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38B1 -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 Google Patents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38B1
KR920008138B1 KR1019900003871A KR900003871A KR920008138B1 KR 920008138 B1 KR920008138 B1 KR 920008138B1 KR 1019900003871 A KR1019900003871 A KR 1019900003871A KR 900003871 A KR900003871 A KR 900003871A KR 920008138 B1 KR920008138 B1 KR 92000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roots
exhaust
groove
ca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50A (ko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101990000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38B1/ko
Publication of KR91001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8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 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루우츠 터어빈의 단면도.
제1a도는 고정형 누출로를 갖는 경우이고, 제1b도는 가변형 누출로를 갖는 경우임.
제2도는 제1a도의 경우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볼트 생략)
제3도는 제1b도의 경우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볼트 생략)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2엽 루우츠 곡면의 방정식 산출을 위한 도면임.
제5도는 제1도의 C-C'선 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우츠 로타(roots rotor) 2 : 급기홈
2' : 급기구 3 : 배기홈
3' : 배기구 4 : 누출로
5 : 핏치써클(pitch circle, 제4도의 E2와 같음)
6 : 로타(rotor) 축 7 : 볼트(bolt)구
8 : 누출로 조정체 9 : 볼트(bolt)
10 : 하우징(housing)
10' : 누출로 조정체를 갖는 하우징(housing)
10" : 조정체 조절 볼트 11 : 고정판
12 : 베어링(bearing) 13 : 루우츠 기어(roots gear)
A : 제4a도의 경우, 우측로타중심에서 X선에 대해 45도 경사선과 핏치 써클과의 교점
B : 로타중심에서 A에 대해 90도 회전되어진 점
C : 로타 중심에서 B에 대해 90도 회전되어진 점
D : 로타중심에서 C에 대해 90도 회전되어진 점
E1 : 로타축 최대 외경 E2 : 핏치 써클(pitch circle)
E3 : 루우츠 하우징(housing) 내경 써클(circle)
E5 : 핏치 써클(pitch circle)의 교점에서 시작되는 지름 r/2을 갖는 원
M1, M2, M3, M4 : 로타 헤드(rotor head)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H1, H2, H3, H4 : 고압 기체의 변화 상태를 묘사하기 위한 표시
본 발명은 스팀 터어빈(steam turbine)이나 가스 터어빈(gas gurvine)의 출력 터어빈으로 개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에 관한 것으로, 2엽 및 3엽 로타(rotor)를 갖는 경우에 모두 적용되어지며 대용량의 압축기로 응용, 적용될 수도 있다.
종래의 축류 터어빈은 블레이드(blade)가 고압 기체의 충, 반동 작용에 터어빈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단당 열효율은 피스톤(pisgon)내연기관 보다 낮은 편이어서 고효율을 위해서는 스팀 터어빈(steam turbine)은 다단식으로, 가스 터어빈(gas turbine)은 열 교환기의 부착이 요망되어지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터어빈에 있어서 그 출력발생 수단은 다량의 고압기체의 배기로의 낭비적 방출을 초래하는 구조적 결점을 갖게 되며, 그 이유는 블레이드(blade)사이에 공간이 배기구에 개방, 연통되어 충,반동력의 발생과 함께 다량의 압력에너지(energy)가 대기로 방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개량의 여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제작, 가공, 조성 상의 까다로움으로 인한 생산 코스트(cost)가 높은 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제작상의 간단함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고효율의 새로운 형태의 출력 터어빈(turbine)의 개발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종래의 루우츠 압축기를 약간의 구조적 개조를 통하여 터어빈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본인의 국내 특허출원 제12771호에 나타나 있다. (1988년 9월 5일에 출원되고 1991년 3월 2일에 취하됨.)
그러나 상기 특허의 실험적 제작을 통하여 나타난 결함으로는 2엽로타를 갖는 터어빈의 경우 터어빈 축의 굵기가 출력에 비하여 가늘어서 루우츠 블레이트(roots blade)의 폭을 매우 작아지게 설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블레이드 폭이 커질수록 기체 취급량이 증가되어 출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엽로타(6)의 축(6)의 강도가 취급 출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2엽로타 루우츠 곡면의 개발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었다. 따라서 2엽 로타축 굵기를 루우츠 핏치 써클 지름의 절반 정도까지도 설계할 수 있는 루우츠 2엽 로타 곡면의 방정식을 산출한다면, 종래보다 약 20%이상 굵기를 증가시켜, 축의 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산체제의 컴퓨터 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ing)가공 기계에 입력시킬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며, 대용량의 압축기용으로도 유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의 경우는 종래의 루우츠 압축기의 입구, 출구의 형태를 모방한 것으로, 이것을 그대로 이용한다면 로타 블레이트(rotor blade)가 출구를 급속히 개방시키고, 출구의 위치(점유부분)로 인하여 누출로(4) 길이가 짧아지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누출로가 길어지도록 구성하여 효율상의 장점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누출로(4)로 고압기체가 누출되게 하면 기체의 흐름에 대하여 로타 블레이드(rotor blade)가 방해 수단이 되므로 로타 블레이드에 충동력이 가해지나, 고압기체가 출구가 급속히 개방되어 방출되게 되면, 고압기체가 보유하고 있는 운동 에너지가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방출되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상의 약점은 입,출구(급,배기구)의 위치를, 하우징(housing)에 형성되어졌던 것을 변경하여 하우징 카버(housing cover)에 설계하여 측방으로 변경시키고, 하우징(10,10')에는 누출로(4)만을 형성하여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제1,6도 참조).
또한 고압기체가 사용되므로 그 팽창을 고려하여 배기구(3')의 크기를 급기구(2')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터어빈의 회전수 변화와 바람직한 요망사항인 가스 터어빈으로 개발할 경우, 누출 시간은 회전수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누출로폭의 크기를 증감시켜, 누출 시간이 짧은 고속회전시에는 누출로폭을 크게하여 빨리 배출시키고, 누출 시간이 비교적 긴 저속 회전시에는 누출로(4)폭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누출로폭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누출로폭 조정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자동차용 가스 터어빈과 같은 회전수 변화가 심한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 개선책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의 단수를 가지고도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하여, 고압기체가 갇혀진 상태하에서 그 압력이 상당히 감압될 때 까지도 로타에 고압기체의 누출에 의한 충동력과 로타 블레이드(rotor blade) 양측의 압력차에 의한 팽창압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하여 종래와 같이 고압기체가 배기구의 대하여 개방되었던 경우에는 볼 수 없었던 바람직한 특성의 터어빈을 제작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엽 루우츠 로타를 사용할 경우 그 축의 굵기가 핏치 써클의 1/2정도까지 설계될 수 있는 2엽로타 곡면을 방정식화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 머시닝 센타(computer programing machining center)와 같은 자동 가공기에 의하여 신속, 정확하게 로타를 가공하여 터어빈의 생산성을 증가 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스팀 터어빈(steam turbine)에 있어서 초고압, 고압, 저압, 배압 터어빈등 스팀압력에 따라 전문적인 터어빈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독특한 특성과 효율의 터어빈의 개발은 설계자가 보다 전문화된 터어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그 선택의 폭을 넓게 할 수 있으며 이점은 가스 터어빈의 경우에도 동일하며, 이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가스 터어빈의 경우 새로운 가스 터어빈의 개발은 막대한 투자를 요하며, 따라서 가스 터어빈의 출력 터어빈만을 개발하여 개발된 기존 가스 터어빈이 가스 발생 부분에 부착하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우츠 터어빈도 그와같이 이용되어질 수 있고, 이때 사용가스의 온도와 압력등을 고려하여 루우츠 로타와 루우츠 하우징 실린더 내벽면의 재질을 내열성으로 할 뿐아니라, 또한, 열팽창율이 낮은 것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압축기-연소실-출력 터어빈을 갖는 구조의 가스 터어빈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부착은 높은 효율을 얻어내기 위하여 필수적인 수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스 터어빈의 경량화, 소형화를 크게 저해할 뿐 아니라 그 생산비가 증가하는 단점을 야기시키거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조적 단점을 개선하여 콤팩트(compact)하며 염가의 가스 터어빈을 제작하고자 하며 이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수 변화가 바람직한 요망사항이 되는 출력 터어빈의 경우 회전수에 따라 누출로폭을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누출로폭 조정장치를 갖추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우츠 압축기에 경우,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 로타에 의한 급속한 출구의 개방으로 인한 충격적인 압력 펄스 변동은 억제되어야 함이 바람직한 기술 요망사항이었으므로 따라서 본 발명이 압축기로써 응용되어 질 경우, 보다 원활하고 대용량의 압축이 가능한 압축기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위하여 사용한 기술 해결책은 회전력 발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급,배기구(2',3')를 측방으로 설계하는 것인데, 급,배기구를 일측으로만 설치하면 압력기체가 로타에 일측으로만 작용하여 로타가 일측으로의 밀림현상이 있게되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압력균일화를 위한 홈을 두어 양측에서 로타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짐으로 일측으로 밀림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누출로폭 조정장치를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도록 일체형의 조정체를 간단한 회전가능한 볼트를 통하여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2엽 로타축의 굵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로타 곡면을 보다 넓적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도록 먼저 핏치 서클의 지름의 절반 정도의 로타축 지름을 갖게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루우츠 곡면의 방정식을 산출하였으며 후술하겠다. 이상과 같은 기술 해결책을 갖는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타(1)는 종래의 일반적인 2엽로타에 비하여 볼 때 폭이 넓고 그 중공도 타원일뿐 아니라 양측 말단부의 곡면도 타원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타 블레이드의 중공은 양측에 연통되지 않고 양측이 막혀 있는 상태에서 로타 내부에만 있다. (제2도의 1참조)
제1a도는 주로 일정한 회전수로 운전되는 터어빈에 실시될 수 있는 경우에 관한 것으로 고정형 누출로(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b도는 회전수 변화가 요구되는 터어빈에 해당하는 경우로 볼트 머리(10")가 조정체(8)내에서 회전하여 조정체(8)를 위치변화시켜 누출로폭을 증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정은 기관의 회전수에 따라 기계적 변화를 가져오는 전자-기계적 장치의 설치가 요구되어지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b도의 경우는 가변형 누출로를 갖는 경우인 것이다. 또한 급기홈(제2,3도의 2)은 양측 카버(14,15)내측에 설치되게 되고, 급기구(2')는 일측방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급기구의 설치 방향은 아무쪽이나 될 수 있다.
또한 급기구(2')와 배기구(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급기구(2')는 양측에 1개씩 2개로 하고 배기구(3')는 두 개로 양측에 1개씩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급기구(2')는 하나로 배기구(3')는 두 개로 양측에 1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배기의 체적이 크게 증가하였을 경우를 위한 것이며, 급기구(2')와 급기홈(2)과 배기구(3')와 배기홈(3)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 기체의 이상적인 통과면적의 산출에 의하여 결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체의 팽창을 고려하여 배기구(3') 배기홈(3)의 크기가 더 커져야하므로, 터어빈 설계에 이점이 반영되어야 로타(1) 부근에서 기체가 더욱 팽창되어 큰 출력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일측의 급기구(2')로 압력기체가 압입되어지면 양측 급기홈(2)에 압력 기체가 충만하게 되어 루우츠 로타(1)가 급기구(2')와 배기구(3')를 가로 막았을 경우에도 상당량의 기체가 급기홈(2')이나 배기홈(3')에 남아서 로타가 일측으로만 압력을 받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급격한 압력 변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작동을 제6도를 설명할 때 상술하겠다.
또한 급기홈과 배기홈(2,3)의 요구조건은 가급적으로 효율적인 급,배기를 위하여 최대면적을 갖게하는 것이며, 날개형으로 구성되어진 이유는 베어링 삽입공(제2,3,5도 참조)이 루우츠 터어빈 카바(2,3도 참조)외측에 설치되어져서 그 설치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카버(14,15) 두께를 최소화하고도, 최대의 통로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동일 통로면적에서의 최대 누출기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는 제1a도의 한 실시예의 터어빈 구조의 사시도로서 급기구(2')와 배기구(3')가 같은 커버(cover)에 1개씩 배치된 경우이며, 배기홈(3)은 없을 수도 있다.
급기구와 급기홈(2',2)과 배기구와 배기홈(3,3')은 각각 타측 카버(cover)에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베어링 수단에 대하여는 설계상의 결정사항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로타리(1)는 3엽로타(종래와 같음)로 대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누출로(4)가 로타 회전각으로 약120도가 되게 형성되어지며, 2엽로타의 경우는 약 90도가 이상적이다.
제3도는 제1b도의 한 실시예의 터어빈구조의 사시도로서 급기구(2')와 배기구(3')가 같은 방향으로 1개씩 배치된 경우이며, 배기홈(3)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급기구와 급기홈(2',2), 배기구와 배기홈(3',3)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타측으로 옮길 수 있다.
제4도는 개량된 2엽 루우츠 로타(1)의 곡면의 단면곡선의 해석과 관련된 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r=쎈타거리/2=핏치 써클(E2) 반지름이다.
로타(1)축 (6)외경이 될 수 있는 E1은 E2의 1/2이며 이러한 굵기는 종래의 루우츠 로타에 비하여 크게 증가된 것이다. 또한 로타(1)의 헤드(head) 끝에서 중심까지는 3r/2이고, 중심에서 오목부 중앙부까지는 r/2이다.
또한 제1a도의 경우라면 양 로타(1) 접촉점은(-r/2,0)이 될 것이다.
또한 45도 회전후 그 접촉점이 (0,0)이 되도록 하는 조건을 내세웠다.
또한 급,배기홈(2,3)의 위치는 하우징 내경 써클들(E3,E3')의 양측 교점과 핏치 써클들(E2,E2') 사이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점(A,B,C,D,A',B',C',D')들은 각각 양 로타(1)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45도 경사선을 그어 E2,E2'와의 교점들이다. 실제 설계에 있어서의 좌표는 제4a도의 우측 로타의 중심을 평면 좌표(0,0)로 하고, 호들(AB,DC,A'D',B'C')은 원호로 하였다. 그리고 타원호들(AD,BC,A'B',C'D')은 각각 3개의 타원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r=34mm인 한 실시예에서, 상기한 호들(AB,DC,A'D',B'C')의 반지름은 44.562455mm이다. 또한 타원호(AD)를 이루는 3개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26.800581)2/585.61187+Y2/664.46499=1
(0.3941071 X-0.9190645 Y+10.562299)2/650.85357+(0.9190645 X+0.3941071 Y+24.631463)2/448.16413=1
(0.3941071 X+0.9190645 Y+10.562299)2/650.85357+(-0.9190645 X+0.3941071 Y-24.631463)2/448.16413=1
제5도는 제1a도의 C-C'선 단면도이다. 베어링(12)는 양측에 각각 2개씩 삽입되어지고 루우츠기어(13)은 2개가 서로 물려있다. 또한 본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은 직렬이나 병렬, 또는 직병렬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축으로 로타(1)를 연결할 수도 있고, 분리축으로 연결하여 수개나 수십개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를 상술하면 a도에서 헤드의 방향은 M1-M3이고, MQ-M3가 M2-M4에 대해 90도를 이루게하면 a도에서 로타(1)가 90도회전하면 b도 처럼 되고, 다시 90도로 회전하면, a도처럼 되므로 180도 마다 동일하게 되어 그 주기는 180도이다. 또한 고압기체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면 고압기체는 고압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급기구(2')-급기홈(2)-H1-H2-H3-H4-배기홈(3)-배기구(3')로 진행, 변환된다.
이때 H1은 고압기체 공급원과 동일한 압력을 나타내고 H2는 우측 로타의 경우 그 로타 헤드(head)가 M1-M2로 이동하는 과정의 상태로 고압기체 압력이 처음에는 H1과 동일하나 누출로(4)로의 인위적인 누출로 인하여 그 압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시기의 상태인 것이다. H3는 누출 시간 끝에서 배기홈 주위의 압력 (H4)로 저하되는 상태이고 H4에서 약화된 고압기체는 배출되어 주기가 끝나게 된다. 이러한 압력변화의 압력크기를 도시하면 H1
Figure kpo00002
H2〉H3〉H4로 된다.
이제 루우츠 터어빈의 회전력 발생 작용에 대하여 상술하면, a도에서 좌측 로타(1)는 H1>H3와 H3>H4에 의한, 그리고 우측 로타는 H1=H2>H4에 의한 압력차에 의한 팽창 압력이 작용되고, 이들 팽창 압력들에 의하여 로타에 회전력이 발생되어져서 약 90도 회전되면 b도와 같이 되는데, 이때의 좌측 로타는 H1=H2〉H4의 상태가 되고, 우측 로타는 H1>H3와 H3>H4의 상태가 되어 상기한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에 추가하여, 압력 기체가 누출로(4)로 팽창되면서 누출되어질 때 즉, 압력 기체가 H2 상태에서 누출로(4)를 거쳐 H4로 되는 동안 로타(1)를 감싸고 돌아 배기홈(3)을 경유하여 배기구(3')로 배출되어질 때 로타(1)블레이드(rotor blade)는 기체진행에 대하여 방해 수단이 되어 충동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출력 터어빈(power turbine)과 같이 고압기체 공급원과 배출구 사이가 개방되어진 상태가 아니므로 동일 단수에서 에너지 흡수율을 높여 결국 열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루우츠 압축기의 경우와 같이 입구와 출구가 로타 축(6)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10,10')에 설치되어질 경우보다 누출로(4)를 길게 설계할 수 있어, 효율상의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축기로 설계할 경우, 배기구(3')와 급기구(2')의 크기는 기체흐름과 압력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축류 터어빈에서 볼 수 없었던 효과는 가스 터어빈의 출력 터어빈의 경우, 터어빈 블레이드가 얇게 되어 있어 블레이드의 내열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2엽로타 블레이드는 그 두께가 종래보다 크게 증가되므로 세라믹과 같이 내열성이 탁월한 재료료 그 표면에 단열 코팅한다고 해도 그 강도가 매우 높아 유리한 것이다. 또한 이로인해 연소실과 출력 터어빈 사이에 온도의 지나친 상승을 우려할 수 있으나, 연료의 조절로 그 온도의 저하는 가능하므로 연료절약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중심부에 병렬로 배치되고 조립되는 2,3엽의 루우츠 로타(roots rotor)의 한쌍과, 이들을 수용하는 흡,배기 수단을 구비한 쌍원형 내경 써클(circle)을 갖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한 로타의 축 방향으로 하우징 양 끝에 배치, 고정되어 로타축들을 지지하는 베어링(bearing) 수단을 수장한 양측 카버(cover)들과, 그 외측에 로타축들에 체결되고 서로 교접되는 쌍 기어(gear) 수단과 전동 수단을 구비한 루우츠(roots)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한 병렬로 배치되고 조립된 2,3엽의 루우츠 로타(1)의 한 쌍과, 이들을 수용하는 쌍원호형의 누출로(4)를 하우징 내경서클들(E3,E3')의 일측 교점의 양측으로 내경면을 절삭하여 형성시킨 하우징(10)과, 로타축(6) 방향으로 하우징(10) 양 끝에 배치, 고정되어 로타축(6)들을 지지하는 베어링(12) 수단을 수장하고 있으며 그 내측면의 로타(1)접촉면중 내경 서클들(E3,E3')의 상기한 교접과 핏치 서클들(E2,E2')사이에 형성되어지는 배기홈(3)과 이 배기홈(3)에서 카버외측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지는 배기구(3')와, 이들과 카버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어지는 위치로 형성되는 급기홈(2)과 이 홈에서 카버 외측으로 천공하여 형성한 급기구(2o)를 갖는 카버 수단을 구비하고, 그 외측으로 로타축(6)에 체결된 쌍기어(13)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우츠 터어빈.
  2. 제1항에 있어서, 급기홈(2)과 급기구(2')가 양측 카버에 각각 1개씩, 배기홈(3)과 배기구(3')도 양측 카버에 각각 1개씩 형성된 카버 수단을 갖는 루우츠 터어빈.
  3. 제1항에 있어서, 급기홈(2)과 급기구2')가 일측 카버에만 1개씩, 배기홈(3)과 배기구(3')도 양측 카버에 각각 1개씩 형성된 카버 수단을 갖는 루우츠 터어빈.
  4. 제1항에 있어서, 급기홈(2)과 급기구(2')와 배기홈(3)과 배기구(3')가 모두 일측 카버에만 형성되어진 카버 수단을 갖는 루우츠 터어빈.
  5. 제1항에 있어서, 급기홈(2)과 급기구(2')는 일측 카버에 각각 1개씩 형성되고, 배기홈(3)과 배기구(3')는 타측 카버에 각각 1개씩 형성된 카버 수단을 갖는 루우츠 터어빈.
  6. 제1항에 있어서, 출력 터어빈의 회전수 변화에 따라 누출로(4)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누출로폭 조정체(8)를 내장하는 하우징(10') 갖는 루우츠 터어빈.
  7. 제1항에 있어서, 날개형으로 형성된 급기홈(2)과 배기홈(3)을 갖는 루우츠 터어빈.
KR1019900003871A 1990-03-22 1990-03-22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KR92000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871A KR920008138B1 (ko) 1990-03-22 1990-03-22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871A KR920008138B1 (ko) 1990-03-22 1990-03-22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50A KR910017050A (ko) 1991-11-05
KR920008138B1 true KR920008138B1 (ko) 1992-09-22

Family

ID=1929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871A KR920008138B1 (ko) 1990-03-22 1990-03-22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233B2 (en) 2011-06-01 2018-11-13 Triad Sports Group, Llc Collapsible net apparatus
US10183206B2 (en) 2011-06-01 2019-01-22 Triad Sports Group, Llc Net structure with a slide hinge apparatus
US10226679B2 (en) 2011-06-01 2019-03-12 Triad Sports Group, Llc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233B2 (en) 2011-06-01 2018-11-13 Triad Sports Group, Llc Collapsible net apparatus
US10183206B2 (en) 2011-06-01 2019-01-22 Triad Sports Group, Llc Net structure with a slide hinge apparatus
US10226679B2 (en) 2011-06-01 2019-03-12 Triad Sports Group, Llc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50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19551A (ja) 容積型の機械のためのデバイス、当該デバイスのための制御ギヤ機構および制御ギヤ機構の使用法
JPH0612045B2 (ja) 回転ロータ装置
JP2009216101A (ja) ロータリ・ピストン・マシン
JP2684936B2 (ja) 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翼
US3370418A (en) Rotary stirling cycle engines
JPH04507274A (ja) 液体リング装置の改良
US3964447A (en) Vane-type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96436B1 (ko) 보강디스크를 포함하는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920008138B1 (ko) 루우츠 터어빈(roots turbine)
JP4489768B2 (ja) ロータリーエンジン
WO2021088135A1 (zh) 具有泽仑圆形状的腔体、流体工作装置以及发动机
JPH05507536A (ja) ロータリピストン型内燃機関
US7549289B2 (en) Hybrid engine
EP0009915A1 (en) Rotary 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RU2752114C1 (ru) Ротикуляционное термодина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9200515B2 (en) Ristau conical rotor orbital engine
US20100115946A1 (en) Heat engine/ heat pump using centrifugal fans
US3626911A (en) Rotary machines
KR102295046B1 (ko) 스테이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US3810722A (en) Engines and compressors of the kind in which a valve device engages with a helicoidal rotor
EP3974619B1 (en) Turbine blade and gas turbine
US11933192B2 (en) Turbine vane, and turbine and gas turbine including same
KR20230030449A (ko)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CN220302194U (zh) 一种抽汽旋转调节装置
US2712895A (en) Centripetal subsonic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