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420Y1 - 포트형 자화 정수기 - Google Patents

포트형 자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420Y1
KR920005420Y1 KR2019900006254U KR900006254U KR920005420Y1 KR 920005420 Y1 KR920005420 Y1 KR 920005420Y1 KR 2019900006254 U KR2019900006254 U KR 2019900006254U KR 900006254 U KR900006254 U KR 900006254U KR 920005420 Y1 KR920005420 Y1 KR 920005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izer
pot
water purifier
inse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768U (ko
Inventor
장평길
백용태
Original Assignee
장평길
백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평길, 백용태 filed Critical 장평길
Priority to KR2019900006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420Y1/ko
Publication of KR910019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트형 자화 정수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3 : 금망통
4 : 주수통 5 : 여과기
6 : 뚜껑 7 : 삽탈개구
8 : 삽착환요홈 9' : 삽착링
10 : 자석링 11 : 와셔
12 : 통수공 13 : 자화기
본 고안은 주로 일반 가정에서 물을 담아 따러 마시는 투명유리 제품의 포트내에 여과기를 장설하여서 된 간이 정수기에 있어서, 인체에 유익한 육각수(六角水)를 생성시키는 자화기를 여과기와 함께 포트내에 내장한 포트형 자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트형 정수기에 있어서는 포트의 본체 내에 여과기를 별도로 내장시키는 주수통을 삽설하여 주수통에 인위적으로 물을 부어 여과기에서 여과된 정수를 식음하도록 한 것이었으므로 정수의 효과는 있으나 인체 건강에 유익한 육각수를 생성하지는 못하였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여 정수는 물론 육각수를 얻을 수있도록 주수통 하단에 여과기를 내장시키기 위하여 연결시킨 금망통 하단에 자화기를 착탈 자재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수구(1)가 형성된 포트의 본체(2) 내에 금망통(3)을 연결한 주수통(4)을 삽입하도록 하고, 금망통(3) 내에는 활성탄 등으로 된 여과기(5)를 삽착하며, 주수통(4) 상단에 뚜껑(6)을 여닫도록 한 것에 있어서, 삽탈개구(7)를 다수 구비시킨 삽착 환요흠(8)을 내경에 형성시킨 삽착링(9)을 금망통(3)의 하단부에 연결하며, 내부에 다수개의 자석링(10)과 와셔(11)를 상하 순차적으로 내장하고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통수공(12)을 형성한 자화기(13)의 상단측 외주면에 상기의 삽착 환요홈(8)에 구비시킨 삽탈개구(7)와 일치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수개의 걸림편(14)을 형성시켜 이 걸림편(14)을 삽탈개구(7)를 통하여 삽착 환요홈(8)에 끼운 다음 자화기(13)를 약간 회동시켜 걸림편(14)이 삽착 환요홈(8)내에 걸리도록 하여 자화기(13)를 삽착링(9)에 연결하게 되는 것이며, 제 2 도의 상태에서 뚜껑(6)을 벗긴 다음 주수통(4) 내로 물을 부으면 부어진 물을 금망통(3)의 여과기(5)에 의하여 여과되어 금망통(3)내의 망공을 거쳐 본체(2) 내에 담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2) 내에 담아진 물은 여과기(5)에 의하여 정수되고 자화기(13)내의 자석링(10)에 의하여 인체 건강에 유익한 육각수로 되도록 하며, 자화기(13)를 금망통(3) 하단에 임의대로 조립 및 분해 하도록 되어 있어 청소등의 이유 발생시 착탈 작업이 용이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여과기(5)를 내장시킨 금망통(3)을 하단에 연결한 주수통(4)를 본체(2) 내에 삽입하여 식수를 정화시키게 된 것에 있어서, 삽탈개구(7)를 구비시킨 삽착 환요홈(8)을 형성한 삽착링(9)을 금망통(3)하단에 연결하고, 수개의 자석링(10)과 와셔(11)를 상하 엇갈리게 내부에 충전하고 중앙에 통수공(12)을 천공시킨 자화기(13)의 상단 외주연에 수개의 걸림편(14)을 연결하여 걸림편(14)을 삽탈개구(7)을 통하여 삽착 환요홈(8)에 끼워 자화기(13)를 금망통(3) 하단에 착탈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포트형 자화 정수기.
KR2019900006254U 1990-05-12 1990-05-12 포트형 자화 정수기 KR920005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54U KR920005420Y1 (ko) 1990-05-12 1990-05-12 포트형 자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54U KR920005420Y1 (ko) 1990-05-12 1990-05-12 포트형 자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68U KR910019768U (ko) 1991-12-19
KR920005420Y1 true KR920005420Y1 (ko) 1992-08-08

Family

ID=1929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254U KR920005420Y1 (ko) 1990-05-12 1990-05-12 포트형 자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4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768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87C (zh) 轻便式净水装置
CN107324605A (zh) 便携式户外饮用水净水杯
CN207581578U (zh) 便携式户外饮用水净水杯
KR920005420Y1 (ko) 포트형 자화 정수기
CN210124518U (zh) 一种滤水壶
CN207581577U (zh) 便携式户外饮用水净水杯
CN204737762U (zh) 便携式开水过滤器
KR930002815Y1 (ko) 정수기가 내장된 주전자
CN2166715Y (zh) 滤水杯盖和带滤水杯盖的杯
CN205011402U (zh) 一种净水水杯
CN2180166Y (zh) 学生用便携式矿泉水壶
JPH03284393A (ja) 活水器用濾過体
CN206081875U (zh) 可拆式滤水壶
CN207294379U (zh) 滤芯装置及冷水饮用容器
CN209242829U (zh) 一种野外用过滤水瓶
CN216472668U (zh) 一种带有综合废水处理装置的机械手煮面一体炉
CN2633964Y (zh) 磁化透镜过滤器
KR800000092Y1 (ko) 가정용 정수기
KR840001343Y1 (ko) 정수 여과기
CN2173238Y (zh) 高铁磁活化净水器
CN209404312U (zh) 一种便携式开水过滤杯
CN208609688U (zh) 一种用于养鸡的喂水器
KR910003297Y1 (ko) 휴대용 정수기
CN2250354Y (zh) 一种家用净水器
CN2160296Y (zh) 一种磁化、净化、矿化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