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42Y1 -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 Google Patents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42Y1
KR920005642Y1 KR9201823U KR920001823U KR920005642Y1 KR 920005642 Y1 KR920005642 Y1 KR 920005642Y1 KR 9201823 U KR9201823 U KR 9201823U KR 920001823 U KR920001823 U KR 920001823U KR 920005642 Y1 KR920005642 Y1 KR 920005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zone
command
ca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쥰이치 다니노
Original Assignee
시키 모리야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6813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3384A/en
Application filed by 시키 모리야,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키 모리야
Priority to KR9201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64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42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장치Signal transmission device of elevator

제1도∼제5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도는 전체 블록도.1 to 5 are diagrams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n entire block diagram.

제2도는 제1도의 제어장치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신호송수신장치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of FIG.

제4도는 신호내용도.4 is a signal content diagram.

제5도는 전송설명도.5 is a transmission diagram.

제6도∼제8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6도는 전체 블록도.6 to 8 show a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n elevator, and FIG. 6 is an overall block diagram.

제7도는 제6도의 요부 블록회로도.7 is a main block circuit diagram of FIG.

제8도는 동작설명도.8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제9도(a), (b)는 제3도의 신호송수신장치의 입력회로와 승강장 버튼과의 접속에 및 그 프로그램을 나타낸도면.9 (a) and 9 (b) are diagrams showing the program and the program of the input circuit of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of FIG.

제10도(a), (b)는 제3도의 신호송수신장치의 출력회로와 표시장치와의 접속예 및 그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10 (a) and 10 (b) show an example of connection between the output circuit of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of FIG. 3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program thereof.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1∼6n : 승강장 버튼 200 : 제어장치61 to 6n: Platform button 200: Control device

201 : 신호선 211∼21n : 신호송수신장치201: signal line 211 to 21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11∼31n : 표시장치 A1: 명령311 to 31n: display device A 1 : command

A2: 방향데이터 A3: 존데이터A 2 : direction data A 3 : zone data

A4: 상승방향등(方向燈) 데이터 A5: 하강방향등 데이터A 4: data such as the falling direction: rising direction or the like (方向燈) data A 5

A6: 케이지위치데이터A 6 : Cage Position Data

본원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an elevator.

제6도∼제8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1983)-6968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6도는 전체 블록회로도, 제7도는 요부 블록회로도, 제8도는 동작설명도이다.6 to 8 show, for example,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va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 (1983) -69685, where FIG. 6 is an entire block circuit diagram, FIG. 7 is a main block circuit diagram, 8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도면중,(1)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에 설치되어 마이크로콤퓨터(이하 MCOM이라 함)에 의해 구성되며, 뒤에 나오는 클록신호 및 기준신호를 발생하고, 승강장 및 케이지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제어장치, (2)는 제어장치(1)에 접속되어 신호선(3), (4), (5)을 갖는 신호선군, (3)은 일정주기(예를들면 500마이크로초)로 발신되는 클록신호(3a)를 전송하는 신호선, (4)는 승강장 호출신호(4a)를 전송하는 신호선,(5)는 승강장 호출등록신호(5a)를 전송하는 신호선, (61)∼(69)는 1∼9층의 승강장 버튼(상승호출 및 하강호출의 구별은 생략), (71)∼(79)는 마찬가지로 승강장 호출의 등록을 표시하는 승강장 호출등록등(登錄燈),(81)∼(89)는 각각 1층∼9층에 설치된 신호선군(2), 승강장 버튼(61)∼(69) 및 승강장 호출등록등(71)∼(79)에 접속된 기억장치, (91)은 제어장치(1)와 기억장치(81)를 접속하여 클록신호(3a)의 1주기(단시간의 지연을 포함)만 "H"로 되는기준신호(91a)를 전송하는 신호선, (92)∼(99)는 각각 기억장치(82)∼(89)간을 접속하여 각각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순차적으로 클록신호(3a)의 1주기(단시간의 지연을 포함)만 "H"로 되는 기준신호(92a)∼(99a)(신호(95a) ∼(99a)는 도시생략) 를 전송하는 신호선, (101) ∼(103)·‥,(111) ∼(113)···은 D플립플롭(이하 메모리 라고 함), (121) ∼(126) …은 AND게이트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ontrol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n elevator machine room and is constituted by a micro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COM), generates a clock signal and a reference signal that follows, and registers a landing and a cage call, (2 ) Is a group of signal lines having a signal line (3), (4), (5)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 (3) is a clock signal (3a) that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500 microseconds) The signal line to be transmitted, (4) i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platform call signal 4a, (5) i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signal 5a, and (61) to (69) are platform buttons on the 1st to 9th floors. (The distinction between ascending and descending calls is omitted.), (71) to (79) similarly indicate the landing call registration and the like (8) and (81) to (89) which indicate the registration of landing call. The memory device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group 2 provided on the floor, the platform buttons 61 to 69, and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lights 71 to 79, 91, is the control device 1 and the storage device 81. ) The signal lines 92 to 99,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ransmit the reference signal 91a in which only one cycle (including a short time delay) of the clock signal 3a becomes "H", a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s 82 to 89, respectively. ). Reference signals 92a to 99a (signals 95a to 99a), which are each delayed in time and sequentially become " H " only one cycle (including a short time delay) of the clock signal 3a. ) Denote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101) to (103) ..., (111) to (113) ... are D flip-flo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mory), (121) to (126). Is an AND gate.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며, 신호선(3)에 클록신호(3a)를, 또 신호선(91)에 기준신호(91a)를 부여하면, 메모리(101)의 단자 Q의 출력(92a)은 단자 CL의 입력(3a)의 상승시의 단자 D의입력(91a)으로 되므로, 출력(92a)은 기준신호(91a)가 "L"로 되었을 때의 클록신호(3a)의 1주기만 "H"로 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기준신호(92a)∼(94a)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순차적으로"H"로 된다. 여기서,2층의 승강장 버튼(62)이 눌러졌다고 하면, 기준신호(93a)가 "H"로 되었을 때, AND게이트(122)의 출력은 "H"로 되고, 신호선(4)상에 승강장 호출신호(4a)로서 제어장치(1)로 전송된다. 그리고, 3층의 승강장 버튼(63)이 눌러졌다고 하면, 기준신호(94a)가 "H"로 되었을 때, AND 게이트(123)의 출력은"H"로 되고, 동일한 신호선(4)상에 승강장 호출신호(4a)로서 전송된다. 이것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승강장버튼(61)∼(69)의 상태가 얻어진다. 소정의 펄스수를 클록신호(3a)로서 송출이 끝나면, 데이터가 모두 집합된다. 이들 신호는 제어장치(1)에서 처리되고, 승강장 호출로서 등록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ock signal 3a is applied to the signal line 3 and the reference signal 91a is applied to the signal line 91, the output of the terminal Q of the memory 101 is output. Since 92a becomes the input 91a of the terminal D when the input 3a of the terminal CL rises, the output 92a has only one cycle of the clock signal 3a when the reference signal 91a becomes "L". It becomes "H". Similarly, the reference signals 92a to 94a are delayed in time and are sequentially " H " as shown in FIG. Here, if the boarding point button 62 on the second floor is pressed, the output of the AND gate 122 becomes "H" when the reference signal 93a becomes "H" and calls the boarding point on the signal line 4.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 as a signal 4a. And if the boarding point button 63 of the 3rd floor is pressed, when the reference signal 94a becomes "H", the output of the AND gate 123 will be "H", and the boarding point on the same signal line 4 will be described. It is transmitted as the call signal 4a. By repeating this sequentially, the state of boarding point buttons 61-69 is obtained. After sending out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as the clock signal 3a, all data is collected. These signals ar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 and registered as a boarding point call.

이와 같이 하여 등록된 승강장 호출등록신호(5a)는 신호선(5)에 의해 전송되고,2층의 승강장에 대응하는메모리(112)의 단자D의 입력은 "H"로 된다. 이 때, 메모리(112)의 단자 CL의 입력인 기준 신호(93a)는 "H"이므로, 단자 Q의 출력은 'H"로 되어, 이것이 유지된다. 이것으로 2층의 승강장 호출등록등(72)은 점등되고,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 것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하여, 4개의 신호선으로 층바닥에 대용하는 신호를 송수신할수 있다.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signal 5a registered in this manner is transmitted by the signal line 5, and the input of the terminal D of the memory 112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point on the second floor becomes "H". At this time, the reference signal 93a that is the input of the terminal CL of the memory 112 is " H ", so that the output of the terminal Q is 'H', which is maintained. ) Lights up to indicate that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and thus, the signal substitutes for the floo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four signal line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서는 승강장 버튼(61)∼(69)의 데이터를 주사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즉, 승강장 버튼의 수는 통상 2n-2(n은 층수)있으며, 예를 들면 64층의 초고층 엘리베이터에서는 126개의 승강장 버튼 데이터의 주사가 필요하게 되고, 하나의 신호에 필요한 전송시간이 0.5m초라고 하면, 이 승강장 버튼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처리시간은 63m초가 된다. 따라서, 승강장 버튼 데이터 이외의 정보 예를 들면 각 승강장에 설치되어 케이지의 도착을 표시하는 도착예보등(豫報燈)에의 점등신호를 다시 동일한 신호선으로 전송하려고 해도, 도착예보등에 대해 역시 2n-2의 데이터가 필요하기때문에 다시 63m초 필요하게 된다. 또한, 승강장 호출등록등(71)∼(79)의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고려하면, 전송시간은 63m초×3=189m초 소비하게 된다. 이외에, 승강장에는 케이지위치을 표시하는 위치표시기, 방향등(方向燈)등이 설치되며, 이들에게 전송되는 점등신호를 고리하면, 승강장 버튼(61)∼(69)이 눌러지고나서, 승강장 호출등록등(71)∼(79)이 점등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서(0.1초 이하면 사람들에게는 순간적으로 점등한 것 같이 보이지만, 그 이상이 되면 지연감을 느껴 부자연스럽게 느낌)실용적이 못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 conventional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since the data of the landing buttons 61 to 69 are scanned, the transmission time tends to be long. That is, the number of landing buttons is usually 2n-2 (n is the number of floors). For example, in a 64-story high-rise elevator, scanning of 126 landing button data is required, and a transmission time required for one signal is 0.5 m second. In this case, the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transferring the landing button data is 63 m seconds. Therefore, even if it attempt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ther than the platform button data, for example, the lighting signal to the arrival forecast lamp installed in each platform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cage through the same signal line, the arrival forecast lamp is also 2n-2. Because 63m of data is needed, 63m seconds are needed agai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of the lighting signals of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lamps 71 to 79, the transmission time consumes 63 m seconds x 3 = 189 m seconds. In addition, the platform is provided with a position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age, a direction lamp, and the like, when the lighting signals transmitted to them are ringed, the platform buttons 61 to 69 are pressed, and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until the lights (71) to (79) is turned on is long (if it is 0.1 seconds or less, it seems to be turned on instantaneously, but if it is longer, it is delayed and unnaturally felt).

본원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더욱이 적은 신호선에 의해 짧은 전송속도로 신호가 처리될 수 있다. 확언하면, 종래 장치와 같은 정도의 전송속도로 다수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urthermore, a signal can be processed at a short transmission rate by fewer signal lin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signals at the same transmission speed as the conventional apparatus.

본원 고안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는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제어장치와, 각 승강장의 신호송수신장치를 신호선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복수조로 미리 설정해 두고, 또한 소정수의 승강장 호출버튼이 포함되는 존(zone)내에 승강장 호출이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명령을 제이장치로부터 출력하고, 이 제1명령이 입력된 신호송수신장치는 존내의 호출신호의 유무룰 나타내는 존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존데이터가 제어장치에 입력되면 호출이 있는 존의 신호 송수신장치에 대해 호출신호가 있는 층을 검출하기 위한 제2명령을 제어장치가 출력하고, 이 제2명령이 입력된 신호송수신장치는 호출신호가 있는 층이 어느 층인가를 나타내는 층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층데이터를 수신한 제어장치로부터 호출등록등의 점등신호를 신호송수신 장치에 출력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zone in which a control device for registering a platform call and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for each platform are connected with signal lines, preset in a plurality of set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platform call buttons are included. outputs a first command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platform call in the zone from the second apparatus, and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to which the first instruction is input outputs zone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a call signal in the zone is present; When data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outputs a second command for detecting the floor with the call signal to the signal transceiver of the zone where the call is made. The floor data indicating which floor is present is outputted, and a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ighting signal such as a call regist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loor data. Output to the value.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존내에 호출신호가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 호출신호가 있는 존에 대해서만 신호처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호출신호가 없는 존에 대하여 신호처리하는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이들 신호처리는1개의 신호선을 통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a call signal in the zone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call signa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ly for the zone in which the call signal is present, so that the time for signal processing for a zone without a call signal is saved. In addition, these signal processings are performed through one signal line.

제1도∼제5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도는 전체 불록도, 제2도는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신호송수신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신호내용도, 제5도는 전송 설명도이다.1 to 5 show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is an entire block diagram,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nd FIG. 4 is a signal content diagram.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ransmission.

본 실시예는 제1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기계실에 설치된 제어장치(200)와, 각 승강장에 설치된 신호송수신장치(211) ∼(21n) 및 이것들을 접속하는 1개의 신호선(201)으트 이루어지며, 신호송수신장치(211) ∼(21n)에는 승강장 버튼(61)∼(6n) 및 승강장 호출등록등, 도착예보등, 위치표시등 등의 표시장치(311)∼(31n)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장치(311)∼(31n)중의 호출등록등은 종래예를 도시한 제6도 및 제7도에 부호(71)∼(79)로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As is apparent from FIG. 1,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control device 200 provided in a machine room,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s 211 to 21n provided in each platform, and one signal line 201 connecting them.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211 to 21n, platform buttons 61 to 6n and display apparatuses 311 to 31n such as platform call registration lights, arrival forecast lights, position display lights, and the like are connected. Call registration and the like in the display devices 311 to 31n are the same as thos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71 to 79 in FIGS. 6 and 7 showing the conventional example.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00)는 MCOM으로 구성되며, CPU(200A), 메모리(200B), UART라고 불리우는 병직(竝直) 변환소자(200C), UART(200C)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신호선(201)에 출력하는 드라이버(200D) 및 신호선(201)으로부터의 데이터를UART(200C)에 입력하는 레시버(200E)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송수신장치(211)(기타의 신호송수신장치도 동일)는 MCOM으로 구성되며, CPU(211A), 메모리(211B), UART(211C). 각각 신호선(201)에 접속된 드라이버(211D), 레시버(211E), 입력회로(211F) 및 출력회로(211G)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회로(211F)에는 승강장 버튼(61) 및 신호송수신장치(211)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층바닥설정장치(411)가 접속되고, 출력회로(211G)에는 표시장치(311)가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apparatus 200 is comprised of MCOM, and outputs from the CPU 200A, the memory 200B, the parallel conversion element 200C called a UART, and the UART 200C. The driver 200D outputs a signal to the signal line 201, and the receiver 200E inputs data from the signal line 201 to the UART 200C. As shown in Fig. 3,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11 (the other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are also the same) is composed of MCOM, and the CPU 211A, the memory 211B, and the UART 211C. A driver 211D, a receiver 211E, an input circuit 211F, and an output circuit 211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201, and the input circuit 211F includes a boarding point button 61 and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 The floor-floor setting device 411 for inputting switch data for setting the address of 211 is connected, and the display device 311 is connected to the output circuit 211G.

제어장치(200)에 있어서, CPU(200A)는 예를 들면 인텔사(Intel Corlporation)의 [8085A]가 있고, 주지되어 있으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200B)는 예를 들면 인텔사의 [2732]가 있고, 주지되어 있으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UART(200C)는 유니버설 비동기 수신기/전송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의 약칭으로서, 예를 들면 인텔사의 [8251A]가 있다. USART라는 것은 동기모드(Synchronousmode)와 비동기모드(Asynchronous mode)가 있으며, 본원 고안에서는 비동기모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S"를 생략하고 UART라 호칭한다. 드라이버(200D),(211D)는 신호를 증폭하는 일종의 증폭기로서, 제2도및 제3도에 도시한 기호에 의해 표준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레시버(200E),(211E)도 드라이버(200D),(211D)와 마찬가지이다.In the control apparatus 200, the CPU 200A includes, for example, [8085A] of Intel Corporation, which is well know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memory 200B is, for example, manufactured by Intel Corporation, and is well know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UART 200C is an abbreviation of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for example, Intel Corporation [8251A]. The USART has a synchronous mode and an asynchronous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synchronous mode is used, "S" is omitted and is referred to as a UART. The drivers 200D and 211D are a kind of amplifiers for amplifying a signal and are displayed as standard by the symbols shown in FIG. 2 and FIG. The receivers 200E and 211E are also similar to the drivers 200D and 211D.

그리고, 제3도의 신호송수신장치(211)의 입력회로(211F)는 제9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텔사의 [8255A]에 의해 구성되며, 승강장 버튼(61)∼(6n)과 상기 제9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으며, 그 프로그램을 제9도(b)에 나타낸다. 그리고, (411)은 입력회로[8255A](211F)에 접속되는 층바닥 설정장치이다.The input circuit 211F of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11 of FIG. 3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Intel Corporation's [8255A] as shown in FIG. 9 (a), and the landing buttons 61 to 6n are provided.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9A, and the program is shown in Fig. 9B. Reference numeral 411 denotes a floor-floor setting device connected to the input circuits 8255A and 211F.

또한, 제3도의 신호송수신장치(211)의 출력회로(211G)는 제10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텔사의 [8255A]이며, 표시장치(311)(발광다이오드 등)와 상기 제10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으며,그 프로그램을 제10도(b)에 나타낸다.The output circuit 211G of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11 of FIG. 3 is, for example, Intel Corporation's [8255A] as shown in FIG. 10 (a), and the display device 311 (light emitting diode or the like) and the above-mentioned. It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10 (a), and the program is shown in FIG. 10 (b).

전술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 있어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호가 신호선(201)을 통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계열(時系列)로 송수신된다.In the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ignal as shown in FIG. 4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time series as shown in FIG. 5 via a signal line 201.

제4도의 명령 ①∼⑤는 각각 제1바이트 A 및 제2바이트 B로 이루어지며, 각 바이트 A, B는 각각 8비트로구성되어 있다.Instructions 1 to 5 of FIG. 4 are each composed of the first byte A and the second byte B, and each byte A and B is composed of 8 bits.

①은 제1명령이며, 제l바이트 A는 각 존(승강장 버튼(61)∼(6n)의 총수를 분할한 존이며,1존에는 승강장버튼 8개를 포함함)의 승강장 버튼(61)∼(6n)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데이터이고, 7비트의 명령A1과 1비트의 상승버튼인지 하강버튼인지를 나타내는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존내에 승강장 버튼(61)∼(6n)이 눌러진 층이 있으면 "0"으로 되는 데이터이고, 0,1∼7비트로 나누어져 있다.(1) is the first instruction, and the first byte A is the zone button 61 to the zones (the zone where the total number of platform buttons 61 to 6n are divided, and one zone includes eight platform buttons). It is data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6n) is pressed, and consists of a 7-bit instruction A 1 and a direction data A 2 indicating whether the 1-bit up or down button is pressed. The second byte B is data which becomes " 0 " when there is a layer in which the landing buttons 61 to 6n are pressed in the zone, and is divided into 0, 1 to 7 bits.

②는 제2명령이며, 가 존에 발생한 승강장 호출이 존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기위한 4비트의 명령 Al, 3비트의 존데이터 A3및 1비트의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입력데이터이다.(2) is a second instruction, and is composed of a 4-bit instruction A l , 3-bit zone data A 3 and 1-bit direction data A 2 for receiving data indicating where in the zone the platform call has occurred. . The second byte B is input data.

③은 승강장버튼(61)∼(6n)을 누른 것에 대한 출력명령이며, 제1바이트 A는 4비트의 명령 Al,3비트의 존데이터 A3및 1비트의 방향 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존내의 8개의 승강장 호출등록등을 점등("0") 하는가, 소등("1 ") 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③ is an output instruction of what pressing the platform button (61) ~ (6n), the first byte A is composed of a 4-bit instruction A l, 3-bit data A 3 zone and a 1-bit-direction data A 2. The second byte B is data indicating whether the eight platform call registration lights in the zone are turned on ("0") or off ("1").

④는 각 승강장의 도착예보등용의 출력명령이며, 제1바이트 A는 4비트의 명령 Al,3비트의 존데이터 A3및1비트의 방향데이터 A2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존내의 8개의 도착예보등을 점등("0")하는가, 소등("1")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④ is an output instruction of the arrival forecast lamp of each platform, the first byte A is composed of a 4-bit instruction A l, 3-bit data A 3 zone and a 1-bit-direction data A 2. The second byte B is data indicating whether the eight arrival forecast lights in the zone are turned on ("0") or off ("1").

⑤는 각 승강장의 위치표시등용의 출력명령이며, 제1바이트 A는 8비트의 명령 A1으로 이루어진다. 제2바이트 B는 2비트의 상승방향 등 데이터 A4및 하강방향등 데이터 A5및 6비트의 케이지위치데이터 A6로 이루어진다.5 is an output command for the position indicator of each platform, and the first byte A consists of an 8-bit instruction A 1 . The second byte B consists of data A 4 such as the rising direction of 2 bits and data A 5 such as the falling direction and cage position data A 6 of 6 bits.

이와 같은 명령을 할당함으로써, 8존×8 즉 64층의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각 존은 1층∼8층을 제0존, 제9층∼16층을 제1존,17층∼24층을 제2존, 25층∼32층을 제3존, 33층∼40층을 제4존, 41층∼48층을 제5존, 49층∼54층을 제6존, 55층∼64층을 제7존으로 분할하고 있다.By assigning such a comm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8 zones x 8, i.e., 64 layers is possible. In addition, each zone has 1 to 8 layers as the 0 zone, 9 to 16 layers as the first zone, 17 to 24 layers as the second zone, 25 to 32 layers as the third zone, and 33 to 40 layers. The layer is divided into a fourth zone, 41 through 48 layers into a fifth zone, 49 through 54 layers into a sixth zone, and 55 through 64 layers into a seventh zone.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스텝(501), (503)은 명령수순, 스텝(502), (504)는 응답수순 스텝(505)∼(510)은 출력수순을 각각 나타낸다.Here, steps 501 and 503 indicate an instruction procedure, steps 502 and 504 indicate response procedures, and steps 505 to 510 indicate an output procedure, respectively.

스텝(501)에서, 승강장 버튼(61)∼(6n)의 동작상태(승강장 호출의 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어장치(200)로부터 제1명령을 출력한다. 이 제1명령을 받은 신호송수신장치(211) ∼(21n)는 층바닥설정장치(411)에 의해 설정된 층바닥데이터(각 존에 대해 설정된 어드레스)에 따라 스텝(502)에서 각 존마다 승강장버튼의 조작상태를 확인한다. 승강장 버튼의 어느 것이 눌러져 있으면 그 존의 신호를 "0"으로 한다. 예를들면, 10층의 상승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제1존 즉 제2바이트 B의 제1비트만 "0"으로 된다. 또, 5층과 10층에서동시에 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제0존 및 제1존 즉 제2바이트 B의 제0비트 및 제1비트가 "0"으로 된다.In step 501, a first command is output from the control apparatus 200 in order to input data concerning the operation state (with or without platform call) of the landing buttons 61 to 6n.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es 211 to 21n which have received this first command have the landing button for each zone in step 502 according to the floor floor data (address set for each zone) set by the floor floor setting apparatus 411.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If any of the landing buttons is pressed, the signal of that zone is set to "0". For example, if the rising button on the tenth floor is pressed, only the first bit of the first zone, that is, the second byte B, becomes "0". If the button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on the fifth and tenth layers, the zeroth and first bits of the zeroth zone and the first zone, that is, the second byte B, become "0".

이 때의 제1명령의 내용은 에를 들면 제1존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는 신호송수신장치에 대해 승강장 호출이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는 신호송수신장치에만 응답신호 "0"을 출력시키도록 하고, 호출을 검출하지 않는 신호송수신장치에 대해서는 응답신호를 보내지 않아도 좋다는 명령을 출력한다. 이어서, 같은 명령을 제2존, 제3존과 같이 각 존마다의 신호송수신장치에 명령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각 존마다의 신호송수신장치가 제2바이트의 대응하는 각 비트에 신호를 출력해서, 최종적으로 전체로서의 존데이터를 수집한다.The content of the first instruction at this time is, for example, to output a response signal "0" only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which detects that there is a platform call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having the address of the first zone, and detects the call. For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that does not, a command indicating that a response signal may not be sent is output. Subsequently, the same command is comman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for each zone as in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By this operation,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for each zone outputs a signal to each corresponding bit of the second byte, and finally collects the zone data as a whole.

스텝(503)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존데이터를 접수한 제어장치(200)는 제2명령의 제1바이트의 존데이터A3의 부분에 존데이터가 "0"으로 되어 있던 존의 어드레스를 설정해서, 제2명령으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10층의 상승버튼이 눌러져 있다고 하면 제1존을 나타내는 "10" (좌로부터 3비트분은 제1존을 나타내고, 우단의 비트는 상승버튼을 나타내고 있음)을 A3에 설정해서, 그 내용을 제2명령으로서 출력한다. 이 신호를 받은 신호송수신장치 (211) ∼(21n) 는 9층∼16층의 것만이 동작하고, 스텝 (504) 에서 입력데이터 B의 제0비트(9층)를 "1", 제2비트(10층)를 "0", 제3비트(11층)를 "1", 제7비트(16층)를 1"로 하여 출력한다. 만일, 2이상의 존에서 승강장버튼(61)∼(6n)이 눌려져 있으면, 스텝(503)의 제2명령 ②을 차례로 출력하여 각 층의 승강장 버튼테이터를 얻는다. 제어장치(200)는 제2명령 ②에서 얻은 승강장 버튼 데이터가 등록가능층인 것을 검출하고, 출력명령 ③의 제1바이트 A에 제2명령 ②와 마찬가지로 존 및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의 구별을 하여 스텝(505)에서 출력한다. 또한, 스텝(506)에서 제2바이트 B에 승강장 호출등록등의 점등데이터를 실려서 출력한다. 즉,10층의 상승등록등을 점등하는 명령의 제1바이트 A는 "100010", 제2바이트 B는 "10111111"이다.In step 503, the control apparatus 200 which has received the zone data as described above sets the address of the zone in which the zone data has become "0" in the portion of the zone data A 3 of the first byte of the second command. To output as the second command. For example, if the rising button on the 10th floor is pressed, "10" indicating the first zone (3 bits from the left indicate the first zone and the right bit represents the rising button) is set to A 3 . , Output the contents as a second comm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211 to 21n receiving this signal operate only the 9th to 16th layers. In step 504, the 0th bit (9th layer) of the input data B is " 1 " (10th layer) is output as "0", the 3rd bit (11th layer) is set to "1", and the 7th bit (16th layer) is set to 1 ". Is pressed, the second command ② of step 503 is outputted one by one to obtain platform button data for each floor, and the control device 200 detects that the platform button data obtained in the second command ② is a registerable floor. The first byte A of the output command ③ is distinguished from the zone and the up or down butt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command ②, and is output in step 505. In addition, the step 506 registers the landing call to the second byte B. The lighting data of the lamp is loaded and output, that is, the first byte A of the command to turn on the rising registration light of the tenth floor is "100010", and the second byte B is "10111111".

출력명령③을 발은 신호송수신장치(211)∼(21n)는 10층의 상승등록등을 점등하는 동시에, 10층의 상승버튼신호를 리세트하고, 다옴의 주사시 다시 상승버튼신호가 제어장치(200)에 전송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 저지는 엘리베이터가 그 층에 도착한 후에 제어장치(200)가 출력하는 소등지령을 받았을 때 해제된다.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s 211 to 21n which output an output command ③ turn on the rising registration light on the 10th floor, reset the rising button signal on the 10th floor, and the rising button signal is again controlled during the scanning of the second floor. Prevent transmission to 200. This blockage is released when the control device 200 receives the extinguished command output after the elevator reaches the floor.

출력명령 ④는 도착예보등의 점등 및 소등지령이며, 승강장버튼(61)∼(6n)의 처리에 이어지고, 출력명령 ⑤로 케이지위치가 변화했을 때, 즉 표시하는 층이 변화했을 때만 전송된다. 따라서, 케이지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면 이 출력은 행하여지지 않고, 다시 스텝(501)로부터 승강장 버튼(61)∼(6n)의 주사를 실시한다. 만약, 게이지위치가 도착층존으로 이동하여 도착예보등을 점등하는 경우에는 스텝(507)에서 출력명령 ④의 제1바이트 A가, 스텝(508)에서 제2바이트 B가 전송된다. 예를 들면, 10층의 상승예보등을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1바이트 A는 "110010"으로 되고, 제2바이트 B는 "10111111"로 된다. 소등은 제1바이트 A가 "110010"으로되고, 제2바이트 B가 "11111111"로 된다.The output command (4) is a light on / off command of the arrival forecast lamp, which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cage position (61) to (6n) is processed, and the cage position is changed by the output command (5), that is, when the displayed floor changes. Therefore, if the cage position does not change, this output is not performed, and the landing buttons 61 to 6n are scanned from step 501 again. If the gauge position moves to the arrival floor zone to light the arrival prediction light, the first byte A of the output command ④ is transmitted in step 507 and the second byte B is transmitted in step 508. For example, when the rising forecast lamp of the tenth floor is turned on, the first byte A is "110010" and the second byte B is "10111111". The light is turned off so that the first byte A becomes "110010" and the second byte B becomes "11111111".

출력명령 ⑤는 위치표시등의 점등 및 소등지령이며, 이 경우는 전체 층이 동일 표시로 되기 때문에, 제1바이트 A는 "1000000"으로 되고, 제2바이트 B에는 상승 또는 하강등 데이터 A4, A5및 케이지위치데이터 A6(바이너리신호)가 스텝 (509), (510) 에서 출력된다.The output command ⑤ is a command for turning on or off the position indicator. In this case, since the entire floor is the same display, the first byte A is "1000000", and the second byte B is the rising or falling data A 4 , A 5 and cage position data A 6 (binary signal) are output in steps 509 and 510.

이와 같은 다방향 비동기전송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면 모든 층에서 동시에 호출이 발생한 경우, 1바이트 12비트(8비트 외에 동기비트, 첵비트 등이 부가됨)의 전송이 필요하므로,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multi-directional asynchronous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call is simultaneously made in all layers, transmission of one byte 12 bits (synchronization bits, shock bits, etc. in addition to 8 bits) is required.

로 된다. 1비트의 전송시간을 0.5m초라 하면, 0.5×432=216m초로 되어, 종래 장치보다도 길어지지만, 승강장버튼(61)-(6n)이 동시에 0.1초내에 발생하는 확률은 낮으며, 또한 한번 등록되면 케이지가 응답하여 등록을 해제하지 않는 한, 재전송은 필요없기 때문에 호출신호의 처리는 하나의 승강장버튼에 대하여,It becomes If the transmission time of one bit is 0.5 msec, it becomes 0.5 x 432 = 216 msec, which is longer than the conventional apparatus, but the probability that the platform buttons 61-6n occur simultaneously within 0.1 sec. Since the retransmission is not necessary unless the cage responds to the deregistration, the cal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for one landing button.

로 되고, 전체 비트수는 12비트×8=96비트로 된다. 따라서, 0.5m초×96=48m초로 등록이 가능해진다.The total number of bits is 12 bits x 8 = 96 bits. Therefore, registration can be made at 0.5 m sec x 96 = 48 m sec.

또한, 도착예보등 점등신호 및 케이지위치신호는 케이지위치가 변화되었을 때만 데이터전송이 필요하므로, 현재의 최고속도 엘리베이터가 매분 600m이고 표준 층간이 3m라고 하면, 최고속으로 케이지가 주행하고 있을때라도, 층간 3m를 주행 하는데 요하는 시간은 3m/600m/분 = 3m/600m/60초 = 0.3초 = 300m초로 된다. 한편,1회의 데이터전송(2바이트 필요)에 필요한 시간은 0,5m초×2바이트×12비트=12m초로 되므로, 하나의 층간을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96%는 호출의 처리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것에 도착예보등의 제어가 가해져도, 착상(着床)의 결정은 1층씩이므로, 최악의 경우라도 위치표시등의 변화와 동기하여 처리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최고속 엘리베이터에서도 12m초/300m초 정도의 처리시간율이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이 호출의 제어에 전용(專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rrival warning light signal and the cage position signal are required to transmit data only when the cage position is changed, the current maximum speed elevator is 600m per minute and the standard floor is 3m, even when the cage is running at the highest speed. The time required to drive 3m between floors is 3m / 600m / minute = 3m / 600m / 60 seconds = 0.3 seconds = 300m seconds. On the other hand, the time required for one-time data transfer (requires 2 bytes) is 0,5 m sec x 2 bytes x 12 bits = 12 m sec, so that 96% of the time required to travel between floors can be used for call processing. do. In addition, even if control such as arrival forecast is applied to this, the decision of conception is on the first floor, so even in the worst case, it is proces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hange of the position display lamp. The processing time rate is about. Thus, most of the time can be devoted to controlling the call.

그리고, 제4도에 나타낸 명령 A1에는 아직 빈코드가 있으므로, 승강장에 부가되는 다른 스위치, 예를 들면 운전정지스위치나 표시장치, 예를 들면 주층바닥에 설치되는 행선표시등 등의 신호도 동일한 신호선(201)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새로운 배선을 부가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since the instruction A 1 shown in FIG. 4 still has a blank code, the signals of other switches added to the platform, for example, an operation stop switch or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destination displa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in floor, are the same. It can transmit to the signal line 201, and there is no need to add new wir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서는 호출버튼의 일정수가 포함되는 존을 복수개 설정하고, 이들의 존내에 승강장호출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제1명령을 제어장치로부터 출력하고, 신호송수신장치에 제1명령이 입력되면, 호출신호가 있는 존데이터를 출력하며, 그 존데이터가 제어장치에 입력되면 그 존내의 호출신호가 있는층을 검출하는 제2명령을 출력하고, 이 제2명령이 신호송수신장치에 입력되면 호출신호가 있는 층데이터를 출력하며, 제어장치로부터 호출등록등 및 다른 표시등의 점등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적은 신호선에 의해 짧은 전송속도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환언하면, 종래 장치와 같은 정도의 전송속도로 다수의 신호처리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zones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all buttons are set, and a first command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platform call in these zones is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command is s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When inputted, the zone data containing the call signal is outputted. When the zone data is inputted to the control device, a second command for detecting the layer having the call signal in the zone is outputted, and the second command is input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In this case, the floor signal with the call signal is output, and the signal for turning on the call registration light and other indicators is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so that the signal can be processed at a short transmission speed by using a small signal line. In other words,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sign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ransmission rate as the conventional apparatus.

Claims (9)

복수의 승강장마다의 승강장 호출의 등록제어 및 그 등록등(登錄燈)의 점등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와, 각 승강장에 설치된 신호송수신장치를 신호선으로 접속하고, 상기 신호송수신장치는 호출신호를 발하는 복수의 승강장 버튼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점등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호출등록등에 접속되고,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와 신호송수신장치 사이에 신호의 송수신이 행하여지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에있어서, 상기 승강장버튼을 소정수로 조로 나누어 정한 존내에 상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명령을 상기 신호선을 통해 출력하고, 이 제1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되어 존내의 승강장호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존데이터의 입력을 받으면, 존내의 상기 호출신호가 있는 층을 검출하기 위한 제2명령을 상기신호선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된 명령수단과, 상기 제1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호출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층이 존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선을 통해 출력하고,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호출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층을 나타내는 승강장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선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신호송수신장치에 설치된 응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A control device which performs registration control of landing calls for a plurality of landings and lighting control of the registration lamps, and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installed in each landing hall are connected by signal lines, and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transmits a call signal. In the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connected to the landing button and the call registration and the like operated by the light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via the signal line, A first command for detecting whether the landing call is generated in a zone determined by dividing the landing butt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ets is output through the signal line, a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command to generate a landing call in the zone. Upon receiving the zone data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zone data, the layer for detecting the floor having the call signal in the zone is provided. Outputs 2 commands through the signal line, and generates command means installed in the control device and the zone data indicating whether the floor on which the call signal is generated is in the zone when the first command is inputted; And outputting through the signal line, generating platform data indicating the floor on which the cal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econd command is inputted, and outputting the signal through the signal line.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데이터가 입력되고, 그 데이터에 의해 상기 호출이 있는 층의 상기 호출등록등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이 출력수단은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점등신호를 상기 신호송수신장치에 전송하고, 이 신호송수신장치는 상기 점등신호에응답하여 상기 등록등을 점등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2.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output means for inputting said boarding point data and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for lighting said call registration light of the floor on which said call is made by said data, said output means being provided to said control apparatus. And the light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rough the signal line,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lights the registration light in response to the light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수단은 상기 점등신호가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보내지면 상기 승강장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2.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esponse means stops outputting of the boarding point data when said lighting signal is sent from said output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수단은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등록등을 위한 소등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해서, 상기 승강장 데이터의 출력정지상태를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4. The signal transmiss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response means cancels the output stop state of said platform data in response to said control device outputting a light-out signal for said registration light through said signal 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지가 위치하는 층바닥이 변화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케이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수단의 케이지위치변화신호출력 동작에 응답해서,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지령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메이베의 신호전송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hange of the floor of the cage on which the cage is located, and a display 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age, wherein the control device responds to the cage position change signal output operation of the detecting means via the signal line. And a command signal for transmitting a command signal for displaying on said display means.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지가 정지예정층의 도착 존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도착검출수단 및 승강장에 설치되어 케이지의 도착을 예보하는 예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착검출수단의 검출신호출력동작에 응답해서,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예보수단에 예보하기 위한 지령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rriva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cage has reached the arrival zone of the stationary floor and a forecasting means installed in the platform to predict the arrival of the cage. And a command signal for forecasting the forecast means via the signal lin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signal output operation of the elevator. 제1항에 있어서, 각 승강장에 설치된 상기 신호송수신장치는 각각 그 승강장이 속하는 존을 표시하는코드를 설정하는 동시에 그 승강장이 위치하는 층수를 표시하는 코드를 설정하기 위한 충바닥설정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명령수단 및 응답수단은 상기 층바닥설정수단에서 정해진 코드를 기준으로 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installed in each platform has a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ode for indicating a zone to which the platform belongs and at the same time for setting a code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floors in which the platform is located. And the command means and the response means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based on a code determined by the floor set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1개이며, 이 신호선에 상기 제어장치 및 상기 신호송수신장치가 접속되어서, 상호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ignal line is one, and said control apparatus and sai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re connected to said signal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mutual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버튼을 소정수로 조로 나누어 정한 존내에 상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1명령을 상기 신호선을 통해 출력하는 제1명령출력수단과, 이 제1명령출력수단에 상기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1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호출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층이 존내에있는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데이터롤 각 존마다 생성하여 출력하는 존데이터출력수단과, 이 존데이터출력수단에 상기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존데이터를 수신하면 승강장 호출이 있는 존에 대해서 그 존내의상기 호출신호가 있는 층을 검출하기 위한 제2명령을 출력하는 제2명령출력수단과, 이 제2명령출력수단에 상기신호선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2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호출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층을 나타내는 승강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승강장 데이터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장치.The first command outputt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comma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via said signal line, a first command for detecting whether the landing call is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zone by dividing the landing butt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Zone data output means which is connected to one command output means via the signal line and generates and outputs a zone data roll for each zon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layer on which the call signal is generated is in the zone when the first command is input. And a second command connected to the zone data output means via the signal line and outputting a second command for detecting a floor having the call signal in the zone for the zone having the landing call upon receiving the zone data. A boarding point connected to an output means and the second command output means via the signal line, and when the second command is inputted to indicate a floor on which the call signal is generated.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form includes a data output mean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data.
KR9201823U 1987-07-06 1992-02-08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KR9200056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23U KR920005642Y1 (en) 1987-07-06 1992-02-08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138 1987-07-06
JP62168138A JPS6413384A (en) 1987-07-06 1987-07-06 Signal transmitter for elevator
KR1019880006420A KR890001859A (en) 1987-07-06 1988-05-31 Signal Transmitter of Elevator
KR9201823U KR920005642Y1 (en) 1987-07-06 1992-02-08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420A Division KR890001859A (en) 1987-07-06 1988-05-31 Signal Transmitter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642Y1 true KR920005642Y1 (en) 1992-08-18

Family

ID=2732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23U KR920005642Y1 (en) 1987-07-06 1992-02-08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64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53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US6892861B2 (en) Destination call control for modernizing elevator installation
US6935465B2 (en) Method for modernization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987138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5398783A (en) Elevator hall call device with integral indicator display element
CN101873985A (en) Elevator system
JPH05201630A (en) Group controller of elevator
EP1400475A4 (en) Elevator system
CA2472532C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operated with zoning and an elevator installation
US4555689A (en) Elevator system with lamp status and malfunction monitoring
KR920005642Y1 (en) Device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US48587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for elevator
KR870000563B1 (en) Operating devices of an elevator
JP2008502561A (en) Interface system for passengers in transport equipment
KR970059067A (en) Group control Elevator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s
US5018604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for group supervision of elevators
WO2000034170A1 (en) Wireless transport system stop fixtures
KR900002782B1 (en) Group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950004097Y1 (en) Service expecting displayer for elevator
US4587511A (en) Elevator system with hall lamp status monitoring
JPH05155542A (en) Elevator group control device
US4654657A (en) Circuit arrangement containing wire matrix for signal transmission in elevator installations
US4365694A (en) Preventing elevator car calls behind car
JPH0132151B2 (en)
KR200172718Y1 (en) Arrove forecasting appartus of hall lanter for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