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46Y1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46Y1
KR920006246Y1 KR2019900013838U KR900013838U KR920006246Y1 KR 920006246 Y1 KR920006246 Y1 KR 920006246Y1 KR 2019900013838 U KR2019900013838 U KR 2019900013838U KR 900013838 U KR900013838 U KR 900013838U KR 920006246 Y1 KR920006246 Y1 KR 920006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lid
support
present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335U (ko
Inventor
송철수
Original Assignee
송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철수 filed Critical 송철수
Priority to KR2019900013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46Y1/ko
Publication of KR920006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쓰레기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설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2 : 지지대
3 : 쓰레기통 6 : 뚜껑
7 : 개구판 8 : 경첩
9 : 스프링 11 : 핀
본 고안은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뚜껑을 가지는 여러개의 쓰레기통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대로써 지지시켜서 회동가능토록 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통은 통상 1개의 통으로 되어서 갖가지의 쓰레기를 아무런 구분없이 수거토록 하였다.
그러나, 쓰레기중에는 폐품활용이 가능한 것들이 많으며 특히, 종이나, 비닐등은 산업용으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이들의 분리수거가 요망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쓰레기통을 분리 설치하되 지주로써 연결하여 회전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오물과 폐품을 분리하여 수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옴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받침대(1)에 지지대(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지지대(2)의 양측적당 위치에 연결대(5)를 돌출형성하여 각 연결대(5)의 단부에 수직으로 부착판(4)을 각각 고착시키며, 각 부착판(4)에 쓰레기통(3)의 측부를 조립하되 부착판(4)의 중간에 단을 가지는 핀(11)을 삽입하여 너트(12)로써 고정시키고, 상기 핀(11)의 상, 하 측일단에 볼트(13)를 조립하여 쓰레기통(3)과 체결한다.
상기 각 쓰레기통(3)의 상단에는 뚜껑(6)을 착설하되 쓰레기통 몸체(3)와 분리가능토록 하고 뚜껑(6)의 일측으로 개구탑(7)을 경첩(8)으로씨 취부하여 스프링(9)으로 탄지한다.
쓰레기통의 설치는 도면 제4도에서와 같디 지면에 설치할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달아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부착판(4)에 체결되는 볼트(13)를 적당히 풀고 쓰레기통(3)이 핀(11)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핀(11)을 중심으로 회동시킨후 다시 볼트(13)를 죄이면 매달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대(2')를 중심으로 3개의 쓰레기통(3')을 방사상으로 부착한 상태를 평면도로써 나타낸 것이다.
쓰레기통의 사용시에는 뚜껑(6)을 분리시킨후 비닐 포대(10)를 쓰레기통(3)의 내부에 집어넣고 비닐(10)의 상판 주연부를 쓰레기통(3)의 상단 주연의 외측으로 걸친 다음 뚜껑(6)을 압입하여 닫는다.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넣을때에는 뚜껑(6)의 개구판(7)을 하방으로 밀어서 개구시킨다음 쓰레기를 넣으면 스프링(9)의 탄력으로 개구판(7)이 다시 닫히게 된다.
또한. 비닐 포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쓰레기를 직접 버리게 되는데 이를 수거하고자 하면 부착판(4)의 볼트(13)를 풀고 핀(11)을 중심으로 쓰레기통(3)을 회동시켜서 쓰레기를 쏟아내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원고안은 쓰레기통의 몸체를 철망으로 구성하여 경량화할 수도 있으며, 쓰레기통의 외면에 오물용과 폐품용의 표식을 함으로써 쓰레기를 구분하여 수거할수 있으며 가정에서는 물론 야외의 공원이나 거리등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받침대(1)에 지지대(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지지대(2)의 양측으로 부착판(4)을 설치하여 각 부착판(4)에 쓰레기통(3)의 측부를 핀(11)과 볼트(13)로써 조립하고, 각 쓰레기통(3)의 상단에는 뚜껑(6)을 착설하되 쓰레기통(3)과 분리가능토륵 하고, 뚜껑(6)의 일측으로 개구판(7)을 경첩(8)으로써 취부하여 스프링(9)으로 판지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19900013838U 1990-09-06 1990-09-06 쓰레기통 KR920006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838U KR920006246Y1 (ko) 1990-09-06 1990-09-06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838U KR920006246Y1 (ko) 1990-09-06 1990-09-06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35U KR920006335U (ko) 1992-04-21
KR920006246Y1 true KR920006246Y1 (ko) 1992-09-17

Family

ID=193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838U KR920006246Y1 (ko) 1990-09-06 1990-09-06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2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35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3175A (en) Trash receptacle assembly
US5868364A (en) Bag support assembly
WO1999011525A1 (en) Receptacle for recyclable materials
US5390812A (en) Wastebasket liner removal device
US5392942A (en) Trash separation receptacle
US5207344A (en) Trash and container waste receptacle
KR920006246Y1 (ko) 쓰레기통
US4694972A (en) Apparatus for refuse collection and disposal
US20030146230A1 (en) Refuse container lid
KR200393202Y1 (ko) 조립식 쓰레기통
CN2401505Y (zh) 车载封闭垃圾箱
KR940007983Y1 (ko) 쓰레기통
KR960003301Y1 (ko) 폐기물 분리 수거통의 내용물 자동 수거장치
CN2086736U (zh) 封闭式清洁箱
CN219057347U (zh) 一种可调节开口的垃圾桶
RU11187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мусора
KR960002885Y1 (ko)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쓰레기통
CN2141803Y (zh) 方便卫生垃圾箱
KR930004737Y1 (ko) 분리수거형 쓰레기함
KR200243817Y1 (ko) 배출이 용이한 분리형 쓰레기통
KR0138986Y1 (ko) 음식물 찌꺼기용 탈수장치
KR200259440Y1 (ko) 쓰레기통
JPH0348081Y2 (ko)
CN2230736Y (zh) 垃圾袋撑架
KR0115110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