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33Y1 -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 Google Patents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733Y1
KR920006733Y1 KR2019900015528U KR900015528U KR920006733Y1 KR 920006733 Y1 KR920006733 Y1 KR 920006733Y1 KR 2019900015528 U KR2019900015528 U KR 2019900015528U KR 900015528 U KR900015528 U KR 900015528U KR 920006733 Y1 KR920006733 Y1 KR 920006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steel plate
reinforcing
reinforcing steel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077U (ko
Inventor
이주형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이주형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김홍기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2019900015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733Y1/ko
Publication of KR920008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제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부분 절결측면도.
제2도(a)(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부분확대 종단면도로서, (a)는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b)는 완성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a)(b)는 제2도(a)(b)에서 보강철판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제4도(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부분확대 종단면도로서, (a)는 형성과정을 설명하기위한 종단면도, (b)는 완성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5도(a)(b)는 제4도(a)(b)에서 보강철판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
제6도(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부분확대 종단면도로서, (a)는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b)는 완성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b)의 요부 확대도.
제8도는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 일 실시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종래 내압성수지 나선관의 각각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나선형 외벽 10a : 나선형 돌조
10b : 나선형 요입부 11 : 파형 합성수지대
11a : 후육부 12 : 보강철판
12a : 나선형 보강돌부 12b : 요입부
12c : 돌출부 12d, 12g : 양측벽
12e, 12h : 양측 연장부 12f, 12i, 12k, 12l : 절곡 접합단
12j : 보강요철부 13 : 합성수지막
20 : 통형내벽 21 : 합성수지대
30 : 걸어물린 접합부 31 : 접합대
40 : 보강선재
본 고안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지중 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 파형부(波形部)를 갖는 합성수지 나선관을 보강하기 위하여 관벽 내부에 대상(帶狀)의 파형 보강 철판을 매입(埋立)시킨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관벽 내에 매입되는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에 절곡 접합단을 형성하고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보강철판의 서로 인접한 연장부의 절곡 접합단을 맞물려 접합함으로써 일연체로 연결하는 한편, 그 보강철판에 형성된 파형 보강돌부의 정상부에는 요입부와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보강 요철부를 형성하고 그 보강 요철부의 요입부를 보강선재(保强線材)로 감아 묶음으로써 관체가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보강되고 높은 압축강도를 갖게한 보강철판이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나선관은 주철관 또는 기타 금속관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으로 인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등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있기 때문에 근래에 이르러 상,하수도용 관 및 전선관 등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의 전형적인 실시상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나선형 돌조(51)와 나선형 요입부(52)로 이루어진 나선형 외벽(50)의 내측에 통형 내벽(60)이 융착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나선관은 상기한 바와같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으며, 파형구조로 되어 있어 내압 강도도 상당히 높기때문에 지정매설관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합성수지 나선관은 내압강도가 만족할 만큼 높지 못한 것이었고, 내압강도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중에 깊게 매설하는 경우에는 강력한 토압을 지탱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합성수지 나선관이 갖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벽 내부에 금속 박판재 보강철판을 매입함으로써 내압 강도를 향상하도록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이 국내 특허공보 제89-1842호에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제9도 및 제10도와 같이 박판재 보강철판(90)을 합성수지 나선형 외벽(70)에 매입하여 나선형 외벽(70)의 합성수지재에 감싸이도록 하되, 보강철판(90)이 합성수지 나선형 돌조(71)의 정상부(71a)와 양측벽(71b)의 일부에 의하여 감싸이도록 매입하고, 나선형 외벽(70)의 내측에는 통형 내벽(80)을 융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중 매설용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합성수지에 비하여 강도가 상당히 높은 스테인레스 강판등의 보강철판(90)을 나선형 돌조(71)의 정상부(71a)전역과 이 정상부(71a)에 이어지는 양측벽(71b)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매입하였으므로 보강철판(90)이 상당히 엷은 재질의 것이라 할지라도 합성수지만으로 된 나선관 보다 높은 내압 강도를 갖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제9도와 같이 보강철판(90)의 양측 연장부(91)(92)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거나 제10도와 같이 서로 단순히 겹쳐진 상태로 매입된 것으로서 양측 횡방향 연장부(91)(92)가 일연체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을 생산할때에 불량율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제품을 배관시공할 때와 배관 시공한 후에도 압축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합성수지재 나선형 요입부(72)가 갈라지고 터지게 되어 안전성 및 수명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종래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압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보강철판(90)과 합성지의 성형조건 즉, 소성 변형응력과 온도에 따른 신축성 및 재질 상호간의 융착성등이 서로 상이할 뿐아니라, 만곡 가공시 곡률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압출성형 작업을 정밀하게 행하여도 보강철판(90)의 양측 연장부(91)(92)가 서로 들뜨게 되고 이에따라 합성수지재 나선형 요입부(72)가 부분적으로 터지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어 불량율이 높았으며, 생산성이 양호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리고 제품을 배관 시공하거나 시공된 후에도 강한 토압에 의하여 보강철판(90)의 양측연장부(91)(92)가 서로 박리되어 어긋나면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나선형 요입부(72)의 중간부분이 갈라지고 터지는 결함이 있었으며, 특히 곡선상 배관시에는 양측 연장부(91)(92)의 에지(edge)(91a)(92a)에 굽힘응력이 집중되면서 그 양측 연장부(91)(92)의 에지(91a)(92a)가 마치 칼날과 같이 작용하여 그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나선형 요입부(72)의 합성수지가 갈라지면서 터지게 됨으로써 직선상으로 배관할때 보다 안전성이 결여되고 사용수명이 더욱 저하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같은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대형관인 경우 관의 내부에 호기심이 많은 어린이들이 들어가 놀면서 관 내부에 마른 풀이나, 나뭇잎, 나무가지 등을 모아 놓고 방화하는 등의 원인으로 관 내부에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합성수지재 통형 내벽(80)과 합성수지재 나선형 외벽(70)이 화기에 의하여 소실되면서 보강철판(90)의 양측 연장부(91)(92)가 화기와 주위의 토압에 의하여 왜곡되고 이에따라 관벽이 터져 주위의 지면이 붕괴되면서 관로 시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사례가 간혹 유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합성수지 나선관의 주벽에 보강철판에 매입하여 내압 강도를 향상하고자 하는 종래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소재철판의 전면에 걸쳐서 무수하게 구멍을 천공한 보강철판(90)을 이용함으로써 합성수지와 보강철판(90)의 결합력을 높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같은 결함을 보완하여 내압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실시형태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제반 문제점과 결함을 여전히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 나선관의 주벽에 매입되는 보강철판의 연장부를 연결하여 일연체로 접합함으로써 관 제조시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가 들뜨면서 그를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가 터지게되는 결함을 해소하여 양호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압축강도 및 사용수명을 현격하게 향상할 수 있게 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려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강철판의 정상부에 적어도 한 줄이상의 보강 요철부를 형성하며, 그 보강 요철부의 외측에 보강선재을 적어도 한줄 이상 권회하고,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압출강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본 고안의 보강철판이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을 첨부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나선관의 부분 절결 측면도이고, 제2도(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완성된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3도(b)는 제2도(b)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나선형 돌조(10a)와 나선형 요입부(10b)를 구비하여 나선 파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외벽(10)과, 평행 내벽(20)과, 그 나선형 외벽(10)및 평형 내벽(20)사이에 매입되는 나선형 보강철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선형 보강철판(12)은 스테인레스 강판 등의 박강판으로 보강돌부(12a)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보강돌부(12a)의 양측벽(12d)(12g)에는 연장부(12e)(12h)가 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 연장부(12e)(12n)의 연부에는 절곡 접합단 (12f)(12i)이 형성되고 그 양측 절곡 접합단(12f)(12i)이 걸어물림 접합부(30)로 일연체로 접합되어, 보강철판(12) 자체가 온전한 강철관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그 자체로서 하나의 강철관체를 이루는 보강철판(12)의 내외주면에 상기 평대형 합성수지 내벽(20)과 파형 합성수지 외벽(10)이 피복됨으로써 보강철판(12)이 평대형 합성수지 내벽(20)과 파형 합성수지 외벽(10) 사이에 매입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철판(12)은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가 걸어물림 접합부(30)로 접합 연결되어 있으므로 관계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 또는 그이 어느 방향으로나 하중이 작용하여도 양측 연장부(12e)(12h)가 결코 분리되지 않게 되며, 나선형 보강철판(12)의 요입부의 강도가 증대되고 이에따라 관체의 요입부의 강도가 증대된다.
이 제1도 및 제2도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절곡 접합단(12f)(12i)은 걸림부(12o)(12p)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걸어물림 접합부(30)는 양측 절곡 접합단(12f)(12i)의 걸림부(12o)(12p)를 겹쳐서 곡절접합(foled seaming)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 접합단(12f)(12i)의 절림부(12o)(12p)는 관체의 길이방향으로 눕혀진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철판(12)의 걸어물림 접합부(30)는 양측 절곡 접합단(12f)(12i)의 U자형 걸림부(12o)(12p)를 서로 걸어 물리도록 연결한 후, 그 걸림부(12o)(12p)를 압착함으로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 보강철판(12)의 보강돌부(12a)의 정상부에는 적어도 한줄이상의 요입부(12b)와 돌출부(12c)를 가지는 나선형 보강 요철부(12j)를 형성하여 보강돌부(12a)의 강도를 증가하고, 그 보강요철부(12j)의 요입부(12b)에는 적어도 한줄 이상의 보강선재(40)를 감아 묶어 그 보강선재(40)가 관체를 견고하게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관체의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보강철판(1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면이 특수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막(13)으로 코팅되어 있다.
제2도(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형성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3도(b)는 제2도(b)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이하 제1도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면이 합성수지막(13)으로 코팅되어진 보강철판(12)을 절곡 성형기구에 의하여 제2도(가)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하여 나선형 보강돌부(12a)와 연장부(12e)(12h)를 형성함과 아울러 요철 보강부(12j)와 절곡 접합단(12f)(12i)을 형성하고 합성수지 나선관 압출성형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절곡 접합단(12f)(12i)을 압착롤러등의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제2도(b)와 같이 횡방향으로 절곡접합하여 연결한 후, 압출성형기에 부설된 보강선재 권회기구를 이용하여 보강철판(12)의 보강돌부(12a)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보강부(12j)의 요입부(12b)에 보강선재(40)를 감아 묶고 압출성형기의 압출헤드로 부터 제2도(a)에 보인 바와같은 평대형 합성수지대(21)와 파형 합성수지대(11)를 압출시켜 보강철판(12)의 내외주면에 융착하는 과정으로 제조 되어진다.
이러한 제조과정에서 상기 보강철판(12)은 나선형으로 권회도고, 보강선재(40)는 요철 보강부(12j)의 요입부(12b)에 나선형으로 권회되며, 또한 상기 평대형 합성수지대(21)는 보강철판(12)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회되어 융착되고, 상기 파형 합성수지대(11)는 보강철판(1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회되어 융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판(12)에 합성수지막(13)이 미리 코팅되어 있으면 보강철판(12)이 평대형 합성수지대(21)및 파형 합성수지대(11)와 보다 양호하게 융착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합성수지막(13)의 코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어물림 접합부(30)는 도면에서 나선형 외벽(10)의 나선형 요입부(10b)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일측으로 편위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상기나선형 요철 보강부(12j)는 보강철판(12)의 정상부에 만곡되게 요철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단면 형상을 "" 형, ""형 등 여러러가지 형태로 변경할 수 있고 요입부(12b)와 돌출부(12c)를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깊이도 도시한 것은 나선형 돌조(10a)의 전체 높이에 비하여 대략 1/3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그보다 깊게 하거나 얕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강선재(40)는 상기 나선형 외벽(10)의 보강철판(12)의 요입부(12b)에 한줄로 권회되고 파형 합성수지대(11)로 피복되어 후육부(11a) 내측에 매입되는 것이나, 나선형 돌부(12a)의 형상 및 요구되는 압축 강도에 따라 복수개 권회할 수 있고, 압축 강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권회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를 걸어물림 접합부(30)에 의해 일연체로 연결하여 나선형 보강돌부(1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나선형 요입부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보강철판(12) 자체를 하나의 온전한 강철관으로 형성하고, 또한 보강철판(12)의 요입부(12b)를 보강선재(40)로 감아 묶은후 평대형 합성수지대(21)와 파형 합성수지대(11)로 관체를 내외주면을 피복하였으므로 관체가 높은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를 갖게 되고 이에따라 폭방향 및 길이방향 하중에 대한 관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4도(b) 및 제5도(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 다른 실시예는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형성된 절곡 접합단(12i)(12i)위에 절곡접합대(31)를 씌우고 곡절접합하여 걸어물림 접합부(30)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양측 절곡 접합단(12i)(12i)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걸림부(12p)(12p)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절곡접합대(31)는 양단부가 상기 걸림부(12p)(12p)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예의 걸어물림 접합부(30)는 상기 양측 절곡 접합단(12i)(12i)의 걸림부(12p)(12p)와 절곡접합대(31)의 양단 걸림부를 서로 걸어 물림으로 연결한 후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지며,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걸어물림 접합부(30)도 관체의 어느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여도 결코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그외 구성은 전기한 일실시예와 같다.
제4도(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제조과정을 보안 단면도이고, 제5도(a)는 제4도(a)의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전기한 일실시예와 거의 같은 과정으로 제조하는 바, 제조과정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되어진 보강철판(12) 및 접합대(31)를 절곡 성형기구에 의하여 제4도(a)및 제5도(a)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고 보강철판(12)과 접합대(31)를 합성수지 나선관 압출 성형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보강철판(12)의 절곡 접합단(12i)(12i)과 접합대(31)를 압착롤러 등의 접합기구를 이용하여 제4도(b) 및 제5도(b)와 같이 절곡접합하여 연결한 후, 압출성형기에 부설된 보강선재 권회기구를 이용하여 보강철판(12)의 요철 보강부(12j)의 요입부(12b)에 보강선재(40)를 감아 묶고 압출성형기의 압출헤드로 부터 제2도(a)에 보인 바와같은 평대형 합성수지대(21)와 파형 합성수지대(11)를 압출시켜 보강철판(12)의 내외 주면에 융착하는 과정으로 제조되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상기한 일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제6도(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b)의 요부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걸어물림 접합부(30)는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요철형 절곡 접합단(12k)(12l)을 형성하고 그 요철형 절곡 접합단(12k)(12l)을 겹쳐서 접합한 소요철(小凹凸)겹이음 접합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외 구성은 전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 절곡 접합단(12k)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요부(12m)와 그 사이에 걸림돌부(12n) 가지고 있고, 타측 절곡 접합단(12l)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돌부(12n)와 그 사이에 걸림요부(12m)를 가지고 있으며, 그 양측 요철 절곡 접합단(12k)(12l)의 걸림돌부(12m)와 걸림요부(12m)는 관체 외벽(10)의 돌조(10a)와 요입부(10b)에 비하여 상당히 적은 크기로 요철되어 있다.
또, 상기 양측 절곡 접합단(12k)(12l)의 걸림요부(12m)와 걸림돌부(12n)는 관체의 폭방향으로 세워지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철판(12)의 걸어물림 접합부(30)는 양측 절곡 접합단(12k)(12l)의 걸림요부(12m)와 걸림돌부(12m)를 서로 겹쳐서 압착하여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보강철판(12)은 합성수지막(13)으로 코팅되는 것이 좋으나, 합성수지막(13)의 코팅을 생략할 수 도 있다.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도 보강철판(12)의 양측 절곡 접합단(12k)(12l)이 소요철 겹이음 접합구조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하여 있으므로 관체의 어느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여도 그 연결부분이 결코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양측 절곡 접합단(12k)(12l)의 걸림돌부(12n)와 걸림요부(12m)에 의하여 보강철판(12) 요입부의 압축강도를 월등히 증대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몇가지 실시예들은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가 걸어물림 접합부(30)로 접합된 구조에 의하여 보강철판(12) 자체가 일연체로 되어 있으므로 보강철판(12)과 합성수지재 관벽이 유리되면서 관이 터지게 되는 염려가 없는 것이나, 소재강판의 전면 또는 양측 연장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보강철판(12)으로 이용하면 보강철판(12)과 합성수지재 관벽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하수관으로 주로 이용되는 것이나, 전선관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형내벽(20)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를 걸어물림 접합부에 의해 일연체로 연결하여 나선형 보강돌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나선형 요입부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보강철판 자체를 하나의 온전한 강철관으로 형성하고, 또한 보강철판의 요입부를 보강선재로 감아 묶은 후 평대형 합성수지대와 파형 합성수지대로 관체의 내외주면을 피복하여서된 것으로서,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를 걸어물림 접합부에 의하여 일연체로 연결한 후 합성수지로 피복하기 때문에 관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가 서로 들뜨면서 그를 감싸는 합성수지가 터지게 되는 결함을 완벽하게 해소하여 불량율이 절감하고 양호한 합성수지관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관을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배관하는 경우에도 보강철판의 연결부분이 결코 터지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철판의 양측 연장부가 걸어물림 접합부에 이하여 일연체로 연결됨에 따라 보강철판의 연장부분의 강도가 월등히 증대되었을 뿐아니라, 보강철판의 정상부에 나선형 보강 요철부가 형성되고 그 보강 요철부의 외측에 보강선재가 권회됨과 아울러 합성수지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종래 어떠한 합성수지 나선관 보다도 내압강도가 탁월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은 제품생산성이 우수하며, 압축강도가 부분적으로 취약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높고 균일하기 때문에 고 내압강도가 요구되는 지중 매설관으로서 매우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강판재 나선형 보강철판(12)이 합성수지재 나선관벽에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나선형 보강철판(12)의 보강돌부(12a)의 양측벽(12d)(12g)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절곡 접합단(12f)(12i)을 형성하고, 그 양측 절곡 접합단(12f)(12i)을 걸어물림 접합부(30)로 일연체로 접합하여 보강철판(12) 자체를 온전한 강철관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보강철판(12)의 내외주면에 평대형 합성수지대(21)와 파형 합성수지대(11)를 나선형으로 피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물림 접합부(30)는 상기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형성되는 횡방향 절곡접합단(12f)(12i)의 걸림부(12o)(12p)를 겹쳐서 곡절접합 구조로 접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물림 접합부(30)는 보강철판(12)의 양측 연장부(12e)(12h)의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걸림돌부(12h)와 걸림요부(12m)를 가지는 소요철형 절곡 접합단(12k)(12l)을 형성하고 그 소요철형 절곡접합단(12k)(12l)을 겹쳐서 적합한 소요철 겹이음 접합구조로 적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판(12)의 정상부에는 적어도 한줄이상의 요입부(12b)와 돌출부(12c)를 가지는 나선형 보강 요철부(12j)를 형성하고, 보강요철부(12j)의 요입부(12b)에 한줄이상의 보강선재(40)를 감아묶어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판(12)은 전면에 합성수지막(13)으로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6. 강판재 보강철판(12)이 합성수지 관벽에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판(12)의 나선형 보강돌부(12a)의 좌우양측벽(12d)(12g)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양측 연장부(12e)(12h)의 연부에 절곡접합단(12i)(12i)을 형성하며, 양측 절곡 접합단(12i)(12i)위에 접합대(31)를 재재하고 걸어물림 접합부(30)로 일연체로 접합하여, 보강철판(12) 자체를 온전한 강철관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보강철판(12)의 내외주면에 평대형 합성수지대(21)와 파형합성수지대(11)를 나선형으로 피복하여 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KR2019900015528U 1990-10-10 1990-10-10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KR920006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528U KR920006733Y1 (ko) 1990-10-10 1990-10-10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528U KR920006733Y1 (ko) 1990-10-10 1990-10-10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077U KR920008077U (ko) 1992-05-19
KR920006733Y1 true KR920006733Y1 (ko) 1992-09-26

Family

ID=1930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528U KR920006733Y1 (ko) 1990-10-10 1990-10-10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7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077U (ko)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2738B2 (en) Flexible pipe with internal gasproof undulating metal tube
TWI409162B (zh) 可捲繞以形成螺旋狀管件之複合強化條帶及用於該條帶之方法
US4403631A (en) Flexible pipe
US6840286B2 (en) Flexible tubular pipe
EP0274495B1 (en) Method of and means for producing reinforced ribbed structures
CN101718375B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JP3415837B2 (ja) 螺旋巻きのリブ付き強化複合構造
JPH0318076B2 (ko)
CA1072462A (en) Reinforced smooth flow pipe
KR920006733Y1 (ko)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US449314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pipe
CN106051325B (zh) 整体钢塑复合加筋管及其加工方法
KR920006731Y1 (ko)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KR920006736Y1 (ko)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KR920006732Y1 (ko) 내압합성수지 나선관
KR950007033Y1 (ko) 내압 나선관
CN201818923U (zh) 钢塑复合缠绕管
KR920006735Y1 (ko) 내압 나선관
KR20000009291A (ko)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950005490Y1 (ko) 합성수지제 하수도용 강성 나선관
KR0119868Y1 (ko) 내압 합성수지나선관용 보강철판 매립구조
CN219866706U (zh) 中空壁加筋缠绕波纹管
KR960004548B1 (ko) 걸고리식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5493Y1 (ko) 보강철판이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CN205781475U (zh) 一种用于制造钢塑复合加筋管的钢质异型带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4200000372;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200000264;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200000131;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30000206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70707

Effective date: 19980115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70707

Effective date: 19980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