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67Y1 -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 Google Patents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67Y1
KR930000967Y1 KR2019900020658U KR900020658U KR930000967Y1 KR 930000967 Y1 KR930000967 Y1 KR 930000967Y1 KR 2019900020658 U KR2019900020658 U KR 2019900020658U KR 900020658 U KR900020658 U KR 900020658U KR 930000967 Y1 KR930000967 Y1 KR 930000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
voice
japanese
det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6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4288U (en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67Y1/en
Publication of KR920014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28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67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다방식 음성 다중 수신회로Multi-way Voice Multiple Reception Circuit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일본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럼.2 is a Japanese multi-speech voice spectrum.

제3도는 국내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럼.3 is a speech multispectral method of the domestic metho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일본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 블록 20 : 음성 다중 주신호 검출 블록10: Japanese multiplex negative signal detection block 20: Multiple multiplex main signal detection block

30 :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 블록 40 : 음성 다중 제어 신호 검출 블록30: Korean multiplex negative signal detection block 40: Multiple multiplex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50 : 일본 음성 다중의 판별 신호 검출 블록50: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 of Japanese speech multiplexing

60 : 한국 음성 다중의 판별 신호 검출 블록60: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 of Korean speech multiplexing

70, 75 : 모우드 검출부 80 : 오아게이트70, 75: mode detection unit 80: Oagate

90 : 콘트롤 로직 91, 92 : 스위치90: control logic 91, 92: switch

100 : 매트릭스부100: matrix portion

본 고안은 음성 다중 수신회로에 있어서, 각기 방식이 상이한 음성 다중 방송을 하나의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할수 있도록한 다방식 음성 다중 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과 일본 방송의 음성다중을 공용으로 수신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thod voice multiplexing circuit that enables receiving multiple voice multicasting systems using a single circuit in a voice multiplexing circuit. It is to be received in public.

일본에서 방송되고 있는 음성 다중 방식의 경우 4.5MHZ 대역에 주신호, 부신호, 제어신호가 함께 실려 있는 방식을 사용하고 한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음성 다중 방식의 경우 4.5MHZ 대역의 제1캐리어(FIRST CARRIER)에 주신호, 4.72MHZ 대역의 제2캐리어(SECOND CARRIER)에 부신호 및 제어신호가 실려있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일본에서 판매되는 음성다중 방송 수신기기를 한국에서 사용할수 없으며 또한 한국에서 판매되는 음성 다중 방송 수신기기를 일본에서 사용할수 없는 것이었다.In the case of the voice multiplexing system broadcast in Japan, the main signal, the sub-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re included in the 4.5MHZ band, and in the case of the audio multiplexing system broadcast in Korea, the first carrier of the 4.5MHZ band (FIRST CARRIER) ), The main signal and the subcarrier and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arrier (SECOND CARRIER) in the 4.72MHZ band are used. Therefore, the voice multi-broadcast receiver sold in Japan cannot be used in Korea and the voice sold in Korea Multicast receivers were not available in Japan.

따라서 음성다중 방송을 수신하는 칼라 텔레비젼에 있어서 영상신호는 동일한 NTSC 방식을 사용하므로 양국에서 동일하게 수신할 수 있으나 음성다중 신호는 서로 공용 수신이 불가하여 호환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Therefore, in the color TV receiving voice multiple broadcasting, video signals can be identically received in both countries because they use the same NTSC system, but voice multiple signals cannot be shared in common with each othe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한국에서 방송되는 음성다중 방송과 일본에서 방송되는 음성다중 방송을 공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다방식 음성다중 수신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한국과 일본의 음성다중 수신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한국과 일본의 음성 다중 방송 수신에 있어서, 서로 공통되는 주신호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블록은 공용으로 사용하여 주신호와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서로 상이한 부신호를 처리하는 기능 블록만 별도로 사용하게 한후 음성다중 방송 방식에 따라 각각의 기능 블록을 선택적으로 통과되게 하여 한국 음성 다중 방송과 일본 음성 다중 방송을 공용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의 선별적 수신 동작이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행하여 지도록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multi-method voice multiple reception circuit capable of receiving a voice multiple broadcast broadcast in Korea and a voice multiple broadcast broadcast in Japan. In the voice multicast reception of Korea and Japan, a function block for processing a main signal and a control signal common to each other is commonly used to provide a circuit to process a main signal and a control signal and to process different sub-signals. After using only the function blocks separately, each function block can be selectively passed according to the voice multi-broadcasting method so that the Korean voice and Japanese voice multi-broadcasts can be received in common. It is done automatically without any operation.

이같은 목적의 본 고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음성다중 송소 신호의 주신호를 처리 검출하는 음성 다중 주신호 검출블록(20)과, 음성 다중 방송신호의 부신호를 일본 방식과 한국 방식에 따라 각각 처리 검출하는 일본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 블록(10) 및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30)과, 상기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30)에서 검출된 부신호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검출 처리하는 음성 다중 제어신호처리블록(40)과, 상기 음성다중 주신호 검출블록(20)과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30)의 주신호 및 부신호를 매트릭스 시키는 매트릭스부(100)와, 상기 음성 다중 제어신호 처리 블록(40)의 제어신호를 스테레오 및 2게 국어 판별신호로 검출하는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판별신호 검출블록(50)(60)과, 상기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판별 신호 검출블록(50) (60)에서 검출된 판별 신호에 따라 모우드를 검출하는 모우드 검출부(70) (75)와, 상기 모우드 검출부(70)(75)의 출력을 논리합시키는 오아케이트(80)와, 상기 오아게이트(80)의 출력에 따라 스위치(91)(92)를 제어하여 상기 매트릭스부(100)의 출력을 선택시키는 콘트롤 로직부(90)로 구성되어진다.A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20 for processing and detecting the main signal of the voice multiplexing signal, and a Japanese voice multiple sub signal detection block for processing and detecting the sub-signals of the voice multiple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Japanese and Korean methods, respectively. 10) and the voice multiplex control which detects and processes the control signals included in the sub-signal detection block 30 of the Korean multiplex voice signal and the subsignal detected block 10 and 30 of the Japanese multiplex voice signal. A matrix processing unit 40 for matrixing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s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 40, the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20, and the Japanese and Korean voice multiple sub-signal detection blocks 10 and 30; And Japanese and Korean speech multiplex detection signal detection blocks 50 and 60 for detecting the control signals of the audio multiplex control signal processing block 40 as stereo and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s.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s (50) (60) Mode detection unit 70 and 75 for detecting th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detection signal, an orient 80 for ORing the outputs of the mode detection unit 70 and 75, and an output of the oragate 80 The control logic unit 90 controls the switches 91 and 92 to select the output of the matrix unit 100.

그리고 음성 다중 주신호 검출블록(20)은 4.5MHZ 필터(21), 리미터(22), 주채널 검파부(23), 15KHZ 저역통과 필터(24)로 구성되고 일본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은 16-47MHZ 대역 통과 필터(l1), 리미터(12), 부채널 컴파부(13), 15KHZ 저역 통과 필터(14)로 구성되며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 블록(30)은 4.72MHZ필터 (31), 리미터(32), 부채널 검파부(33), 15KHZ 저역통과 필터(34)로 구성된다.The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20 is composed of a 4.5MHZ filter 21, a limiter 22, a main channel detector 23, a 15KHZ low pass filter 24, and a Japanese voice multiple sub-signal detection block ( 10) is composed of a 16-47MHZ band pass filter l1, a limiter 12, a subchannel comparator 13, a 15KHZ low pass filter 14, and the Korean voice multiplexing sub-signal detection block 30 is 4.72MHZ. It is composed of a filter 31, a limiter 32, a subchannel detector 33, and a 15KHZ low pass filter 34.

또한, 음성 다중 제어신호 검출블록(40)은 대역 통과 필터(41), 증폭부(42), 검파부(43)로 구성되고 일본 및 한국 음성다중의 판별신호 검출 블록(50)(60)은 982.5KHZ 필터(51), 922.5KHZ 필터(52), 149KHZ 필터(61), 276KHZ 필터(62)로 구성되어진다.In addition,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is composed of a band pass filter 41, an amplifier 42, a detector 43, and the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s 50 and 60 of Japanese and Korean voice multiplexes. It consists of the 982.5KHZ filter 51, the 922.5KHZ filter 52, the 149KHZ filter 61, and the 276KHZ filter 62. As shown in FIG.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대한 작용 설명에 앞서 일본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SPECTRUM)과 한국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럼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Prior to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Japanese speech SPECTRUM and the Korean speech multispectral spectru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일본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럼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MHZ 대역에 주신호, 부신호, 제어신호가 함께 실려 있으며 이때 주신호는 ±25KHZ, 부신호 중 스테레오 방송은 ±20KHZ 부신호 중 2개국어 방송은 ±15KHZ의 주파수 편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부신호중에 포함된 스테레오 판별신호는 982.5KHZ, 2개국어 판별신호는 922.5KHZ로 실려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Japanese-style voice multi-spectrum includes a main signal, a sub signal, and a control signal together in the 4.5 MHZ band. The national broadcasting has a frequency shift of ± 15KHZ. The stereo discrimination signal included in the sub-signals is 982.5KHZ, and the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is 922.5KHZ.

그리고 한국 방식의 음성 다중 스펙트럼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신호는 4.5MHZ 대역의 제1캐리어에 실려 있고 부신호 및 제어신호는 4.72MHZ 대역의 제2캐리어에 실려있게 되며 이때 부신호중에 포함된 스테레오 판별 신호는 148KHZ, 2개국어 판별신호는 276KHZ로 실려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Korean-type voice multi-spectrum has a main signal on a first carrier of 4.5MHZ band and a sub signal and a control signal on a second carrier of 4.72MHZ band. The included stereo discrimination signal is 148KHZ and the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is 276KHZ.

이같은 양방식의 음성 다중에 있어서, 상호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주신호 및 제어신호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부신호만 서로 다른 기능 블록을 이용하면 일본 방식과 한국 방식의 음성 다중 공용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In such two-way voice multiplex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comm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n common, and to use the multi-way reception of Japanese and Korean voices by using different function blocks of only the sub-signals. Will be.

먼저 일본 방식의 음성 다중 방송 신호가 인가되어지면 4.5MHZ 필터(21)를 통하여 4.5MHZ 대역의 주신호, 부신호, 제어신호가 통과되게 되고 이때 주신호는 리미터(22)와 주채널 검파부(23)를 통한후 15KHZ 저역통과 필터(24)를 통하여 좌채널 신호로 출력되어지게 되며 또한 4.5MHZ 필터(21)를 통과한 부신호 및 제어신호는 일본 음성 다중의 부신 검출 블록(1)에 인가되어 16-47MHZ 대역통과필터(11)를 통하여 제어신호는 음성다중 제어신호 검출블록(40)에 인가되어지는 한편 부신호는 리미터(12)와 부채널 검파부(13)를 통한후 15KHZ 저역통과 필터(14)를 통하여 우채널 신호로 출력되어진다.First, when a Japanese multi-channel voice signal is applied, the main signal, the sub-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4.5 MHZ band are passed through the 4.5 MHZ filter 21. At this time, the main signal is the limiter 22 and the main channel detector ( 23) through the 15KHZ low-pass filter 24 is output as a left channel signal, and the sub-signal and control signal passed through the 4.5MHZ filter 21 is applied to the adrenal detection block (1) of the Japanese voice multiplex.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through the 16-47MHZ band pass filter 11 while the sub-signal is passed through the limiter 12 and the subchannel detector 13 and then 15KHZ low pass. It is output as a right channel signal through the filter 14.

한편 음성다중 제어신호 검출 블록(40)에서는 제어신호를 대역통과 필터(41)와 증폭부(42)및 검파부(43)를 통과시켜 일본 음성 다중 판별신호 검출 블록(50)에 인가시켜 주어 스테레오 판별신호(982.5KHZ)나 2제국어 판별신호(922.5KHZ)를 검출한다.Meanwhile, in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the control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41, the amplifier 42, and the detector 43 and applied to the Japanese voice multiple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 50. A discrimination signal 982.5 KHZ or a second language discrimination signal 922.5 KHZ is detected.

즉 일본 음성 다중 판별 신호 검출 블록(50)에서는 982.5KHZ 필터(51)와 922.5KHZ 필터(52)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또는 2개국어 판별 신호인가를 검출한후 모우드 검출부(70)에 인가시켜 주어 스테레오 또는 2개국어 방송 모우드에 따른 콘트롤 신호를 출력시키게 한다.That is, the Japanese voice multiple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block 50 detects the stereo or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using the 982.5KHZ filter 51 and the 922.5KHZ filter 52,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mode detecting unit 70. Or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bilingual broadcast mode.

그리고 모우드 검출부(70)의 콘트롤 신호는 오아게이트(80)를 통하여 콘트롤 로직부(90)에 인가되게 되고 콘트롤 로직부(90)에서는 상기 콘트롤 신호에 따라 스위치(91)(92)를 절환시킴으로써 좌, 우측 출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스테레오 판별신호(982.5KHZ)가 검출될 경우 매트릭스(100)를 통과한 주신호가 좌채널로 출력되게 하는 한편 부신호가 우채널로 출력되게 하고 2개국어 판별신호(922.5KHZ)가 검출될 경우에는 주신호가 좌채널로 출력되게 하는 한편 매트릭스부(100)를 통과한 부신호가 우채널로 출력되게 한다.The control signal of the mode detector 70 is applied to the control logic unit 90 through the oragate 80, and the control logic unit 90 switches the switches 91 and 9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stereo discrimination signal 982.5KHZ is detected by controlling the right output, the main signal passing through the matrix 100 is output to the left channel, while the sub-signal is output to the right channel, and the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922.5 is output. When KHZ) is detected, the main signal is output to the left channel and the sub-signal passing through the matrix unit 100 is output to the right channel.

따라서 상기된 과정에 의하여 일본 방식의 음성 다중 방송 신호를 수신할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Japanese multi-speech signal by the above process.

한편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 신호가 인가되어지면 주신호는 4.5MHZ 필터(21)를 통한후 일본 방식의 음성다중 주신호와 같이 리미터(22). 주채널 검파부(23), 15KHZ 저역통과 필터(24)를 통하여 출력되고 부신호 및 제어신호는 4.72MHZ 필커터(31)를 통한후 리미터(32)와 부채널 검파부(33) 및 15KHZ 저역통과 필터(34)를 통하여 출력되게 되며 이때 부채널 검파부(33)를 통과한 제어신호는 음성 다중 제어 신호 검출 블록(40)에 인가되어져 대역통과 필터(41)와 증폭부(42) 및 검파부(43)를 통한 후 한국 음성다중의 판별 신호 검출부(60)에 인가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Korean voice multiplexing signal is applied, the main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4.5MHZ filter 21, and then the limiter 22 as the Japanese voice multiplying main signal. It is output through the main channel detector 23, the 15KHZ low pass filter 24, and the sub-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re passed through the 4.72MHZ filter cutter 31, the limiter 32 and the sub-channel detector 33 and the 15KHZ low pass. The control signal passed through the sub-channel detector 33 is applied to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to output the band pass filter 41, the amplifier 42, and the detector 42. After the unit 43 is applied to the discrimination signal detection unit 60 of the Korean voice multiplexing.

그리고 한국 음성다중 판별신호 검출블록(60)에서는 149KHZ의 스테레오 판별 신호인가 279KHZ의 2개국어 판별신호인가를 149KHZ 필터(61)와 276KHZ 필터(62)를 이용하여 검출한후 모우드 검출부(75)에 인가시켜 중 스테레오 또는 2개국어 방송 모우드에 다른 콘트롤 신호를 오아게이트(80)를 통하여 콘트롤 로직부(90)에 인가시킨다.In the Korean voice multiplex detection signal detection block 60, a stereo discrimination signal of 149KHZ or a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of 279KHZ is detected using the 149KHZ filter 61 and the 276KHZ filter 62, and t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mode detector 75. Another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logic unit 90 through the oragate 80 by apply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stereo or bilingual broadcasting mode.

따라서 콘트롤 로직부(90)에서는 모우드 검출부(75)에서 인가되는 콘트롤 신호에 따라 스위치(91)(92)를 절환시킴으로써 좌, 우측 출력을 선택하는 것으로 스테레오 판별신호(149KHZ)가 검출될 경우 매트릭스부(100)를 통과한 주신호가 좌채널로 출력되게 하는 한편 부신호가 우채널로 출력되게 하고 2개국어 판별 신호가 검출될 경우 주신호가 좌채널로 출력되게 하는 한편 매트릭스부(100)를 통과한 부신호가 우채널로 출력되게 한다.Therefore, the control logic unit 90 selects the left and right outputs by switching the switches 91 and 9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mode detector 75. When the stereo discrimination signal 149KHZ is detected, the matrix unit The main signal passed through the (100) is output to the left channel, the sub-signal is output to the right channel, and when the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 is detected, the main signal is output to the left channel, while passing through the matrix unit 100 Allow sub-signals to be output on the right channel.

따라서 상기된 과정에 의하여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 신호를 수신할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Korean multi-speech signal by the above proces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고 일본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을 공용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양방식의 주신호는 음성다중 주신호 검출 블록을 통하여 검출하고 양방식의 제어신호는 음성다중 제어신호 검출 블록을 통하여 공용으로 검출하여 일본 방식의 음성다중 부신호와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 부신호만 일본 및 한국 음성다중의 검출 블록에서 각각 검출되게 하므로써 일본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과 한국 방식의 음성다중 방송을 공용으로 수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both main signals through the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and receives both signals through the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in order to receive the voice multiple broadcasts of the Korean method and the Japanese multiple voice broadcasts. Commonly detect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only the Japanese voice multiple sub-signals and the Korean voice multiple sub-signals are detected in the Japanese and Korean voice multiple detection blocks, respectively. The effect is to receive multiple broadcasts in common.

Claims (1)

4.5MHZ 대역의 음성다중 주신호를 처리 검출하는 음성 다중 주신호 검출블록(20)과, 4.5MHZ 대역의 음성 다중 부신호를 처리 검출하는 일본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과, 4.72MHZ 대역의 음성다중 부신호를 처리 검출하는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30)과, 상기 일본 및 한국 음성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30)에서 검출된 부신호에 포함되어진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음성다중 제어신호 검출블록(40)가, 상기 음성 다중 제어신호 검출 블록(40)의 제어신호를 스테레오 및 2개국어 판별 신호로 검출하는 일본 및 한국 음성다중의 판별신호 검출 블록(50)(60)과, 상기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판별신호 검출블록(50)(60)에서 검출된 판별 신호에 의하여 방송 모우드를 검출하는 모우드 검출부(70)(75)와, 상기 모우드 검출부(70)(75)의 출력을 논리합시키는 오아게이트(80)의 출력에 따라 음성다중 주신호 검출 블록(20)과 일본 및 한국 음성 다중의 부신호 검출블록(10)(30)의 주신호 및 부신호를 매트릭스시키는 매트릭스부(100)의 출력측에 연결된 스위치(91)(2)를 절환시켜 출력을 선택하는 콘트롤 로직부(90)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식 음성다중 수신회로.A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20 for processing and detecting a voice multiple main signal of 4.5MHZ band, a Japanese voice multiple sub signal detection block 10 for processing and detecting a voice multiple subsignal of 4.5MHZ band, and 4.72MHZ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ub-signal detection block 30 of the Korean speech multiplexing signal for processing the multi-signal sub-signal of the band and the sub-signals detected by the sub-signal detection blocks 10 and 30 of the Japanese and Korean speech-multiple sub-signals.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for detecting the signal is divided into a Japanese and Korean voice multiple detection signal detection block 50 for detecting the control signals of the voice multiple control signal detection block 40 as stereo and bilingual discrimination signals. (60), a mode detecting unit (70) (75) and a mode detecting unit (70) for detecting a broadcast mode based on the discriminating signal detected by the discriminating signal detecting blocks (50) and (60) of the Japanese and Korean speech multiplexing. OR to OR the output of 75 The output side of the matrix unit 100 which matrixes the main and sub-signals of the voice multiple main signal detection block 20 and the Japanese and Korean voice multiple sub-signal detection blocks 10 and 30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byte 80. And a control logic unit (90) which selects an output by switching the switches (91) (2) connected thereto.
KR2019900020658U 1990-12-20 1990-12-20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KR9300009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58U KR930000967Y1 (en) 1990-12-20 1990-12-20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658U KR930000967Y1 (en) 1990-12-20 1990-12-20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88U KR920014288U (en) 1992-07-27
KR930000967Y1 true KR930000967Y1 (en) 1993-03-02

Family

ID=1930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658U KR930000967Y1 (en) 1990-12-20 1990-12-20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6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88U (en)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2837A (en) FM Multiplex system for selectively delaying one of two audio signals
US4761814A (en) Variable bandwidth multivoice demodulating circuit
KR930000967Y1 (en) Tv receiver having muti-carrier
KR0139170B1 (en) Speaker headphone switching system in the mts/stereo receiver
JPH0424672Y2 (en)
KR0140600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sound modes in television
JPH0927778A (en) Fm diversity receiver
GB2122458A (en) Stereophonic television receivers
JP2508680B2 (en) Multiplex audio receiver
KR0166252B1 (en) Television with discrimination of sound modes
KR013752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rticality screen width of television
JP2848645B2 (en) Audio multiplex signal switching device
KR0119488Y1 (en) Sound multiple receiving apparatus
KR960006757B1 (en) Voice signal output apparatus
KR940007015Y1 (en) Catv system
KR0174209B1 (en) Matrix controlling circuit using kbps data
KR960009150B1 (en) Tv signal converting apparatus
JPS5910080A (en) Receiver for television sound multiplex broadcast
KR19980023723U (en) Voice Multiple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Voice Method of Television
JPS585053A (en) Muting circuit
KR19990034047A (en) How to automatically switch the voice mode on a TV
JPS5930381A (en) Sound circuit of television receiver
GB2162009A (en) A tuner unit
Buhse Application proposals for multistandard sound TV-receivers
JPS61117933A (e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