렌즈부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검출 스위치의 출력에 의거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불사용 상태가 판별되고, 불사용 상태로 판별된 경우에는, 전원 공급로 중에 삽입된 전원 차단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오프로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ection switch for detecting that the lens portion is directed downward is provided, and the use state of the video camera is determin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detection switch,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 state is not used, it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path. Power off switch is automatically turned off.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 스위치나 녹화 단추의 차단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운반시에 있어서 렌즈부가 아래쪽으로 향해져 자동적으로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쓸데없는 소모나 불필요한 화상 촬영이 방지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forgetting to turn off the power switch or the recording button, the lens unit is turned downward at the time of transport and the power is automatically cut off,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unnecessary image shooting. .

Claims (1)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 렌즈부(24), 비디오 기록 회로부(11 내지 14), 주전원 스위치(2), 배터리(1)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2)에 직렬로 접속된 전원차단 보조스위치(3)와, 상기 촬상 렌즈부(24)가 아래쪽으로 향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회로(5 내지 10)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회로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전원 차단 보조 스위치를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끊토록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In th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a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imaging lens section 24, a video recording circuit section 11 to 14, a main power switch 2, and a battery 1 of a video camera, the power switch 2 is provided. And a detection circuit (5 to 10) for detecting that the imaging lens unit (24)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power supply by the detection output of th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trol device for a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ing device which cuts off a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by blocking a cut-off auxiliary switch.
KR2019870010472U 1986-06-30 1987-06-29 Power control apparatus of camcoder KR930002364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00723U JPH057812Y2 (en) 1986-06-30 1986-06-30
JP?61-100723 198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98U KR880001498U (en) 1988-03-15
KR930002364Y1 true KR930002364Y1 (en) 1993-05-06

Family

ID=1428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472U KR930002364Y1 (en) 1986-06-30 1987-06-29 Power control apparatus of camcod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7812Y2 (en)
KR (1) KR930002364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3865U (en) * 1985-11-27 1987-06-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7863U (en) 1988-01-19
JPH057812Y2 (en) 1993-02-26
KR880001498U (en)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39391Y2 (en)
JPS6244250B2 (en)
KR930002364Y1 (en) Power control apparatus of camcoder
JPH11346435A (en) Power supply device
US20020118968A1 (en) Electric power control device for camera
US4542972A (en) Automatic focus controlling camera
US4401894A (en) Automatic uninterrupted D.C. power source switch
US4396266A (en) Motor drive device
EP0505287B1 (en) Video light apparatus for video cameras
JPS56169473A (en) Television camera device
US4516846A (en) Recording error-prevention system
US4324468A (en) Electric source circuit for camera
ES529480A0 (en) A VIDEO, ELECTRONIC AND PORTABLE RECORDING DEVICE
JPS6239390Y2 (en)
JPH0333947Y2 (en)
JPH0647945U (en) Camera grip
US6035130A (en) Camera with condition indication facility
JP2855781B2 (en) Camera with built-in strobe
KR0138558Y1 (en) Power supplying circuit for electronic viewfinder
KR0124851Y1 (en) Circuit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iewfinder
JPH067634Y2 (en) Video camera recording status controller
JPH02275516A (en) Predetector for ejection of detachable battery pack
JPS55124123A (en) Camera system
JPH05344409A (en) Device for preventing unnecessary recording in video camera
JPS5633635A (en) Motion picture camera that can be used commonly for motion picture photographing and electron image pick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