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31B1 -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 Google Patents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31B1
KR930000731B1 KR1019890018714A KR890018714A KR930000731B1 KR 930000731 B1 KR930000731 B1 KR 930000731B1 KR 1019890018714 A KR1019890018714 A KR 1019890018714A KR 890018714 A KR890018714 A KR 890018714A KR 930000731 B1 KR930000731 B1 KR 93000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unit
units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790A (ko
Inventor
백영식
이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9001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31B1/ko
Publication of KR91001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제1도는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의 No.7 곧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의 계층적 구조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신호중계기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중계기 시스팀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제 메모리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3 유니트 및 신호망 관리 유니트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망 관리 기능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레벨 3-3 연결망 41 : 복제 메모리
42 : 레벨 3 유니트 43 : 신호망 관리 유니트
44 : 레벨 2-3 연결망 45 : 레벨 2 유니트
600 : 병렬버스 접속 콘넥터 610 : 복제 메모리
620 : 복베 메모리 내의 경로 선택 테이블
630,640 :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 650 : 프로세서
본 발명은 신호 중계기 시스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제 메모리를 이용하여 레벨 3 기능이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신호망관리기능으로 분리된 구조 또는 각각의 레벨 3 유니트가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한 구조에서 레벨 2 유니트 및 신호링크에 오류가 발생했을때 용이하게 처리하는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교환기의 국간 신호방식에는 각각의 중계선 통화로를 통하여 신호가 교환되는 개별선 신호방식(Channel Associated Signalling)인 R2MF(R2 Multi-Frequency Complelled)와, 신호정보를 개개의 중계선 통화로가 아닌 공통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이 있다.
NO.7 공통선 신호방식은 기존의 R2MFC 신호방식보다 PDD(Post Dialing Delay)의 감소, 풍부한 신호 용량의 제공, 통신망 관리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호방식으로서 장래의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수용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NO.7 공통선 신호방식은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 형태의 신호 메시지를 사용하여 단일 채널에 의해 수천개의 통신 회선에 관한 메시지를 별도의 공통 신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64Kbps(bit per second)의 디지틀 통신망에 최적으로 설계되었고, 그 이하의 저속운용 및 아날로그 통신망에서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신호중계기는 제1도는 도시한 바와 같은 NO.7 공통선 신호방식의 계층적 구조중 메시지 전달부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시스팀이다.
제1도는 메시지 전달부는 두 전자 교환국간의 사용자부 기능 사이에 신호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일종의 전송 프로토콜로서 레벨 1,2,3의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레벨 1 기능을 신호 데이타 링크 기능, 레벨 2 기능을 신호링크 기능, 그리고 레벨 3 기능을 신호망 기능이라 하며 이중 레벨 3 기능은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와 관리기능으로 대별한다. 참고로 NO.7 공통선 신호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CCITT red book recommendation VI.7, specification of signalling NO.7”,Q.704 1984
현재, 선진 각국은 NO.7 공통선 신호망울 구축하기 위하여 대용량, 고성능의 신호중계기를 자체 개발중이거나 완료하였다.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경우로, 하나의 공통선 연결망에 레벨 2 유니트와 레벨 3 유니트가 모두 연결된 구조를 보여준다.
여기서 신호링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메시지 레벨 2-3 연결망을 통하여 레벨 3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레벨 3 유니트에 의해 선택된 출력 신호링크로 송신되기 위해 다시 레벨 2-3연결망을 통과한다. 즉, 하나의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두번 레벨 2-3 연결망을 거치는 단점이 있다. 더 상세한 내용은 다음 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MS-7 Switching node for common channel signalling networks, ”Proceeding of ISS" 87 Vol.1, Page B2.1.6.
-“CCS NO.7 TRANSFER POINT, ”TELCOM, IEEE. B2.5.1.1987
제3도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신호중계기 구조를 보여준다. 그림에서와 같이 레벨 2 유니트는 레벨 3 유니트로 독립적인 연결망을 통하여 전송된다. 그러므로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는 레벨 3-3 연결망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레벨 3 유니트가 원래의 기능인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내부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고속의 레벨 3 프로세서를 사용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그 구조에서는 앞의 구조와는 달리 신호링크로 입력된 신호메시지가 한번만 레벨 3 연결망을 통과하기 때문에 같은 성능을 갖는 연결망을 사용한 경우, 수용 가능한 신호링크수가 증가하며, 같은 수의 신호링크를 수용한 경우 신호중계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국의 경우는 하나의 레벨 3 유니트가 하나의 레벨 2 유니트를 제어하게 하여 통합된 유니트로 구현되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Design of a Large-Capacity Signalling Transfer Point System, ”Reveiew of the Electical Communications Loboratories, vol.35 NO.6, 1987
-“Exploiting the power of common channel signalling system NO.7 : network capability and new signalling nework switching technology” Telcom. IEEE, Page B2.2.1,1987
따라서,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망(CCITT NO.7)을 독자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통선 신호망 NO.7의 기능을 담당하는 신호중계기 시스팀 중 메세지 전달부 기능의 레벨 2나 신호링크에 장애가 발생했을때 이를 처리하는 레벨 3의 기능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 복제 메모리(Replicated Shared Memory)를 사용하여 장애 복구시 경로선택 테이블의 수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기 시스팀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CITT NO.7 공통선 신호방식의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레벨 3 유니트를 접속하여 복제 메모리를 위한 상호 통신로를 제공하기 위한 병렬버스 형태의 레벨 3-3 연결망 ; 상기 레벨 3-3 연결망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유니트에 복제 메모리를 내장하여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을 수평적으로 여러 유니트에 분산시켜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 3 유니트 ; 상기 다수의 레벨 3 유니트 및 레벨 2 유니트를 접속하여 신호메시지의 입.출력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레벨 2-3 연결망 ; 및 상기 레벨 2-3 연결망에 연결되어 있고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레벨 2 유니트를 구비하여 단일의 유니트가 집중적으로 신호망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제4도 내지 제7도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중계시스팀 구성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복제 메모리 구성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 3 유니트 및 신호망 관리 유니트의 구성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망 관리기능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중계시스팀 구성을 나타낸 불럭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 3-3 연결망(40)과, 레벨 2-3(44)과, 상기 레벨 3-3연결망(40) 및 레벨 2-3 연결망(44)간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유니트에 복제 메모리를 내장한 다수의 레벨 3 유니트(42a,42b,…)와, 상기 레벨 2-3 연결망(44)에 연결된 다수의 레벨 2 유니트(45a,46b,…45m)로 구성된다.
신호중계시스팀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중계시스팀으로 입.출력되는 신호메시지는 고속의 신호링크를 통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중계시스팀을 실제 공통선 망에 도입하게 될 경우, 수백의 신호링크를 수용해야 한다.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CCITT)에서는 평상부하시(0.2 얼랑)에 신호메시지 전달 지연시간이 20ms이하를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용량 고성능을 제공하는 신호중계시스팀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와 레벨 3 기능을 수행하는 유니트의 성능이 이를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프로세서가 이러한 성능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수백의 신호링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적으로 다중 프로세서에 의해 기능을 분산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과 레벨 3 기능을 서로 다른 유니트로 분산시켜 구성하고, 두 유니트 사이에 신호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느 장치를 부가한다.
또한, 상기 레벨 2 유니트는 독립적인 신호링크를 하나 또는 여러개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벨 3 유니트가 수백의 레벨 2 유니트를 제어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레벨 3 기능을 수평적으로 여러 유니트에 분산시켜 구성한다.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은 크게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신호망관리기능으로 분류되는데, 평상시에는 신호메시지 처리부분(42)만 주로 동작을 하며, 신호망 관리 부분(43)은 신호링크나 레벨 2 유니트에 오류가 발생하였을때 동작한다. 그리고 신호망 관리 부분(43)은 전체 신호링크나 레벨 2 유니트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이 집중관리하는 것이 유리하여 메시지 전달부와 신호메시지 처리 부분과 신호망 관리 부분은 분리하여 구현하였다.
이때, 신호메시지 처리 부분은 수백의 레벨 2 유니트를 분산 처리하기 위해 여러 모듈에 분산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분산은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의 분산이 아니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레벨 3 유니트가 여러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중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이 레벨 3 유니트에 분산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레벨 3 유니트를 똑같은 레벨 3 경로선택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경로선택 테이블은 출력 신호 링크를 검사할때 사용된다. 즉, 신호링크를 통해 입력된 메시지는 레벨 2 유니트에 의해 처리된 후 레벨 3 유니트에 의해 어느 경로로 출력된 것인가를 검사받게 된다.
이때 레벨 3 유니트는 경로선택 테이블을 보고 출력 및 신호링크를 선택한다. 그리고 각각의 레벨 3 유니트는 같은 경로 선택 테이블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입력된 신호메시지가 어느 레벨 3 유니트가 되든지 같은 출력 신호링크가 선택되게 된다. 여기서 각 신호링크에 흐르는 신호메시지는 순서가 지켜져야 하기 때문에 같은 레벨 3 유니트로 보내진다.
즉, 여러장의 레벨 3 유니트는 평상시에는 각각 할당된 신호링크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메시지를 분담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 기능은 여러 유니트에 분산하여 처리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4도는 레벨 3 기능이 신호메시지 처리기능과 신호망관리기능으로 분리된 구조에서 신호링크에 오류가 발생했을때 처리하기 용이한 복제 메모리를 신호중계시스팀에 적용하여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한 복제 메모리를 제5도에 나타내었는데, 상기 복제 메모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복제 메모리는 모두 같은 주소를 가지고 있다. 즉, 논리적으로 하나의 메모리처럼 보인다.
그러나 하나의 메모리 내용을 변경 즉, 쓰기(WRITE)를 하면 값은 주소의 모든 복제 메모리의 내용이 하드웨어적으로 동시에 바뀐다.
그러나, 각각 메모리를 읽을 때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읽는다. 이러한 기능은 쉽게 수정되지 않고 여러 프로세서에서 주로 읽기만 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면 쉽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제된 공통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벨 3-3 연결망이 병렬버스이어야 한다.
복제 메모리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기법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제6도는 복제 메모리를 실현하는 기능적 구성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 (630,640)를 컨넥터(600)를 통해서 엑세스하는 신호와 내부 프로세서(650)가 복제 메모리를 엑세스하는 신호를 중재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650)이 복제 메모리(610)내에 적재된 경로선택 테이블을 읽을 때에는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가 열려지면서 프로세서(650)가 복제 메모리(610)를 액세스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세서(650)가 복제 메모리(610)에 쓰고자 할때에는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640)가 열려지면서, 복제 메모리를 가진 다른 유니트의 복제 제어회로 (630)는 모두 열고, 복제 제어회로(640)를 닫음으로써 다른 유니트가 읽는 것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복제 메모리는 하드웨어적으로 동시에 내용을 쓰기때문에 같은 경로 테이블을 사용하는 유니트에 있어서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내용을 일치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게 된다. 이러한 복제 메모리에 대한 상세한 기능은 다음 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A Multiprocessor with Replicated Shared Memory, AFIPS, Proceeding of the National Computer Confernce(Vol.52),1983,pp.557-564
제6도는 레벨 3 유니트 및 신호망 관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 버스 접속 콘넥터(600)와, 상기 병렬버스 접속 콘텍터에 연결된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와, 상기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에 연결된 또 하나의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와 상기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에 연결된 프로세서(650)와, 상기 두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640)간에 연결되어 있고 경로선택 테이블(620)을 내장한 복제 메모리(6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중계기 시스템 구조를 보여준 것으로서, 레벨 3-3 연결망은 일반적인 병렬버스로 구성된다. 다수의 레벨 3 유니트 (42) 및 단일의 신호망관리 유니트(43)는 레벨 3-3 연결망을 통하여 각 유니트가 탑재하는 있는 복제 메모리(41a~41n)를 연결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유니트가 복제 메모리에 쓰기를 요청하면 레벨 3-3 연결망을 통하여 '쓰기' 신호를 전달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각 유니트에서 읽거나, 쓰는 신호를 금지시킨다.
레벨 3-3 연결망은 다수의 레벨 3 유니트(42)와 단일의 신호망 관리 유니트 (43) 및 다수의 레벨 2 유니트(45)를 접속시키는 연결망으로서, 병렬버스 또는 LAN ,MAN등 여러종류의 연결망이 사용가능하다. 다만, 상기한 다수의 유니트를 수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고속 연결망이면 된다.
본 발명의 신호중계기 시스템은 CCITT에서 권고하는 ‘메세지 전달’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있다. 다수의 레벨 2 유니트(45)는 상대편 시스템과 접속되어 오류없는 신호메시지 전달 및 오류 검출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대편 시스템과 신호 메세지는 신호링크 1~m을 통하여 레벨 2 유니트 (45)로 송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메시지는 레벨 2-3 연결 연결망은 통하여 레벨 3 유니트 (42)중, 각각의 레벨 2 유니트에 지정된 레벨 3 유니트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레벨 2 유니트들은 균등하게 배분되어 레벨 3 유니트에 지정된다.
레벨 3 유니트는 수신된 신호메시지와 복제 메모리 (41a~41b)에 탑재된 경로선택 테이블을 참조하여 경로를 선택한다. 경로선택이 끝나면, 신호메시지가 전달되어야할 레벨 2 유니트가 선택되고, 레벨 3 유니트는 레벨 2-3 연결 연결망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신호메시지를 송신한다. 신호메시지를 수신한 레벨 2 유니트는 신호링크를 통하여 신호메시지를 상대편 신호중계기로 송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유니트(42,43)의 복제 메모리는 같은 내용(특허, 경로선택 테이블)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벨 2 유니트는 신호링크 오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레벨 2 유니트가 신호링크에 대해 오류를 검출하면 레벨 2 유니트는 신호망관리 유니트(43)로 신호링크 오류 발생을 알리게 되고, 신호망관리 유니트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신호링크에 오류가 발생한 레벨 2 유니트를 다른 레벨 2 유니트로 교체한다. 그 결과는 각각의 유니트에 탑재된 경로선택 테이블이 갱신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제 메모리에 탑재된 경로선택 테이블은 하드웨어적으로 동시에 갱신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어떤 순간에 각각의 경로선택 테이블을 틀리게 되면, 잘못 루팅되는 유니트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로선택 테이블이 동시에 갱신되지 않으면 여러 경로에서 입력된 신호메시지 사이에 경로선택시 불일치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동시에 경로선택 테이블의 갱신을 가능하게 하는 복제 메모리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성능 및 신호메시지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였다.
신호망 관리 유니트(43)의 복제 메모리(41n)를 갱신할때 다른 보드의 복제 메모리가 하드웨어적으로 동시에 갱신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망관리기능은 하나의 보드에서 집중하여 처리한다고 가정할때, 신호망관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650)가 자신의 복제 메모리(610)에 갱신된 내용을 쓴다. 이때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가 동작하고, 외부로 신호를 보내는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 (630)가 동작을 한다.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를 통과한 신호는 복제 메모리를 수용하고 있는 다른 모든 레벨 3 유니트의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를 동작시킨다. 이때 모든 레벨 3 유니트의 프로세서(650)는 경로선택 테이블(620)을 액세스하지 못하는 상태로 된다. 즉, 다른 모든 레벨 3 유니트의 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시간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메모리를 갱신하는 시간으로 메세지를 사용한 프로토콜에 의한 방법보다 시간적으로 성능이 향상된다.
신호망관리기능은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니트에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제 메모리를 사용하여 복수의 유니트가 신호메시지 처리기능 및 신호망관리기능을 도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유니트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경로선택 테이블을 수행할시 각각의 유니트에 있는 경로 선택 테이블을 동시에 수정된다.
제7도는 신호망관리기능중 경로선택 테이블을 갱신하기 위한 신호망관리기능을 보여준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하나의 신호메시지 경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신호망관리기능은 장애가 발생한 경로와 관련있는 신호메시지를 복구하고(710), 최종적으로 새로운 경로로 신호메시지를 우회시켜(720) 송출하기 위해 복수의 레벨 3 유니트에 존재하는 경로선택 테이블을 갱신함(73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5도 및 제6도는 설명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레벨 3 유니트들은 똑같은 경로선택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예로 레벨 2 유니트가 신호링크에 장애가 발생했을때 레벨 3 기능중 신호망관리기능은 장애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이때 장애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의 최종 수행 단계는 레벨 3 유니트의 경로선택 테이블을 수정하여 레벨 2 유니트로 전송되는 신호메시지를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신호링크로 우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가 극복되었을때에는 원래의 신호링크로 신호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이때 경로선택에 테이블은 동시에 수정되는 것이 요구되며, 이것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되지 않을때에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적용시켜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레벨 3 프로토콜을 구현함에 있어서 같은 내용으로 여러개가 존재하는 신호 경로선택 테이블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여, 레벨 2나 신호링크의 장애 극복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CITT NO.7 공통선 신호방식 실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CCITT NO.7 공통선 신호방식의 메시지 전달부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중계시스팀에 있어서, 다수의 레벨 3 유니트를 접속하여 복제 메모리(41a~41n)를 위한 상호 통신로를 제공하기 위한 병렬버스 형태의 레벨 3-3 연결망(40) : 상기 레벨 3- 3연결망(40)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유니트에 복제 메모리(41)를 내장하여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을 수평적으로 여러 유니트에 분산시켜 신호메시지 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 3 유니트(42 및 43) : 상기 다수의 레벨 3 유니트(42 및 43) 및 레벨 2 유니트(45)를 접속하여 신호메시지의 입.출력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레벨 2-3 연결망(44) : 및 상기 레벨 2-3 연결망(44)에 연결되어 있고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2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레벨 2 유니트(45) : 를 구비하여 단일의 유니트가 집중적으로 신호망관리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2 유니트(45a,45b,…45m)는 독립적인 하나의 신호링크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2 유니트(45a,45b,…45m)는 독립적인 신호링크를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3 유니트(42,43)는 병렬버스 접속 콘넥터(600), 상기 병렬버스 접속 콘넥터(600)에 연결되어 상기 병렬버스 접속 콘넥터(600)를 통해 액세스하는 신호를 중재하는 제1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30), 상기 제1복제 메모리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프로세서가 복제 메모리를 액세스하는 신호를 중재하는 제2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 상기 제2복제 메모리 제어회로(640)에 연결되어 신호 메시지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650) 및, 상기 제1 및 제2복제 메모리 제어회로 (630,640)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650)의 제어에 따라 신호망관리기능을 위해 갱신된 내용을 저장하는 복제 메모리(6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벨 3 유니트에 내장된 상기 복제 메모리(610)는 동일한 경로선택 테이블(620)을 보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벨 3 유니트(42,43)는 레벨 3 프로토콜 신호중 경로선택 기능인 신호메시지 처리기능 및 신호링크 장애처리를 위한 신호망관리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3 유니트 레벨 3 프로토콜중 경로선택 기능인 신호메시지 처리기능만 수행하는 레벨 3 유니트(42)와, 레벨 3 프로토콜 중 신호링크 장애 처리를 위한 신호망관리기능을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신호망관리 유니트(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3 유니트(42,43)는 다수의 유니트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경로선택 테이블을 수정할시 각각의 유니트에 있는 경로선택 테이블이 복제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3 유니트는 상기 신호망 관리 유니트(43)에 있는 복제 메모리(41n)를 수정하여 각각의 유니트의 복제 메모리(41a~41b)에 동일한 형태로 존재하는 경로선택 테이블을 동시에 수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레벨 3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KR1019890018714A 1989-12-16 1989-12-16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KR93000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714A KR930000731B1 (ko) 1989-12-16 1989-12-16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714A KR930000731B1 (ko) 1989-12-16 1989-12-16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790A KR910013790A (ko) 1991-08-08
KR930000731B1 true KR930000731B1 (ko) 1993-01-30

Family

ID=1929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714A KR930000731B1 (ko) 1989-12-16 1989-12-16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7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790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339B1 (ko) 스위칭 회로망
US6487591B1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ctive and standby units using IP swapp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4550397A (en) Alternate paths in a self-routing packet switching network
US6411599B1 (en) Fault tolerant switching architecture
US4876681A (en) Packet switching equipment and a packet switching 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switched networks
US7010715B2 (en) Redundant control architecture for a network device
US5131041A (en) Fault tolerant interconnection networks
JPH0444452B2 (ko)
BG63358B1 (bg) Разширяема телекомуникационна система
JPS6243600B2 (ko)
CZ281144B6 (cs) Komunikační systém
JPH07202927A (ja) マルチポート・ブリッジ
US3760364A (e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EP0282197B1 (en) A digital telephone switching system having a message switch with address translation
US4811388A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entral back-up memory
US6597656B1 (en) Switch system comprising two switch fabrics
KR920002483B1 (ko) No.7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중계기 이중화 구조 시스템
JPS62181596A (ja) 分散制御交換方式における多重ポ−ト ハントグル−プの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512112A (ja) Atmセルの双方向伝送のための伝送装置を代替え的に切り換えるための方法
US6876660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APS) using cell replication
US4494229A (en) Interconnecting apparatus for a distributed switching telephone system
KR930000731B1 (ko) 다중 레벨 3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구비한 신호중계시스팀
US6034943A (en) Adaptive communication node for use in an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system
CA2041202C (en) Digital communications network with unlimited channel expandability
ZA200206074B (en) Data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