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20Y1 -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20Y1
KR930001620Y1 KR2019910004118U KR910004118U KR930001620Y1 KR 930001620 Y1 KR930001620 Y1 KR 930001620Y1 KR 2019910004118 U KR2019910004118 U KR 2019910004118U KR 910004118 U KR910004118 U KR 910004118U KR 930001620 Y1 KR930001620 Y1 KR 930001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posable cup
adhesive portion
disposa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4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546U (ko
Inventor
이지관
Original Assignee
이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관 filed Critical 이지관
Priority to KR2019910004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620Y1/ko
Publication of KR920017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45F2003/205Collapsible or foldable cup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일회용 컵
제1도 (a)(b)는 종래 일회용 컵의 정면도와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컵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컵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 본체 11, 12 : 모서리
13 : 개구부 14, 14a, 14b : 접착부
본 고안은 봉투 모양의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구부를 쉽게 벌릴 수 있는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컵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의 컵과는 달리 주로 공공장소나 야외등지에서 대중에게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저렴한 값으로 공급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통상의 일회용 컵은 두꺼운 종이나 합성수지로써 통형으로 성형한 것과 얇은 종이나 비닐코팅된 종이를 접은 봉투모양의 것이었다.
이중에서 통형의 컵은 자동판매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일반의 컵과 같이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부피가 커서 휴대상의 불편한 단점을 가지며 또한 가격면에서 한번 쓰고 버리기에 아까운 비경제적인 단점을 가진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관광지, 병원, 약국등에서는 음료수통 옆에 봉투모양의 일회용 컵을 비치하여 하나씩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봉투모양의 일회용 컵에 있어서, 종래에 널리 사용되어 왔던 일회용 컵은 제1도와 같다. 이것은 좌우의 모서리(1)(2)를 가압하여 그 상단의 개구부(3)가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인데, 제1도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3)의 전후면 모두 어느 한쪽으로만 굽어지는 경우가 많아 그 개구부(3)가 잘 벌어지지 않았으며 실질적으로 입김을 불어 넣거나 손으로 벌려야만 했던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내재된 것이었으며, 또한 그 개구부(3)를 만짐으로써 비위생적이었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7-1074호에 의하면, 개구부의 일측면을 연장하여 그것을 반으로 접은 예가 있는데, 이것은 그 개구부의 위생을 도모한 것일 뿐 쉽게 벌어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은 아니어서 역시 사용상에의 불편을 제거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1도 또는 상기 인용예로부터 알수 있듯이 개구부(3)의 전후면 중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부(4)가 어떤 기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그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봉투형 일회용 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의 형상구조를 개량하여 그것이 개구부를 쉽게 벌릴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발휘토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하고, 아울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비닐코팅된 종이를 접어서 상단 개구부의 전후면이 겹치고, 좌우의 모서리와 그 일측면에 접착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한부위가 상기 좌우모서리중 좌측 모서리측으로, 다른 한부위가 우측모서리측으로 각각 더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두부분에 의하여 쉽게 벌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컵본체(10)는 상광하협형으로서 좌우에 모서리(11)(12)가 형성되고, 상단 개구부(13)의 전면에는 접착부(14)가 그 후면에는 연장부(15)가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14)는 ">"자 형으로서 그의 상단부위(14a)가 중심선(C)에 의하여 좌측에, 즉 좌측모서리(11)측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그의 중앙부위(14b)가 중심선(C)에 대하여 우측에, 즉 우측모서리(12)측에 가깝도록 형성되며, 또한 그 상단부위(14a)와 중앙부위(14b)의 연결부분(14c)이 경사를 이루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와 같이 컵본체(10)의 좌우모서리(11)(12)를 쥐고 가볍게 가압하면 그 상단개구부(13)가 쉽게 벌어져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것은 그 개구부(13)의 전면에 형성된 접착부(14)가 ">"자 형으로서, 비교적 넓은 면적의 보강된 부분을 가지게 되며, 부분적으로 좌측모서리(11)측에 가까운 상단부위(14a)와 우측모서리(12)측에 가까운 중앙부위(14b)에 의하여 그 개구부(13)가 쉽게 벌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풀이되는 바, 이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컵본체(10)의 개구부(13)의 전후면중 전면에 형성된 접착부(14)는 그 상단부위(14a)와 중앙부위(14b)의 사이가 2장의 종이두께로 되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보강된 연결부분(14c)을 가지게 되며, 또한 그 연결부분(14c)이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 연결부분(14c)을 가지게 되며, 또한 그 연결부분(14c)이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그 연결부분(14c)의 한점을 중심으로 그 좌우의 부분이 잘 꺾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그 개구부(13)의 전면은 접착부(14)의 상단부위(14a)와 중앙부위(14b)의 양 끝부분에서, 즉 2개의 지점이 쉽게 변형되므로서 그 개구부(13)는 쉽게 벌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이점을 가지는 동시에 개구부를 쉽게 벌릴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리하고 그래서 더욱 위생적인 봉투모양의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종이나 합성수지 또는 비닐코팅된 종이를 접어서 상단 개구부의 전후면이 겹치고, 좌우의 모서리와 그 일측면에 접착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한부위가 상기 좌우모서리중 좌측 모서리측으로, 다른 한부위가 우측모서리측으로 각각 더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두부분에 의하여 쉽게 벌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KR2019910004118U 1991-03-28 1991-03-28 일회용 컵 KR930001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118U KR930001620Y1 (ko) 1991-03-28 1991-03-28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4118U KR930001620Y1 (ko) 1991-03-28 1991-03-28 일회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546U KR920017546U (ko) 1992-10-17
KR930001620Y1 true KR930001620Y1 (ko) 1993-04-08

Family

ID=1931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4118U KR930001620Y1 (ko) 1991-03-28 1991-03-28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6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546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63666S (en) Lid for containers
USD451392S1 (en) Liquid container lid
USD331348S (en) Collapsible drinking straw
USD349770S (en) Baby food dispenser
USD363661S (en) Tablet dispenser package
USD444679S1 (en) Container with pour spout and bottom closure
USD380641S (en) Beverage dispenser
TWI308898B (ko)
US4900163A (en) Disposable trash receptacle
KR930001620Y1 (ko) 일회용 컵
USD351906S (en) Medical waste disposal container lid
USD364088S (en) Collapsible container
USD460233S1 (en) Combined dog waste bag dispenser and waste receptacle
USD386949S (en) Combined spice and cruet container
KR20040025490A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
US4802590A (en) Milk carton with folded spout
USD364089S (en) Collapsible container
JPH0427381Y2 (ko)
USD329810S (en) Pouring spout for a disposable liquid container
KR200189711Y1 (ko) 일회용 컵
USD386354S (en) Cookware
USD355074S (en) Toothpaste dispensing toothbrush
CN218617999U (zh) 一种手捧式硬底纸袋
USD330729S (en) Combined two-level paper tray and adhesive note dispenser
JPH0977080A (ja) 紙パック入り飲料の簡易取っ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