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99B1 - Motor scooter - Google Patents

Motor scoo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99B1
KR920004599B1 KR1019880012409A KR880012409A KR920004599B1 KR 920004599 B1 KR920004599 B1 KR 920004599B1 KR 1019880012409 A KR1019880012409 A KR 1019880012409A KR 880012409 A KR880012409 A KR 880012409A KR 920004599 B1 KR920004599 B1 KR 92000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scooter
storage device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04939A (en
Inventor
마사시 요꼬야마
나오끼 하라
Original Assignee
혼다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구메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구메 다다시 filed Critical 혼다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to the fuel tank, e.g. magnetic tank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스쿠우터형 차량Scooter Vehicle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실시예를 구비한 스쿠우터형 차량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1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scooter system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제 4 도는 제 2 도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실시예를 구비한 스쿠우터형 차량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5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scooter system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 6 도는 제 5 도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B : 차체판 P : 파워유니트B: Body plate P: Power unit

T : 연료탱크 4 : 물건수납장치T: Fuel tank 4: Goods storage device

6 : 시이트 7 : 다리받침대6: sheet 7: legrest

13 : 연료주입구 15 : 유휴공간부13 fuel inlet 15: idle space

17 : 리드(lid)17: lid

본 발명은 스쿠우터형 차량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연료탱크의 효율적인 개량과 함께 물건수납 장치의 효율성을 크게한 스쿠우터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oter typ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ooter type vehicle in which the efficiency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is increased with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fuel tank.

종래의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시이트를 구비하고 시이트 아래로 물건 수납장치를 배치하고, 파워유니트가 물건 수납장치밑으로 설치되며, 다리받침대 아래로 연료탱크가 설치되는 것은 일본 특허 공개공보 60-154969호에 개시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scooter type vehicle,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60- has a sheet, arranges an article storage device under the sheet, installs a power unit under the article storage device, and installs a fuel tank under the leg rest. 154969.

연료탱크는 스쿠우터 차량에 부착되는 부속부품으로서 대형으로 중량이 크며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그것을 차량에 탑재하는데 있어서, ① 차량의 주행성능을 손상하지 않으며, ② 연료탱크를 외부침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③ 다른 기능부품의 배치 또는 부착에 장애가 되지 않으며, ④연료탱크의 용량을 크게하며, ⑤ 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요구조건이 수반된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물건수납장치는 탑승자의 헬멧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것으로는 다리받침대 아래에 연료탱크를 설치하여도 이 탱크가 장애가되어 수납장치의 수용용량을 크게 하기가 어려우며, 만일 크게한다고 하면 다리받침대를 평탄하고 크게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fuel tank is an accessory attached to the scooter vehicle. The fuel tank is large in size and stores fuel in the vehicle. ① It does not impair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② It can protect the fuel tank from external damage. ③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lacement or attachment of other functional parts, ④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and ⑤ does not impair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n recent years, the article storage device has been required to have a capacity that can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helmet of the occupan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even when a fuel tank is installed under the leg rest, the tank becomes a barrier a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device, and if it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leg rest flat and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한 스쿠우터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ooter type vehicle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can satisfy all of the above requirem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쿠우터차량에 있어서 물건수납장치의 수용용량을 가능한한 확대할 수 있으며 또한 그의 앞쪽에는 평탄한 다리 받침대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스쿠우터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ooter vehicle in which the storage capacity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can be as large as possible in the scooter vehicle, and a flat leg support can be secured in front of i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 후 차륜을 매달라 부착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에워싸는 차체판을 갖추고, 상기 차체판에는 시이트 받침부 및 그의 앞쪽으로 다리받침대가 형성되는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대 아래의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하로 편평한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이 연료탱크의 윗벽은 앞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다리받침대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도한 그 뒷쪽으로 연료주입구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이트 아래쪽에 물건수납장치를, 다시 그 아래쪽에 파워 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물건수납장치의 앞쪽으로 차체판에 형성되는 다리받침대를 구비하고, 이 다리받침대의 아래쪽에 연료탱크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그 상면을 편평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뒷쪽에 연료주입구를 설치하여 이 연료주입구 위로 물건수납장치의 앞부분을 위치시킨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for suspend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and a body plate surrounding the frame, wherein the body plate has a seat support portion and a leg support in front of it. In the above, the upper and lower flat fuel tank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 under the leg rest, the upper wall of the fuel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to be installed close to the leg rest, and the fuel inlet is also installed behind it. .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rticle storage device below the sheet, and a power unit below the article storage device, and a leg rest formed on the body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In a scooter type vehicle formed by arranging a fuel tank under the pedestal, the fuel tank has a flat top surface and a fuel inlet behind the fuel tank to position the front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over the fuel inlet. .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연료탱크는 상하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서 차체판의 다리 받침대와의 유휴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연료탱크는 프레임의 좌.우 프레임파이프에 의하여 보호된다. 또한 연료주입구는 연료탱크의 뒷쪽에 있기 때문에 다리 받침대는 넓은 평탄한 면적을 차지할 수 있으며, 연료 탱크의 윗벽은 앞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한 연료액면의 파동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cooter type vehicle, the fuel tank is formed fl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disposed using the idle space with the leg rest of the body plate, and the fuel tank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frame pipes of the frame. Is protected. In addition, since the fuel inlet is at the rear of the fuel tank, the leg support can occupy a large flat area, and the upper wall of the fuel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fuel liquid surfac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구성에 따라서 시이트 아래쪽의 물건수납장치는 탑승자의 헬멧을 여유있게 수용할 수 있는 큰 수용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물건 수납장치의 앞쪽에는 넓은 면적의 다리받침대를 확보할 수 있기때문에 승차감이 좋고 운전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rticle storage device under the seat can secure a large capacity to accommodate the helmet of the occupant comfortably, and the leg rest of the large area can be secured in front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so that the comfort It is nice and easy to drive.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제 1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 도에 있어서 스쿠우터형 차량의 프레임(F)은 프레임파이프의 틀조립에 의하여 구성되어 통상과 같이 그 앞부분에는 프론트 포오크(1)를 통하여 전차륜(Wf)이 조향가능하게 현가되어 또 그 뒷부분에는 후차륜(Wr)을 축 걸침한 파워유니드(P)가 링크기구(2) 및 리어쿠션(3)을 통하여 매달린다.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n FIG. 2, the frame F of the scooter-type vehicle is constituted by the frame assembly of the frame pipe. Similarly, the front wheel (Wf) is susceptible to steering through the front fork (1) at the front, and the power unit (P) along the rear wheel (Wr) is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2) and the rear cushion at the rear. 3) Hang through.

프레임(F)은 그 대부분이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진 차체판(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차체판(B)의 뒷쪽에는 상면 개방의 상자형상을 하여 시이트 받침부(5)가 형성되어 이 시이트 받침부(5)내에 물건수납장치(4)가 수용되며, 이 물건수납장치(4)의 앞, 뒷부분은 프레임(F)에 지지된다. 물건수납장치(4)는 상기 파워유니트(P)의 상면을 덮도록 크게 형성되어, 그 앞부분은 후술하는 연료탱크(T)의 연료 주입구(13)위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도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물건수납장치는 헬멧(H)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량을 가진다. 물건수납장치(4)의 개방된 상면에는 시이트(6)가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된다. 차체판(B)의 시이트(6)의 앞쪽 및 양측에는 평판한 형상의 다리받침대(7)가 형성되며, 이 다리받침대(7)는 앞부분 다리받침대(71)와 뒷부분 다리받침대(72)로 구성된다. 다리받침대(7)의 아래쪽에는 프레임(F)의 좌,우 프레임 파이프(8,8)사이로 연료탱크(T)가 배치된다. 연료탱크(T)는 상하로 편평하며, 전체로서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쪽으로부터 뒷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쐐기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평탄한 윗벽(12)은 앞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받침대(7)에 근접되어 있다.The frame F is surrounded by a body plate B, most of which is made of a metal plate or a synthetic resin plate.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plate B, a sheet support part 5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ox, and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is accommodated in the sheet support part 5, and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The front and rear parts are supported by the frame F.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is largely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unit P, and the front portion reaches the fuel injection port 13 of the fuel tank T described later. And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ure 1 the article storage device has a capacity to accommodate the helmet (H).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the sheet 6 is freely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sheet 6 of the body plate B, a flat legrest 7 is formed, which is a front legrest 7 1 and a rear legrest 7 2 . It consists of. The fuel tank T is disposed below the leg rest 7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 pipes 8 and 8 of the frame F. The fuel tank T is flat up and down, and as a whole has a wedge shap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as shown in FIG. The flat top wall 12 is inclined forward and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leg rest 7.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탱크(T)의 전후 우측 부분은 프레임 파이프(8,8)에 고착된 브래킷(9,10)위에서 부착보울트(11)로 부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and rear right portions of the fuel tank T are attached to the mounting bolts 11 on the brackets 9 and 10 fixed to the frame pipes 8 and 8.

연료탱크(T)의 상벽(12)의 후부우측에는 팽창돌출부(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팽창돌출부(121)에 연료주입구(13)가 개구되어 있으며 이 주입구(13)의 윗쪽에 상기 물건수납장치(4)의 앞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돌출부(121)는 차체판(B)의 다리받침대(7)에서 상승하는 입상벽(14)과 상기 물건넣기(4)의 앞벽(41)과 연료탱크(T)의 윗벽(12)으로 둘러싸여지는 유후공간부(15)내에 수용된다. 상기 입상벽(14)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우측에 치우쳐서 창구멍(16)이 트여서, 이 창구멍(16)에 리드(lid : 17)가 개폐 자유롭게 나사부착(171)된다.An expansion protrusion 12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upper wall 12 of the fuel tank T, and the fuel injection hole 13 is opened in the expansion protrusion 12 1 , and above the injection hole 13. The front part of the article storage apparatus 4 is located. In addition, the expansion protrusion 12 1 is a standing wall 14 rising from the leg rest 7 of the body plate (B), the front wall (4 1 ) and the upper wall of the fuel tank (T) (4) It is accommodated in the rear space part 15 which is surrounded by 12). The granular walls 14, yeoseo chiwoochyeoseo the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window holes 16, the bit, this leads to the window holes 16 (lid: 17) is freely opened and closed is attached to the screw (17: 1).

연료탱크(T)의 윗벽(12)의 뒷쪽 중앙부에는 연료취출관(18)이 끼워붙여지며 이 취출관(18)의 취출구멍(181)은 연료탱크(T)의 바닥벽에 형성된 오목부에 개구되어 있다.A fuel outlet pipe 18 is fitted into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wall 12 of the fuel tank T, and the outlet hole 18 1 of the outlet pipe 18 has a reces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fuel tank T. It is open to.

프레임(F)의 좌, 우 프레임파이프(8,8)에는 브래킷(19)을 통하여 메인스탠드(20)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이 메인스탠트(20)의 기립에 의한 스쿠우터 차량의 정립자세에서, 연료탱크(T)의 윗벽(12)은 그 앞내리막의 경사각도의 정도가 크고 연료주입구(13)에서 넘쳐 흐른 연료가 앞쪽에 흐르게 쉽게되어 있으며, 연료탱크 후방의 파워유니트(P)의 발열부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스탠드(20)의 대신에 프레임(F)의 좌측에 사이드 스탠드를설치한 경우에는 차량의 정립시에는 이 차량은 진행방향 좌측에 경사하여, 연료탱크(T)의 우측에 배치한 높은 위치에 있는 연료 주입구(13)에서의 연료의 주입이 쉽게 된다.The main stand 20 is axially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frame pipes 8 and 8 of the frame F through the bracket 19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right side vehicle, the upper wall 12 of the fuel tank T has a large degree of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downhill, and the fuel overflowed from the fuel inlet 13 easily flows to the front, and the power behind the fuel tank The flow towar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unit P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side stand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F instead of the main stand 20, the vehicle is inclined to the left side in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upright, and to the right side of the fuel tank T. Injection of fuel from the fuel injection port 13 at the high position arranged becomes easy.

그러나 상기 연료탱크(T)는 그 뒷부분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연료주입구(13)가 설치되며, 이 연료 주입구(13)위에, 상기 물건수납장치(4)의 앞부분이 위치하기 때문에, 물건 수납장치(4)의 수용용량을 확대하면서 그 앞쪽에 넓은 다리받침대(7)를 확보할 수 있다.However, the fuel tank T is provided with a fuel inlet 13 protruding upward at the rear part thereof, and the front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is located on the fuel inlet 13, so that the article storage device ( The wide legrest 7 can be secured in front of it while expanding the capacity of 4).

또한, 상기 연료탱크(T)는 상하방향에 편평하게 형성되어 차체판(B)의 다리받침대(7)아래에 수용되므로, 비교적 용량이 큰 연료탱크(T)를 차체판(B) 아래의 유휴공간에 배치할 수가 있으며 그리고 이 연료탱크(T)는 프레임(F)의 좌,우 프레임(8,8)사이에 수납되기 때문에, 이 프레임 파이프(8,8)가 연료탱크(T)를 장해물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uel tank (T) is formed fl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ccommodated under the leg rest (7) of the body plate (B), a relatively large fuel tank (T) is idle under the body plate (B). Since the fuel tank T is stor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8 and 8 of the frame F, the frame pipes 8 and 8 block the fuel tank T. It can protect against

다음에 제 5,6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F)의 링크기구(2)에 의한 파워 유니트(P) 전단부에로의 지지점은 상기 제 1 실시예보다도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링크기구(2)아래에 형성되는 유휴공간에 연료탱크(T)의 뒷벽 하부의 뒷쪽 연장부(T1)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연료탱크(T)의 용량증가를 한층 꾀할 수 있다. 또 메인스탠드(20)를 격납한 상태에서도 연료탱크(T)의 윗벽은 앞쪽으로 경사져서 탑승자가 탑승한 그대로 연료탱크(T)에 연료를 주입하는 경우에도 넘쳐흐른 연료를 앞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ing point of the frame F to the front end of the power unit P by the link mechanism 2 is located above the first embodiment, and is idle under the link mechanism 2. Position the rear extension T 1 at the bottom of the rear wall of the fuel tank T in the space. By doing in this way, the capacity increase of the fuel tank T can be aimed at further. In addition, even when the main stand 20 is stored, the top wall of the fuel tank T is inclined forward, and even when the fuel is injected into the fuel tank T as the passenger occupies, the overflowed fuel may flow forward. .

그러나 이 제2실시예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However, this second embodiment also exhibits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를 차체판의 입상벽과, 물건수납장치의 앞벽과 연료탱크의 윗벽으로 둘러싸여진 공간부내에 배치함으로써 차량 전체의 콤팩트화가 한층 더 가능하게 된다.Further,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uel inlet of the fuel tank is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surrounded by the standing wall of the vehicle body plate, the front wall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and the top wall of the fuel tank, thereby further miniaturizing the entire vehic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차체판의 다리받침대 아래의 프레임사이에는 상하로 편평한 연료탱크를 설치한 것이므로 다리받침대 아래의 유휴공간을 연료탱크의 수용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으며 그리고 연료탱크의 용량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el tank is installed up and down between the frames under the leg rest of the body plate in the scooter type vehicle, the idle space under the leg res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fuel tank. In addition,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can be increased.

또한, 연료탱크의 프레임에 의하여 보호되어서 장해물과의 간섭이 회피되어서 기능부품의 레이아우트나 부착에 지장을 미치는 일도 없다.In addition, it is protected by the frame of the fuel tank, so that interference with obstacles is avoided,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ayout and attachment of the functional parts.

또 연료탱크의 윗벽은 앞 내리막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다리받침대에 근접되어 설치되므로, 차량의 저중심화는 물론 차량의 상하진동이나 가감속에 의한 연료의 파동을 줄일 수가 있어 차량의 주행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wall of the fuel tank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and downhill, and is installed close to the leg rest, it is possible not only to lower the center of the vehicle but also to reduce the fluctuation of fuel due to the vertical vibration o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You can do it.

또한 연료탱크의 뒷쪽에 연료주입구가 설치되므로, 다리 받침대에 탑승자의 다리를 올려놓기 쉽도록 평탄면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fuel inle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uel tank, the fuel tank may be formed into a flat surface so as to easily place the passenger's leg on the leg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의 아래쪽에 물건수납장치를 그 아래쪽에는 파워유니트를 설치하여, 상기 물건 수납장치의 앞쪽으로 차체판에 형성되는 다리받침대를 갖추어, 이 다리받침대의 아래쪽에 연료탱크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그 상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그 뒷부분에 연료주입구를 설치, 그의 연료주입구위로 물건 수납장치의 앞부분을 위치시킴으로서 시이트 아래의 물건수납장치의 수용용량을 대폭으로 앞쪽에 넓고 평탄한 다리받침대를 확보하여 탑승자는 승차감이 좋고 운전하기 쉽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le storage device is provided below the sheet, and a power unit is provided below the sheet storage device, and a leg support formed on the body plat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and a fuel tank is disposed below the support structure. In the scooter type vehicle formed above, the fuel tank has a flat top surface and a fuel inlet at the rear thereof, and the front of the object storage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fuel inlet to accommodat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article storage device under the sheet. The passengers have a comfortable ride and easy driving by securing a wide and flat legrest in front.

Claims (4)

전,후 차륜(Wf,Wr)을 현가하는 프레임(F)과 이 프레임(F)를 둘러싸는 차체판(B)을 갖추어, 상기 차체판(B)에는, 시이트받침부(5)와 그의 앞쪽의 다리받침대(7)가 형성되는 스쿠우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대(7)아래의 상기 프레임(F) 사이에는 상하로 편평한 연료탱크(T)가 설치되며, 이 연료탱크(T)의 윗벽(12)은 앞내리막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받침대(7)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또한 그 뒷부분에 연료주입구(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우터형 차량.A frame F suspend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Wf and Wr and a body plate B surrounding the frame F are provided. The body plate B includes a sheet support portion 5 and its front side. In the scooter type vehicle in which the leg rests 7 are formed, a flat fuel tank T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frames F below the leg rests 7, Scooter-typ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all (12)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and downhill is installed close to the leg rest (7), and the fuel inlet (13) is installed at the rea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T)는 그의 상면을 평탄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뒷쪽에 연료주입구(13)가 설치되며, 이 연료주입구(13)위에는 시이트(6)의 아래쪽에 배열설치된 물건수납장치(4)의 앞부분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우터형 차량.The fuel tank (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el tank (T) has a flat top surface and a fuel injection hole (13) is provided at the rear thereof, and the fuel tank (T) is arranged below the sheet (6). A scooter typ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device (4) is loca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T)의 연료주입구(13)는 상기 다리받침대(7)로부터 뒷쪽에 일체적으로 연장설치되는 입상벽(14)과 상기 물건수납장치(4)의 앞벽(41)과 연료탱크(T)의 윗벽(12)으로 둘러싸여진 유휴공간부(15)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우터형 차량.The fuel inlet 13 of the fuel tank (T) is a standing wall 14 and the article storage device (4) which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from the leg rest (7). Scooter-typ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idle space (15) surrounded by the front wall (4 1 ) and the upper wall (12) of the fuel tank (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판(B)의 입상벽(14)하부에는 그 전방우측에 치우치고 또한 상기 연료주입구(13)에 대향하는 창구멍(16)을 개구하여 이 창구멍(16)에 리드(17)를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우터형 차량.3. The lid of the vehicle body plate (B) is ope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plate (B) on the front right side and opens a window hole (16) facing the fuel injection hole (13). 17) Scooter-typ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reely installed.
KR1019880012409A 1987-09-25 1988-09-24 Motor scooter KR9200045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1897A JPH0777872B2 (en) 1987-09-25 1987-09-25 Scooter type vehicle
JP?62-241897 1987-09-25
JP62-241897 198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39A KR890004939A (en) 1989-05-10
KR920004599B1 true KR920004599B1 (en) 1992-06-11

Family

ID=1708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409A KR920004599B1 (en) 1987-09-25 1988-09-24 Motor scoo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7872B2 (en)
KR (1) KR9200045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42A (en) * 2000-05-16 2001-11-28 이종성 Organic Semiconducting Composition and Sensor Using the Same
EP1182599A1 (en) 2000-07-26 2002-02-27 Transmedia Network,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mer rewards
JP4767713B2 (en) * 2006-02-20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969A (en) * 1984-01-23 1985-08-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Scooter type car
JPH0796394B2 (en) * 1985-10-04 1995-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Fuel tank layout for low-floor motorcy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83484A (en) 1989-03-29
JPH0777872B2 (en) 1995-08-23
KR890004939A (en) 198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889B2 (en) Seat supporting structure in motorcycle
EP0323908B1 (en) Motor scooter
JP2001010579A (en) Frame structure of motorcycle
EP0581310B1 (en) Luggage box for motorcycle
JP4090626B2 (en) Vehicle storage box arrangement structure
KR920004599B1 (en) Motor scooter
JP4318798B2 (en) Vehicle seat opening / closing damper arrangement structure
JP2756795B2 (en) Helmet storage device for motorcycles
AU615214B2 (en) Motor scooter
JP3390464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components in motorcycles
JP2001010573A (en) Vehicle front structure
EP1063154B1 (en) Vehicle with a seat structure
JP3751072B2 (en) Rear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scooter type vehicles
JP4545249B2 (en) Scooter type vehicle
JPS61282178A (en) Rear body structure of automatic two-wheel and three-wheel barrow, etc.
JP2001010567A (en) Rear seat arrangement structure of motorcycle
JP4199087B2 (en) vehicle
JP3686164B2 (en) Scooter type vehicle
JP2966489B2 (en) Scooter type motorcycle
JP2718086B2 (en) Helmet storage device for motorcycle
JP2001225773A (en) Baggage storage chamber for motor scooter type motorcycle
JP2008100687A (en) Scooter-type vehicle
JPS6344257Y2 (en)
JP2716720B2 (en) Motor cleaner air cleaner chamber mounting structure
JP2687373B2 (en) Tank attachment device for motorcy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