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24Y1 - 분기함 - Google Patents

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24Y1
KR920007124Y1 KR2019900013936U KR900013936U KR920007124Y1 KR 920007124 Y1 KR920007124 Y1 KR 920007124Y1 KR 2019900013936 U KR2019900013936 U KR 2019900013936U KR 900013936 U KR900013936 U KR 900013936U KR 920007124 Y1 KR920007124 Y1 KR 920007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anch
power
lin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070U (ko
Inventor
이병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물산
이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물산, 이병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물산
Priority to KR2019900013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24Y1/ko
Publication of KR920007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기함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자부재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휴즈단자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시킨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배선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기함 2 : 케이스
3 : 뚜껑 4 : 단자부재
5 : 힌지편 6 : 인상선
7 : 분기선 41 : 샤시프레임
42 : 단자부 43 : 전원단자부
45 : 분기단자부 431, 432 : 전원판 고정부
433 : 전원판 434 : 분기단자 고정편
435a, 435b : 보울트 437 : 전원선 고정하판
438a, 438b : 전원선 고정상판 451 : 몸체
452a, 452b : 접속편 453 : 분기선 접속부
46 : 휴즈단자 463 : 투시장공
464 : 휴즈유니트 464a, 464b : 접속편
469 : 휴즈 471 : 접속단자
본 고안은 저압가공배전선로에서 주상 또는 옥내인입구, 변압기 2차측에 설치하여 저압인입선을 분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휴즈가 내장된 분기함을 전신주에 설치하여 인입선을 간단하게 연결토록하므로써 작업이 간단하고 전신주의 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시 감전사고에 대한 위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안출한 분기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신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를 항상 거치도록 되어 있고, 그 주상변압기는 필요에 따라서 단상, 단상3선, 3상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1-3개를 설치한다.
따라서 그 주상변압기를 통과한 전원은 공업용 등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데 주상변압기에 접속된 인상선 인입선을 연결할때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전선휴즈 또는 켓치홀더로 연결하였다.
상기 전선휴즈 또는 켓치홀더에 주상변압기의 인상선과 인입선을 연결할때 드라이버등을 이용하여 접속하므로써 작업이 매우 불편할뿐만 아니라 부주의에 의한 감전의 우험이 향상 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공업용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은 220V의 사용을 위해 3선의 인입선으로 되어 있어 그 인입선만으로는 1또는 2곳의 공업용으로 연결할 수 밖에 없어 그의 다른 공장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입선을 기존의 인입선에 연결접속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별도의 인입선은 전선휴즈 도는 켓치홀더에 연결된 주상변압기의 전원선에 연결 접속하여야 되고 그 수요가 많을 경우 이에해당 하는 만큼 별도의 인입선을 전원선에 각각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각각의 별도 인입선에는 전선 휴즈 도는 켓치홀더를 접속시켜 누전 또는 합선에 의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인상선에 별도의 각 인입선을 연결할 때에는 한국전력공사의 권선접속 방법에 의하여 전선의 종류, 조인트의 굵기, 감는 회수, 조인트선의 길이등을 지켜서 접속시켜야 되므로 그 권선접속 작업이 매우 불편햐고 또한 감전의 위험이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술한 접속부위와 전선휴즈, 켓치홀더는 전신주상에 복잡하게 얽히고 섞여서 그 주변이 매우 어수선하고 미관상 보기 흉한 결점이 있었다.
또 각 인입선중에서 단선이 된 경우, 즉 과전류등에 의하여 전선휴즈, 켓치홀더가 끊어진 경우 전신주에 복잡하게 얽히고 섞힌 전선휴즈 포는 켓치홀더를 찾아내기가 매우 어려워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전신주에 분기함을 설치한후 분기함의 내부에 보호휴즈가 각각 내장된 전원단자부와 분기단자부를 각각 설치하여 주상변압기의 인상선과 각 인입선을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접속이 완료되므로 접속작업에 의한 감전위험의 방지와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또는 접속부위가 분기함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신주의 외관을 깨끗히 할수가 있는 것이며, 과전류에 의한 보호 휴즈의 단락시 그 단락휴즈를 즉시 찾아낼수가 있어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부호 1은 분기함이며, 그 분기함(1)은 케이스(2), 뚜껑(3), 단자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는 전방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한쌍의 힌지부(200)를 고정설치하며, 뒷면에 지지편(201)과 고정편(202)을 고정설치하되 고정편(202)의 하단은 자유단으로 형성하여 보울트 및 너트(203)로 고정시키도록한다.
또, 케이스(2)의 저면벽 내부에, 중앙에 전원측 새들(204), 양측에 분기축 새들(205)을 각각 고정설치하고, 그 전원측 새들(204)과 양측 분기측 새들(205)이 위치된 저면벽에 고무재의 케이블카바(206) (207)를 각각 고정설치한다.
상기 뚜껑(3)은 양측에 한쌍의 힌지부(300)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케이스(2)의 힌지부(200)와 힌지핀(5)으로 각각 연결되게 하여 내부를 차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재(4)는 샤시프레임(41)과 단자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샤시 프레임(41)은 케이스(2)의 내면 상부에 고정설치 된다.
상기 단자부(42)는 3선식으로 구성되게 3개의 단자부로 구성하여 3상 3선으로 형성하며 상기 3개의 각 단자부(42)는 단선의 전원단자부(43)와 3선의 분기 단자부(45)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전원단자부(43)는 상기 샤시프레임(41)의 상, 하부에 부도체의 전원판 고정부(431) (432)를 각각 고정설치한후 그 전원판 고정부(431)와(432)에 동판의 전원판(433)을 고정설치하여 샤시프레임(41)과는 전원이 흐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원판(433)의 상단에는 도체의 분기단자 고정편(434)를 고정설치하고, 하단에는 양측에 도체의 한쌍의 보울트(435) (435b)르 고정설치한 후 중앙에 전원선 안내홈(436)이 형성된 도체의 전원선 고정하판(437)을 끼워서 고정설치하며, 그 전원선 고정 하판(437)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쌍의 보울트(435a) (435b)에 한쌍의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를 끼워서 너트(440a) (440b)로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의 중앙에 전원선 안내홈(439a) (439b)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전원선고정하판(437)의 전원선 안내홈(436)과 동일방향으로 설치되게 하여 인상선(6)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후 상기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에 고무재의 안전캡(441)을 씌워서 감전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단자 고정편(434)의 하방에 위치되게 부도체의 분기 단자 포스트(442)를 샤시프레임(41)에 고정설치한다.
한편, 상기 분기단자부(45)는 3개가 1조가 되어 전원단자부(43)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몸체(451), 휴즈단자(461), 접속단자(47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51)는 부도체 재질로써, 상, 하부에 도체의 접속편(452a) (452b)을 각각 고정설치하며, 하부측접속편(452b)에는 분기선 접속부(453)를 고정설치하여 상호 도통되게 한다.
상기 몸체(451)는 전원단자부(43)의 분기단자 고정편(434)고 분기 단자 포스트(442)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분기단자부(45)는 3개가 1조로 외어 있으므로 3개의 몸체(451)를 동시에 고정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몸체(451)의 상부측 접속편(452a)을 분기단자 고정편(434)에 각각 접속되게 절연카바(454)를 분기단자 고정편(434)에 고정시켜 그 절연카바(454)에 의하여 접속편(452a)를 고정시키고, 몸체(451)의 하단은 분기단자포스트(442)에 고정설치하여 절연되게 한다.
상기 휴즈단자(461)는, 중간부에 손잡이편(462)과, 그 손잡이편(462)의 양측에 투시장공(463)이 천공된 부도체의 휴즈 유니트(464)의 상. 하단에 ㄷ자형의 도체의 접속편(465a) (465b)을 각각 끼우며, 축관(466)이 각각 돌출된 절연카바(467a) (467b)를 상기 접속편(465a) (465b) 각각 설치하되 축관(466)이 휴즈 유니트(464)와 접속편(465a) (465b)의 각 구멍을 거치도록고 끼운뒤 그 절연카바(467a) (467b)의 각 축관(466)으로 보울트(468a) (468b)를 삽입하여 몸체(451)의 접속편(452a) (452b)에 결합되게 한다.
이때 몸체(451)의 접속편(452a)과 (452b)를 휴즈 (469)로 연결되게 접속하되 휴즈단자(461)의 접속편(465a)와 (465b)와도 접속되게 한뒤 보울트(468a) (468b)로 접속편(452a)(452b)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보울트(468a) (468b)는 각각 머리부는 절연재로, 나사부는 도체로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휴즈단자(461)의 휴즈 유니트(462)의 투시장공(463)을 통해 휴즈(469)의 단락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471)는 몸체(451)의 분기선 접속부(453)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그 분기선 접속부(453)와 접속단자(471)사이에 분기선(70을 끼운뒤 보울트(472)로 고정시키는 것이며, 그 접속단자(471)에 절연카바(473)를 씌워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부호 8은 렌치로써 분기함(1)의 내부에 결합된 각 보울트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감전위험의 방지를 위해 부도체로 제작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자부재(4)의 전원단자부(43)와 각 분기단자부(45)는 각각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인상선(6) 이 고정 접속되는 전원단자부(43) 의 전원판(433) 에 각 분기단자부(45)의 상부접속편(452a)이 접속되어 있고, 상부 접속편(452a)은 휴즈(492)에 의해 하부 접속편(452b)과 접속되게 휴즈단자(461)로 고정접속하며, 하부 접속편(452b)에 고정접속된 분기선 접속부(453)는 접속단자(471)와 함께 분기선(7)을 고정시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분기함(1)을 전신주의 완금에 고정시킬때 주상변압기의 하방에 위치되게 케이스(2)에 설치된 고정편(202)을 완금에 끼운후 보울트 및 너트(203)로 조여서 분기함(1)에 바람에 의하여 유동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후 3상3선으로 연결하고자 할때 주상변압기의 인상선(6)을 케이스(2)의 케이블카바(206)를 통해 내부로 본입하는 동시에 전원축 새들(204)에 고정시켜 인상선(6)의 빠짐을 방지하고, 고정된 인상선(6)의 3선을 단자부재(4)의 각단자부(42)에 각각 접속한다.
즉, 각 단자부(42)의 전원 단자부(43)의 전원판(433)에 인상선(6)이 접속되게 전원선 고정하판(437)과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때 인상선(6)의 고정접속시 먼저 너트(440a) (440b)를 풀어서 전원선 고정하판(437)과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한후 전원선고정 하판(437)과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의 전원선안내홈(436)과 (439a) (439b)에 인상선(6)을 끼운뒤 너트(440a) (440b)를 조여서 전원선 고정상관(438a) (438b)이 인상선(6)을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한다.
따라서 인상선(6)은 전원판(433)에 접속된다.
그리고 공업용 분기선(인입선(7)도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케이블카바(207)를 통해 내부로 삽입하는 동시에 분기측 새들(205)에 각각 고정시켜 분기선(7)의 빠짐을 방지하고 분기선(7)의 각선을 단자부재(4)의 각 단자부(42)에 각각 접속한다.
즉, 각 단자부(42)의 각 분기단자부(45)의 접속단자(471)와 분기선 접속부(453)사이에 분기선(7)이 끼워질 수 있도록 보울트(472)를 푼다.
따라서 분기선 접속부(453)와 접속단자(471)사이에 분기선(7)을 끼운뒤 보울트(472)를 조여서 분기선 접속부(453)에 접속되게하고, 분기선 접속부(453)는 하부접속편(452b)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 접속편(452b)은 휴즈(469)에 의해 상부 접속편(452a)과 연결되므로 결국 전원선(6)과 분기선(7)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제7도예).
그리고 단상2선으로 연결하고자 할때에는 주상 변압기의 인상선(6)은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접속하고 또한 분기선(7')도 상술한 바와같이 각각 연결접속한다.
이때 분기선(7')는 2선이므로 3개의 단자부(42)중에서 양측의 단자부(42)에만 접속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7도에서는 한곳의 공장에만 공급할때 전선의 배선예를 설명하였으나 분기함(1)자체에 3곳의 공장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할 수 있도록 3개의 단자부재(4)에 3개의 단자부(4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기선(7) 또는(7')을 각각 3가닥씩 인출할 수 있으므로 3곳의 공장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부재(4)의 각 단자부(42)중에서 휴즈(469)의 단락시 휴즈단자(461)의 투시장공(463)으로 단락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가 있어 종래와 같이 전선휴즈 또는 켓치홀더의 단락여부를 일일이 확인 하여야 되는 불편함과 감전위험의 내재등을 피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인상선 및 분기선의 접속이 간단하고 또한 분기함내에 접속이 되므로 전신주의 외관이 깨끗하며, 휴즈의 단락시 매우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2)와 뚜껑(3)의 양측을 힌지핀(5)으로 연결하여 개폐가능하게 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샤시프레임(41)을 고정설치하며, 상기 샤시프레임(41)의 상, 하부에 부도체의 전원판 고정부(431) (432)를 각각 고정설치한후 동판의 전원판(433)을 고정설치하고 그 전원판(433)의 상단에는 도체의 분기단자고정편(434)을, 하단에는 양측에 도체의 한쌍의 보울트(435a) (435b)을 고정설치한 후 전원선 고정하판(437)과 한쌍의 전원선 고정상판(438a) (438b)을 끼워서 너트(440a) (440b)로 각각 고정설치하여 3개의 전원단자부(43)를 구성하고, 상, 하부에 도체의 접속편(452a) (452b)을 각각 고정설치하며 하부측 접속편(452b)에 분기선 접속부(453)를 고정시킨 부도체의 몸체(451) 3개씩을 상기 각 전원단자부(43)에 접속되게 각각 고정설치 하고, 중간부에 투시장공(463)이 천공된 부도체의 휴즈유니트(464)의 상, 하단에 도체의 접속편(465a) (465b)을 각각 고정시킨 휴즈단자(6461)를 몸체(6451)를 몸체(451)의 접속편(452a) (452b)에 접속되게 고정설치하며, 상기 몸체(451)의 접속편(452a) (452b)와 휴즈단자(461)의 접속편(465a) (465b)가 상호 연결되게 휴즈(469)를 연결접속하고, 몸체(451)의 분기선 접속부(453)에 접속단자(471)를 체결하여 분기단자부(45)를 구성하고, 상기 전원단자부(43)에 3상 3선의 인상선(6)을 각각 연결접속하고 분기단자부(45)에는 분기선(7)을 각각 연결 접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함.
KR2019900013936U 1990-09-08 1990-09-08 분기함 KR920007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36U KR920007124Y1 (ko) 1990-09-08 1990-09-08 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36U KR920007124Y1 (ko) 1990-09-08 1990-09-08 분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070U KR920007070U (ko) 1992-04-22
KR920007124Y1 true KR920007124Y1 (ko) 1992-10-02

Family

ID=1930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936U KR920007124Y1 (ko) 1990-09-08 1990-09-08 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070U (ko) 199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CA2068184A1 (en) Circuit breaker combined terminal lug and connector
US6674031B1 (en) Power inlet box with integral circuit breaker
US4785378A (en)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US8390992B1 (en) Circuit breakers and circuit breaker box
KR101856671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US5267880A (en) Waterproof fusible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US5206777A (en) Three-phase panelboard using standard rated three-pole circuit protective devices in a grounded delta system
US5906508A (en) Electrical disconnect for use with an appliance
US6333464B1 (en) Electric wire splice connector
KR102249636B1 (ko)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연결 장치
US6234850B1 (en) Electrical terminal arrangement
KR920007124Y1 (ko) 분기함
US5315475A (en) Electrician's free power cord
KR20030043839A (ko) 조립식 분전반
CN210866076U (zh) 一种方便固定多余线束的低压断路器
KR200300594Y1 (ko) 배선용 차단기와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
CN218447745U (zh) 一种漏电断路器
KR930004536Y1 (ko) 주상 배전선용 분기함
KR950004947Y1 (ko) 할개식 붓싱단자 절연커버
KR200148905Y1 (ko) 전기케이블의 접지구조
KR920001587Y1 (ko) 분전반의 절연 베리어장치
US2524404A (en) Aerial cable cutout
US2036039A (en) Safety connection and test block
KR890006101Y1 (ko) 분리형 110v용과 220v용 접속 단자를 갖는 플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