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493Y1 -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493Y1
KR920003493Y1 KR2019890019477U KR890019477U KR920003493Y1 KR 920003493 Y1 KR920003493 Y1 KR 920003493Y1 KR 2019890019477 U KR2019890019477 U KR 2019890019477U KR 890019477 U KR890019477 U KR 890019477U KR 920003493 Y1 KR920003493 Y1 KR 920003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total reflection
collimating
mirror
reflection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585U (ko
Inventor
서규호
Original Assignee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493Y1/ko
Publication of KR910012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제1도는 일반적인 광픽업장치 광학계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픽업장치 광학계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의 사시도.
제4도는 동상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이저 다이오드 12 : 회절격자
13 : 하프미러 14 :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미러
14' : 오목반사면 15 : 대물렌즈
16 : 포토디텍터 17 : 콤팩트 디스크
본 고안은 광픽업장치의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리메팅 기능과 레이저 빔의 광로를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전반사 미러 기능을 수행하는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를 사용하여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킨 광픽업장치의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픽업장치의 광학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1)와, 회절격자(grating)(2)와, 하프미러(half mirror)(3)와, 콜리메팅 렌즈(collinating lens)(4)와, 직각 프리즘 전반사 미러(prism total mirror)(5)와, 대물렌즈(6)와, 포토 디텍터(photo dector)(7)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를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광픽업장치의 광학계는 레이저 다이오드(1)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빔은 회절격자(2)에서 3빔으로 만들어진 후, 하프미러(3)에서 입사광량의 50%가 투과되어 소실되며, 나머지 50%는 반사되어 콜리메팅렌즈(4)로 입사하게 된다.
상기 콜리메팅 렌즈(4)에서는 레이저빔을 평행하게 만들게 되고, 이와같이 평행한 레이저빔은 직각 프리즘 전반사 미러(5)에 이르게 된다.
이때 직각 프리즘 전반사 미러(5)는 반사면이 45°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이저빔은 입사각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전환되어 대물렌즈(6)에 입사하게 되며, 상기한 대물렌즈(6)에서는 레이저빔을 집속시켜 콤팩트 디스크(8)의 피트(pit)면에 촛점을 맺게 되고, 신호를 읽어낸 후, 반사되어 입사시와 동일한 광로로 하프미러(3)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때 하프미러(3)에서는 반사광량의 50%는 반사되어 소실되며, 나머지 50%는 투과되어 포토 디텍터(7)에 입사되고, 상기 포토 디텍터(7)에서는 빛을 수광하여 그 빛의 양에 상당하는 전류를 발생시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광픽업장치의 광학계는 광학계를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제품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광학소자의 설치면이 많아지므로 베이스면의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콜리메팅 미러를 사용하지 않고 콜리메팅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레이저 빔의 광로를 직각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반사 미러 기능을 수행하는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를 사용하여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이저빔을 발사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11)와,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발사된 레이저 빔을 3빔으로 만드는 회절격자(12)와, 회절격자(12)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하프미러(13)와, 오목반사면(14')이 전반사코팅되어 통상의 콜리메팅 기능 및 레이저 빔의 광로를 직각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반사 미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와,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접속시키는 대물렌즈(15)와, 하프미러(13)로 되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16)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는 사출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콤팩트디스크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광픽업장치의 광학계는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발사된 레이저 빔은 회절격자(12)에서 3빔으로 만들어여 발산하면서 하프미러(13)로 입사되며, 그 하프미러(13)에서 입사광량의 50%는 반사되어 소실됨과 아울러 50%는 투과되어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는 오목반사경(14')이 전반사 코팅이 되어 있고, 콜리메팅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레이저 빔이 입사되어 평행하게 된 후, 대물렌즈(15)로 입사되는 것이다.
상기 대물렌즈(15)에서는 콤팩트디스크(17)의 피트면에 촛점을 맺게 되고, 신호를 읽어낸 후, 반사되어 입사시와 동일한 경로로서 하프미러(13)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같이 되돌아온 레이저빔은 하프미러(13)에서 반사광량의 50%는 투과되어 소실되고 나머지 50%는 반사되어 포토디텍터(16)에 이르게 되며, 상기 포토 디텍터(16)에서는 수광량에 비례한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광픽업 장치의 광학계는 기존의 콜리메팅 렌즈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구성을 간소화시킴으로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제품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광학소자의 설치면이 감소되어 베이스면의 고정밀도가 기존에 비하여 감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미러를 사출성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레이저빔을 발사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11)와,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발사된 레이저빔을 3빔으로 만드는 회절 격자(12)와, 회절격자(12)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반사 및 투과시키는 하프미러(13)와, 오목반사면(14')이 전반사코팅되어 통상의 콜리메팅 기능 및 레이저 빔의 광로로 직각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반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사출성형물의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 미러(14)와, 비구면 콜리메팅 전반사미러(14)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5)와, 하프미러(13)로 되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의 광학계.
KR2019890019477U 1989-12-21 1989-12-21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KR920003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477U KR920003493Y1 (ko) 1989-12-21 1989-12-21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477U KR920003493Y1 (ko) 1989-12-21 1989-12-21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585U KR910012585U (ko) 1991-07-30
KR920003493Y1 true KR920003493Y1 (ko) 1992-05-30

Family

ID=192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477U KR920003493Y1 (ko) 1989-12-21 1989-12-21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4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58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3429A (en) Optical pick-up head without pick-up of stray light
EP0326354A3 (en) Apparatus for reading information out of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6560188B1 (en) Compound optical unit mounted on optical device
US5745304A (en) Integrated optical pickup system capable of reading optical disks of different thickness
KR920003493Y1 (ko) 광픽업장치의 광학계
JPS6352342A (ja) 光ピツクアツプ
NL8003540A (nl) Optische gegevensproduktie-inrichting.
JPH02311816A (ja) ビーム変換装置
KR950005957B1 (ko) 광 픽업 시스템
JPS56156937A (en) Optical pickup device
KR0141757B1 (ko) 일체형 광픽업 모듈
US5917801A (en) Optical pickup device
JPS6479944A (en) Optical pickup device
JPH09171633A (ja) 集積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0455478B1 (ko) 전반사형 집광렌즈를 이용한 광픽업 장치
KR100244179B1 (ko) 광 픽업장치
KR930009680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주사방법 및 장치
KR100202544B1 (ko) 광픽업장치
KR960025433A (ko) 광디스크 기록장치용 빔정형프리즘
JPS63309815A (ja) 光学干渉装置
JPS6410433A (en) Optical information reader
KR970007874A (ko) 광 픽업장치
JPS63314516A (ja) 光学素子
KR940004556A (ko) 광학 헤드 장치
JPH05203824A (ja) 光集積回路、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