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47Y1 -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47Y1
KR920007747Y1 KR2019900007939U KR900007939U KR920007747Y1 KR 920007747 Y1 KR920007747 Y1 KR 920007747Y1 KR 2019900007939 U KR2019900007939 U KR 2019900007939U KR 900007939 U KR900007939 U KR 900007939U KR 920007747 Y1 KR920007747 Y1 KR 920007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ulse transformer
connector
transcei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7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591U (ko
Inventor
황재덕
최형석
천영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7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47Y1/ko
Publication of KR920001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의 일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주 커넥터 2, 20 : 펄스 변성기
3,30 : 송수신 IC 4, 40 : 풀다운 저항단
5,50 : DC/DC 컨버터 60 : 이더넷 커넥터
70 : 칩퍼넷 커넥터 LED : 발광 다이오드
D1 : 다이오드
본 고안은 LAN(Local Area Network) 접속용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IEEE 802.3의 표준 LAN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도에 있어서, 동도면에서 기술되지 않은 데이타 단말장치(Data Terminal Equipment; 이하 DTE라 한다)에서 송수신 드롭(drop)케이블을 통해 주커넥터(1)에 전송되는 송신페어신호(TX+, TX-)이 주커넥터91)의 3, 10번 단자를 통해서 펄스 변성기(2)의 7, 8번 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펄스 변성기(2)의 7, 8번 단자에 직렬 연결된 저항(R1, R2)은 송신페어신호(TX+, TX-)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저항이다.
상기 저항(R1, R2)을 통해서 임피던스 정합된 송신페어신호(TX+, TX-)는 펄스 변성기(2)의 7, 8번 단자에 인가되어 파형 왜곡이 감소된 상태에서 이 펄스변성기(2)의 10, 9번 단자에 연결된 송수신 IC(3)의 7, 8번 단자로 출력된다. 상기 송수신 IC(3)의 7, 8단자에 입력된 송신페어신호(TX+, TX-)는 송수신 IC (3)의 15번 단자와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이더넷 케이블(COAX)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이더넷 케이블(COAX)에서 송수신 IC(3)의 14, 16번 단자로 입력된 각 수신 입력신호(RXI)와 충돌 검출신호(CDS)는 송수신 IC(3)내에서 분기되어 수신페어 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의 형태로 이송수신 IC(3)의 3, 6번 단자와 1, 2번 단자를 통해서 펄스변성기(2)의 13, 12번 단자와 16, 15번 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펄스 변성기(2)에 인가된 수신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는 풀다운 저항단(4)을 구성하는 4개의 풀다운(pull down) 저항(R3~R6)들에 의해서 풀다운된 상태의 신호이다.
상기 펄스 변성기(2)에서 파형 왜곡이 감소된 수신 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는 이 펄스 변성기(2)의 4, 5번 단자와 1, 2번 단자에 연결된 주커넥터(1)의 5, 12번 단자와 2, 9번 단자에 각각 전송된다. 상기 주커넥터(1)에 입력된 수신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는 송수신 드롭 케이블을 통하여 DTE로 전송된다. 한편, DC/DC 컨버터(5)는 상기 주커넥터(1)의 13, 6번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12V 전원을 -9V로 변환시켜 4개의 풀다운 저항(R3~R6)에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수신 장치는 생산원가가 높은 이더넷 케이블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칩퍼넷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전용 칩퍼넷 송수신 장치를 채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대의 LAN 접속용 장치로 이더넷 케이블과 칩퍼넷 케이블중 유저(USER)가 원하는 케이블을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는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페어 신호들을 분기시키기 위한 주커넥터와, 상기 주커넥터에 입출력되는 페어신호들의 파형 왜곡을 감소시키는 펄스 변성기와, 이더넷 커넥터와 칩퍼넷 커넥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수신테이타 신호와 충돌검출신호를 수신페어신호와 충돌페어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펄스변성기로 입력시키고 펄스변성기에서 출력되는 송신페어신호를 송신 데이타 신호로 변화하여 상기 이더넷 커넥터와 칩퍼넷 커넥터로 전송하는 송수신 IC와, 상기 송수신 IC에서 펄스 변성기로 전송되는 수신페어신호와 충돌페어신호를 풀다운 시키는 풀다운 저항단과, 상기 송수신 IC와 풀다운 저항단에 소정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LAN 접속용 송수신장치의 일실시예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주커넥터(10)는 동도면에서 기술되지 않는 DTE에서 출력되는 송신페어신호(TX+, TX-)와 상기 DTE로 수신페어신호(RX+, RX-)와 페어신호(CD+, CD-)가 전송되도록 DTE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펄스변성기(20)는 충돌페어신호(CD+, CD-)와 수신페어신호(RX+, RX-) 및 송신페어신호(TX+, TX-)가 상기 주커넥터(10)에서 입출력되도록 주커넥터(10)의 2, 9, 5, 12, 3, 10번 단자를 펄스변성기(20)의 1, 2, 4, 5, 7, 8번 단자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송수신 IC(30)는 상기 펄스 변성기(20)에서 전송되는 송수신페어신호(TX+, TX-)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펄스변성기(20)의 10, 9번 단자에 송수신 IC(30)의 7, 8번 단자를 각각 연결하고, 이더넷커넥터(60)와 칩퍼넷커넥터(70)를 통하여 송수신 IC(30)의 14, 16번 단자에 각각 전송되는 수신데이타 신호(RXI)왕 충돌검출신호(CDS)를 송수신 IC(30)내에서 수신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로 각각 분리하여 펄스변성기(20)에 전송되도록 송수신 IC(30)의 1, 2, 3, 6번 단자를 펄스변성기(20)의 16, 15, 13, 12, 10, 9번 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풀다운 저항단(40)는 상기 송수신 IC(30)에서 펄스 변성기(20)로 전송되는 충돌페어신호(CD+, CD-)와 수신페어신호(RX+, RX-)를 풀다운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스 변성기(20)의 16, 15, 13, 12번 단자와 송수신 IC(30)의 1, 2, 3, 6 단자가 각기 순차로 연결된 라인의 각 접속점에 소정갯수의 저항 일측단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DC/DC컨베터(50)는 상기 주커넥터(10)와 13번 단자를 통하여 12V의 저압을 -9V로 변환하여 상기 풀다운 저항단(40)의 타측단에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도면에서 기술되지 않은 DTE에서 주커넥터(10)를 전송되는 송신페어신호(TX+, TX-)는 주커넥터(10)의 3, 10번 단자를 통해서 펄스변성기(20)의 7, 8번 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주커넥터(10)의 3. 10번 단자와 상기 펄스변성기(20)의 7, 8번 단자를 각각 연결하는 라인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R1, R8)은 임피던스 매칭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펄스 변성기(20)의 7, 8번 단자에 입력된 송신페어신호(TX+, TX-)는 이 펄스변성기(20)에서 정형화되어 펄스변성기(20)의 10, 9번의 단자에서 송수신 IC(30)의 7, 8번 단자로 전송된다. 상기 송수신 IC(30)의 7, 8번 단자로 전송된 송신페어신호(TX+, TX-)는 송수신 IC(30)내의 송신단을 통하여 송수신 IC(30)의 15번 단자로 송출된다. 상기 송수신 IC(30)의 15번 단자에서 직렬 연결된 저항(R4)와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이더넷 커넥터(60)의 1번단자와 칩퍼넷커넥터(70)의 8번 단자로 송출되는 신호는 송신데이타신호(TXO)이다.
한편, 수신 데이타신호(RXI)는 이더넷 커넥터(60)의 8번 단자와 칩퍼넷 커넥터(70)의 1번 단자로 선택적으로 입력되어 저항(R6)을 통하여 송수신 IC(30)의 14번 단자에 전송된다. 상기 송수신 IC(30)의 14번 단자에 입력된 수신 데이타신호(RXI)는 수신페어신호(RX+, RX-)로 분리되어 송수신IC(30)의 3, 6번 단자에서 펄스변성기(20)의 13, 12번 단자로 각각 입력된다. 이떼 DC/DC 컨버터(50)에서 출력되는 -9V의 전원은 풀다운 저항단(40)의 1번 단자에서 이 풀다운 저항단(40)의 3, 4번 단자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는 수신페어신호(RX+, RX-)를 풀다운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펄스변성기(20)의 13, 12번을 통해서 입력된 수신페어신호(RX+, RX-)는 왜곡이 감소되어 이 펄스 변성기(20)의 4, 5번 단자에서 주커넥터(10)의 5, 12번 단자로 전송된다.
또한, 충돌검출신호(CDS)는 이더넷커넥터(60)의 1, 15번 단자와 칩퍼넷커넥터(70)의 2번 단자로 선택적으로 입력되어 저항(R2)을 통하여 송수신 IC(30)의 16번 단자에 전송된다. 상기 송수신 IC(30)의 16번 단자에 입력된 충돌검출신호(CDS)는 충돌페어신호(CD+, CD-)로 분리되어 송수신 IC(30)의 1, 2번 단자에서 펄스변성기(20)의 16, 15번 단자로 각각 입력된다. 이때, 풀다운된 상기 수신페어신호(RX+, RX-)와 같이, 풀다운저항단(40)의 5, 6번 단자에 연결된 저항들에 의해서 충돌페어신호(CD+, CD-)는 풀다운된다.
상기 풀다운된 충돌페어신호(CD+, CD-)는 펄스변성기(20)의 16, 15번 단자에 인가되어 왜곡이 감소된 상태에서 펄스변성기(20)의 1, 2번 단자에서 주커넥터(10)의 2, 9번 단자로 송출되게 된다. 또한, DC/DC 컨버터(50)에서 -9V의 전원이 출력될때 발광다이오드(LED)는 "온"상태로 발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이더넷 케이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장치에 비해 이더넷 케이블과 칩퍼넷케이블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저(RSER)가 원하는 케이블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할때 보다 칩퍼넷 케이블을 사용하데 되면 설치비용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LAN 시스템에 있어서, 페어신호들을 분기시키기 위한 주커넥터(10)와, 상기 주커넥터(10)에 입출력되는 페어신호들의 파형 왜곡을 감속시키는 펄스변성기(20)와, 이더넷커넥터(60)와 칩퍼넷터멕터(70)를 통하여 전송되는 수신데이터신호(RXI)와 충돌검출신호(CDS)를 수신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펄스변성기(20)로 입력시키고 펄스변성기 (20)에서 출력되는 송신페어신호(TX+, TX-)를 송신데이타 신호(TXO)로 변환하여 상기 이더넷커넥터(60)와 칩퍼넷커넥터(70)로 전송하는 송수신 IC(30)와, 상기 송수신 IC(30)에서 펄스 변성기(20)로 전송되는 수신페어신호(RX+, RX-)와 충돌페어신호(CD+, CD-)를 풀다운시키는 풀다운 저항단(40)과, 상기 송수신 IC(30)와 풀다운저항단(40)에 소정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KR2019900007939U 1990-06-04 1990-06-04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KR920007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7939U KR920007747Y1 (ko) 1990-06-04 1990-06-04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7939U KR920007747Y1 (ko) 1990-06-04 1990-06-04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591U KR920001591U (ko) 1992-01-28
KR920007747Y1 true KR920007747Y1 (ko) 1992-10-17

Family

ID=192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7939U KR920007747Y1 (ko) 1990-06-04 1990-06-04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7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591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556B1 (en) Remote powered ethernet repeater
US4481626A (en) Transceiver multiplexor
US53848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RZ data signals across an isolation barrier disposed in an interface between adjacent devices on a bus
US4959829A (en) Dual cable communication system
US4850042A (en) Dual media local area network interfacing
US4622551A (en) Half-duplex industrial communications system
CA1087258A (en) Circuit for wire transmission of high frequency data communication pulse signals
GB2166328A (en) In-house distribution facility for a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EP0380341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S5899046A (ja) 星形通信網
US6025945A (en) Optical transmitter/receiver and a network using such optical transmitter/receivers
EP0476444A1 (en) Optical transceiver
US5912924A (en) Bidirectional channels using common pins for transmit and receive paths
US5305350A (en) Multimedia high speed network
US5124982A (en) Multiple port medium attachment unit for a network
KR920007747Y1 (ko) Lan 접속용 송수신 장치
US6714558B1 (en) System for implementing network protocols between device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H0669911A (ja) データ伝送回路
CN115913274B (zh) 一种消除发送器本地信号的方法
CN216819835U (zh) 单线隔离通讯装置及系统
US4648132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JPS61137445A (ja) データ伝送装置
US20060245449A1 (en) Power supply via data lines in local networks
KR890005367B1 (ko) 상호 신호 변환장치
JPS63500348A (ja) 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