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29Y1 - 줄넘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줄넘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29Y1
KR920008129Y1 KR2019900019040U KR900019040U KR920008129Y1 KR 920008129 Y1 KR920008129 Y1 KR 920008129Y1 KR 2019900019040 U KR2019900019040 U KR 2019900019040U KR 900019040 U KR900019040 U KR 900019040U KR 920008129 Y1 KR920008129 Y1 KR 920008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ole
handle
spr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259U (ko
Inventor
이창빈
Original Assignee
이창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빈 filed Critical 이창빈
Priority to KR2019900019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129Y1/ko
Publication of KR920011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8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줄넘기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줄넘기 2 : 손잡이
3 : 마개 4 : 줄고정관
5 : 줄 6, 9 : 오링
7 : 스프링 8 : 스프링고정구
10 : 캡
본 고안은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도록 줄의 길이를 조정함과 동시에 회전시 손잡이와 줄의 마찰을 방지하여 원할한 회전이 되도록 하며, 또한 마찰로 인해 줄이 마모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안출한 줄넘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줄의 조절하는 줄넘기는 있었으나 이의 구조를 설명하면, 줄넘기의 손잡이내부에 여분의 줄을 수장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손잡이의 마개 중심공으로 줄지지구를 유삽하며, 그 줄지지구의 안내관 반대측면으로 끝부분이 점차 가늘어지는 조정관을 길게 돌설하여 외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양측면을 절개하여 반분되는 조정관 외면으로 체착너트를 나삽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줄넘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시 많은 부품을 여러공정에 걸쳐 생산해야 하므로 원가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줄넘기는 줄의 길이 조정시 나사결합된 마개와 줄지지구에 나삽된 체착너트를 일일이 돌려서 풀은뒤 줄의 길이를 조정하고 결합시 다시 마개와 체척너트를 돌려서 조립해야 하므로 줄의 길이 조정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줄넘기는 줄의 회전시 줄지지구의 안내관 끝단과 줄이 직접 마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동시에 줄이 마모되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줄넘기 손잡이의 일단에 설치한 캡을 빼내고 줄을 잡아당긴후 줄고정관에 고정된 나사를 풀어 줄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정하도록 하여 또한 손잡이마개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줄의 회진력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줄의 마모를 방지 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 내지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도면 부호 1은 줄넘기를 나타낸 것이며, 그 줄넘기(1)는 손잡이(2), 마개(3), 줄고정구(4) 및 줄(5)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의 내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공간부(21)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21)의 내부 일축에는 구멍(22)이 형성되도록 환턱(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의 일축에는 테이퍼진 조립턱(24)을 형성한다.
상기 마개(3)는 일측면으로 고정관(31)을 돌출형성하고, 그 고정관(31)의 내축에는 구멍(32), 외측에는 조립홈(33)을 각각 형성한후, 상기 손잡이(2)의 조립턱(24)과 공간부(21)에는 조립홈(33)과 고정관(31)을 끼워서 조립하여 마개(3)를 손잡이92)에 고정설치한다.
한편, 상기 마개(3)의 구멍(32)에 오링(6)과 스프링(7)을 삽입한후, 고정관(81)의 일측에 외주연으로 걸림턱(82)이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하는 구멍(83)이 형성된 스프링고정구(8)를 상기 마개(3)의 구멍(32)에 끼워서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7)의 일단은 외경을 크게 하여 스프링 고정구(8)의 고정관(81)에 걸려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줄고정관(4)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구멍(41)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연에는 나공(42)를 형성한후 나공(42)에 고정나사(43)를 체결한다.
상기 줄(5)은 상기 줄고정관(4)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된 스프링(7), 스프링고정구(8), 마개(3), 오링(6)과 손잡이(2)의 구멍(22)을 통해 삽입하여 손잡이(2)와 공간부(21)외부로 노출시킨후 오링(9)과 줄고정관(4)에 끼우고 고정나사(43)를 조여서 줄(5)을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줄(5)은 오링(9)과 줄고정관(4)이 손잡이(2)의 공간부(21)에 형성된 환턱(23)에 걸려 빠지지 않는다.
그후, 손잡이(2)의 공간부(21)에 캡(10)을 끼워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줄(5)의 길이를 조정할경우에는 손잡이(2)의 공간부(21)에 끼운캡(10)을 잡아당겨서 빼내고, 줄(5)을 밀어서 공간부(21) 외부로 줄(5)을 빼낸후 줄고정관(4)의 고정나사(43)를 풀고 사용자가 알맞게 줄(5)을 조정한 다음에 다시 고정나사(43)를 조이고 캡(10)를 끼워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여분의 줄(5)은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이 손잡이(2)의 공간부(21)에 보관된다.
한편, 줄넘기(1)를 사용할 때 즉, 줄(5)의 반복회전시 스프링고정구(8)에 고정된 스프링(7)과 줄(5)이 직접 마찰하기 때문에 스프링(7)의 탄력으로 마찰력이 최소한으로 감소되어 줄(5)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며, 또한 줄(5)의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줄넘기의 줄을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편리하게 조절할수 있으며, 또한 줄의 회전을 원할하게 함과 동시에 마모로 인한 줄의 절단을 방지할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간부(21)가 형성된 손잡이(2)에 길이조정이 가능토록 줄(5)을 고정설치한 줄넘기(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의 공간부(21)를 양측으로 관통하고, 손잡이(2)의 일측에 테이퍼진 조립턱(24)을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공간부(21)의 내부일측에 구멍(22)이 형성된 환턱(23)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관(31)의 내측에 구멍(32)과 외측에 조립홈(33)을 형성한 마개(3)를 상기 조립턱(24)에 끼워 고정하며, 상기 마개(3)의 구멍(32)에 오링(6)과 일단의 외경을 크게 형성한 스프링(7)을 끼우고 일측외주연에 걸림턱(82)과 내부에 구멍(83)이 각각 형성된 스프링고정구(8)의 고정관(81)을 상기 구멍(32)에 끼워서 스프링(7)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줄(5)을 스프링(7), 스프링고정구(8), 마개(3), 및 상기 환턱(23)의 구멍(22)을 통해 공간부(21)의 외부로 돌출시킨후, 상기 줄(5)의 일단에 오링(9)과 줄고정관(4)을 끼우고, 그 줄고정관(4)의 외주면에서 줄(5)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나사(43)을 체결함과 동시에 공간부(21)에 캡(10)을 끼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손잡이.
KR2019900019040U 1990-12-04 1990-12-04 줄넘기 손잡이 KR920008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040U KR920008129Y1 (ko) 1990-12-04 1990-12-04 줄넘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040U KR920008129Y1 (ko) 1990-12-04 1990-12-04 줄넘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259U KR920011259U (ko) 1992-07-24
KR920008129Y1 true KR920008129Y1 (ko) 1992-11-12

Family

ID=1930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040U KR920008129Y1 (ko) 1990-12-04 1990-12-04 줄넘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1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259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7327A (en) Toggle bolt assembly
JPH04365504A (ja) 工具用チャック
US6880832B2 (en) Quick change power tool chuck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JP2000502272A (ja) 杖取っ手
US7377070B2 (en) Fishing reel mount assembly
KR920008129Y1 (ko) 줄넘기 손잡이
KR910002548B1 (ko) 조립식 낚시대 손잡이
US6078001A (en) Machine head for guitars
US5244166A (en) Handle fixing structure for spinning reel
US5261142A (en) Paint roller frame
JPH06218606A (ja) チャック
CH640384GA3 (ko)
US5033224A (en) Fishing reel foot fixing device
KR100232550B1 (ko) 전선권취장치
KR900010547Y1 (ko) 연사용 보빈의 보조관
JPH11276026A (ja) 糸巻装置付釣り竿
CA1254260A (en) Metal fitting part for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panels
KR200195566Y1 (ko) 낚시용 릴의 드래그장치
KR200253728Y1 (ko) 기타현 조절기의 기타현 고정장치
EP0429063A1 (en) Handle fixing structure for spinning reel
JPH0246702Y2 (ko)
KR200239394Y1 (ko) 기타현 조절기의 기타현 고정장치
KR950007142Y1 (ko) 연사기용 피드 로울러의 실장력 조정구의 결합 구조
EP0183983A2 (en) Toggle bol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