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273Y1 -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273Y1
KR920007273Y1 KR2019900006740U KR900006740U KR920007273Y1 KR 920007273 Y1 KR920007273 Y1 KR 920007273Y1 KR 2019900006740 U KR2019900006740 U KR 2019900006740U KR 900006740 U KR900006740 U KR 900006740U KR 920007273 Y1 KR920007273 Y1 KR 920007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ever
circuit breaker
phas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983U (ko
Inventor
권영대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273Y1/ko
Publication of KR910020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제1도 (a)는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b)는 종래의 다극회로차단기에 있어 핸들과 가동접촉자의 측면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 (a) (b)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다극회로 차단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단면도로 동작상태전과 동작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에서본 본 고안에 의한 핸들과 랫치레버의 조립상태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핸들 연결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 연결 레버에 대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트립레버
3 : 랫치 레버 4 : 가동 접촉자
5 : 연결레버 6 : 핸들 연결레버
7 : 고정접촉자 8 : 순시트립핀
14 : 한시트립바 18 : 바이메탈
본 고안은 분전반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전선보호 및 인명사고와 시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극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로서, 특히 스위치 개폐시 정확하고 신속한 동작을 수행하기에 적당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스위치 기구는 제1도(a)에 도시한 것과같이 핸들(1')아래쪽에 가동 접촉자(4')가 조립되어 연결되며, 스프링(16')이 가동접촉자(4')와 랫치(3')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을 도시한 바와같이 "온"시키므로서 랫치(3')가 아마츄어(9')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극회로 차단기에 있어서는, 제2도(b)에 도시한 제1도(a)의 개략측면도에서 보듯이 핸들(1')이 여러개의 다리(1A)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핸들(1')의 동작시, 각각의 가동접촉자(4')들과 동시에 연결되므로 각상이 일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랫치(3')는 케이스(10')내에 핀(19')으로 삽입고정되어서 이 핀(19')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운동을 하며, 랫치(3')와 가동접촉자(4')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6')이 인장력에 따라 개폐동작의 하중이 결정된다.
그리고 과전류 및 사고전류 발생시 아마츄어(9')와 연결된 바이메탈(18') 이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아마츄어(9')홈에 걸려있던 랫치(3')는 자유롭게 되므로, 가동접촉자(4')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6')의 인장력에 의해서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7')에서 떨어지게 되어 회로가 열렸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의 스위치 기구의 동작은, 제1도(b)와 같이 핸들(1)에 각상의 가동접촉자(4')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조립시 이를 케이스(10')와 함께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하며, 또한 핸들(1′)의 동작력은 주로 스프링(16')력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복수의 가동접촉자(4')와 연결된 핸들(1′)의 동작력은 자동적으로 크게 되므로, 만약 여러개의 상중 어느 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트립될 경우엔, 정확하고 신속한 핸들(1')동작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선 보호및 사고전류 차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인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문제점 및 핸들 동작력이 커서 신속한 동작이 되지못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상이 분할된 회로차단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a)(b)는 본 고안에 의한 다극회로 차단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을 보인 전단면도인 것으로, 단, 제2도(a)에서는 핸들(1)에 의한 트립레버(2)와 가동접촉자(4)의 연결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동작연결레버(5)의 구성부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의 전체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케이스(10)에 핸들(1)을 삽입하여 회전되게 조립하며, 스프링(16)을 케이스(10)의 일측홈에 삽입하여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고, 스프링의 타측을 랫치레버(3)에 결합되도록 설치한 다음, 압축스프링(20)을 케이스(10)내면과 가동접촉자(4)사이에 설치한다.
트립레버(2)와 가동접촉자(4)에는 각각 핀(19)이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가동접촉자(4)와 트립레버(2)의 일부가 상기 레버(3)의 홈에 끼워지며, 트립레버(2)하단에는 한시트립바(14)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그의 대향측에는 한시트립바(14)와 트립레버(2)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순시트립핀(8)이 연결되며, 순시트립핀(8)은 마그네트 코일(21)에 설치된다. 그리고 한시트립바(14)타단에는 열에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18)을 연결된다.
제3도는 동작연결베러(5)와 랫치레버(3)의 연결동작구성을 보여주기위해 제2도(b)도를 우측에서 요부절개하여 본 개략단면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상의 핸들(1)들은 연결레버(6)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동작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극용 카바(12)와 다극용 케이스(13)에 의해 각상이 분리되도록 케이스(10)가 형성되며, 각상의 분리벽인 다극용 케이스(13)에는 개구(30)를 각각 형성시켜, 그 개구(30)내부에 동작연결레버(5)를 각각 끼워질수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동작연결레버(5)는 랫치레버(3)에 의해 돌출부측과 끼워지도록 연결하여 핸들(1)에 의한 랫치레버(3)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연결된 동작연결베러(5)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핸들연결부에 대한 요부분해사시도로서, 각상의 핸들(1)에 관통개구를 형성시켜 핸들연결레버(6)를 양측에 끼움으로써 일체로 연결작동되도록 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연결레버(5)에 대한 측면도로써, 동작연결레버(5)의 일측을 핀(5a)으로 고정시켜 핀(5a)을 지점으로 상하로 선회운동가능하게 하고, 동작연결레버(5)의 타측에는 제3도에 도시한 랫치레버(3)가 연결되게 조립한다. 그리하여 이 동작연결베러(5)는 제2(b)도와 제3도에 도시한 개구(30)에 끼워져, 핸들(1)의 동작이 핸들(1)과 연결된 랫치레버(3)와, 랫치레버(3)와 연결된 동작연결레버(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핸들(1)을 제2도(a)의 화살표 반향으로 밀면, 핸들(1)에 연결된 랫치레버(3)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0)내에 핸들(1)과 같이 조립된 스프링(16)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고, 랫치레버(3)의 홈에 결합된 가동접촉자(4)를 밀게되어 핀(19)을 중심으로 가동접촉자(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접촉자(7)에 접촉하게 되므로 회로가 연결된다.
이러한 회로 연결상태에서 과전류 발생시 바이메탈(18)이 제2도(b)와 같이 만곡 변형되어, 바이메탈(18)의 맨앞쪽이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여기에 연결된 트립레버(2)가 그의 중심 핀(19)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랫치레버(3)를 위로 밀므로서, 여기에 연결된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7)에서 분리되고, 압축스프링(20)의 탄성력과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 즉 제2도(a)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한 가동접촉자(4)가 고정접촉자(7)에 접속된 상태에서 만일 단락사고가 같이 커다란 전류가 순간적으로 회로내에 흐르게 되면 마그네트 코일(21)이 자화되어 순시트립핀(8)이 밀리게 되어, 그 밀리는 이동력으로 트립레버(2)를 밀게된다.
트립 레버(2)가 밀려지면, 자연적 고정접촉자(7)에 접촉되어 있는 가동접촉자(4)도 밀려나 회로가 단락되어 과전류 발생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각상에서 스위치 기구의 동작상태는 위와같이 진행되며 특히, 다극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제3도의 요부 측면도에서와 같이 한상의 랫치 레버(3)가 동작되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여기에 결합된 동작연결레버(5)도 함께 움직이게 하므로서, 동작연결 레버(5)에 연결된 다른상의 랫치 레버(3)도 위로 움직이게되어 다른상들도 동일하게 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다극 회로차단기에 형성된 각상의 핸들(1)과 핸들 사이에는 카세트식으로 핸들 연결레버(6)가 결합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핸들 작동력을 균일하게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극 회로차단기에 각상의 조립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이 적게들며 각상의 스위치 기구에서 주요부품인 랫치레버와 동작 연결레버를 서로 연결시킨 구성으로 인해 과전류 및 단락시에 핸들의 조작력이 간단하고, 차단기를 형성하는 각 부품들이 카세트식으로 조립되므로 종래의 다극회로 차단기보다 부품의 수량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드는 등의 여러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극회로 차단기의 스위치기구 연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상마다 하나의 핸들(1)을 갖도록 다극용카바(12)와 다극용 케이스(13)를 형성시키고, 각 상의 핸들(1)은 핸들연결레버(6)에 의해 상호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하나의 핸들(1)동작에 의해 각상의 회로가 동시에 차단되도록 동작연결레버(5)와 래치 레버(3)를 핸들(1)과 함께 연결구성하고, 또한 단락사고와 같은 순간대전류검출시의 회로차단을 위해, 순시트립핀(8)을 갖는 마그네트코일(21)을 트립레버(2)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회로 차단기의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KR2019900006740U 1990-05-19 1990-05-19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KR920007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740U KR920007273Y1 (ko) 1990-05-19 1990-05-19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740U KR920007273Y1 (ko) 1990-05-19 1990-05-19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983U KR910020983U (ko) 1991-12-20
KR920007273Y1 true KR920007273Y1 (ko) 1992-10-09

Family

ID=1929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740U KR920007273Y1 (ko) 1990-05-19 1990-05-19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2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983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295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CA2105917C (en) Attachment actuator arrangement for 1 and 2-pole ground fault
KR920006061B1 (ko) 회로차단기의 솔레노이드 가동형 작동기구
US4516098A (en) Overcurrent protection switch
EP0887832A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plasma arc acceleration chamber and contact arm housing
US4491709A (en) Motor and blade control for high amperage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3707612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molded insulating housing formed with vent passage means
US4987395A (en) Circuit breaker alarm-switch operating apparatus
US4524339A (en) Contact control arrangement for high amperag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490593A (en) Arrangement for arc transfer in high amperag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827231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viewing window and sliding barrier
KR950013425B1 (ko) 트립 지연 자기 회로를 갖는 회로 차단기
JPH0336264B2 (ko)
US4025821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trip means having a high rating shunt trip
US6806800B1 (en) Assembly for mounting a motor operator on a circuit breaker
US3305806A (en) Automatically resettable circuit breaker having two serially connected toggles
US4931602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US4862125A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cover interlock
KR920007273Y1 (ko) 다극회로 차단기 스위치 기구 연동장치
US5680081A (en) Circuit breaker having double break mechanism
US3248500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fuse unit with a common unitary tripping bar
US3505621A (en) Coupling for two-pole circuit breaker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US6700082B1 (en) Trip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US4295025A (en) Circuit breaker with electromechanical trip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