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877Y1 -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 Google Patents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877Y1
KR920002877Y1 KR2019890012987U KR890012987U KR920002877Y1 KR 920002877 Y1 KR920002877 Y1 KR 920002877Y1 KR 2019890012987 U KR2019890012987 U KR 2019890012987U KR 890012987 U KR890012987 U KR 890012987U KR 920002877 Y1 KR920002877 Y1 KR 920002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ape
mode
vhs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9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06297U (en
Inventor
박종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2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877Y1/en
Publication of KR910006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9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87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테이프 자동 이젝트 회로Tape auto eject circuit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1 is a conventional circuit diagram.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모드선택신호 발생수단 20 : 테이프센싱수단10: mod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20: tape sensing means

30 : 버퍼링수단 40 : 모드신호 발생수단30: buffering means 40: mode signal generating means

50 : 모드표시수단 60 : 수동이젝트신호 발생수단50: mode display means 60: manual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70 : 자동이젝트신호 발생수단 80 : 시스템 콘트롤러70: automatic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80: system controller

본 고안은 브이 에치 에스(VHS) 및 에스 브이에치에스(S-VHS)의 테이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Video Tape Recorder : VT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삽입한 테이프의 종류와 작동모드가 일치하는가를 감별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을시는 그를 표시함과 동시 자동으로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ape Recorder (VTR) that allows the use of both VHS and S-VHS tapes. It is about the circuit that discriminates the type and the operation mode and indicates when it does not match and ejects the inserted tape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VTR의 기록 및 재생 방식에는 VHS방식과 S-VHS방식이 있고 각 방식에는 각각의 전용 테이프들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re are VHS and S-VHS method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TRs, and respective dedicated tapes are used.

그리고 최근의 VTR에는 S-VHS방식과 VHS방식의 수행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더 나아가 VHS테이프에 S-VHS방식으로 신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Recently, the VT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VHS method and the VHS method in parallel, and further, a function of recording a signal on the VHS tape by the S-VHS method is added.

그런데 상기에서 호환을 갖는 VTR이라 할지라도 S-VHS테이프에 VHS방식으로의 녹화는 가능하나 VHS테이프에 S-VHS방식으로의 녹화는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VHS방식과 S-VHS방식의 호환성을 갖는 VTR에는 테이프삽입시 그 삽입된 테이프로 녹화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해 삽입된 테이프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회로가 부가되어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compatible VTR, the recording of the S-VHS tape by the VHS method is possible, but the recording of the VHS tape by the S-VHS method is not possible. A VTR having a determination circuit is added with a discriminating circuit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the inserted tape so as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it can record with the inserted tape when the tape is inserted.

제1도는 상기 테이프 판별회로의 한 예인데, 이의 동작상태를 간단히 설명한다.1 i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tape discrimination circuit, which briefly describes its operation state.

스위치 SW1는 운용자에 의해 전환되는 것으로서 S-VHS모드시는 하이논리 상태를 논리곱소자 G1의 한쪽 단자에 공급하고, VHS모드시는 로우논리 상태를 상기 논리곱소자 G1의 한쪽 단자에 공급한다.The switch SW1 is switched by the operator, and supplies the high logic state to one terminal of the logical AND element G1 in the S-VHS mode, and the low logic state to one terminal of the logical AND element G1 in the VHS mode.

그리고 스위치 SW2는 삽입된 테이프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VHS테이프일 경우에는 온되고 S-VHS테이프가 삽입된 경우에는 오프된다.The switch SW2 is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inserted tape. The switch SW2 is turned on when the VHS tape is inserted and turned off when the S-VHS tape is inserted.

또한 트랜지스터 Q1 및 4개의 저항 R1-R4으로 이루어진 부분은 일종의 반전회로로서 상기 스위치 SW2가 온되었을 경우는 로우논리 상태를 반전소자 I1에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 SW2가 오프되었을 경우에는 로우논리 상태를 상기 반전소자 I1에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rtion consisting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four resistors R1-R4 is a kind of inverting circuit. When the switch SW2 is on, the low logic state is supplied to the inverting element I1, and when the switch SW2 is off, the low logic state is described. Supply to inverting element I1.

그리고 상기 반전소자 I1는 입력된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한다.The inversion element I1 inverts and outputs the input signal.

상기 논리곱소자 G1는 상기 반전소자 I1의 출력과 상기 스위치 SW1의 출력이 모두 하이논리 상태일 경우, 하이논리 상태의 출력을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 공급하는데,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Q1는 발광소자 LED를 점등시킨다.When the output of the inverting element I1 and the output of the switch SW1 are both high logic states, the AND logic device G1 supplies a high logic state output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where the transistor Q1 turns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Let's do it.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 LED는 상기 스위치 SW1가 S-VHS모드 상태이고 S-VHS테이프가 삽입된 경우에만 점등된다.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is turned on only when the switch SW1 is in the S-VHS mode and the S-VHS tape is insert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테이프 판별회로를 구비한 VTR에 있어서 VHS모드일때 S-VHS테이프가 삽입될 경우에는 호환성이 있어 별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반대로 S-VHS모드인 상태에서 VHS테이프가 삽입될 경우는 녹화가 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이를 표시하여 주는 기능이 없어 이 경우 운용자는 VTR이 오동작 한 경우로 오판하게 되고 무리한 동작수행을 강행할 우려가 있어 VTR이 파손될 위험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S-VHS tape is inserted in the VHS mode in the VTR provided with the tape discrimination circui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a problem because it is compatible. In contrast, when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the record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here is no function to indicate this, and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misjudge it as a malfunction of the VTR,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VTR may be damaged due to the risk of forcibly performing the opera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삽입된 테이프가 작동모드에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자동으로 상기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 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capable of automatically ejecting the inserted tape when the inserted tape does not match the operation mode.

브이에치에스(VHS)모드와 에스브이에치에스(S-VHS)모드에 대응된 소정 모드선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모드선택 신호발생수단(10)과, 삽입되는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하여 스위칭 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된 소정 테이프 종류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테이프 센싱수단(20)과, 상기 테이프 센싱수단(20)의 출력을 증폭하고 정형하는 버퍼링 수단(30)과,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받고 이들을 논리곱하여 소정 모드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모드 신호발생수단(40)과, 상기 모드신호를 받아 그에 대응된 모드 상태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모드표시수단(5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이젝트 신호를 발생하는 수동 이젝트 신호발생수단(60)과,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의 반전신호 및 소정 녹화신호를 받고 이들의 논리곱에 대응된 소정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발생출력하는 자동 이젝트 신호발생수단(70)과, 상기 녹화신호를 발생출력하며 수동 이젝트신호 또는 상기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받아 이젝트 신호를 발생 출력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콘트롤러(80)로 구성한다.A mod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1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mod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HS mode and the S-VHS mode, and switch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ape to be inserted. The tape sensing means 2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tape typ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ape, a buffering means 30 for amplifying and shaping the output of the tape sensing means 20,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A mode signal generating means 40 for receiving a tape type signal and logically multiplying the same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mode signal; a mode display means 50 for receiving the mode signal and displaying a mode state corresponding thereto in a visible state; Passive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60 for generating a manual ejec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nd receiving an inverted signal of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tape type signal and a predetermined recording signal, and logical multiplication thereof. An automatic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7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predetermined automatic eject signal;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recording signal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a manual eject signal or the automatic eject signal to generate an eject signal. It consists of a system controller 80 to enable the eject.

이하 상기한 구성과 첨부한 제2도를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accompanying FIG. 2.

모드선택 신호발생수단(10)은 스위치 SW2와 저항 R7으로 실시하였는데, 상기 스위치 SW2와 저항 R7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SW2의 잔여단은 접지되어 있다.The mod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10 is implemented by a switch SW2 and a resistor R7. The switch SW2 and the resistor R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maining end of the switch SW2 is grounded.

그리고 상기 저항 R7의 잔여단은 공급전원단 VCC에 연결되어 있다.The remaining end of the resistor R7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wer supply terminal VCC.

만일 상기 스위치 SW2가 접지단으로 스위칭된 상태라면 상기 스위치 SW2의 출력은 로우 상태를 갖는데, 이는 VHS모드와 대응된다.If the switch SW2 is switched to the ground terminal, the output of the switch SW2 has a low state, which corresponds to the VHS mode.

또한 상기 스위치 SW2가 스위칭하여 저항 R7과 접속된 상태라면 상기 스위치 SW2의 출력은 하이 상태를 갖는데, 이는 S-VHS모드와 대응된다.In addition, if the switch SW2 is switched and connected to the resistor R7, the output of the switch SW2 has a high state, which corresponds to the S-VHS mode.

그리고 상기 스위치 SW2의 출력은 모드선택 신호이다.The output of the switch SW2 is a mode selection signal.

따라서 상기 모드선택 신호는 VHS모드시는 로우 상태를 갖고 S-VHS모드시는 하이상태를 갖는다.Therefore, the mode selection signal has a low state in the VHS mode and a high state in the S-VHS mode.

테이프 센싱수단(20)은 스위치 SW1로 실시하였는데, 이는 삽입된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하여 스위칭하도록 하였다.The tape sensing means 20 was implemented with a switch SW1, which switches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tape inserted.

즉, 삽입된 테이프가 VHS용의 테이프일시는 스위칭 온하고 삽입된 테이프가 S-VHS용 일시는 스위칭 오프하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the inserted tape was switched on for the VHS tape and the inserted tape was switched off for the S-VHS.

상기 스위치 SW1의 일단은 접지되어 있는데, 이로써 상기 스위치 SW1이 스위칭 온하게 되면 타단은 로우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곳의 출력이 상기 테이프 센싱수단(20)의 출력이 된다.One end of the switch SW1 is grounded. When the switch SW1 is switched on, the other end outputs a low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switch SW1 becomes the output of the tape sensing means 20.

상기 스위치 SW1의 출력은 테이프 종류 신호이다.The output of the switch SW1 is a tape type signal.

버퍼링수단(30)은 트랜지스터 Q1과 저항 R1-R5 및 인버터 DT1으로 실시하였는데, 상기 트랜지스터 Q1과 상기 저항 R1-R4는 반전 증폭회로를 형성하고 있다.The buffering means 30 was implemented with the transistor Q1, the resistors R1-R5 and the inverter DT1. The transistor Q1 and the resistors R1-R4 form an inverting amplifier circuit.

상기 저항 R5은 공급전원단 VCC와 접속하여 상기 인버터 DT1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resistor R5 is connected to a supply power supply terminal VCC to supply power to the inverter DT1.

상기 반전 증폭회로의 출력은 상기 인버터 DT1에 입력되고 상기 인버터 DT1은 그를 다시 인버팅한다.The output of the inverting amplifier circuit is input to the inverter DT1 and the inverter DT1 inverts it again.

상기 반전 증폭회로의 신호결합용 저항 R1은 상기 스위치 SW1의 출력단과 접속되는데, 이로써 상기 반전 증폭회로는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받아 반전 증폭한다.The signal coupling resistor R1 of the inverting amplifie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SW1, whereby the inverting amplifier circuit receives the tape type signal and inverts and amplifies it.

따라서 상기 버퍼링수단(30)은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받을때 소정 레벨로 반전 증폭한후 다시 반전시킴으로써 파형을 증폭하고 정형하여 출력한다.Therefore, the buffering means 30 amplifies, shapes, and outputs the waveform by inverting and inverting th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when receiving the tape type signal.

수동 이젝트 신호 발생수단(60)은 전원 공급단 VCC에 접속된 저항 R8과, 이 저항 R8과 접속된 푸쉬 오프 스위치 SW3로 실시하였고 상기 푸쉬 오프 스위치 SW3의 일단에서 수동 이젝트 신호가 출력된다.The passive ej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60 is implemented by the resistor R8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the push-off switch SW3 connected to the resistor R8, and the passive ejection signal is output from one end of the push-off switch SW3.

평상시 상기 스위치 SW3는 스위칭 온한 상태이므로 상기 푸쉬 오프스위치 SW3의 끝단에는 항시 공급전원단 VCC가 나타난다.Since the switch SW3 is normally switched on,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lways appears at the end of the push-off switch SW3.

상기 수동 이젝트 신호는 상기 푸쉬 오프 스위치 SW3가 오프되면 발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삽입된 테이프를 강제로 이젝트하고자 상기 푸쉬 오프 스위치 SW3를 강제로 누를때 상기 푸쉬 오프 스위치 SW3의 끝단에서 발생한다.The manual ejec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push-off switch SW3 is turned off, and is generated at the end of the push-off switch SW3 when the user forcibly presses the push-off switch SW3 to forcibly eject the inserted tape.

모드신호 발생수단(40)은 S-VHS모드에서 S-VHS테이프가 삽입될시 그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엔드게이트 G1와 트랜지스터 S2 및 저항 R6으로 실현하였는데, S-VHS모드 상태에서 S-VHS테이프가 삽입되면 소정 모드신호를 출력한다.The mode signal generating means 40 is for recognizing when the S-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and is realized by the end gate G1, the transistor S2, and the resistor R6, and the S-VHS tape in the S-VHS mode. When is inserted, a predetermined mode signal is output.

상기 저항 R6은 상기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와 공급전원 VCC간에 접속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2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The resistor R6 is connected between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supply power supply VCC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transistor Q2.

상기 게이트 G1는 상기 버퍼링수단(30)의 인버터 DT1의 출력신호와 상기 모드선택 신호발생수단(10)의 모드선택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단에 공급한다.The gate G1 multiplies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DT1 of the buffering means 30 by the mode selection signal of the mod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10 and supplies it to the base end of the transistor Q2.

이로써 상기 트랜지스터 Q2는 모드신호를 출력한다.As a result, the transistor Q2 outputs a mode signal.

모드표시수단(50)은 발광소자 LED로 실시하였는데, 상기 모드신호발생수단(40)이 발생한 모드신호를 받아 S-VHS 모드시에 S-VHS테이프가 입력되었음을 표시한다.The mode display means 50 is implemented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LED, and indicates that the S-VHS tape is input in the S-VHS mode by receiving the mode signal generated by the mode signal generating means 40.

자동 이젝트 신호발생수단(70)은 S-VHS모드 상태에서 VHS 테이프가 삽입된후 레코드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상기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하기 위해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 G2-G3와 캐패시터 C1와 저항 R9-R11 및 트랜지스터 Q3로 실현하였다.The automatic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70 is for generating an automatic eject signal for automatically ejecting the inserted tape when a record signal occurs after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and the gate G2-G3. And capacitor C1, resistors R9-R11, and transistor Q3.

상기 게이트 G3는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상기 버퍼링된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받을때, 먼저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반전한후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논리곱함으로서 S-VHS모드 상태에서 VHS테이프가 삽입된 상태일때 그를 센싱하고 하이의 논리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gate G3 receives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buffered tape type signal, the gate type signal is first inverted and then logically multiplied with the mode selection signal to sense the VHS tape when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Outputs a logic signal of high.

상기 게이트 G2는 상기 게이트 G3의 출력과 시스템 콘트롤러(80)에서 출력하는 레코드 신호를 논리곱함으로서, S-VHS모드 상태에서 VHS테이프가 삽입되고 동시에 레코드 신호가 발생할때 그를 센싱하고 하이의 논리신호를 생성 출력한다.The gate G2 logically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gate G3 by the record signal output from the system controller 80, so that when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and the record signal is generated, the gate G2 senses the high logic signal. Generate output.

따라서 상기 게이트 G2의 하이 출력은 S-VHS모드 상태에서 VHS 테이프가 삽입되고 동시에 레코드 신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Therefore, the high output of the gate G2 indicates that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and the record signal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게이트 G2의 출력은 캐패시터 C1과 저항 R10을 경유하면서 미분된 후 저항 R9을 경유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gate G2 is differenti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apacitor C1 and the resistor R10 and then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3 via the resistor R9.

상기 게이트 G2의 출력은 미분되면서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되는 시점에서 펄스성의 하이신호가 발생되는데, 바로 이 펄스의 상한값이 상기 트랜지스터 Q3의 바이어스 레벨을 넘는 구간동안 상기 트랜지스터 Q3를 턴온시킨다.A pulsed high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output of the gate G2 is differentiated from low to high, and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during an interval in which the upper limit of the pulse exceeds the bias level of the transistor Q3.

결국 상기 게이트 G2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하게 되면 소정 기간동안 상기 트랜지스터 Q3는 턴온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output of the gate G2 transitions from low to high,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단은 상기 푸쉬 온 스위치 SW3의 끝단에 연결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 Q3가 턴온하게 되면 상기 푸쉬 온 스위치 SW3의 끝단은 상기 푸쉬 스위치 SW3가 푸쉬될때와 같이 로우상태로 된다.The collector end of the transistor Q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ush-on switch SW3. When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the end of the push-on switch SW3 becomes low as the push switch SW3 is pushed.

그리고 이때 발생한 로우신호는 자동 이젝트 신호이다.The low signal generated at this time is an auto eject signal.

시스템 콘트롤러(80)는 VTR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과 관련해서는 레코드 신호를 필요에 따라 소정 레코드 신호출력단 R0으로 출력하고, 소정 데이타 입력단 DI로 상기 수동 이젝트신호 또는 상기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받으면 소정 이젝트 신호출력단 EJ0으로 소정 이젝트 신호를 출력한다.The system controller 80 controls the VTR as a whol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 signal is output to the predetermined record signal output terminal R0 as needed, and when the manual eject signal or the automatic eject signal is received by the predetermined data input terminal DI, A predetermined eject signal is output to the eject signal output terminal EJ0.

이상에서 실시된 것은 단지 하나의 실시에에 불과하지 결코 이로써만 본 고안의 실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 is only one implementation, bu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은 삽입된 테이프의 종류를 센싱하고, 만일 그것이 S-VHS 모드인 상태에서 삽입된 VHS테이프로 판별되면 자동으로 이젝트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상기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하도록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type of tape inserted,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inserted VHS tape in the S-VHS mode, it automatically generates an eject signal to automatically eject the inserted tape.

그리고 이로써 본 고안은 S-VHS모드상태에서 VHS테이프가 삽입된 경우 사용자에게 에러를 표시할 수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n error to the user when the VHS tape is inserted in the S-VHS mode.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무리하게 세트에 힘을 가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게 테이프의 종류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forcibly applying force to the set, an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d use the type of tape more accurately.

Claims (1)

VTR시스템의 테이프의 이젝트 회로에 있어서, 브이에치에스(VHS)모드와 에스브이에치에스(S-VHS)모드에 대응된 소정 모드선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모드선택 신호발생수단(10)과, 삽입되는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하여 스위칭 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류에 대응된 소정 테이프 종류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테이프 센싱수단(20)과, 상기 테이프 센싱수단(20)의 출력을 증폭하고 정형하는 버퍼링수단(30)과,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를 받고 이들을 논리곱하여 소정 모드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신호발생수단(40)과, 상기 모드신호를 받아 그에 대응된 모드 상태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모드표시수단(5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이젝트 신호를 발생하는 수동 이젝트 신호발생수단(60)과, 상기 모드선택 신호와 상기 테이프 종류 신호의 반전신호 및 소정 녹화신호를 받고 이들의 논리곱에 대응된 소정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발생 출력하는 자동 이젝트 신호발생수단(70)과, 상기 녹화신호를 발생 출력하며 수동 이젝트신호 또는 상기 자동 이젝트 신호를 받아 이젝트 신호를 발생 출력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삽입된 테이프를 이젝트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콘트롤러(8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자동 이젝트 회로.In the eject circuit of the tape of the VTR system, the mod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1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mod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HS mode and the S-VHS mode; A tape sensing means 20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tape typ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ape by switching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ape to be inserted, and buffering means for amplifying and shaping the output of the tape sensing means 20 ( 30) a mode signal generating means 40 which receives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tape type signal and logically multiplies them to output a predetermined mode signal, and a mode which receives the mode signal and displays a mode state corresponding thereto in a visible state. A display means 50, a manual eject signal generating means 60 for generating a manual eject signal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and an inverted signal of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tape type signal An automatic ejection signal generating means (70)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recording signal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automatic ej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gical product thereof,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recording signal, and receiving a manual ejection signal or the automatic ejection signal to generate an ejection signal And a system controller (80)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ject the inserted tape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tape.
KR2019890012987U 1989-09-01 1989-09-01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KR9200028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987U KR920002877Y1 (en) 1989-09-01 1989-09-01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987U KR920002877Y1 (en) 1989-09-01 1989-09-01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97U KR910006297U (en) 1991-04-24
KR920002877Y1 true KR920002877Y1 (en) 1992-05-04

Family

ID=1928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987U KR920002877Y1 (en) 1989-09-01 1989-09-01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87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97U (en)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077A (en) Automatic power-saving circuit for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097461A (en) Synchronizing circuitry for the playback and recording units of a dubbing apparatus
KR920002877Y1 (en) Tape automatic eject circuit
US4636878A (en) Combined detector circuit for detecting a tape end or unrecorded area of a tape
US5323243A (en) Method for continuously recording on a selected tape in a double deck video cassette recorder
KR920006318B1 (en) Automatic searching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6023142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active mode activable by means of a drive motor
JPS58137158A (en) Erroneous erasure preventing device of tape recorder
KR900006359Y1 (en) Automatic regulating circuit of selection key for vcr
KR930000394Y1 (en) Auto ejecting circuit at power off
KR0174888B1 (en) Video cassette recorder
KR880000271Y1 (en) Video tape recorder without power key
KR870003693Y1 (en) Block signal recording and detecting apparatus of video tape recorder
KR0123305Y1 (en) A sensing device of reproducing cassette tape
US5010422A (en) Driving system for endless video tape by one-touch timer
KR920005104Y1 (en) Tape erasing circuit of audio
KR930008489Y1 (en) Counter auto-reset & memory control circuit
KR890004231Y1 (en) Automatic tape scanning circuit
JPH0143367B2 (en)
JP2943230B2 (en) Synchronous recording device
KR0128055B1 (en) Autometic sel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record player
JP2940770B2 (en) Magnetic playback device
KR910003394Y1 (en) Safety compensating circuit of cassette tape
KR940009466B1 (en) Video cassette tape player
KR910004636B1 (en) Vcr high-speed sear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