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07B1 - 물분산장치 - Google Patents

물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07B1
KR920002907B1 KR1019920001863A KR920001863A KR920002907B1 KR 920002907 B1 KR920002907 B1 KR 920002907B1 KR 1019920001863 A KR1019920001863 A KR 1019920001863A KR 920001863 A KR920001863 A KR 920001863A KR 920002907 B1 KR920002907 B1 KR 92000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rm
dispensing
injection ar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와츠만 죠엘
Original Assignee
쉬와츠만 죠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40007587A external-priority patent/KR920002906B1/ko
Application filed by 쉬와츠만 죠엘 filed Critical 쉬와츠만 죠엘
Priority to KR101992000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분산장치
제1도는 물분산장치의 스프링클러암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캠운동 표면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제2도는 제1도의 2 - 2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캠운동면의 위치선정을 위해 견부를 향해 so부로 경사진 점을 갖는 손잡이 나사가 나사죄어진 환상의 견부를 갖는 지지판의 도면.
제3b도는 제3a도의 4B - 4B선 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캠운동면의 위치선정을 위해 나사의 회전에 의해 캠판의 변위를 증가시키도록 손잡이 나사의 단부위에 끼워 맞춰진 편심돌기의 도면.
제4b도는 제4a도의 4B - 4B 따라본 부분적 측입면도.
제5a도와 제5aa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5b도와 제5bb도는 각각 제5a도와 제5aa도의 5B - 5B선 및 제5BB - 5BB선 단면도.
제5c도와 제5cc도는 각각 제5b도와 제5bb도의 5C - 5C선 및 5CC - 5CC선 단면도.
제6도는 일부의 쐐기형부분에서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인 분사패턴을 보인 패턴도.
제7도는 다수의 암을 갖는 스프링클러에 의하여 만들어진 여러 가지 패턴을 갖는 분사패턴도.
제8도는 다수의 암을 갖는 스프링클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레이 패턴에서 변화를 보인 장방형 좌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분분산장치 22 : 주파이프
24 : 분산헤드 34 : 분산노즐
36 : 충격피이더 40 : 투사판
46 : 스프링 50 : 노즐하우징
56 : 캠운동면 58 : 지지부재
60 : 고정스크류 64 : 제어암
66 : 캠피동차단부 80 : 축
82 : 통로 114 : 취부스파이크
116 : 취부부재소켓트 118 : 분산암
124 : 중앙컬럼 126 : 캠피동차단부
128 : 캠운동면 130 : 스크류
132 : 지지판 134, 136 : 암
137 : 스프링 140 : 통로
145 : 통로 150 : 캠운동면
152 : 스크류 154 : 지지판
본 발명은 물분산장치, 특히 잔디받에 물을 뿌리는 스프링 클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클러에 있어서는 물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물을 보내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오랫동안 문제되어 왔다. 거의 모든 스프링 클러 또는 물분산 또는 분배장치는 분산헤드가 스프링클러의 충격력하에 진동하거나 물이 분산되는 반작용하에 단순히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작동한다. 분산장치의 분산형태는 원형인 반면에 물의 분산을 필요로 하는 경계영역은 원형이 아니므로 물을 필요로 하는 영역까지 물을 분산하기 위하여 이러한 물의 분산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까지 다량의 물을 분산할 필요가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물을 필요로 하는 모든 영역보다 적은 물의 분산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으며 용이하게 물이 분산될 수 없는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흡수대 또는 다른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원예가 또는 잔디밭유지에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들을 괴롭혀 왔다. 종래 원형의 분산형태로부터 물의 분산형태를 변환시킬 수 있는 몇종류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 몇가지의 예가 다음 미국특허에 나타나 있다.
미국특허 제 1, 593, 918호(Stanton), 제 2, 421, 551호(Dunhem), 제 2, 565, 926호(Manning), 제 2, 582, 168호(Porter), 제 2, 962, 220호(Woods), 제 2, 999, 645호(Kennedy), 제 3, 033, 469호(Green), 제 3, 070, 314호(Warren), 제 3, 070, 315호(Landry), 제 3, 081, 039호(Kennedy), 제 3, 082, 958호(Thomes), 제 3, 204, 874호(Senninger), 제 3, 606, 163호(Lewis) 및 제 4, 277, 029호(Rabitsch).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에 기술된 일부 스프링 클러는 물의 분산이 정사각, 직사각 또는 기수형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캠운동면을 갖는다(예를 들어 Stanton, Manning 및 Porter의 특허). 그러나 이들 문헌중에서는 물의 분사각도를 변화시켜 정사각, 직사각 또는 기수형의 분산영역을 이루도록 캠운동면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또한 이들 인용 문헌중에는 물의 분사각도와 함께 작용하여 노즐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므로서 분사암이 하우징내에 회전적으로 조절되어 분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갖는 것이 없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새롭고 개선된 물분산장치가 제공된다. 이 물분산장치는 노즐,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와 같은 수단, 노즐의 회전축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캠운동면, 이 동심원상의 캠운동면에 근접하여 배치된 노즐로부터 연장된 지지면, 이 지지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캠운동면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캠운동면에 접하는 고정나사나 손잡이 나사 같은 캠고정수단과, 일측단부가 상기 캠운동면에 접촉하고 타측단부는 분사노즐에 접촉하여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인 높이가 고정되는 캠운동면에 따라서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분사패턴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암 같은 캠종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캠운동면의 변화에 따라서 작동하는 밸브암 조립체내의 직사각형 통로를 사용하는 것같은 밸브수단은 캠운동면에 의하여 고정된 패턴으로 분산되는 물의 양을 변화시킨다.
진동형의 스프링클러에 적용될때에 캠종동수단이나 하강암은 투사판상에 배치되고 캠운동면 둘레를 회전하며, 하강암은 캠운동면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캠고정수단이나 고정나사에 의하여 사전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분산되는 물의 패턴을 제한할 수 있다.
물분산장치의 기부를 고정된 자세로 특별히 취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므로서 장치를 옮겨놓을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대가 갖춰져서 사전에 결정된 분사패턴이 옮겨지거나 다시 설치된 스프링클러 또는 물분산장치에 적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노즐의 통로에는 회전하는 밸브암 조립체 같은 밸브수단이 제공되어 캠운동면의 위치 선정에 대하여 작동하게 되므로서 물의 흐름범위가 감소될때에 유수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회전형 스프링클러에 있어서는 캠종동자가 스프링클러의 암(arm)으로부터 연장되어 이 암이 회전할때에 캠운동면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목적은 물의 분사 또는 분산형태, 즉 패턴이 변화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패턴이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패턴이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패턴이 정확히 결정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사패턴이 360°전체 또는 어느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의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가능한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구조가 요구되지 않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사용중인 스프링클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곤란없이 분해결합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상 동일위치에 놓아두어 동일한 분사 또는 분사패턴을 얻을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히 조절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하는데 다른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된 상태가 용이하게 바꾸어지지 않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재료로 제작되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특별한 하우징을 필요로하지 아니하고 항상 유지보수를 위하여 외부로 보일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또는 저속, 또는 압력회전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적당한 분사패턴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회전하는 분산암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공급입력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사전에 결정되고 정확한 패턴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암에서 독립된 분사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 패턴의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각 암에 대하여 흐름패턴을 갖는 다수의 암을 갖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와 제어고정장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흐름의 범위에 대하여 물의 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산패턴에 대하여 유속을 조절하도록 조절가능한 분산패턴에 따른 회전하는 밸브암 조립체 같은 밸브 수단이 결합된 물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a도, 제5b도, 제5c도, 제5aa도, 제5b도, 및 제5cc도는 하나이상의 연속회전하는 분산암으로부터 물을 분산하기 위하여 터어빈형태의 물분산헤드가 사용되었다. 이들 모든 도면에서, 기부(120)는 물공급판(122)을 가지며 물은 중앙컬럼(124)을 통하여 상승된 다음 분산암(118)으로 보내어진다. 각 분산암(118)은 편심되게 위치하는 캠피동차단부(126)을 갖는다. 이 캠피동차단부(126)은 각 암(118)으로부터 외향되게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컬럼(124)의 둘레에 착설된 캠은 동면(128)과 접촉한다. 캠운동면(128)은 지지판(132)에 나착된 스크류(130)에 의하여 위치가 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고정스크류(130), 즉 캠고정수단을 내측, 즉 상측으로 나회시킴으로서 캠운동면(128)의 높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클러암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분산노즐(34)을 떠나는 물이 크게 편향되어 분산범위가 축소된다. 제1도와 제2도는 여기에서 캠은 동면(150)은 지지판(154)에 나착된 스크류(152)에 의하여 캠고정메카니즘에 나착결합된다. 그러나 와샤(98)가 가요성 캠운동면(150)의 하측위치에 나착되어 있다. 투사판의 캠종동단부(156)는 특수한 캠종동부재(98)를 포함하도록 수정되어 있으며, 이 캠종동부재(98)는 캠종동단부(156)의 단부에서 후크(100)에 삽입되어, 캠운동면(150)는 제5도의 실시형태에서 상향으로 압압되었던 대신에 하측하는 압압된다.
이와 같이 캠운동면(150)과 캠종동단부(156)사이에서 캠운동면(150)은 연장된 범위로 하향력을 가하고 투사판이 최대범위의 투사를 위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실제로 분산헤드가 캠운동면(150)에서 회전할때에 항상 캠운동면(150)과 캠종동단부(156)사이에 접하므로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캠운동이 이루어진다.
제3도는 캠운동면(150)이 조절될 수 있는가를 보인 것이다. 지지판(160)은 환상견부(102)를 가지며, 경사진 포인트(162)를 갖는 스크류(104)가 수평위치에 나삽되어 있다. 스크류(104)를 내측으로 연장되게 하면 캠운동면(158)은 상승하게 될 것이다. 다시 스크류(104)를 뽑으면 캠운동면(158)은 하강하게 될 것이다.
제4도는 캠고정수단이 스크류(108)의 회전으로 캠플레이트(164)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스크류(108)의 단부에 편심돌기(106)가 끼워 맞춰지는 것을 도시하는 것이다. 제4도에서 보인 장치는 캠플레이트(164)의 고정이 매우 신속하고 감각적인 잇점이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은 형태의 회전형 스프링클러는 비교적 고속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비록 이 장치가 동일한 결과로 저속저압에서 작동될 수 있으나 각 암에 착설될 편심 캠피동차단부은 캠운동면(128)의 고정상태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캠운동면(128)의 고정에 따라서 중앙의 회전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분산암(118)이 승강하게 된다. 제5b도와 제5b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물은 중앙컬럼(124)으로부터 공급관 및 하우징의 리셉터클네의 밸브포트(140)을 통하여 분산암(118)의 단부로 공급된다.
제6a도는 회전하는 스프링클러의 암(118)을 캠운동면(128)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것이다. 연결수단은 두암(134)(136)으로 구성되며 이중 한암(134)은 스프링클러의 분산암(118)에 견고히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암(136)은 고정된 암(13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캠운동면(128)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활동토록 하향되어 있다. 하향연결된 암(136)과 스프링클러의 암(118)에 연결된 고정암(134) 사이에서 스프링(137)이 연결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캠운동면(128)에 캠피동차단부(126)가 접할 수 있도록 고정된 암(134)이 정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손잡이 나사와 날개너트 배열(141)는 분사암(118)으로부터 나오는 분사문양을 변화시키고 분사암(118)에 갖춰진 다른 유압을 보상하도록 캠동종(134, 136)의 길이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제5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캠운동면(128)의 외측변부는 하향된 암(134)(136)에 접촉하여 암이 수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직으로 하향 배설된 암(134)(136)이 캠운동면(128)의 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될때에 수직의 암(136)에 연결된 스프링은 캠운동면에 대하여 분산암(118)에 고정된 암(134)이 회전토록하여 분산암(118)이 상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제5aa도와 제5b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5a도의 하암(136)은 없어도 되며 암(134)은 스프링(184)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캠운동면(128)과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스프링(184)은 암(118)의 하측부와 중앙컬럼(124)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재(186)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184)은 캠종동자가 캠운동면(128)과 접촉이 유지되게 하는 반면에 캠운동면이 회전할때에 캠운동에 따라 암(118)이 승강토록 한다.
또한 분산암(118)이 하향된 위치에 있을 때에 분산암(118)으로 물의 흐름량이 비례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는 제5c도에 도시되어 있다. 삼각형의 통로(140)가 분산암(118)을 위하여 삽입체(143)에 형성되어 있다. 암(118)의 사각형통로(145)가 삼각형통로(140)에 대하여 회전하므로서 통로이 면적이 줄어들어 유수량이 감소될 것이다. 제5aa도와 제5b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암(118)은 고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 암(118)에 나합되고 중앙컬럼(124)에 접하여 있는 고정너트(188)에 의하여 일정한 단면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암을 고정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고정너트(118)가 칼럼(124)에 접할때까지 중앙컬럼(124)을 향하여 나삽하므로서 암(118)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5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앙 컬럼(124)에 연결된 각암은 연결수단(144)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 부재를 갖는다. 암(142)의 외측부는 카플링(144)에 대하여 고정된 암(142)의 각도를 고정키 위하여 카플링(144)을 통하여 연장된 고정스크류(146)에 의하여 연결수단(144)에 고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유사하게 연결수단(144)자체는 연결수단(144)의 제2고정스크류(148)에 의하여 내측암(149)의 각도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암(118)과 삽입체(143)내의 삼각통로(140)의 회전위치에 빠른 밸브위치가 설정되고 암(118)의 노즐단부와 하우징 사이의 정당한 각도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 즉 컬럼의 회전위치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하향된 제어암(134)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연결수단(144)으로부터의 암(134)의 길이는 암(64)을 위한 고정스크류와 다소 유사한 스크류(141)에 의하여 제어되고 조절되며, 여기에서, 스크류는 암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이상의 암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암의 길이는 각 암에 대하여 조절되어 암의 각도는 각 암의 고정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련의 동심원상인 분산패턴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러암(118)중의 하나는 캠운동면(126)으로부터 단순히 암(134)(136)을 제거하여 순산한 원형패턴을 얻을 수 있도록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암은 장방형 또는 사각패턴을 형성하는 반면 다른 암은 완전한 원형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6도 및 제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부가 잘려 나가거나 장방형을 이루는 패턴은 내측암(149)에 대하여 외측암(142)의 적당한 고정과 밸브역할을 하는 통로(140)(145)에 대한 내측암(149)의 설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주어진 캠동종표면(126)의 설정시 중앙컬럼(124)으로부터의 물은 내측암(149)과 중앙컬럼(124)사이의 밸브장치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로부터 분사범위를 조절하도록 투사판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독특한 장치와 조합하여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부품이 사용되었다. 정교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정밀한 가공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용된 부품은 규격품이거나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품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복잡한 고정과정을 필요로 하거나 정확한 조절을 위하여 지나치게 감각적일 필요는 없다. 가요성의 캠운동부품은 내구성이 있으며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유연성의 것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재료중의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품을 감싸주는 특수한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된다.
또한 장치가 적당한 분사패턴을 위하여 조절될때에 그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적인 급수로 잔디가 풍성하게 성장되어 이를 정규적으로 깎아주게 되는 경우 잔디밭에서 잔디를 깎는데 장애를 주지 않도록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사패턴을 얻을 수 있으며 사전에 선택된 패턴으로 정확히 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가시켜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지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취부장치 또는 외부설치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지면으로부터 낮게 착설된 "지하스프링클러"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캠운동면이 지지판의 상부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와 제4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지나친 크기의 간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암(118)의 단부에 방출구멍을 갖는 하우징으로부터 뻗어가는 최소한 하나의 방사상으로 유도된 분배 분사암(118)을 갖는 하우징(143), 암(118)의 길이의 최소한 한 부분을 위해 세로축을 따라 회전하는 하우징에 장착된 분사암(118) : 분배분사암(118)에 물을 보내는 물파이프(122) ; 분배분사암(118)의 회전축에 관해 배치된 캠운동면(128, 150, 158, 164) ; 캠운동면(128, 150, 158, 164)에 동축이며 가깝게 배치되고 분사헤드를 둘러싸는 지지판(132, 154, 160) ; 캠운동면(128, 150, 158, 164)의 모양을 변화시키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를 연결하고 지지판(132, 154, 160)으로 지지되는 캠고정조립체(130, 104, 108, 152) ; 캠고정조립체(130, 104, 108, 152)로 모양잡힌 캠운동면(128, 150, 158, 164)의 모양에 따라 분배분사암(118)로부터 나오는 분사패턴을 변화시키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를 한단부에서 접촉하는 분배분사암(118)에 연결된 캠피동차(134, 136)을 구성하는 물분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분배분사암(118)까지 유체흐름을 제한하는 밸브배열(140, 145) ; 분배분사암(118)의 위치에 관해 분배분사암(118)까지 유체 흐름을 제한하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에 관해 분배분사암의 각 위치에 따라 밸브배열(140, 145)를 제어하는 제어조립체를 구성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조립체가 캠피동차(134, 136)의 위치에 의해 유체흐름을 비율적으로 제어하도록 밸브배열(140, 145)과 캠피동차(134, 136)사이에 회전 분배분사암(118)을 구성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배분사암(118)으로부터 나오는 분사패턴을 변화시키도록 분배분사암에 있게되는 다른 유압을 보상하도록 캠피동차(134, 136)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손잡이 나사와 날개너트배열(141)을 구성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분배분사암(118)이 분배분사암(118)을 떠나는 물의 제트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충격으로 회전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분배분사암(118)까지 유체흐름을 제한하는 밸브배열(140, 145)가 회전하우징(143)내에 통로(140)와 분배분사암내로 통로(145)를 구성하고 회전하우징(143)내의 통로(140)은 유체흐름을 제한하도록 암통로(145)와 하우징통로(40)와의 조절을 변화시키도록 분배분사암(118)내의 통로(145)와 협동동관계에 있는 장치.
  7. 탄성적인 캠운동면(128, 150, 158, 164) : 지지판(132, 154, 160) ; 지지판(132, 154, 160)에 관해 탄성적인 캠운동면(128, 150, 158, 164)의 높이를 조절하는 캠고정조립체(130, 104, 108, 152) ; 지지판(132, 154, 160)과 탄성적인 캠운동면(128, 150, 158, 164)에 관해 회전운동하도록 장착된 회전하우징(143) ; 암(118)의 단부에 방출구멍을 갖는 회전하우징(143)으로부터 뻗어가고, 암(118)의 길이의 한부분을 위해 세로축을 따라 회전하는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최소한 하나의 방사상으로 유도된 분배분사암(118) ; 회전하우징의 중앙축에 관해 분배분사암(118)의 각을 조절하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와 접촉하도록 밑으로 뻗어가는 캠피동차(134, 136) ; 분배분사암(118)이 캠운동면(128, 150, 158, 164)의 높이에 따라 회전할때 분배분사암(118)의 각을 변화시키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와 작동적으로 정합하도록 분배분사암(118)의 캠피동차(134, 136)을 강제하는 스프링 조립체(137)을 구성하는 물분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하우징(143)이 분배분사암(118)로부터 방출되는 물흐름으로 작동되는 충격수단으로 작동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지지판(132, 154, 160)에 관해 캠운동면(128, 150, 158, 164)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캠피동차(134, 136)과 접촉하면서 캠운동면(128, 150, 158, 164)가 변형되지 않도록 캠운동면(128, 150, 158, 164)과 접촉하고 지지판(132, 154, 160)안으로 나사가 죄어지는 다수의 다수(130)를 구성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캠운동면(128, 150, 158, 164)와 접촉하는 분배분사암의 캠피동차(134, 136)을 바이어스(bias)시키는 스프링조립체(137)을 구성하는 장치.
KR1019920001863A 1983-12-02 1992-02-10 물분산장치 KR92000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863A KR920002907B1 (ko) 1983-12-02 1992-02-10 물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773483A 1983-12-02 1983-12-02
US557.734 1983-12-02
KR1019840007587A KR920002906B1 (ko) 1983-12-02 1984-12-01 물분산장치
KR1019920001863A KR920002907B1 (ko) 1983-12-02 1992-02-10 물분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587A Division KR920002906B1 (ko) 1983-12-02 1984-12-01 물분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907B1 true KR920002907B1 (ko) 1992-04-10

Family

ID=2662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863A KR920002907B1 (ko) 1983-12-02 1992-02-10 물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9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2864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for rotary sprinkler
KR920002906B1 (ko) 물분산장치
US8602325B2 (en) Hydraulically actuated sprinkler nozzle cover
US5765757A (en) Quick select nozzle system
US5050800A (en) Full range sprinkler nozzle
US4819875A (en) Contour control device for rotary irrigation sprinklers
US6637672B2 (en) Flow volume adjustment device for irrigation sprinkler heads
CA1066744A (en) Fluid spray head and method adapted to spray specific pattern
US8893986B2 (en) Spray nozzle with adjustable arc spray elevation angle and flow
US20060049275A1 (en) Nozzle base clutch
US5730366A (en) Oscillating, transverse-axis water sprinkler with see-saw spray arm and twist-positionable nozzles
US3391868A (en) Rotary sprinkler with variable range
US4971256A (en) Sprinkler device
US2739839A (en) Sprinkling device
US4773594A (en) Controlled pattern wobbling sprinkler
KR920002907B1 (ko) 물분산장치
US4453673A (en) Range-controlled rotary sprinkler
US6834814B1 (en) Adjustable pattern irrigation system
US4462545A (en) Sprinkler device
US5209404A (en) Speed adjustment device for a splatter arm in a garden sprinkler
CN112354640B (zh) 新型农业节水灌溉设备及节水灌溉方法
US3702173A (en) Sprinkler head
KR850000515Y1 (ko) 스프링 쿨러
US5213261A (en) Rotary sprinkler
US4545532A (en) Adjustable oscillating fan-jet sprink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