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179B1 - 코너 구조물 - Google Patents
코너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5179B1 KR920005179B1 KR1019830004064A KR830004064A KR920005179B1 KR 920005179 B1 KR920005179 B1 KR 920005179B1 KR 1019830004064 A KR1019830004064 A KR 1019830004064A KR 830004064 A KR830004064 A KR 830004064A KR 920005179 B1 KR920005179 B1 KR 920005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joint
- rectangular
- vertical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321369 Cephalopholis ful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1—Assemblies of strip sections, able to hold panels and corner part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코니구조물을 실시한 테이블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너 구조물의 성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구조물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제4도는 제3도의 배면 입체도.
제5도는 접속부의 입체도로서 상부가 수직관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되어야 하는 쵸킹조인트의 입체도.
제6도는 T형 접속의 경우 사용되어야 하는 도킹부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와 같은 접속에 사용되는 조인트의 입체도.
제8도는 조인트 접속후에 사용되는 구조물의 입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관 2,3,7 : 장방형관
5 : 연결조인트 6,53 : 쵸킹조인트
10 : 수직관보디 11a,11b,11c,22,32,62,63 : 리세스
20,30 : 장방형관보디 55 : 개구
본 발명은 조인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너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나 진열장 및 저장장비 등에 안정한 형태 및 구조적인 부품의 프레임 형성 성분을 조합시키는 적절한 코너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형태의 성분을 조립할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조립되었을 때는 우발적으로 쉽게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가진 코너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련된 조작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복잡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종래의 가구로서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부품의 구조적인 성분을 특색있게 조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코너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비가 싸고 실용상 융통성이 높게 하여 사용의 신뢰도를 높인 상기한 코너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특징으로서는 이러한 관의 접속시에 어떠한 경우에도 나사식의 결합이 필요없다는 점에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같은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또한, 실시형태상 테이블에 국한하여 도시하였지만 수 많은 구조물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인트 접속부의 한 실시예이며, 수직관(1), 장방형관(2) 및 테이블 상부(4) 등의 외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부품을 조인트 접속하여 코너 구조물이 형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코너부의 접속부에 대한 입체도로서, 본 발명의 특성은, 수직관(1)이나 장방형관(2) 및 (3)과, 관(10)(20)(30)의 한 연부인 리세스 연부(13)(21)(31)의 어느 것에서도 톱질 등의 절단 방식으로 접속목적에 맞춘 적절한 폭 및 깊이로 슬롯트(11)를 형성해도 문제될 것이 없으며, 수직관(1)의 보디(10)상에 리세스(11a)(11b) 또는 L자형 리세스(22)(32)와 이들 두 리세스 연부가 90˚의 각도로 톱니형 리세스(11a) 및 (11b)에 접속되며, 이를 톱니형 리세스(11a) 및 (11b)의 연부상에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개구의 두께는 관의 두께와 테이블의 상부(4)두께를 합친 것과 같고 따라서, 장방형관(2)이 결합된 후 테이블 상부(4)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드의 각 코너는 절단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반해 관(10)의 보디내로 4분의 1만 삽입되어 보드가 쉽게 고착될 수도 있다.
장방형관(2)의 보디(20)상의 리세스 연부(21)의 상부 또는 하부 어느 한 곳에 톱니형 리세스(22)가 형성되면 다른 개구나 엠보싱은 필요가 없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연결 조인트(5) 및 쵸킹 조인트(6)를 볼 수가 있으며 제4도에서 조인트(5)는 쵸킹 조인트(53)를 거쳐 하방으로 연신된 골판면(54)을 가진 조인트(51)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홀(52)와 같고 홀(52)의 측상에서 C형으로 90˚의 각도로 개구(55)가 형성되어 있어 보드를 그 코너단과 조립하지 않아도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쵸킹 조인트(6)는 기본적으로 연결조인트(5)와 유사하며 플랫폼(60)이 설정되어 있어 골판면과는 결합되지 않는다. C형관(61)상에는 장방형관(2)(3)과의 조립을 위해 리세스(62)(63)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관의 리세스(11a)(11b)의 폭은 장방형관 재질의 두께와 동일해야 한다. 장방형관(2)(3)의 L형 리세스(22)(32)의 두께는 수직관의 수직재질의 두께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연결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각 부품의 모든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장방형관(2)의 리세스 연부(21)를 밀어 L형 리세스(22)(32)를 수직관(1)의 톱니형 리세스(11a)(11b)내로 삽입시켜 테이블상부(4)나 또는 다른 유사한 보드를 고정시킨다음 연결 조인트(5)를 수직방향으로 즉, 수직관(1)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관에 정확하게 삽입시킨다. 따라서, 각 장방형관(2)(3)은 이들 수직관(1)과 연결된다. 테이블상부(4)를 90˚의 각도로 정확하게 조립하는데 따라 견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으며, 테이블의 높이를 변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수직관(1)의 적절한 길이에서 연결 조인트(5)의 상부 조인트(51)를 사용하는데 따라 연결할 수가 있다. 수직관(1)의 상부 연부상에는 쵸킹 조인트(6)를 밀어넣어 단시간내에 다층의 적하대를 설치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코너 시설물은 개인적인 조립의 숙련없이도 쉽게 처리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나 시설품 등에 응용 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테이블에 적용한 단일품목으로 설명하였으나 책상, 의자 및 다양한 가구뿐만 아니라 진열장이나 저장시설 등의 선반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테이블 상부는 목재, 유리 등과 같은 소망의 재질이라면 어느것이라도 좋다.
길다란 설반에 응용 할 경우 수직관(1)으로서의 구성 및 조립방법은, 세개 이상의 장방형관(2)(3)(7)을 수직관(1)과 연결시켜 T형으로 만든 후 연결 조인트(5) 또는 쵸킹 조인트(53)를 세개의 장방형관(2)(3)(7)의 방향에 따라 수직관(1)의 리세스에 삽입시킨 다음 필요한 공간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수직관보디(10)와, 이것의 개구(12)와 C형 홀(52) 및 연결 조인트(5)의 개구(55) 등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4개의 장방형관을 십자형태로 수직관에 연결시킬 경우 (제8도 참조), 연결 조인트(5)의 조인터(53)형태는 이들 장방형관(2')(3')(7')에 따라 수직관(1)의 리세스와 결합되어 나머지 공간은 작업후 조정될 수 있다.
테이블 상부(4)가 분리형일 경우 수지관(10)의 개구에서 조인트(53)에는 C형 홀(52)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그대신 다수의 톱니형 리세스(11a)(11b) 및 (11c)가 형성되어야 하지만 다른 개구는 필요가 없다. 테이블 상부(4) 또는 다른 보드는 십자형 리세스상에 얹혀질 경우, 그들 코너는 상기 언급된 바에 따라 수직관 보디(10)와 같은 형태로 전달내지 제작된다. 수직관 역시 원통형 대신 장방형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2)
- 수직관과 장방형관 및 연결조인트로 이루어진 선반식 부품의 코너 프레임구조물에 있어서, 장방형관의 양쪽 연부에 L형 리세스를 형성하고 리세스의 두께를 수직관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며, 수직관의 상부에 리세스를 형성하고, 그 두께를 장방형관의 재질두께와 동일하게 한 다음 장방형관을 수직관에 삽입시켜 비교적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수직관의 나머지 공간에 연결조인트를 밀어넣어 연결시킴과 동시에 수직연결부는 다른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코너 구조물.
- 제1항에 의한 코너구조물에 있어서, 수직관과 다수의 부품 및 다수의 장방형관으로서 여러 다른 각도에서 연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너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30004064A KR920005179B1 (ko) | 1983-08-30 | 1983-08-30 | 코너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30004064A KR920005179B1 (ko) | 1983-08-30 | 1983-08-30 | 코너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822A KR850001822A (ko) | 1985-04-10 |
KR920005179B1 true KR920005179B1 (ko) | 1992-06-29 |
Family
ID=1922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4064A KR920005179B1 (ko) | 1983-08-30 | 1983-08-30 | 코너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5179B1 (ko) |
-
1983
- 1983-08-30 KR KR1019830004064A patent/KR92000517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822A (ko) | 1985-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76432A (en) | Corner construction | |
US4030846A (en) | Furniture frame joint | |
US6675979B2 (en) | Furniture assembly system | |
US3362739A (en) | Connecting elements for panels or the like | |
US3389666A (en) | Furniture element | |
US3726551A (en) | Tubular rigid angled joint | |
US4099472A (en) | Free standing shelving system | |
US4840440A (en) | Corner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 |
US4125338A (en) | Quatrefoil connector connecting shelves | |
US4637324A (en) | Furniture assembly and assembly device | |
CA2367531C (en) | Mechanical joint including an angle bracket connector | |
US5305571A (en) | Structural frame assembly | |
US4187649A (en) | Frame construction | |
US4295693A (en) | Knocked-down cabinet | |
US1204975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n easily-erectable modular business cubicle | |
US5048429A (en) | Universal shelving | |
US5832689A (en) | Joint with locking pin for connecting multiple members | |
US4009665A (en) | Shelf assembly | |
US4540308A (en) | Joint for furniture support structure | |
US3659389A (en) | Display device | |
US4607880A (en) | Knockdown picnic table | |
US4469031A (en) | Support assembly | |
GB2129903A (en) | Construction system | |
US4066370A (en) | Assembling piece | |
US20160281354A1 (en) | Connection system for joining rectangular wall fram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