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83B1 -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83B1
KR920003583B1 KR1019870002842A KR870002842A KR920003583B1 KR 920003583 B1 KR920003583 B1 KR 920003583B1 KR 1019870002842 A KR1019870002842 A KR 1019870002842A KR 870002842 A KR870002842 A KR 870002842A KR 920003583 B1 KR920003583 B1 KR 92000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ower electrode
spectacle frame
holder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921A (ko
Inventor
하루미쯔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세이와 세이사꾸쇼
꼬야마 지요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세이와 세이사꾸쇼, 꼬야마 지요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세이와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7001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제1도는 안경 프레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의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본제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4도는 상기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작업편 재치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하는 작업편 재치부의 일부 평면도.
제6도는 상기 작업편 재치부를 구성하여 작업편을 적재 설치하는 작업편 재치판의 평면도.
제7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장치 본체부의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릿지 12 : 안경 프레임
20 :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24 : 장치 본체부
26 : 작업편 재치부 28,29 : 제1 및 제2용접 기구
34 : 조정 나사 40,42 : 도전판
48 : 미끄럼판 52 : 선회판
54 : 선회 베이스 58 : 회전축
64 : 하우징 66 : 실린더
82 : 홀더 92 : 전극 보유지지 부재
96 : 상측 전극 114 : 치구 베이스
120 : 조정 나사 126 : 이동대
134 : 설치대 142 : 전극 홀더
160 : 하측 전극 162 : 작업편 재치판
172 : 클램프 부재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 프레임을 구성하여 안경 렌즈를 떠맡아 지지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 사이에서 가설되어 이들을 보유지지해 주는 브릿지와의 접합 부위를 한쌍의 저항 용접용 전극으로 용접하기 위해 상기 저항 용접용 전극을 3차원적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고, 이에따라 단일의 장치로 접합 부위가 여러가지의 다른 형상 각도를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을 용이하고 또한 견고하게 용착하도록 구성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 프레임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어 안경 다리(2), 브로치(4), 경첩(6), 안경테(8), 브릿지(10)등의 각종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안경 프레임(12)을 조립할때에는 이들 각종 부품을 접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경 렌즈(14)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안경테(8,8) 사이에 가설되는 브릿지(10), 혹은 안경테(8)와 안경다리(2)를 장착하기 위한 브로치(4)도 이 예외는 아니다. 이 경우, 안경 프레임(12)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예를들어 안경테(8)와 브릿지(10)를 접합하는 용접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브릿지(10)와 연경테(8)를 접합하여 하측 전극상에 재치하고, 이 접합부에 상방으로부터 상측 전극을 압접한 상태에서 큰 전류를 통하게 하여 상기 접합부를 용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안경 프레임을 접합 고착할때에 여러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안경테와 브릿지와의 접합부를 한쌍의 전극으로 압접하여 용접하는 경우, 상기 접합부가 각각의 전극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이 접합부에 균일한 가압력에 부여되지 않고, 상기 가압력이 불충분한 부분에서는 접한불량이 되어 소정의 강도를 확보할 수가 없기 때문에, 안경 장첵 취약화되거나 혹은 파손의 요인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안경테 및 브릿지를 재치하는 하측 전극을 상기 안경테와 브릿지의 접합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하고, 접합되는 안경 프레임의 형상이 다른 경우는 장치 본체에 대해 상기 안경 프레임에 대응하는 하측 전극으로 교환하여 이 안경 프레임의 용접 작업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다종 소량 생산등에 의해 복수의 형상이 다른 안경 프레임을 제조할때에, 각각의 안경 프레임에 대응하는 하측 전극의 교환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제조 작업 효율의 저하를 야기시켜 안경 프레임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가 없다고 하는 결점이 드러났다.
게다가, 복잡한 형상을 띈 안경 프레임에서는 안경테와 브릿지의 접합부가 3차원적으로 경사진 것도 존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안경 프레임에 이르러서는 하측 전극의 형상도 극히 복잡하게 되어, 상기 하측 전극의 제조 비용이 급등한다고 하는 단점에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안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안경테와 브릿지와를 접합하여 재치하는 하측 전극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 가능하게 구성하는 한편, 상기 안경테와 브릿지의 접합 부위에 소정의 압압력으로 맞닿는 상측 전극을 상기 하측 전극에 대해 경사 자재로 설치하므로서, 여러가지 다른 형상을 갖는 안경 프레임에 대해 하측 전극의 교환 작업등을 행함이 없이 극히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며, 특히 접합부가 3차원적으로 경사져 있어도 상기 접합부를 확실히 고착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다종 소량 생산 공정의 달성을 가능하게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편을 재치하는 한쪽 전극과, 상기 작업편을 압압함과 동시에 상기 한쪽 전극과의 사이에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작업편을 저항 용접하는 다른쪽 전극과를 포함하며, 상기 한쪼 전극 및 다른쪽 전극을 경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한쪽 전극을 경도시켜서 작업편의 접합 부위를 일방향으로 지향시키고, 또한 상기 다른쪽 전극을 상기 접합 부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경사시켜, 상기 다른쪽 전극을 접합 부위에 압압한 상태에서 양 전극간에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접합 부위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에 대해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제조 장치(20)는 기초대(22)상에 적재 설치되는 장치 본체부(24)와 작업편 재치부(26)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 본체부(24)는 실질적으로는 2대의 제1 및 제2용접 기구(28,29)로 이루어지며, 기초대(22)상에 고착되는 스페이서(30a 내지 30d 및 31d)에 상기 용접 기구(28,29)가 장착된다. 그래서, 이하에 제1용접 기구(28)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대(22)상에는 스페이서(30a,30b와 30c,30d)사이에 한쌍의 고정판(32)이 심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32)에는 조정나사(34)가 가설됨과 동시에 상기 조정 나사(34)에 조정 손잡이(36,38)를 나사식으로 부착한다. 또, 스페이서(30a,30c와 30b,30d) 사이에는 상기 조정 나사(3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도전판(40)과 제2도전판(42)이 도시하지 않는 절연체를 거쳐서 절연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도전판(40,42)의 단부는 트랜스(43)의 각각의 극에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스페이서(30a,30b 및 30c,30d)상에는 단면 굴곡 형상을 나타내는 안내 부재(44,46)가 고착되고, 상기 안내 부재(44,46)에 미끄럼판(48)이 걸어 맞춰진다.
상기 미끄럼판(48)의 하단부에는 설치판(50)을 설치해 놓고, 이 설치판(50)에 조정 나사(34)를 끼워 맞추고, 이 조정 나사(34)에 나사식으로 들어가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용 너트를 거쳐서 미끄럼판(48)을 상기 조정 나사(34)에 고정한다. 상기 미끄럼판(48)상에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선회판(52)이 적재 설치되고, 상기 선회판(52)에 선회 베이스(54)가 걸어 맞춰진다.
선회 베이스(54)에는 보유 지지통(56)이 고착되어 있으며, 이 보유 지지통(56)에 회전축(58)을 끼워 맞춘다.
이 경우, 회전축(58)의 양 단부는 스탠드 베이스(60)에 형성되는 지지체(61,62)에 끼워맞춤 고정됨과 동시에, 이 스탠드 베이스(60)에는 보강용 판재(64)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판재(63)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거쳐서 하우징(64)을 걸어 부착한다.
상기 하우징(64)의 상부에는 실린더(66)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66)로부터 연장하는 로드(68)의 상부측에는 조정 손잡이(70)를 걸어 부착하고, 상기 조정 손잡이(7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로드(68)의 변위 거리를 선택한다. 또, 상기 로드(68)의 하부측에는 기둥체(80)를 걸어 부착하고, 상기 기둥체(80)로 홀더(82)를 보유 지지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체(80)를 홀더(82)의 구멍부(84)에 끼워 맞추고, 이 홀더(82)의 상부에 볼트등을 거쳐서 덮개 부재(86)를 걸어 부착한다. 이 경우, 상기 덮개 부재(86)에는 기둥체(80)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부(8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기둥체(80)에 의해 홀더(82)가 현가된다. 구멍부(84)내에는 일단부를 기둥체(80)에 맞닿게 하여 코일 스프링(90)을 배치해 둔다. 그리고, 홀더(82)에는 전극 보유 지지부재(92)가 멈춤나사(94)를 거쳐서 착탈 자재로 장착되고, 이 전극 보유 지지부재(92)는 연직 방향으로 지향하는 상측 전극(96)이 보유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보유 지지부재(92)와 제1도전판(40)과는 도시하지 않은 도선등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 실린더(66)에는 상기 상측 전극(96)의 변위 동작을 양호하게 제어하기 위해 속도 조절기(98) 및 위치 검출용 센서(100,102)를 설치해 놓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중 참조 부호 104,106,108은 각각 제1,제2,제3로크 레버를 나타내며, 제1로크 레버(104)는 미끄럼판(48)을 고정하고, 제2로크 레버(206)는 선회 베이스(54)를 고정함과 동시에, 제3로크 레버(108)는 하우징(64)을 소정 각도 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한편, 용접 기구(29)는 전술한 용접 기구(2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의 참조 숫자에 a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작업편 재치부(26)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대(22)상에는 작업편 재치부(26)를 구성하는 베이스 가이드(110a,110b) 및 고정판(112)이 고착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110a,110b) 사이에는 치구 베이스(114)가 끼워 맞춰진다.
상기 치구 베이스(114)상에는 설치판(116)과 안내 부재(118)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판(116)에는 고정판(112)에 끼워 맞춰지는 조정 나사(120)의 일단부가 고착됨과 동시에, 이 조정 나사(120)에는 조정 손잡이(122a,122b)를 나사식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치구 베이스(114)에는 롤러 베어링(124)를 거쳐서 이동대(126)를 재치한다.
이 경우, 이동대(126)에는 치구 베이스(114)에 장착되는 실린더(128)로부터 연장하는 로드(130)의 단부가 걸어 맞춰져서, 이 실린더(128)의 이동 작용하에 장치 본체부(24)에 대해 진퇴 동작한다.
상기 이동대(126)에는 절연판(132)를 거쳐서 설치대(134)가 걸려 부착된다. 상기 설치대(134)의 상부에는 소정의 폭 둘레를 갖고 원호 형상으로 절결하여 홈부(136)를 형성한다. 상기 홈부(136)에는 보호 가스 공급용의 구멍부(138)가 연통하며, 상기 구멍부(138)에 도시하지 않은 보호 가스 공급 장치에 접속도는 관로(도시안됨)의 단부가 접속된다. 그리고 홈부(136)에는 전극 홀더(142)가 장착된다.
상기 전극 홀더(142)의 하단부(142a)는 홈부(136)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부(142a)의 일단부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지향하여 홈부(143)를 따라 설치한다. 한편, 전극 홀더(142)의 상단부(142b)에는 전극 부착용 돌출부(144a,144b)를 상방으로 팽출 형성한다. 그래서, 전극 홀더(142)를 설치대(134)의 홈부(136)에 삽입하고, 상기 설치대(134)의 상부에 볼트(146a,146b)를 거쳐서 누름판(148a,148b)을 고착한다. 상기 누름판(148a,148b)의 단부에는 각각 나사 구멍(150a,150b)을 형성해 놓고, 각각의 나사 구멍(150a,150b)에 고정 나사(152a,152b)를 나사식으로 끼워넣는다(제4도 및 제5도 참조). 따라서, 각각의 고정 나사(152a,152b)를 나사 구멍(150a,150b)에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 삽입하면, 각각의 선단부가 저극 홀더(142)의 상면부를 압압하고, 이 전극 홀더(142)가 경사져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전극 홀더(142)의 홈부(143)는 설치대(134)의 구멍부(138)에 연통하고 있다. 또, 설치대(134)의 일측부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거쳐서 실린더(154)가 고착되며, 상기 실린더(154)로부터 연직방향 상방으로 로드(156)가 연장한다. 게다가, 전극 홀더(142)의 돌출부(144a,144b)에 하측 전극(160)을 적재 설치함과 동시에, 설치대(134)의 상부에 작업편 재치판(162)를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거쳐서 고착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편 재치판(162)에는 하측 전극(160)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164)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64)와 하측 전극(160) 사이에는 각각 간극(165a,165b)을 마련한다. 이경우, 상기 하측 전극(160)은 기초대(22)에 고정되는 제2도전판(42)에 도시하지 않은 도선을 거쳐서 접속된다. 또한, 작업편 재치판(162)에는 고정 나사(152a,152b)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부(166a,166b)를 뚫고, 상기 구멍부(166b)에 근접하여 보유 지지체(168a,168b)를 고착한다.
상기 보유 지지체(168a,168b)에는 지점핀(170)을 거쳐서 클램프 부재(172)가 요동 자재로 장착되고, 스프링(173)을 거쳐서 상기 클램프 부재(172)의 일단부는 실린더(154)로부터 연장하는 로드(156)에 걸어 마춰진다(제4도 참조). 또, 작업편 재치판(162)상에는 안경 프레임(12)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대(174)를 고착해 둔다.
또한, 작업편 재치부(26)에는 제1 및 제2포크 레버(176,178)가 설치되고, 이 경우, 상기 제1로크 레버(176)는 치구 베이스(114)를 고정하고 반면, 제2로크 레버(178)는 전극 홀더(142)를 고정한다(제2도 및 제5도 참조).
본 발명에 관한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는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조 장치(20)에 의해 접합 고착되는 안경 프레임(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치 본체부(24) 및 작업편 재치부(26)의 조정 작업을 행한다.
즉, 작업편 재치부(26)에 있어서, 먼저 제2로크 레버(178)를 이완하고 나서, 곶정 나사(152a,152b)를 각각 소정 방향으로 돌려서 전극 홀더(142)를 경사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전극 홀더(142)에 장착되는 하측 전극(160)에 경사지고, 이것에 재치되는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 부위가 수평 방향으로 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극 홀더(142)의 경사 동작을 정지한다. 이어서, 로크 레버(178)를 체결하면, 전극 홀더(142)는 설치대(134)에 대해 단단히 고정된다. 한편, 제1로크 레버(176)를 이완하고, 각각의 조정 손잡이(122a,122b)를 거쳐서 조정 나사(120)를 진퇴 변위시켜, 이 조정 나사(120)에 걸려 부착되는 치구 베이스(114)의 위치를 미리 선택해 두면 바람직하다.
또, 장치 본체부(24)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용접 기구(28,29)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 경우 제1용접기구(28)의 조정 작업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고, 제2용접 기구(29)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작업이 행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조정 손잡이(36,38)를 거쳐서 조정 나사(34)를 소정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상기 조정 나사(34)에 걸어 맞취지는 설치판(50)을 거쳐서 미끄럼판(48)이 안내 부재(44,46)에 안내되어 변위하고, 제1용접 기구(28)가 위치 결정된다. 게다가, 선회 베이스(54)를 선회판(52)에 따라 변위시켜, 용접 기구(28)의 안경 프레임(12)에 대한 개방 각도를 설정한다. 그후, 하우징(64)을 회전축(58)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상측 전극(96)의 중심선이 상기 안경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브릿지(10)와 안경테(8)의 접합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위치 결정을 행한다(제7도 참조). 이 경우, 미끄럼판(48), 선회 베이스(54)및 하우징(64)을 변위시킬때에는 각각을 고정하고 있는 제1,제2,제3로크 레버(104,106 및 108)를 이완하고, 또 각각의 위치 결정 작업이 종료한 후는 상기 제1,제2,제3로크 레버(104,106,108)를 체결하여 상기 미끄럼판(48), 선회 베이스(54) 및 하우징(64)이 변위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 둔다.
이렇게 하여, 장치 본체부(24) 미 작업편 재치부(26)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나서, 안경 프레임(12)의 접합고착 작업이 행해진다.
즉, 안경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두개의 안경테(8)는 작업편 재치판(162)상에 고착되는 복수의 고정대(174)에 재치되고, 상기 안경테(8)의 단부와 브릿지(10)가 하측 전극(160)상에 적재 설치된다. 그리고, 실린더(154)를 구동하여 로드(156)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변위시키면, 상기 로드(156)가 클램프 부재(172)의 일단부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압압한다. 따라서, 클램프 부재(172)의 타단부측은 스프링(173)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연직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 브릿지(10) 및 안경테(8)를 하측 전측(160)측으로 압압하여 보유지지한다.
이엇, 제1용접 기구(28)를 구성하는 실린더(66)를 구동하여 로드(68)를 브릿지(10)와 한쌍의 안경테(8)와의 접합부측에 변위시키면, 이 로드(68)의 선단부에 걸려 부착되는 기둥체(80)을 거쳐서 홀더(82)가 상기 접합측으로 변위하고, 상축 전극(96)은 이 접합부에 맞닿는다. 실린더(66)를 더욱 구동하면, 로드(68)에 걸려 부착되는 기둥체(80)은 홀더(82)의 구멍부(84)내로 진입하고, 결과적으로 코일 스프링(90)의 탄박력을 거쳐서 상축 전극(96)은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하기에 이른다.
한편, 제2용접 기구(29)를 구성하는 실린더(66a)를 동일하게 구동하고, 홀더(82a)에 장착도는 상측 전극(96a)으로 브릿지(10)와 다른쪽의 안경테(8)의 접합부를 압압한다.
다음에, 트랜스(43)를 거쳐서 각각의 제1및 제2도전판(40,42)에 소정의 전류를 통전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보호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구멍부(138)에 보호 가스, 예를들어 아르곤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구멍부(138)에 공급되는 아르곤 가스는 설치대(134)의 홈부(136)내에 도입되고, 또 전극 홀더(142)의 원주 방향에 형성되는 홈부(143)를 거쳐서 하측 전극(160)과 작업편 재치판(162)의 개구부(164)와의 간극(165a,165b)로부터 외부로 도출하며,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부를 밀봉한다. 한편, 각각의 제1및 제2도전판(40,42)에 접속되는 전극(96,96a 및 160)에 압압 협지되는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부는 상기 상측 전극(96,96a) 및 하측 전극(610) 사이로 흐르는 큰 전류에 의해 저항 용접이 행해져서 고착하기에 이른다. 그때, 하측 전극(160)을 밀봉하도록 하여 아르곤 가스가 도출되기 때문에, 안경 프레임(12)의 접합부에는 산화등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미관이 뛰어난 안경 프레임(12)을 제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하여, 안경 프레임(12)을 접합 고착한 후, 실린더(66,66a)를 구동하여 로드(68,68a)를 상기 안경 프레임(12)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각각의 제1및 제2도전판(40,42)으로의 전류의 통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보호 가스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정지한다.
게다가, 작업편 재치부(26)를 구성하는 실린더(128)를 구동하여 로드(130)를 장치 본체부(24)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이 로드(130)에 걸려 부착되는 이동대(126)는 롤러 베어링(124)를 거쳐서 상기 장치 본체부(2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실린더(154)를 구동하여 로드(156)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 변위시키면, 이 로드(156)에 일단부를 맞닿는 클램프 부재(172)는 스프링(173)의 탄발력을 거쳐서 그 타단부측을 연직 방향 상방으로 변위시켜서 안경 프레임(12)의 압압 조직을 해제한다. 그래서, 접합 고착제의 안경 프레임(12)을 작업편 재치판(162)으로부터 떼어내고, 고착전의 새로운 안경 프레임(12)을 전술한 순서에 따라서 이 작업편 재치판(162)상에 고정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작업편 재치판(162)은 실린더(128)의 구동 작용하에 장치 본체부(24)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안경 프레임(12)의 교환 작업 위치에 예를들어 상측 전극(96,96a)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작업편 재치판(162)상에 재치되는 새로운 안경 프레임(12)은 전술한 순서에 따라서 그 접합부를 저항 용접에 의해 고착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형상이 다른 다종류의 안경 프레임, 또는 복잡한 형상을 띄는 안경 프레임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합 고착할 수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전극(160)을 재치하는 전극 홀더(142)는 각각의 고정 나사(152a,152b)를 거쳐서 회동 변위하게 때문에, 이 하측 전극(160)상에 고정되는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부가 경사져 있어도 상기 접합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향시켜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선회 베이스(54,54a)를 선회판(52,52a)에 따라 원호 형상으로 변위시킴과 동시에, 상측 전극(96,96a)을 장착하는 홀더(82,82a)를 회전축(58,58a)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상기 상측 전극(96,96a)을 브릿지(10)와 안경테(8)와의 접합부위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시키고 있다. 따라서, 하측 전극(160)과 상측 전극(96,96a)을 3차원적으로 위치 조정할 수가 있고, 각종 형상의 다른 안경 프레임 또는 복잡한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프레임에 대해서도 전술한 위치 결정 작업을 행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각각의 안경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한 정용의 하측 전극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단일의 하측 전극(160)에 의해 양호하게 접합 고착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 프레임을 재치하는 하측 전극을 경동 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하측전극과 함께 안경 프레임의 접합부를 압압하는 상측 전극을 상기 접합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안경 프레임이 복잡한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안경 프레임을 구성하는 브릿지와 안경테와의 접합부가 3차원적으로 경사져 있어도, 하측 전극과 상측 전극과의 경사 각도를 선택해주므로서 견고하게 접합 고착할 수가 있다. 결국, 형상이 다른 다종류의 대응한 전용의 전극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전극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여 효율적인 안경 프레임의 제조 작업 공정을 달성할 수가 있다고 하는 잇점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개량 및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작업편을 재치하는 하측 전극(160)과, 상기 작업편을 압압함과 동시에 상기 하측 전극(160)과의 사이에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작업편을 저항 용접하는 상측 전극(96,96a)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전극(160) 및 상측 전극(96,96a)을 경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하측 전극(160)을 경동시켜서 작업편의 접합 부위를 일방향으로 지향시키고, 또한 상기 상측 전극(96,96a)을 상기 접합 부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경사시켜, 상기 상측 전극(96,96a)을 접합 부위에 압압한 상태에서 상측 및 하측 전극(96,96a,160)간에 전류를 통전하여 상기 접합 부위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편을 재치하는 하측 전극(160)을 원호 형상의 외주부를 갖는 전극 홀더(142)에 고정하고, 상기 홀더(142)를 상기 외주부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원주부를 갖는 설치대(134)에 장착하고, 상기 홀더(142)의 상면부를 압압하여 상기 설치대(134)에 대해 경동시켜, 상기 하측 전극(160)에 재치하는 작업편을 경사지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측 전극(160)을 재치하는 설치대(134)를 상측 전극(96,96a)을 장착하는 장치 본체부(24)에 대해 진퇴 자재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극 홀더(14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143)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143)를 거쳐서 하측 전극(160)측에 밀봉용 가스를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전극(96,96a)은 실린더(66,66a)로부터 연장하는 로드(68,68a)에 코일 스프링(90)을 거쳐서 걸어 맞춰지고, 상기 실린더(66,66a)의 작용하에 상기 코일 스프링(90)의 탄발력을 거쳐서 상기 상측 전극(96,96a)을 작업편에 압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측 전극(96,96a)을 하우징(64,64a)에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64,64a)을 회전축(58,58a)을 거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을 선회판(52,52a)을 거쳐서 원호 형상의 궤도상을 변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KR1019870002842A 1986-05-28 1987-03-27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KR920003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23077A JPS62279090A (ja) 1986-05-28 1986-05-28 眼鏡フレ−ムの製造装置
JP123077 1986-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21A KR870010921A (ko) 1987-12-18
KR920003583B1 true KR920003583B1 (ko) 1992-05-04

Family

ID=1485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842A KR920003583B1 (ko) 1986-05-28 1987-03-27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79090A (ko)
KR (1) KR920003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132B (zh) * 2018-12-19 2021-02-12 温州益泰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板式眼镜框的内框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79090A (ja) 1987-12-03
KR870010921A (ko) 1987-12-18
JPH0346230B2 (ko) 199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234A (en) Positioning apparatus
EP1660268A1 (en) A method for positioning a welding robot tool
KR920003583B1 (ko) 안경 프레임 제조 장치
JP3109261B2 (ja) レーザ溶接ユニット
KR20190063733A (ko) 레이저 용접 테스트용 시편 지그 장치
JPH06226457A (ja) 溶接装置
JP2957541B1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H04171834A (ja) 配線接続装置
KR20010011579A (ko) 안경장석 용접장치
CN218426192U (zh) 一种摩擦焊机焊接工件定位停车装置
JPH0638625Y2 (ja) 溶接ガン装置
JPS5914308B2 (ja) 自動溶接装置
JP2002224842A (ja) シーム溶接方法と溶接軌跡誘導装置
CN220296180U (zh) 一种手持式激光焊接机
JP2005088069A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H0753826Y2 (ja) シーム溶接機の被溶接物保持装置
KR100249903B1 (ko) 작업 각도 조정장치가 부설된 용접기
JPH0819865A (ja) 艤装部品固定用ブラケットの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JPH0292469A (ja) ロールスポット溶接機
JPH0421670Y2 (ko)
JPH043728Y2 (ko)
JPH0114394Y2 (ko)
JPH0357338Y2 (ko)
JPH0418842Y2 (ko)
JPH03538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