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209B1 -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 Google Patents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209B1
KR920009209B1 KR1019830005671A KR830005671A KR920009209B1 KR 920009209 B1 KR920009209 B1 KR 920009209B1 KR 1019830005671 A KR1019830005671 A KR 1019830005671A KR 830005671 A KR830005671 A KR 830005671A KR 920009209 B1 KR920009209 B1 KR 92000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digital
bi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899A (ko
Inventor
존 로버트 카터 니콜라스
아르투로 미드레톤 프란시스코
다스 산타누
Original Assignee
알카텔 엔. 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45,626 external-priority patent/US4488287A/en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 엔. 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filed Critical 알카텔 엔. 브이
Publication of KR84000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8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1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by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제1도는 2포트 시스템 사용자에게 음성 및 데이타를 동시에 전이중 전송하기 위한 설비를 갖춘 PABX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복수의 2포트 시스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1도의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제3도는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에 음성 및 데이타 전송을 제공하는 3포트 시스템으로 확장된 제1도 및 제2도의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제4도는 음성 및 데이타 기능을 각각 가지며 서로간 및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다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4명의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동시 전송을 위해 동일 채널로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를 합성하기 위한 데이타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인터페이스의 블록도.
제7도는 1비트 길이의 데이타 워드를 다른 비트 길이의 데이타 워드로 변환시키는데 유용한 시프트 레지스터의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토운 버스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CAS/DATA RAM과 직렬대 병렬 데이타 변환 회로 소자 사이의 음성 경로에서 회선 개별 신호 방식(CAS)을 위한 데이타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CAS/DATA RAM과 직렬대 병렬 변환 회로 소자간의 니블 데이타 삽입 및 추출을 예시한 도면.
제11도는 어드레스 발생에 적합하여 CAS/DATA RAM의 안과 밖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판독/기록 제어부를 매핑하는 CAS/DATA RAM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설 자동 구내 교환 시스템 12 : 전화 가입자
14 : 데이타 단말 20 : 전송 인터페이스
24 : 스위칭 네트워크 28 : 데이타 단말
30 : 단말기 인터페이스 32 : 디지탈 인터페이스
34 : 제어 네트워크 100 : 아날로그 음성 인터페이스
102 : 데이터 인터페이스 110 : 전송 경로
202, 206 : 데이터 단말 210 : 데이타 베이스 인터페이스
216 : 전송 인터페이스 218 : 디지탈 인터페이스
222, 224 : PCM선로 230 : 토운 버스
258 : 음성 버스 310 : 리타이밍 RAM
322 : CAS/DATA RAM 328 : 판독/기록 제어부
330 : 키이셋트 RAM 504 : 디지탈 토운 발생기
510 : 타임 슬롯 할당기 700, 702 : DATA RAM
800 : 맵핑 RAM 814 : 입력 제어 레지스터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 통신 및 전송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전화 및 데이타 단말기와 같은 음성 데이타 기능을 갖춘 두개 이상의 단말기(PABX 가입자 단말기가 좋음) 사이에서 동일한 통신 채널로 음성 및 데이타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타 기능을 갖춘 전자식 사설 자동 구내 교환(EPABX) 시스템, 사무용 자동 전화 시스템, 공사 현장 및 지능 단말등에 응용될 수 있다. 단말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데이타는 음성 경로의 소스오아 목적지 사이에서 제어 및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 여러 PABX 장비가 알려져 있었는데, 그 예로는 대표적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3,943,297호, 제4,028,498호 및 제4,136,263호를 들 수 있다. 제 1 세대 EPABX 장비는 내장 프로그램 제어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X바아(X bar)나 리드 릴레이(reed relay) 등의 전자 기계식 스위칭 네트워크 또는 전자식 아날로그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이들 시스템은 그 시스템에 의해 판독되는 특정 코드의 작용으로 표준 전화기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졌다.
종료의 제2세대 EPABX는 타임-스페이스-타임(TST) 또는 스페이스-타임-스페이스(STS)방식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크기가 감소되는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2세대 EPABX 장비의 예로는 ROML CBX 및 웨스콘 디지탈 PABX(Wescon digital PABX)를 들 수 있다.
전화 기구는 사실상 디지탈 데이타 인터페이스로부터 음성 통신 및 데이타 전송을 동시에 행하는 다중 기능 장치로 발전해 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전화기는 현재 디지탈 데이타 인터페이스 및 EPABX에서 표준 음성 네트워크 뿐만아니라 디지탈 데이타 스위칭 네트워크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를 절환시킬 수 있는 디지털 스위칭 네트워크는 "확장 가능한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란 명칭으로 A. Lawrence 등에 의해 출원되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음성 및 데이타에 대한 스위칭 시스템의 또다른 예로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J. Cox씨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17,962호를 들 수 있다. 제3세대 EPABX 기술로 일컬을 수도 있는 본 발명은, 동일한 PCM채널로 음성 및 데이타의 동시 전송을 행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가 동일한 PCM채널로 전송되는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의 경우와 같은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서는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트화된 음성 및 데이타가 동시에 예컨대 각 프레임의 채널 시간 이내에 전송된다.
본 발명은 PCM음성 전송 데이타 필드가 복수의 채널, 예컨대 32채널을 갖는 하나의 프레임 이내에 동일 정보 채널로 디지트화된 음성(예컨대, 전화로부터 나온것)과 다른 데이타(예컨대, 데이타 단말기로부터 나온것)을 포함시키는데 이용되는 데이타 분할 기술에 관해 개시한다. 이렇게 하여 음성 및 데이타가 공통 정보 필드에서 합성되어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를 포함한 다른 시스템 사용자에게 한 프레임씩 동일 채널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사용자는 동일한 정보가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PABX 가입자에게 방송되거나, 또한 상이한 정보가 복수의 PABX 가입자에 의해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에 호출되어 다른 채널의 다른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될 수 있도록 PABX를 통해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선택 호출할 수 있다. 정보는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통신 시스템 토운(tone) 버스를 지나 전송된다.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 기재된 바의 디지탈 스위칭 시스템에 의해 음성 및 데이타를 동일 가입자에게 동시에 절환시킬 수 있으려면, 채널당 16비트 PCM워드의 여분 5비트가 전송시 2프레임을 취하는 1비트를 가지고 데이타 전송에 쓰여져야 함이 발견되었다. 5비트 및 8비트 정보 필드는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완전한 채널이 데이타 및 음성 목적지에 전송된다. 수신 장비, 데이타 단말기 또는 키이 전화기등은 정보 필드로 분리된다. 이와는 달리, 데이타 및 음성 필드는 PABX에서 분리되며 데이타 단말기 및 전화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송수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5비트 및 8비트의 데이타 및 음성 정보 필드를 하나의 채널로 합성함으로써, 두가지 정보 필드가 디지탈 전화를 갖춘 키이 전화 가입자와 같은 목적지에 동시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의 동시 전송을 요구하거나 허용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 경로를 전송 매체로 사용함에 있어 종래의 기술로서 현재에도 행하여 지고 있는 모뎀 방식으로 다른 데이타 단말기와 데이타를 교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자면, 디지탈 전화에 대한 4개의 전선 단말이 8비트의 디지트화된 음성과 5비트의 데이타를 위한 전송 경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 단말기에서 발생한 음성 및 데이타는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16워드 PCM채널에서 독립적으로 합성된 둘 이상의 목적지로 절환될 수 있다. 디지탈 인터페이스에서, 두개의 분리 네트워크 PCM채널로부터 매핑된 음성 및 데이타 비트들은 신호 디지탈 전화로의 전송을 위해 추출될 수 있다.
데이타는 데이타 소스로부터 전화 토운 버스를 거쳐 단말기로 절환될 수 있다. 토운 버스는 음성 경로를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타를 고속(64K비트/초) 전송하기 위한 약 20개의 자유 채널을 제공하며, 프레임 마다의 채널당 5비트는 음성 경로의 사용에 관계없이 동시에 30까지의 단말에 대해 32K비트/초 직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일반적으로 전송 통신 시스템, 특히 PABX에 있어서 한개 이상의 단말 사용자 단말이 사이에서 동일 채널로 음성 및 데이타의 동시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복수의 시스템 사용자나 PABX 가입자들간에 동시 인채널(in-channel) 음성 및 데이타 통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한명 이상의 시스템 사용자나 PABX 가입자들과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간에 동시인채널 음성 및 데이타 통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PABX 가입자를 포함한 복수의 시스템 사용자를 위해, 서로 독립적으로 혹은 방송 모드로 음성 및 데이타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함과 아울러, 각 가입자가 한명 이상의 다른 시스템 사용자나 가입자가 공유하고 있는 시스템 또는 PABX 토운 버스를 거쳐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동일하거나 혹은 다른 데이타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을 동시에 호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 및 장점과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2포트 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타의 동시 전송에 대해 예시되어 있다. 음성 및 데이타는 복수의 음성 및 데이타 단말기로부터 사설 자동 구내 교환(PABX) 시스템(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음성 단말기들중 하나는 전화 가입자 세트(12)로, 그리고 데이타 단말기들중 하나는 데이타 단말기(14)로 예시되어 있다. 전화 가입자 세트(12) 및 데이타 단말기(14)들은 두개의 선로(16, 18)를 거쳐 PABX(10)내의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20)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 회로는 정 및 부의 펄스를 공급하며 또한 클럭의 회복을 인에이블한다. 컴퓨터 단말기 인터페이스용으로 통상의 R2-232 모뎀이 선로(18)의 각 종단에서 상기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디지트화된 음성 및 디지탈 데이타는 디지탈 인터페이스(22)와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 사이에 전이중(full duplex) 통신 링크를 제공하고, 동시에 전송 인터페이스(20)와 데이타 단말기(14) 및 전화 가입자세트(12) 사이에 반이중(half duplex) 통신 링크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탈 인터페이스 회로에 공급된다. 이와는 달리, 전이중 전송이 주지된 핑퐁(ping-pong) 또는 반향 상쇄 기술이나 4개 선로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PABX(1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는 미합중국 특허 제4,201,88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분산 제어 스위칭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는 소정의 가입자나 데이타 단말기로부터 나온 디지탈형으로 부호화된 데이타 및 디지트화된 음성의 채널 프레임을 소정의 다른 전화 가입자나 데이타 단말기에 공급한다.
제1도는 가입자(12) 및 데이타 단말기(14)를 스위칭 네트워크(24)를 통해 가입자(26) 및 데이타 단말기(28)에 상호 접속하는 것에 관해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 인터페이스(30)와 디지탈 인터페이스(32)는 단말기 인터페이스(20) 및 디지탈 인터페이스(22)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제어 회로(34,36)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위칭 네트워크(24)내에 전송 경로를 형성하여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제어 회로(34,36)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들(22,32)간의 프로토콜(protocol)을 각각 가입자 세트 및 데이타 단말기로 보낼 수 있는 처리 기능을 갖는다. 예를들어, 제어 회로(34)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R.Chea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9,703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오프 훅 신호를 탐지하여 호출음을 울리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텔 8086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제2도를 참조하면, 제1도의 PABX 장치에 복수의 음성 및 데이타 단말기의 상호 접속을 나타내는 간단한 블록도가 예시되어 있다. 전화 가입자 세트(1 내지 N)는 전송 인터페이스(20)의 아날로그 음성 인터페이스(100)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데이타 단말기(1 내지 N)는 전송 인터페이스(20)의 데이타 인터페이스(102)에 결합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의 전화 선로 회로에 공통인 보조 장비(104)는 예컨대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4,349,703호에 기재된 호출음 신호 발생을 위한 것으로 또한 제어부(34)와의 제어/데이타 교환용 키이 셋트에 인터페이스된다. 전송 인터페이스(20)의 한면만이 도시되었지만, 다수의 동일면이 PABX에 이용됨을 알아야 하며, 이러한 복수의 동일면을 스위칭 네트워크에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오에 기재되어 있다. 펄스 부호 변조(PCM) 음성 및 데이타 버스들(106,108,110)은 각 버스가 한 방향으로 데이타가 흐르게하는 한쌍의 단방향 전송 경로를 포함하므로 양방향성이다. 106,108 및 110의 각 단방향 전송 경로는 예컨대 비트 시어리얼(bitserial : 직렬 비트) 방식으로 시분할 다중 변환(TDM)된 디지탈 정보의 32채널을 보유한다. TDM방식의 각 프레임은 각 채널이 예컨대 4.096Mb/s의 비트 전송율로서 16비트의 정보를 갖는 32채널로 구성된다. PCM음성 및 데이타 버스들(106,108)은 각각 디지탈 인터페이스 회로(22)에 결합되며 이 회로에서 음성 및 데이타는 스위칭 네트워크(24)를 통한 동시 전송을 위해 후술되는 바와값이 결합된다. 키이셋트 인터페이스는 전송 경로(110)에 의해 디지탈 인터페이스에 결합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제어 프로세서(34, 36)는 네트워크(24)를 통해 경로 설정을 수행한다.
이제 제3도를 보면, 3포트 시스템이 예시되어 있는데, 가입자 세트(200)와 데이타 단말기(202)를 포함하는 포트-1에서 음성 또는 데이타 시스템 사용자가 포트-2 또는 포트-3과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포트-2는 가입자 세트(204) 및 데이타 단말기(206)에서 또 다른 음성 및 데이타 시스템 사용자를 갖는다. 포트-3은 데이타 프로세서(208)와 데이타 베이스 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한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을 갖는다. 프로세서(208)는 소정의 장비, 예컨대 포트-1 및 2에서 사용자가 검색하기 위한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내장 프로그램 컴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데이타 스트림을 PCM채널에 직접적으로 접속시켜주며,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인터페이스(22)와 같은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포트-2는 전송 인터페이스(212) 및 디지탈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스위칭 네트워크(24)에 접속된다. 포트-1은 전송 인터페이스(216) 및 디지탈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스위칭 네트워크(24)에 접속된다.
제3도의 3-포트 시스템은 전이중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가입자들(200, 204)은 데이타 단말기(202, 206)를 통해서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과 공통 대화식으로 동시 음성 접속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각 가입자가 상이한 데이타를 송출하거나 상이한 데이타를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각 가입자에게 되돌려 보낼지라도, 각 가입자가 데이타 베이스(208)로부터 복귀된 동일 데이타를 얻을 수 있도록 양가입자들이 공통 데이타 베이스(208)와 상호 작용한다. 선로(220)는 고속 병렬 데이타 버스로 구성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210)는 예컨대 각기 32채널로된 2개의 PCM선로(222, 224)에 대한 직/병렬 변환, 채널 할당 및 동기화를 수행한다.
한개의 포트로부터 다중 포트로 디지탈 정보를 방송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서 양도된 M.Kuras씨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3,946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제3도는 포트 1 및 2와 포트 3의 데이타 베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24)를 통해 데이타 및 디지트화된 음성을 전송하는 것에 관해 예시한 것이다. 음성 또는 데이타를 음성 필드에 있는 다중 포트로 방송하는 것은 예컨대 M.Kuras씨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293,946호를 통해 잘 알려져 있지만, 이것에는 데이타를 사용중인 데이타 워드의 비트수(예컨대 5비트)로 합성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디지트화된 음성을 포트 1에서 포트 2로, 그리고 데이타를 포트 1에서 포트 3으로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디지트화된 음성과 데이타를 모두 양 목적지(포트-2 및 포트-3)로 향하는 합성된 정보 필드내에 포함하는 단일 데이타 워드를 방송함으로써 달성된다. 포트-2의 디지탈 인터페이스(214)에서는, 음성만이 검색되고 데이타는 무시된다. 포트-3의 디지탈 인터페이스(210)에서는 데이타만이 검색되고 음성은 무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음성 및 데이타를 포트-2에서 포트-1 및 포트-3으로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기술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데이타를 포트-3(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포트-1 및 포트-2로 되돌려 보내서 그 데이타를 전송중인 동일 단말기로 이송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6-비트 PCM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방송될 수 있지만, 불과 유효 대역폭의 30%만을 사용하므로 포트 1, 2에서 또다른 유효 음성 채널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송 및 합성 수단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이미 현존하는 전화 PABX의 토운 버스를 이러한 목적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는 달리, 별도의 방송 버스가 이러한 토운 분산 메카니즘이 유사한 종류일지라도, PABX 내에 존재하는 토운 분산 메카니즘 어느 것에도 부가하여 오로지 이러한 목적에 제공될 수도 있다. 토운 버스(230)는, 예를들어 포트-1 및 포트-2와 같은 각 전화 가입자 포트의 디지탈 인터페이스(218,214) 사이에서 실행하는 32-채널 PCM 전송 선로일 수 있다. 전화 가입자 네트워크에서 토운 버스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은 전화 가입자가 토운 버스상의 토운(음)을 들을 수 있도록 호출음, 통화중 신호, 대기 음악등과 같은 오디오 음을 절환하는 것이다. 각 전화 가입자는 항상 토운 버스(230)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즉 토운 버스상의 각 32-채널이 각 전화 가입자에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포트 1과 포트 2에 있는 양 가입자는 포트 3으로부터 나온 다른 데이타를 요구하는 소정의 포트 1 및 포트 2에 전송된 데이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데이타가 32채널 TDM PCM 데이타 프레임의 다른 채널내에 있는 토운 버스(230)를 통해 간단히 전송될 수 있다. 토운 인터페이스는 도시 부호 23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화 기술에 있어 공지된 토운 발생 및 전송회로망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적당한 토운 버스의 구성은 제8도에 참조로 도시된다. 데이타 베이스 인터페이스 회로(210)는 디지탈 인터페이스(214, 218)와 유사하게 되어 있지만, 데이타 삽입 및 추출 능력만이 필요하므로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용의 디지탈 인터페이스(210)는 소정의 공지된 데이타 삽입 및 추출 회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제4도를 보면,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에서 대한 음성(전화) 및 데이타(단말) 기능을 가진 4명의 개별 시스템 사용자 A, B, C, D의 접속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간단히 예시되어 있다. PCM음성 및 데이타 프레임의 복수 채널들은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를 통해 절환된다.
사용자 A, B, C, D로부터 나온 음성 및 데이타는 각각 디지탈 인터페이스 (250,252,254,256)에서 음성 및 데이타를 나타내는 디지탈 워드로 합성되어 디지탈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두개의 버스(258,260)상으로 분할된다. 버스(258)는 디지트화된 음성 버스이고 버스(260)는 데이타 버스이다. 음성 버스(258)는 콘퍼런스 (conference : 상호 호출)회로에 접속되어 모든 사용자에게 동시 음성 접속을 가능케 한다. 콘퍼런스 회로는 예컨대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4,293,946호(M.Kuras씨등)에 기재된 콘퍼런스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데이타 버스(260)는 모든 사용자를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에 동시 접속하여 그곳으로부터의 데이타를 개별적으로 송출하거나 검색한다. 검색된 데이타는 몇몇 혹은 모든 사용자에게 방송된 공통 데이타이거나 각 사용자용의 상이한 데이타일 수 있다.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타 규모에 따라 인텔 8086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IBM 3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데이타 패턴이나 숫자 표시를 조작 및 계산하기 위해, 데이타 베이스 액세스에 부가하여 계산 능력을 갖는다.
이제 제5도를 참조하여, 제6도에서 예시한 디지탈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에서 동시 음성 및 데이타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 데이타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포맷 A는 전화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16-비트 데이타 포맷이며 데이타 프레임의 32채널중 하나에 대한 PCM채널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비트 표시는 다음과 같다 :
P=프로토콜 2비트
N=스페어(여분)-1비트
S=음성-8비트
X=데이타-5비트
기재된 시스템에 있어 프로토콜 비트 P는 전술한 A.Lawrence씨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와 같은 SPATA프로토콜일 수도 있다. 그 전송율은 통상적으로 4.096M비트/s이다.
포맷 B는 A의 채널 워드에 대한 8비트 디지탈 음성 샘플이다. 그것은 아날로그 음성 샘플의 디지탈 표시가 된다. 8비트 디지탈 음성 샘플은 채널의 모든 프레임에서 추출되거나 삽입된다. 음성 샘플은 디지탈 인터페이스로부터 음성 전송 인터페이스로의 인터페이스가 프레임당 8비트×32채널일 경우에 삭제되거나 삽입된다. 제2도의 PCM음성 버스(106)가 16비트 워드를 가질 경우에는 삽입되거나 삭제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음성 샘플은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 기재된 바의 음성 인터페이스(100)에서 각각의 끝 부분에 대해서 하나씩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음성 전송율은 64K비트/초인데, 이것은 8K프레임/초 및 프레임당 8비트/채널로부터 유도된다.
포맷 C는 16비트 PCM포맷 A의 데이타 필드(X-비트)로 번갈아 삽입되는 두개의 5비트 데이타 워드를 예시한 것이다. 5비트 데이타 필드중 처음 4비트만이 유효 데이타가 된다. 부가 비트는 D의 삭제 또는 삽입된 기수 또는 우수 부분중 어느 것이 표시되었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가 비트(고레벨 혹은 저레벨, 즉 1 또는 0)는 종종 "니블 지시 비트"라 불리는데, 8비트 데이타 워드 D중 각 4비트 데이타 "니블"은 서로 반대인 니블 지시 비트를 갖는다. 즉, 니블 비트는 반드시 둘다 0이 아니거나 둘다 1이 아니다.
따라서, 각 니블 C의 5번째 비트는 8비트 데이타 워드 D내에 두개의 4비트 니블을 프레임하는데 쓰인다. 데이타 워드 D는 32K비트/초의 전송율을 갖는다. 합성된 필드에 대해, 샘플 C는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삽입된다. 분리된 필드의 경우에는, 샘플 C는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시에 추출된다.
이제 제6도를 보면, 디지탈 인터페이스 회로(22)가 예시되어 있다. 제5도의 포맷 A인 음성 및 데이타의 PCM채널 프레임은 동기 검출기 및 버퍼(300)에 결합된 Tx 및 Rx선로상의 스위칭 네트워크(24)로 전송되거나 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 나온 PCM입력은 디지탈 인터페이스(22)에 대한 모든 다른 입력을 재동기화하는데 쓰인다. 따라서, 데이타의 삽입 및 삭제는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및 채널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행하여진다. 따라서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의 입력, 디지탈 인터페이스(22) 동작, 및 전송 인터페이스(20)를 거쳐 선로(302)(음성버스), 선로(304)(데이타 버스) 및 선로(306)(키이셋트 구성용)로 향하는 선로/중계선을 거친 사용자에의 전송간에는 똑같은 시간 관계가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 음성 버스(302)로부터 나온 A 또는 B 데이타 포맷의 8비트 PCM은 PCM버퍼(308)에 의해 완충되어 32채널 A 또는 B포맷으로 프레임 동기하는 스위칭 네트워크 데이타에 대한 리타이밍(retiming)을 위해 리타이밍 RAM(310)에 결합되며, 또 그것은 선로(312)에 의해 버퍼(300)로부터 리타이밍 RAM(310), 리타이밍 RAM 및 데이타/토운 분리 회로(314), 그리고 리타이밍 RAM(316)에 결합된다.
리타이밍 RAM은 선로로부터 수신된 데이타와 프레임 동기하여 정보가 기록되고 내부 디지탈 인터페이스 타이밍과 동기하여 액세스되어서 판독되는 기억 장치이다. 각 리타이밍 RAM은 직렬 8비트 바이트가 메모리내의 순차적인 장소에 기록될 수 있도록 각 시간 채널 N, N+1, N+2, …로 증분되는 어드레스 카운터(도시않음)를 갖는다. 어드레스 카운터는 32까지 계수한 다음, 동일 주파수와 다른 위상에서 다시 시작한다. 2.048M비트/초의 직렬 8비트 데이타 비트율인 어드레스의 경우에, 카운터는 256K비트/초의 계수율로 계수한다. 또한 논리 회로(도시생략)가 어드레스 카운터를 A 또는 B프레임 타이밍으로 초기화 및 동기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8비트 PCM음성은 스위칭 전송 포맷을 형성하도록 16비트 필드에 삽입된다. 이것은 제7도에 도시된 8/16비트 변환 회로(320)에서의 8대 16의 비트 변환에 의해 이루어진다. 회선 개별 신호 방식(CAS) 또는 데이타가 16비트 채널로 배치(mapped)될 경우에 CAS/DATA RAM(322)로부터 판독되어 음성 필드 이외에도 PCM워드 스트림에 삽입된다. 회선 개별 신호 방식이 사용될 때에는 음성 필드로부터 삽입/삭제된다. 16비트는 선로(324), 8/16비트 변환 회로(320) 및 16비트 포맷/채널의 선로(326)를 거쳐 스위칭 네트워크(24)로 전송된다. CAS/DATA RAM(322)의 CAS부분은 8비트 폭과 각각 8비트인 128장소의 메모리 맵(채널당 한 개)을 갖는다. CAS/DATA RAM의 데이타 부분은 각각 4비트인 128장소를 갖는다. RAM의 CAS부분의 동작은 나중에 설명된다.
DATA는 RAM(322)과 관련되며 어드레스 발생 판독/기록 제어부(328)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는 어드레스 카운터(도시생략)에 의해 규정된 것처럼 그것이 판독될때 부가되는 시간(지시 비트를 더한 것)에서 CAS/DATA RAM(322)의 데이타 부분으로부터 1/2워드만큼 판독된다. RAM(322)용의 어드레스 카운터는 각 채널을 통해 순환한다. 메모리 맵이 액세스되고 데이타가 판독되어 메모리에 삽입된다. 메모리 맵(328)은 328로 논리적으로 다시 판독될때 데이타가 여러 소스로부터 각 채널당 하나씩 데이타 RAM으로 판독/기록하는 제어 논리부(34)로부터 데이타 패턴을 받아들여 기억한다. 키이셋트 RAM(330)은 CAS/DATA RAM(322)과 유사하게 구성되며, 키이셋트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타의 채널 수(N)에 따라 2 내지 2N 메모리 워드 장소(분리된 송신 Tx 및 수신 Rx장소를 가정)를 포함한다. 키이 셋트 동기 및 버퍼(332)에는 리타이밍 회로(314,316) 및 8/16비트 변환 회로(320)와 같이 RAM(328)으로부터 판독/기록 제어부가 제공된다. 키이셋트로부터 보내지거나 받아들여질 데이타는 병렬 제어 인터페이스상의 국부 제어 논리(329)를 거쳐 제어 논리부(34)에 의해 키이셋트 RAM으로 기록되거나 판독된다. 제어 논리부(34)는 정보 전송을 위한 CAS RAM(322)과 마찬가지로 판독/기록될 수 있다.
C 혹은 D포맷의 데이타는 데이타 버스(304)로부터 데이타 PCM버퍼(328)를 지나 리타이밍 RAM(316)에 결합된다. 데이타는 5비트 혹은 8비트 필드의 데이타가 채널당 32비트/초의 유효 비트 전송율로 내장되어 있는 순차 채널내의 데이타 버스(304)상에 수신된다. 버스(304)상에 수신된 데이타 필드가 8비트 길이일때, 이 데이타 필드는 "니블"비트를 포함하는 5비트 데이타 필드로 변환된다. 데이타 필드가 5비트 길이이면 이미 니블 비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스위칭 네트워크로의 전송 및 데이타 삽입과 아울러 초기 31채널 시간 동안 기록된 데이타의 동시 전송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제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 선로로의 전송 및 데이타 추출에 관해 설명하겠다. 데이타는 동기 검출기(300)에서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 16비트 포맷으로 수신되어, 동기 신호가 추출된다. 8비트 음성은 8/16비트 변환회로(320)에서 추출되어 리타이밍 RAM(310)로 기록되거나 RAM 버퍼(308)에 직접 결합된다. 회선 개별 신호 방식 또는 데이타가 특정 채널로 배치되면, DATA/CAS 필드는 320에서 추출되어 CAS/DATA RAM(322)으로 기록된다. 데이타가 토운 포트(336)에서의 수신을 위해 토운 버스(334)에 배치되면, 토운 버스 데이타 필드는 리타이밍, 동기 및 데이타/토운 분리 회로(338)에서 추출되어 어드레스 발생 및 판독/기록 제어부(328)의 제어하에 CAS/DATA RAM(322)으로 기록된다. 데이타는 동시에, 즉 후술 31채널 시간내에 전송되며, 동시에 전송된 데이타는 CAS/DATA RAM(322)로부터 4비트 필드로 판독되어, 8비트 필드로 합성되거나 5비트(4비트에다 기수/우수 어드레스 니블 지시 비트를 더한 것)로 남게되며, 316에서 출력 PCM 비트 스트림으로 다시 시간 조정되어 선로(308)(및 제6도와 동일한 구성의 다른 디지탈 인터페이스에 있는 다른 선로)상에 전송된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스위칭 네트워크(24) PCM 정보의 타이밍은 모든 다른 데이타에 대해 위상이 비동기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A.Lawrence씨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서 기술한 스위칭 네트워크(24)의 특성이 된다. 중계선 및 선로로부터의 모든 PCM 디지트화 음성 및 데이타와 토운에 대한 CAS/DATA 삽입, 추출 및 리타이밍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동기된다.
선로/중계선 선택용의 백플레인(back plane) 입력 및 어드레스 스트랩 (strap)입력과, 마이크로 컴퓨터에 대한 인터페이스, 즉 인텔 8086 따위의 제1도의 제어부(34)를 갖춘 제어 논리부(329)는 통상의 회로 소자로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인터페이스시키기 위한 표준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 논리부(329)는 데이타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의 제어 워드에 대한 경로를 맵핑 RAM(328), RAM(328)내의 셋트 및 리셋트 워드에 제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가 CAS/DATA RAM(322) 및 키이셋트 RAM(330)에 효과적으로 판독/기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이크로 컴퓨터와 나머지 디지탈 인터페이스(22)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처럼, 제어 논리부(329)는 통상의 레지스터 버퍼, 디코더, 어드레스 발생 및 인식 레지스터, 그리고 초기화 제어부를 갖추고 있다.
이제 제7도를 살펴보면, CAS/DATA RAM(322)에 결합된 8/16비트 변환 회로(320)가 간략하게 예시되어 있다. 이 회로는 8/16비트 변환, 데이타/CAS의 삽입 및 추출을 제공한다. 회로(320)는 직렬 데이타 입력을 병렬 데이타 출력에, 그리고 병렬 데이타 입력을 직렬 데이타 출력에 공급하는 직렬 대 병렬 16비트 및 8비트 시프트 레지스터(400,402,404,406)로 구성된다. 카운터는 데이타가 정확한 채널내의 레지스터를 통해 클럭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각 채널(0-31)을 순환한다. 프로토콜 및 NACK 비트는 고정되어 있다.
제8도는 토운 버스 회로 및 토운 버스를 버퍼 계층을 통해 복수의 디지탈 인터페이스에 분배하는 것에 관해 예시하고 있다. 토운 버스(230)는 스위칭 네트워크(24)에서처럼 위상 비동기 32채널 16비트 PCM 디지털 스트림이다. 토운 버스는 버퍼 계층(500)을 거쳐 22, 22A,…, 22N으로 도시된 복수의 디지탈 인터페이스에 분배되어, 스위칭 네트워크나 다른 원하는 목적지에 결합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22A,22N)는 버퍼 1, 2A,…, 2N을 거쳐 분배된 토운 버스, 즉 토운 버스(230)(그중 두개는 2AL 및 2NM으로 도시됨)를 다수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토운 회로(502)는 교환기(또는 PABX)에 의해 사용된 여러 토운에 대해 8비트 샘플당 8KHz로 디지탈 PCM 시퀀를 발생하는 디지탈 토운 발생기(504)로 구성된다. 이러한 토운은 주파수, 진폭, 조파 내용 및 제어 버스(506)상의 토운 발생기(504)에 명령어를 공급해주는 제어부(34)에 의한 다른 파라미터로 프로그램 될 수도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508)는 음악, 연속 방송 등과 같은 외부 음원을 변환하거나 수신하여 8KHz, 8비트 PCM 스트림으로 부호화한다. 타임 슬롯 할당기(510)는 제어부(34)로부터의 제어하에 디지탈 인터페이스(22)로부터 32채널 16비트 PCM을 수신하여 디지탈 토운 발생기(504) 및 외부 인터페이스(508)로부터의 8KHz 8비트 PCM 샘플을 음성 필드의 PCM 프레임의 할당된 채널에 삽입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22)는 스위칭 네트워크(24)로부터의 PCM 데이타에 기재된 5비트 데이타 필드를 수신하여, 다른 8비트 8KHz 입력과 다중 전송하도록 이 데이타를 타임 슬롯 할당기(510)상으로 통과시켜서 토운 버스(230)상에 16비트 PCM 워드를 형성한다.
이제 제9도를 보면, CAS/DATA RAM(322)과 직렬-병렬 변환 회로(320) 사이의 음성 경로에 있는 회선 개별 신호 방식(CAS)으로부터 나온 데이타가 도시되어 있다. 병렬 입력-직렬 출력 레지스터(323a) 및 직렬 입력-병렬 출력 레지스터(323b)는 각각 제7도의 레지스터(400,404)에 대응한다.
CAS는 다중 프레임으로서 전화에서 공지된 반복 순서를 형성하는 1채널, 인밴드(inband)의 PCM 스트림의 순차 프레임에 삽입된 데이타이다. 적당한 채널이 디지털 인터페이스(22)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될때, 음성 필드의 내용은 CAS RAM(322)으로부터 또는 RAM으로 로드된다. 제어부(34)는 제어 또는 신호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CAS RAM(322)을 기록하거나 판독할 수 있다. 스위칭 네트워크(24) 혹은 단말기로 CAS 기능이 제공된다. CAS 채널로서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것은 네트워크로 또는 단말기를 향해 신호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운터(600)는, 예컨대 매 프레임 클럭마다 5비트 증분되어, 선로(602,604,606,608)상에 각 방향으로 신호 전송하는 8×32=256 비트의 수신 및 송신을 위해 제공된 32프레임의 다중 프레임 데이타 시퀀를 생성한다. 명백한 음성 전달은 CAS 채널이 수신되거나 송신되지 않을 때 다른 채널상에서 인에이블된다. 필요하다면, 채널 맵핑이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기재된다.
CAS RAM(322)은 8비트의 32장소인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CAS RAM(322)의 4부분은 다음과 같다 : 1A는 데이타를 제어부(34)에서 네트워크(24)로 보내기 위한 버퍼이고, 1B는 데이타를 네트워크(24)에서 제어부(34)로 보내기 위한 버퍼이고, 2A는 데이타를 가입자 단말로부터 선로(606)를 거쳐 제어부(34)로 보내기 위한 것이고, 2B는 데이타를 제어부(34)로부터 선로(608)를 거쳐 가입자 단말로 보내는데 쓰인다.
이제 제10도를 보면, CAS/DATA RAM(322)과 직렬 대 병렬 변환 회로(323) 사이의 니블 데이타 삽입 및 추출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원래 8비트인 데이타는 두개의 64×4비트 RAM(700,702)에 수용되며, 여기에서 RAM내의 각 인접 장소쌍은 모두 8비트 바이트의 니블을 포함하므로, 인접장소를 식별하는 어드레스의 최하위 비트(LSB)가 HI/LO 니블 지시 비트로 쓰인다.
CAS/DATA RAM(322)의 데이타 RAM 부분은 두개의 동일 크기의 부분으로 생각될 수 있다. 700으로 도시된 DATA RAM 1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웨 배치하는 버퍼와 채널로서 사용된다. 702로 도시된 DATA RAM 2은 데이타 소스와 단말기 혹은 단말기를 사이에 배치한 버퍼와 채널로서 사용된다.
DATA RAM(700)은 네트워크에 전송되려하는 PCM 채널에 배치된 데이타 출력 채널을 판독용 어드레스로서 갖는다. 이 어드레스의 DATA RAM(700) 내용은 PCM 채널을 네트워크(24)에 시프트시키기에 앞서 시프트 레지스터(323a)에 로드된다.
DATA RAM(700)은 기록용 어드레스로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타의 채널수를 갖는다. 따라서 보내질 네트워크 PCM 채널에서, 데이타는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맵핑 RAM(800)으로부터 인출된 데이타 채널 어드레스에 의해 RAM(700)의 배치 장소로부터 인출된다.
DATA RAM(702)는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타 채널의 계수치를 판독용 어드레스로서 갖는다. DARA RAM(702)의 기록용 어드레스는 네트워크(24)로부터 수신된 PCM의 채널 계수치에 이해 어드레스 지정된 맵핑 RAM(800)내의 장소를 액세스함으로써 맵핑 RAM(800)으로부터 인출된 데이타 입력 채널 수가 된다. 따라서, 데이타는 선로(704)상의 데이타 채널로부터 선로(602)상의 네트워크 채널로, 그리고 선로(604)상의 네트워크 채널로부터 선로(706)상의 데이타 채널로 맵핑된다.
DATA RAM(702)으로 기록되는 데이타에 대한 두개의 다른 소스가 있는데, 이것은 맵핑 RAM(800) 내용의 결과로서 선택된다. 이러한 데이타의 다른 소스는 네트워크나 토운 데이타가 모두 데이타 단말기에 접속되지 않았을때 사용되는 토운 데이타 또는 유휴 패턴이 된다.
고/저 니블 표시 비트는 RAM(700,702)에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의 LSB로서 사용된다.
이제 제11도를 보면, CAS/DATA RAM 제어부(328)가 도시되어 있다. 맵핑 RAM(800)은 12비트의 32장소로 구성되며, 채널 시간 당 두 번, 즉 네트워크(24)로 전송된 채널에 대해 한번 그리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채널에 대해 한번 액세스된다. 각 방향은 선로(808,810)상의 카운터(804,806)에 결합된 소정 프레임 동기 시간에서 리세트되는 자체 어드레스 카운터(804,806)을 갖는다. 각각의 맵핑 RAM(800)에 대한 판독 액세스의 결과로서, 판독된 데이타는 버퍼 레지스터 (812,814)에 기억된다. 상기 레지스터는 각각 PCM의 입력과 출력 흐름 방향에 대한 것이다.
맵핑 RAM(800)은 RAM(800)으로 맵핑 패턴을 기록하고 시험 목적상 이들을 판독할 수 있는 제어 논리부(329)를 거쳐서 제어부(34)로부터 판독 및 기록 액세스를 실행한다. RAM(800)은 8비트 보다 넓으며 두가지 모드, 즉 채널 맵핑을 위한 12비트 폭(32장소)과 더 작은 제어 데이타 폭 예컨대 제어부(34)에 의한 액세스용의 8비트 폭(64 장소, 32의 반사용)으로 어드레스되어야 할 것이다.
RAM(800)의 12비트 데이타 폭은 다음과 같이 할당되는 것이 좋다 :
2비트-RAM(702)으로의 IDLE 패턴을 선택
1비트-CAS 채널 선택
5비트-맵핑된 데이타 채널
5비트-맵핑된 토운 채널
음성 버스(302)가 디지탈 인터페이스(22)내의 스위칭 네트워크 PCM으로의 맵핑 채널을 가져야 한다면, 이것은 제9,10 및 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해온 것과 유사한 기술과, 음성 버스 채널 번호의 필드를 포함하도록 맵핑 RAM 폭을 연장하는 것을 통해 행하여질 수 있다.
네트워크 PCM의 채널이 선로(602)상의 스위칭 네트워크에 전송되려할때, 카운터(84)에 의해 추적된 채널 번호는 맵핑 RAM(800)을 판독하도록 어드레스 지정되어 판독 데이타를 RAM(800)에서 출력 제어 레지스터(812)로 로드한다.
레지스터(812)의 제어 워드는 CAS 인에이블 비트를 포함한다. 이것이 셋트되면, 시프트 레지스터(323a)의 음성 필드는 CAS RAM 1A(322)로부터 로드되어 다중 프레임 카운터(600)에 의해 도달된 다중 프레임 어드레스로부터 액세스된다. CAS는 또한 다중 프레임 카운트 어드레스에서 선로(606)내의 단말 8비트 음성 필드로부터 CAS RAM 2A(322)로 로드된다. DATA RAM(700)의 데이타 필드는 출력 제어 레지스터 (812)로 로드되기 전에 맵핑 RAM(800) 데이타 채널 번호로 규정된 DATA RAM(700) 어드레스로부터 시프트 레지스터(323a)로 로드된다.
네트워크 PCM의 채널이 시프트 레지스터(323b)로의 선로(604)상에 수신될때, 카운터(806)에 의해 추적된 채널 번호는 맵핑 RAM(800)을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로 사용되어 어드레스 내용을 입력 제어 레지스터(814)로 로드하게 된다. CAS 인에이블 비트가 셋트되면, CAS는 시프트 레지스터(323b)의 수신된 음성 필드로부터 CAS RAM 1B(322)로 로드되고, 또 CAS는 선로(608)상의 음성 필드에 있는 CAS RAM 2B(322)로부터 단말기로 전송된다. CAS RAM 어드레스는 다중 프레임 카운터(600)에 의해 판정된다. DATA RAM(702)은 입력 제어 레지스터(814)의 토운 데이타 채널 맵핑 어드레스가 제로이고 레지스터(814)내의 선택 유휴 패턴이 셋트되지 않은 경우 시프트 레지스터(323b)에 수신된 네트워크 PCM의 5비트 필드로부터 로드된다.
입력 제어 레지스터(814)의 토운 데이타 채널 필드가 제로가 아닌 경우에는, 토운 데이타가 제6도에 도시한 리타이밍 및 동기, 데이타 및 토운 분리 회로(314)에 위치한 RAM내의 필드에 의해 어드레스된 장소로부터 판독되어, 입력 제어 레지스터(814)로 로드되기 전에 "데이타 채널"필드로 어드레스된 RAM(702)내의 장소로 DATA RAM(702)에 로드된다. 선택 유휴 패턴 비트가 셋트되면, 유휴 패턴은 DATA RAM(702)의 맵핑 장소로 입력된다. 이는 레지스터(814)내에 존재하는 토운 데이타 채널 필드 내용의 의미를 무효로 한다.
판독/기록 제어 및 어드레스 맵핑(328)은 또한 네트워크 PCM 프레이밍 (framinig), 채널 타이밍 및 4.096MHz 클럭에 동기된 고정된 타음 슬롯으로 다양한 판독 및 기록 액세스를 제어하는 시퀀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분야의 숙련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각종 데이타 전송 모드가 공지된 각종 전송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들에는 단일 종착지에서 단일 종착지로의 데이타만의 전송 또는 데이타 및 음성의 동시 전송이 포함된다. 데이타만의 전송일 경우에, 데이타는 음성 필드에서 64K 비트 전이중 방식으로 될 수 있거나, 혹은 데이타가 모뎀을 사용하여 음성 대역폭으로 전송되어 음성 필드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타 및 음성의 동시 전송일 경우에는, 데이타가 32K 비트로 전송되고 음성은 SPATA 포맷의 5스페어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64K비트 전이중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32K 비트 음성이 부호화되어 받아들여지면, 5 및 8비트 필드가 64K 비트 데이타 전이중 방식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역전될 수도 있다. 공통 데이타 베이스 액세스가 있거나 없는 다중 종착지(2개 이상)의 경우에는,데이타가 다음의 변형을 갖고서 콘퍼런스 모드로 전송될 수 있다 : 즉, 콘퍼런스 회로가 있어서 공통 데이타가 모든 종착지로 복귀되거나 메시지의 스위칭이 종착지들간에 수행되도록 데이타를 추출하여 공통 데이타 베이스의 기억 및 순방향 전송, 경로 배정/스위칭 또는 액세스/조작을 수행한다. 전이중 경로는 각 종착지와 콘퍼런스 회로 사이에 형성된다. 비콘퍼런스(non-confernce) 모드로 구성된(공통 데이타 베이스 액세스가 있거나 없는) 다중 종착자의 경우에는, 데이타는 직접 음성 접접과, 각 종착지가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되돌아온 동일 데이타를 수신하거나 이와는 달리 각 종착지가 다른 종착지와 공통 데이타 베이스 양자에 합성된 음성 및 데이타로서 16비트 채널을(방송 설비를 사용하여) 방송되도록 하는 공통 데이타 베이스를 경유한 데이타 접점을 갖는 두개의 종착지 사이에 전송되며, 공통 데이타는 30채널상의 방송 호출을 모든 종착지에 가능케 해주는 토운 버스를 거쳐 되돌아 오게 된다. 직접 음성 접점과 방송을 거친 데이타 접점을 가진 두개의 종착지는 각 단말이 다른 복귀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전화 가입자 단말 장치(12) 및 데이타 단말 장치(14)로 구성된 둘 이상의 단말 지국과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이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에 접속되어 있는 PABX(10)를 통한 전송시 음성 및 데이타를 합성 및 분리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각 단말 지국에 대해 디지탈 인터페이스(22)를 거쳐 상기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와 제어부(34)에 접속된 전송 인터페이스(20)를 구비하는데,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은 다른 디지탈 인터페이스(210)를 거쳐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24)에 접속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20)에서 수신되는 N-비트 데이타 워드는 반 바이트 지시 비트(H1/L0)가 부가된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로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22)의 CAS/DATA TAM(322)에 기록되며,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20)에서 수신된 디지탈 음성과 상기 CAS/DATA RAM(322)으로부터 판독된 첫번째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22)에서 다중 채널 프레임내에 있으며 상기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의 프레임-타임 위치에 동기된 채널의 다중 비트 워드를 삽입되고, 다른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와 디지탈 음성은 순차 프레임의 동일 채널로 삽입되어 동기되고, 음성 및 데이타를 갖는 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디지탈 스위칭 네트워크(24)를 통해서 모든 단말 지국과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B)으로 전송되며 상기 음성 및 상기 데이타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22)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는 각각 N-비트 데이타 워드로부터 꺼내어져, 디지탈 음성과 함께 첫번째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는 기수 번호의 프레임에 삽입되고 두번째 반 바이트 데이타는 워드는 우수 번호의 프레임에 디지탈 음성과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다중 비트 워드는 16비트 PCM 워드로서 존재하는데, 이중 8비트는 디지탈 음성으로 사용되고 최소한 5비트는 디지탈 데이타 워드로서 디지탈 정보용으로, 나머지 비트들은 프로토콜 비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워드는 4비트씩 두개의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로 나누어지며, 상이한 디지탈 정보를 갖는 5번째 비트가 반 바이트 지시 비트로서 각기 부가되어 있는 8비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22)의 변환 회로(320)는 상기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 및 상기 음성 비트의 삽입 및 추출을 위한 직렬/병렬 시프트 레지스터(402,404)와 병렬/직렬 시프트 레지스터(400,406)를 포함하며, 추출된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는 상기 CAS/DATA RAM(322)으로 기록되어 데이타 버스(304)를 통한 상기 단말 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RAM(316)에서 동기되고, 추출된 음성 비트는 음성 버스(302)를 통한 상기 단말 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다른 RAM(320)에서 동기되며, 어드레스 발생 및 기록/판독 제어부(328)에서 기록/판독 처리를 제어하고 대응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데 이들 처리는 양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들(22,210)은 다중 채널 시간 멀티플렉스 선로로서 구성된 토운 버스(230)에 접속되고,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로서 채널의 디지탈 음향 데이타와 합성되는 상기 N비트 데이타 워드는 상기 토운 버스(230)를 거쳐 모든 단말 지국으로 그리고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210)에 접속되어 있는 콘퍼런스 회로(262)는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으로부터 상기 단말 지국으로 디지탈 데이타 워드의 동시 전송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지국은 상기 토운 버스(230)를 통해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으로 동시에 액세스되며, 상기 디지탈 데이타 워드의 동일 정보는 상기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208)으로부터 모든 단말 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정보의 다른 항목들은 상기 토운 버스(230)를 통해 다른 채널의 다른 단말지국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프레임의 채널들은 각 프레임의 채널 시간 위치의 선행 번호에 삽입되는 반 바이트 데이타 워드와 디지탈 음성 샘플을 포함하는데, 이들 번호는 프레임의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데이타 합성 및 분리 회로.
KR1019830005671A 1982-11-30 1983-11-30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KR92000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562582A 1982-11-30 1982-11-30
US445625 1982-11-30
US06/445,626 US4488287A (en) 1982-11-30 1982-11-30 Combining and splitting of voice and data from multiple terminal sources and electronic PABX for same
US445626 198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899A KR840006899A (ko) 1984-12-03
KR920009209B1 true KR920009209B1 (ko) 1992-10-14

Family

ID=2703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671A KR920009209B1 (ko) 1982-11-30 1983-11-30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110360B1 (ko)
KR (1) KR920009209B1 (ko)
CA (1) CA1212747A (ko)
DE (1) DE3380806D1 (ko)
ES (1) ES8500690A1 (ko)
FI (1) FI79640C (ko)
MX (1) MX155798A (ko)
NO (1) NO1620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107A (en) * 1982-11-30 1986-05-13 Itt Corporatio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data base access in a switching system using a combined voice conference and data base processing module
US4716562A (en) * 1985-03-12 1987-12-29 Pacific Bell Telephone system
IT1283132B1 (it) * 1995-06-17 1998-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quipaggiamento di trasferimento automatico per centrale telefonica e procedimento per comunicazione di una centrale telefonica
JP3271493B2 (ja) * 1995-09-26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946A (en) * 1979-11-21 1981-10-0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Trilateral duplex path conferencing system with broadcast capability
DE3263964D1 (en) * 1981-02-16 1985-07-11 British Telecom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digitally encoded speech
US4476559A (en) * 1981-11-09 1984-10-09 At&T Bell Laboratories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voice and data signals over a digital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34288L (no) 1984-06-01
CA1212747A (en) 1986-10-14
DE3380806D1 (en) 1989-12-07
EP0110360B1 (de) 1989-11-02
ES527647A0 (es) 1984-08-01
FI834360A (fi) 1984-05-31
EP0110360A3 (en) 1987-11-25
EP0110360A2 (de) 1984-06-13
FI79640B (fi) 1989-09-29
KR840006899A (ko) 1984-12-03
NO162098C (no) 1989-11-01
FI834360A0 (fi) 1983-11-29
FI79640C (fi) 1990-01-10
MX155798A (es) 1988-04-29
NO162098B (no) 1984-07-24
ES8500690A1 (es) 198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107A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data base access in a switching system using a combined voice conference and data base processing module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US4578789A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data base access in a switching system using a tone bus or broadcast mode
US5046067A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5060227A (en) Digital telephone switch with simultaneous dual PCM format compatibility
US41091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ference call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pulse code modulation switching system
JPH0120829B2 (ko)
US4530093A (en) PCM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voice and data
EP0259452A1 (en) Voice, data or both over one telephone line in a t-1 carrier system
JPS598120B2 (ja) デイジタルスイツチング装置
GB2066623A (en) Combined data and speech transmission arrangement
US4736362A (en) Programmable data-routing multiplexer
US4584680A (en) Use of a tone bus to provide polling and data distribu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groups
US4805171A (en) Unitary PCM rate converter and multiframe buffer
US4488287A (en) Combining and splitting of voice and data from multiple terminal sources and electronic PABX for same
US3988544A (en) Time-division switching network for switching multiformat multiplexed data
WO1983002205A1 (en) Demultiplexer circuit
US4685104A (en)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US4873682A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KR920009209B1 (ko) 음성 및 데이타 합성/분리회로
US4602363A (en) Expansion apparatus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US5446731A (en) Signaling channel data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of a primary multiplexer
US4799216A (en)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US68950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multiple data channels to a bus
AU5919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dm data swi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