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12B1 -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12B1
KR920008512B1 KR1019850006355A KR850006355A KR920008512B1 KR 920008512 B1 KR920008512 B1 KR 920008512B1 KR 1019850006355 A KR1019850006355 A KR 1019850006355A KR 850006355 A KR850006355 A KR 850006355A KR 920008512 B1 KR920008512 B1 KR 92000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orming
line
seam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934A (ko
Inventor
레온 베노이트 고든
Original Assignee
모빌 오일 코오포레이숀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 오일 코오포레이숀,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모빌 오일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85000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12B1/ko
Publication of KR87000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4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열가소성 튜브 16 : 거싯
18 : 열봉합 수단 30 : 빈 봉지(sack blank)
34 : 3각형 조각 38 : 손잡이
50, 50a : 열가소성 봉지 제조 장치 및 공정
본 발명은 열가소성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거의 평평한 장방형(직사각형) 바닥을 가진 열가소성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봉지의 한 형태가 본건과 동일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제606,120호(1984. 5. 2. 출원)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봉지의 구조는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되어 있고, 거싯(gusset)된 측면에 의해 연결된 전면 및 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봉지는 개방된 상부 입구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 입구 부분의 양끝에는 손잡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들 각각은 2개의 필름으로 되고 있어서, 상기 전면, 후면 및 거싯된 측면의 전체적인 연장부가 된다. 이 봉지의 바닥은, 상기 봉지의 바닥 부분 용적을 적어도 거의 초과하지 않는 필름 외면에 의해 장방형이 형성되도록 평평하게 확장될 수 있다. 그러한 봉지의 바닥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식은, 상기 바닥이 상기 전면, 후면 및 측면의 전체적인 연장부로 형성되고, 그 바닥의 봉합은, 바닥이 정방형일 때 4개의 2-필름 거싯(gusset)-벽면의 열봉합선에 의해 이루어지며, 바닥이 장방형일 때는, 4개의 2-필름 거싯-벽면의 열봉합선과 1개의 전면-후면의 열봉합선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손잡이 없는 동일 형태의 봉지를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진, 최소한 거의 평평하고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가요성 열가소성 필름 봉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하거나 접하여 적어도 서로 90°의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4개의 봉합선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한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쌍의 안쪽 끝부분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접힌 튜브를 가로 방향으로 밀봉 및 절취선을 형성하는 절단하는 단계; (7) 산출된 다수의 봉지를 수거하는 단계; (8)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과 가로 방향의 밀봉 및 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4개의 삼각형 필름을 필름 봉지로부터 제거하여 완전한 봉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 (9) 상기 봉지의 바닥을 반대쪽 단부에 한 쌍의 손잡이와 봉지 입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지의 다발을 묶기 위해, 탭(tap)부재가 상기 입구로부터 연장부에 있으며 상기 탭부재에는 봉지의 묶음으로부터 봉지를 하나 씩 떼어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멍선과 같은 예비 절단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들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없고 최소한 거의 평평한 장방형 바닥을 가지는 열가소성 필름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하거나 접하여 적어도 서로 90°의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4개의 봉합선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쌍의 안쪽끝 부분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를 가로 방향으로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과 인접하며 평행하게 예-절단된 가로선을 형성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 및 상기 튜브의 측면 모서리로 이루어진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8) 상기 예-절단된 가로선으로 상호연결된 상태로 상기 봉지를 수거하는 단계.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들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없고, 적어도 거의 평평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하거나 접하여 적어도 서로 90°의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4개의 봉합선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쌍의 양쪽 끝부분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를 가로 방향으로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에 평행한 선을 따라 상기 튜브를 절취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선,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 및 측면 모서리로 이루어진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 조각을 제거하는 단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손잡이가 있고 거싯된 평평한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공정순서(50)을 도시하고 있다. 속이 빈 실린더 형이나 튜브형의 열가소성 필름 (12)를 거싯의 형성 및 개방 장치(14)를 통과시킴으로써 접는 공정을 거친다. 이 장치는 튜브를 접고, 마주보는 위치에 거싯을 형성하며, 그리고 각 거싯의 한 겹을 평평한 위치로 펼치기 위해 최대한 개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보통 예각(약0°)으로 접혀 있는 거싯이 약 180°로 평평하게 되도록 겹친 한 부분을 젖히거나 뒤집음으로써 거싯이 개방된다. 거싯의 사이즈에 따라서, 이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양쪽 거싯이 충분히 작다면, 평평한 위치로 측면에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거싯의 깊이가 깊어지면 한 번에 하나의 거싯 접힌부 만이 개방될 수 있다.
제1도에서, 중앙 접선(16)이 표시된 바와 같이, 양쪽 거싯은 거싯 형성 및 개방 장치(14)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었다. 거싯이 나란히 개방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큰 경우, 순서대로 거싯을 개방할 수 있다. 즉 먼저 튜브가 장치(14)를 거쳐 지나감에 다라 한 거싯이 개방되며, 이 첫 번째 거싯이 닫힌 위치로 복귀된 이후에 반대편 거싯이 동일함 장치에 의해 평평한 위치로 개방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장치(14)는 실린더형 필름으로 이루어진 유연성 튜브를 받아들이는 입구를 갖는 시이트-메탈 장치이다. 상기 장치(14)에 있는 시이트-메탈판은 열가소성 튜브가 통과될 때 거싯이나 접힌 부분이 원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출구의 크기는 완전히 접혀진 거싯 튜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차로 작아진다. 거싯이 형성된 후, 상부의 접혀진 부분을 180°로 평평하게 개방한다.
제1도의 (20)으로 표시하는 것처럼, 4개의 거싯 접힘부 각각에 한 쌍의 대각선 봉합선이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싯이 개방된다. 이것은 열봉합 장치(18)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열봉합 장치는 4개의 거싯 접힘부 각각마다 2겹이 서로 열봉합될 수 있도록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되는 테프론 코우팅된 저항선을 포함한다.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은 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거싯에 해당되는 부위 상에 연장되어 있다. 평평하게 개방된 상태의 각 거싯의 봉합선 쌍은 서로 약 90°의 각을 이룬다. 그 다음, 거싯 폐쇄 장치(22)에서 상기 개방된 거싯을 젖히거나 뒤집어서 그것을 닫힌 상태로 다시 접어줌으로써 거싯 사이의 각이 0°가 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각 거싯의 봉삽선(20)은 서로 겹쳐지게 된다.
봉합선(20)를 갖는 접힌 튜브가 본 시스템을 통과하면 바닥의 밀봉선(24)이 차례로 형성되며 거싯 구조의 바닥이 밀봉됨과 동시에 절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바닥 밀봉 및 절단 장치(26)에 의해 이루어진다. 밀봉선(24)은 대각선 방향 봉합선의 각 쌍의 안쪽끝(28)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접혀진 튜브를 가로질러 연장된 밀봉 및 절취선이다. 가로 방향의 밀봉 및 절단 장치(26)는 접혀진 튜브를 정해진 선을 따라 밀봉하고 절단하기에 적당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밀봉 및 절단 작업은 접혀진 거싯 튜브로부터 빈 봉지(30)을 분리해 낸다. 빈 봉지(sack blank; 30)은 그것의 상단에 밀봉선(32)이 있으며, 4개의 삼각형 부분(34)가 봉합선(20),(24) 및 거싯된 봉지의 측면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의 빈 봉지 구조(30)에서 삼각형 부분(34)를 제거하고 봉지의 입구(36)를 형성함과 동시에, 거싯 구조를 이용하여 2겹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손잡이(38)을 형성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거싯 봉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손잡이가 있고, 바닥이 평평하게 확장되어 평저를 제공할 수 있는 봉지가 형성되게 된다. "평평하게 확장된다"라는 것은 거싯을 완전히 확장시킴으로써 봉지가 최대의 내용적을 갖도록 연장하고, 그로인해 폭보다 길이가 긴 평평한 장방형 바닥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설명되어 있는 시스템 및 공정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약 1mil 두께의 저 밀도 폴리에틸렌 관상형 필름(12)이 접혀짐과 동시에 거싯이 형성되며, 이 거싯은 튜브가 거싯 형성 및 개방 장치(14)를 통과함에 따라 약 180°로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거싯된 튜브가 상기 시스템을 통과하여 진행됨에 따라, 봉합선(20)과 밀봉선(24)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러한 작용은 바닥 밀봉선(24)과 상부 밀봉선(32)을 동시에 형성하고 빈 봉투(30)을 분리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만들어진 빈 봉지(30)은 삼각형 부분(34)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거하며, 봉지 입구(36)과 손잡이(38)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봉지 각각에 대하여 실시되거나 겹겹이 맞추어 쌓아놓는 봉지(30)에 대하여 실시되며, 적당한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형 부분을 제거하고 손잡이와 봉지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가 없는 봉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2도에 도시된 시스템 및 공정을 이용한다. 제2도의 공정 및 시스템(50a)는 제1도의 경우와 상이하며, 봉지의 바닥을 밀봉하는 시점부터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밀봉 및 구멍 절단선 형성 장치(40)는 평편한 거싯 튜브에 밀봉선을 압축함과 동시에 이 밀봉선(42)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구멍 절단선(44) 형성한다. 상기 밀봉선(42)은 튜브를 절단하지 않고 다만 밀봉할 뿐이다.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이 그 후 거싯되는 튜브 구조에 있어서 개방되는 거싯에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밀봉선(42)와 구멍 절단선(44)이 거싯된 튜브에 압축된다. 그 후, 적당한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4개의 삼각형 부분(46)을 상기 튜브 구조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이 봉지들을 실린더형으로 말아서 포장하던지, 지그재그 형식으로서 겹쳐서 쌓아놓는다. 이 튜브 구조는 구멍 절단선을 따라 찢으면 입구가 개방된 봉지가 되며, 거싯의 전체 폭을 완전히 폈을 때 평평한 바닥을 갖는 봉지가 산출된다. 상기 봉지를 감거나 겹쳐 놓는 대신, 각각의 봉지를 자동적으로 구멍 절단선을 따라 분리한 후 겹쳐 놓거나 쌓아 놓을수도 있다.
제2도의 시스템 및 공정으로 제조된 봉지는 폭보다 길이가 긴 장방향의 바닥을 갖는다. 제2도의 시스템 및 공정을 변형하여, 바닥 밀봉선(42)를 형성함과 동시에 튜브를 가로질러 절단선을 형성함으로써 입구가 있고 손잡이가 없는 봉지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부분(46)에 해당하는 빈 봉지의 구석을 절단하여 봉지를 완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및 제2도에 제시된 시스템 및 공정에 의하여, 평평하게 확장되었을 때 그 길이가 폭보다 긴 장방형의 바닥을 갖게 되는 봉지를 생성하게 된다. 즉, 이 경우, 봉지의 바닥은 정방형이 아니다. 손잡이가 있거나 혹은 없는 정방향의 바닥을 갖는 봉지를 만들기 위해선, 거싯의 접힘부가 모두 최대로 접혀지도록 상기 시스템과 공정을 약간만 변화시키면 된다. 즉, 접혀진 튜브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서 거싯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각 거싯의 중앙 접힘부는 서로 접하게 되고 그 후 형성되는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사이의 각은 최소한 약 90°가 될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봉지는 평면으로 확장되었을 때 정방형인 평평하게 바닥을 갖게 된다.
상기 봉지는 제1도에서(39)로 표시된, 봉지 입구의 전체적인 연장부로서 한 쌍의 탭을 가지고 있다. 상기 봉지는 50, 100, 150개 등을 단위로 묶어 보관하며 적절한 방법으로 탭(39)을 함께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탭은 초음파 용접 방식으로 서로 붙일 수 있다. 탭을 가로지르는 구멍 절단선은 각각의 봉지를 편리하게 떼낼 수 있는 위치에 제공하며 봉지를 하나 씩 떼어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봉지는 적당한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 모든 형태의 폴리머 종류,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기타 올레핀의 선형 저밀도 코폴리머,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것이 혼합물 및 다른 모노머 대응 물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코우팅된 열가소성 종이도 고려할 수 있다. 봉지 필름의 규격은, 예를 들어 약 0.3-5mils 두께일 수 있다.
평저를 같는 봉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봉지가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과 바닥밀봉선 사이의 각이 적어도 약 13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있는 봉지의 입구 부위는 응력완화 곡선이나 아아크 모양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손잡이의 하단부로부터 봉지 입구의 상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다. 이것은 손잡이가 늘어나거나 봉지가 내용물로 꽉 차있을 때 봉지가 찢어지거나 내용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봉지의 입구 형상과 손잡이는 어떤 형태여도 좋다.
봉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적절한 각을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을 정확하게 90°, 45°또는 135°등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적절한 수정예가 나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봉합선을 형성하는데 있어, 모든 필름의 접촉면 및 연결부를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각을 형성하거나 곡선으로 할 수 있다. 2중 이상의 봉합선 및 밀봉선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거의 평편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봉지(48)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12)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한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16)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해 있거나 접해 있어서 90°이상의 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4개의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봉합선(20)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20)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각 쌍의 안쪽 끝부분을 포함한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의 가로 방향으로 밀봉선(42)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이 가로 밀봉선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예비 절단선(44)을 형성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가로 방향의 밀봉선(42) 및 상기 튜브의 측면 모서리로 형성된 4개의 삼각형 필름 조각(46)을 제거하는 단계; (8) 상기 예비 절단선(44)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제조된 봉지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단선이 구멍이 뚫린 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봉지가 로울 상태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봉지가 지그재그식으로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서로 연결된 상태의 봉지를 각각 분리하여 접거나 쌓아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필름이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거싯은 동일하고, 각 거싯의 중앙 접힘부는 서로 접해 있으며 상기 봉합선(20) 쌍 사이의 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봉지가, 바닥을 펼쳤을 때, 거의 평편한 정방향의 바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싯은 동일하고 각 거싯의 중앙 접힘부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돌출부가 이루는 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조된 봉지가, 바닥을 펼쳤을 때, 평편한 장방형의(가로 세로 길이가 다른) 바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거의 평편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 봉지(3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12)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16)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부분의 봉합선 끝(28)이 근접하거나 접해 있어서 90°이상의 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4개의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봉합선(20)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20)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각 쌍이 안쪽 끝부분(28)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의 가로 방향으로 밀봉 및 절취선(24)를 형성하는 단계; (7) 상기 제조된 봉지를 겹쳐서 수거하는 단계; (8)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과 가로 방향의 밀봉 및 절취선(24) 사이에 형성된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 조각(34)을 제거함으로써 봉지의 바닥을 완성하는 단계; 및 (9) 상기 바닥의 반대쪽에 손잡이(38)와 입구(3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두 쌍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쌍의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과 가로 방향의 밀봉 및 절취선을 인접한 봉지상에 동시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거싯은 동일하고 각 거싯의 중앙 접힘부는 서로 접해 있으며 상기 봉합선(20) 쌍 사이의 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봉지가 바닥을 펼쳤을 때 거의 평편한 정방형의 바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싯은 동일하고 각 거싯의 중앙 접힘부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돌출부가 이루는 각이 90°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조된 봉지가, 바닥을 펼쳤을 때, 평편한 장방형의(가로 세로의 길이가 다른) 바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거의 평편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12)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바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16)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하거나 접해 있어서 90°이상의 각의 형성할 수 있도록, 4개의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봉합선(20)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20)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각 쌍의 안쪽 끝 부분을 포함하는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의 가로 방향으로 밀봉선(42)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이 가로 밀봉선에 인접한 선을 따라서 상기 접힌 튜브를 절취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42) 및 튜브의 측면 모서리로 이루어진 4개의 삼각형 필름 조각(46)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및 절취된 봉지를 겹쳐서 수거한 후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 조각을 상기의 봉지 더미로부터 동시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바닥이 정방형(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바닥이 길이와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거의 평편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12)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16)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해 있거나 접해 있어서 90°이상의 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4개의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봉함선(20)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20)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각 쌍의 안쪽 끝 부분을 포함한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의 가로 방향으로 밀봉선(42)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이 가로 밀봉선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예비 절단선(44)을 형성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이 모두 봉지 더미의 한 끝에 있도록 상기 산출된 봉지를 더미로 수거하는 단계; (8)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 및 상기 튜브의 측면 모서리로 이루어진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가 더미로 쌓이기 이전에 예비 절단선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거의 평편한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열가소성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열가소성 필름의 튜브(12)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튜브 내의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평행한 거싯을 형성하면서 튜브를 접는 단계; (3) 상기 접힌 튜브의 양측에 있는 거싯의 접힌 부분(16)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완전히 펴지도록 개방하는 단계; (4) 인접한 거싯 접힌 부분의 봉합선 끝이 근접해 있거나 접해 있어서 90°이상의 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4개의 거싯 접힌 부분 각각에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봉합선(20)을 동시에 또는 순서대로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봉합선(20) 쌍이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거싯 접힌 부분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0) 각 쌍의 안쪽 끝부분을 포함한 선을 따라서 상기 튜브의 가로 방향으로 밀봉선을 형성하고 그와 동시에 이 가로 밀봉선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예비 절단선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절단된 선에 인접하며 평행하게 제2의 가로 방향의 봉합선을 형성하는 단계; (7)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2)이 모두 봉지 더미의 한 끝에 있도록 상기 산출된 봉지를 더미로 수거하는 단계; (8) 상기 대각선 방향의 봉합선, 상기 가로 방향의 밀봉선 및 상기 튜브의 측면 모서리로 이루어진 4개의 겹친 삼각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9) 상기 바닥의 반대쪽 끈에 손잡이와 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50006355A 1985-08-31 1985-08-31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KR92000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355A KR920008512B1 (ko) 1985-08-31 1985-08-31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355A KR920008512B1 (ko) 1985-08-31 1985-08-31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934A KR870001934A (ko) 1987-03-28
KR920008512B1 true KR920008512B1 (ko) 1992-10-01

Family

ID=1924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355A KR920008512B1 (ko) 1985-08-31 1985-08-31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934A (ko) 198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707A (en) Easy to open handle 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829007A (en) Plastics-film bags
US3739977A (en) Plastic market bag
US5100003A (en) Package for packing pieces of goods and process of manufacture thereof
US4816104A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US4925438A (en) Bags mad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heeting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id bags
CA1250172A (en) Method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US6089753A (en) Easy to open handle 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71235A (en) Method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e
EP0314247A2 (en) Plastic carrier bag with cut-out carry handle
US5890810A (en) Manufacture of bags
CA1249471A (en) Methods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e
US4699608A (en)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bag and bag pack
US4790437A (en) Thermoplastic bag, bag pa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49201A (en) Angle sealed bottom grocery sack
US4819806A (en) Thermoplastic bag, bag pa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840610A (en) Thermoplastic bag, bag pa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43167A (en) Plastic bag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e
US3326449A (en) Gusseted plastic bag
KR920008512B1 (ko) 열가소성 필름 봉지의 제조 방법
CA1251179A (en) Thermoplastic bag, method and system for its manufacture
JP2003137305A (ja) 角底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製造装置
US3237845A (en) Bag
CA1245090A (en) Method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and systems therefor
US5011298A (en) Halter top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