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89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89B1
KR920010789B1 KR1019900013579A KR900013579A KR920010789B1 KR 920010789 B1 KR920010789 B1 KR 920010789B1 KR 1019900013579 A KR1019900013579 A KR 1019900013579A KR 900013579 A KR900013579 A KR 900013579A KR 920010789 B1 KR920010789 B1 KR 92001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rane
water
filtering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016A (ko
Inventor
변해길
Original Assignee
변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해길 filed Critical 변해길
Priority to KR101990001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789B1/ko
Publication of KR92000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정수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Ⅳ-Ⅳ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공급로
12,13 : 걸림턱 14,14′ : 통로
17,18,28 : 필터 29 : 멤브레인
19,30 : 필터보호막 20,31 : 받침대
27 : 자석봉 32 : 오염수 배출로
35 : 정수 배출로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직결형 정수기로 화학물질과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불쾌한 맛, 냄새, 색소등의 제거 및 중금속, 박테리아, 방사능 물질들을 제거하는 제2단계로 구성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기로 세라믹 필터등의 각종 필터식 일반 정수기가 있으나, 이들 정수기는 물속에 있는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들이 0.1마이크론 이하의 이온상태이거나 결합상태의 분자로 각종 필터의 구멍크기가 0.3마이크론이므로 필터의 구멍을 통과한다. 또 큰 입자의 찌꺼기가 필터에 누적되어 각종 세균의 온상으로 되면서 더 번식되므로 인체에 해롭다. 이에 따라 구멍이 막혀 필터의 정수성능이 저하되어 자주 필터를 교체해야 된다.
또 종래의 다른 정수기로는 역삼투압정수기가 있는데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며 역삼투막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정수기는 필터 교체가 불편하면서도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고 정수의 생산량도 충분치 못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종래 정수기의 결점을 제거하는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고 중금속등의 물질, 불쾌한 맛, 냄새 및 색소등을 제거하는 동시에 각종 박테리아와 방사능 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정수기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정수기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정수기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휘어진 파이프형상의 케이스(10)내에서 제1단계의 정수와 제2단계의 정수가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는 방향 조정콕크를 게재하여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공급로(11)가 형성되고, 이 공급로(11)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제1단계 필터체(15)를 통해 정수된다. 이 필터체(15)는 공급된 물중에 입자가 큰 물질을 거르는 여과막(16)과, 필터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카본등이 고정된 제1필터(17)와, 이 카본필터(17)의 주위를 에워싸서 형성된 제2필터(18)와, 이 제2필터의 주위에 형성된 필터보호막(19)과, 이 필터체(15)를 케이스(10)의 걸림턱(12)과 함께 지지하는 받침대(2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체(15)에서 정수된 물이 다시 2차로 정수되는 필터체(25)가 하부측에 구성된다. 이 필터체(25)는 정수된 후 다시 공급된 물중에 입자가 큰 물질을 거르는 여과막(26)과, 필터체(25)의 중심축에 있는 자석봉(27)과 이 자석봉(27)의 주위를 에워싸서 형성되는 제3필터(28)와, 이 제3필터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멤브레인(29)과, 이 멤브레인(29)의 주위에 형성되어 필터와 멤브레인을 보호하는 필터 보호막(30)과, 이 필터체(25)를 케이스(10)의 걸림턱(13)과 함께 지지하는 받침대(3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로 물을 정수할 때 먼저 물이 수도꼭지로부터 방향조정콕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유입된다. 이 공급로(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여과막(16)을 통해 입자가 큰 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필터체(15)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1필터(17)(일반적으로 카본필터라함)측으로 지나고, 여기서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기타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등이 제거된다. 다음에 이 제1필터(17)를 에워싸는 제2필터(18)(일반적으로 프리필터라함)측으로 강제 유입되고, 여기서 먼저, 찌꺼기 등 각종 부유물을 완전히 제거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지나면서 정수된 물은 제1통로(14)에 모아져서 두 번째 필터체(25)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큰 수압에 의해 무거운 입자들은 필터체(15)를 지나 받침대(20)에 모아지고, 후술된 자석봉의 내공을 통해 오염수 배출로(32)로 인도된다. 이와 같이 정수된 물은 다시 필터체(25)측으로 유입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여과막(26)을 지나면서 큰 입자는 걸러진다. 여과막(26)을 지난 물은 자석봉(27)을 지나면서 철분을 띤 중금속등이 케이스(10)의 오염수 배출로(32)로 인도된다. 다음에 자석봉(27)을 에워싸는 제3필터(28)(일반적으로 포스터필터라함)를 통해 물이 지나면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 제3필터(28)를 지난 물은 주위에 있는 멤브레인(29)을 (예를들어 0.0001미크론 정도의 기공을 갖는다) 지나면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등을 차단하고 화학성 물질 및 방사능 물질도 차단한다. 다음에 물이 제2통로(14′)에 모아져서 정수배출로(35)로 인도되어 식수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터보호막(19),(30)은 필터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불순물등을 여과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정수기는 수도직결형이므로 생산량이 많으며, 필터내의 불순물이나 큰 입자를 배출로(32)를 통하여 배출하므로 필터의 수명이 길고, 제품이 이등분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필터를 필요시 교체할 수 있으며, 소형의 콤팩트한 구성이다.

Claims (1)

  1. 공급된 물중에 입자가 큰 물질을 거르는 여과막(16)과, 필터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하여 고정된 제1필터(17)와, 이 필터(17)의 주위를 에워싸서 형성된 제2필터(18)와, 이 제2필터의 주위에 형성된 필터보호막(19)과, 이 구성을 케이스(10)의 걸림턱(12)과 함께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20)로 구성된 필터체(15)와; 상기 필터체(15)에서 정수된 후 다시 공급된 물중에 입자가 큰 물질을 거르는 여과막(26)과, 중심축에 있는 자석봉(27)과, 이 자석봉(27)의 주위를 에워싸서 형성되는 제3필터(28)와, 이 제3필터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멤브레인(29)과, 이 멤브레인(29)의 주위에 형성되어 필터와 멤브레인을 보호하는 필터보호막(30)과, 이 구성을 케이스(10)의 걸림턱(13)과 함께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31)로 구성된 필터체(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19900013579A 1990-08-31 1990-08-31 정수기 KR92001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579A KR920010789B1 (ko) 1990-08-31 1990-08-31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3579A KR920010789B1 (ko) 1990-08-31 1990-08-3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16A KR920004016A (ko) 1992-03-27
KR920010789B1 true KR920010789B1 (ko) 1992-12-17

Family

ID=1930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579A KR920010789B1 (ko) 1990-08-31 1990-08-31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87B1 (ko) * 2008-04-14 2008-07-01 정학서 알칼리 이온수 자화필터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 이온수자화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87B1 (ko) * 2008-04-14 2008-07-01 정학서 알칼리 이온수 자화필터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 이온수자화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16A (ko) 199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2046A (en) Multi-stage microbiological water filter
US7740754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a liquid
MXPA01000377A (es) Metodo y aparato para filtrar impurezas de un fluido.
US7364654B2 (en)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AU3379093A (en) Filtration
US5958232A (en) Reverse osmosis drinking water treatment system with backwashable precise prefilter unit
KR101912869B1 (ko) 정수기용 일체형 uf-세디먼트 필터
KR101088862B1 (ko) 정수기용 복합 필터
MX9304122A (es) Mejoras en un filtro de fluido lavable por contracorriente.
AR001569A1 (es) Disposicion para el tramiento de efluentes
WO2002062448A2 (en) Filter apparatus using alternate types of replaceable filter elements
CA2237491A1 (en)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US3469697A (en) Filter and by-pass valve assembly
KR920010789B1 (ko) 정수기
CN205473020U (zh) 便携式净水机演示器
TW452519B (en) Multi-class filteration device
US20220111314A1 (en) A water filtration device
CN220245839U (zh) 低赫兹陶瓷除氯阻垢复合滤芯
JPS62729Y2 (ko)
CN201400609Y (zh) 壁挂式自来水净水器
JP3052598U (ja) 遊離残留塩素濃度可変型水濾過装置
KR200198698Y1 (ko) 정수기
KR19980068257U (ko) 필터 분리형 정수기
KR910003241Y1 (ko) 생활 용수 정수 장치
Pavese Membrane system for high-surfactant waste w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