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05Y1 - 방향구 - Google Patents

방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05Y1
KR920002305Y1 KR2019890016603U KR890016603U KR920002305Y1 KR 920002305 Y1 KR920002305 Y1 KR 920002305Y1 KR 2019890016603 U KR2019890016603 U KR 2019890016603U KR 890016603 U KR890016603 U KR 890016603U KR 920002305 Y1 KR920002305 Y1 KR 92000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pin
container
harmony
od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53U (ko
Inventor
백태선
Original Assignee
백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태선 filed Critical 백태선
Priority to KR2019890016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305Y1/ko
Publication of KR910008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향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내지 제 5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 3 도는 조화에 사용한 상태도.
제 4 도는 인조목에 사용한 상태도.
제 5 도는 대중음식점에서 사용하는 탁상용 촛불에 사용한 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갑체 2 : 방향제
3 : 핀 4 : 구멍
5 : 조화
본 고안은 방향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합성수지 필름으로된 튜브형의 갑체내에 고체형의 방향재를 넣어 이를 밀봉하고, 그 하부에 갑체와 일체로 핀을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다른 방향구에 설치된 핀에 의해 방향구의 갑체를 뚫고, 이어서 핀을 이용하여 조화 혹은 생화, 인조목 등과 같은 물체에 고정되게 꽂음으로서 마치 조화에서 생화와 동일한 꽂향기가 나는것과 같은 느낌을 갖게하고, 또한 생화에 있어서는 그 생화와는 전혀 다른 꽂향기가 날수 있도록 하며, 만든나무(인조목)등에 있어서는 그 나무의 냄새 예를들어 만든 소나무의 경우 소나무 냄새기 날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식물의 냄새 혹은 그 식물과 전혀다른 냄새를 풍길수 있도록함에 주안점을 둔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방향재라 하면 일정한 형상의 용기에 넣어져 향기를 낼수 있도록 된것이 선례인 것으로, 본원 고안은 종래의 것과는 전혀 상이하게 사용될수 있도록 한 방향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토대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가 되는 갑체(1)를 합성수지 필름을 재질로 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둘글고 길게 형성하여 그 내측에 고체형의 방향재(2)를 넣어 밀봉하고, 상기한 갑체(1)의 일측부에 갑체(1)와 일체로 핀(3)을 설치하여 사용시 다른 방향구의 핀(3)에 의해 갑체(1)에 구멍(4)를 뚫어 방향재(3)의 향기가 방출이 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갑체(1)가 되는 필름의 색상은 그 대상물이 되는 꽂이나 나무의 색상과 동일하게 하므로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에 쉽게 띄지 않도록 색상을 부여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실제 사용, 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조화에 사용할 경우를 살펴보면,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꽂술부분(6), 혹은 가지와 꽂잎사이에 핀(3)을 이용하여 꽂으면 되는 것으로, 이때는 먼저 꽂고자 하는 방향구의 갑체(1)를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방향구에 설치된 핀(3)을 이용하여 적당하게 구멍을 낸후 조화(5)에 꽂으면 되는 것이다.
이때 향기가 많이나게 하고자 할 경우는 구멍(4)을 많이 뚫고 향기가 작게 나게하고자 할 경우 구멍(4)의 숫자를 줄이면 된다.
따라서 조화(5)에 꽂아진 방향구는 갑체(1)에 구멍(4)이 뚫려져 있으므로 갑체(1)내측에 수장되어 있던 고체형의 방향재(2)의 향기가 구멍(4)을 통해 외부(대기)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는 예를들어 조화(5)가 동백꽂일 경우 동백꽂 방향재가 내장된 방향구를 꽂아두면 비록 꽂은 조화(5)일지라도 동백꽂 향기가 나게되므로 친근감을 주게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조화(5)가 동백꽂일 경우 동백꽂 향기가 아닌 다른 꽂향기의 방향재가 내장된 방향구를 조화(5)인 동백꽂에 꽂으므로서 그 조화인 동백꽂과는 전혀다른 꽂향기가 나게할수도 있는 것으로 이때는 자연의 조화와는 다른 새로운 느낌을 사용자가 느낄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조화(5)가 아닌 인조목(만든나무), 예를들어 크리스마스 트리등에 사용할수 있는데 크리스마스 트리가 소나무일 경우 소나무 향의 방향재(2)가 내장된 방향구를 핀(3)에 의해 인조소나무의 가지에 꽂으면 된다.
상기와 같이 크리스마스 트리에 방향구를 꽂을때에는, 제 4 도의 인조목(8)을 보인예와 같은 방법으로 가지와 즐기사이 혹은 나뭇잎 사이에 꽂으면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대중음식점등에서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신호용 촛불(9)의 본체 상단에 별도의 탄성밴드와 같은 기구(10)를 이용해 본 고안을 설치할수 있는데 이와같이 설치할 경우 이때는 방향재에서 방출된 향기는 연소열과 함께 대기중으로 퍼져 방향의 효과를 높이며, 따라서 혼탁한 실내내부의 공기가 향기로 바뀌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 필름으로된 갑체(1)내측에 고체형의 방향재(2)를 넣어 밀봉시킨 공지의 방향구에 있어서, 상기한 방향재(2)가 내장된 갑체(1)의 일측부에 갑체(1)와 일체로 핀(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구.
KR2019890016603U 1989-11-08 1989-11-08 방향구 KR92000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603U KR920002305Y1 (ko) 1989-11-08 1989-11-08 방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603U KR920002305Y1 (ko) 1989-11-08 1989-11-08 방향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53U KR910008653U (ko) 1991-06-27
KR920002305Y1 true KR920002305Y1 (ko) 1992-04-09

Family

ID=1929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603U KR920002305Y1 (ko) 1989-11-08 1989-11-08 방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3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53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519A (en) Reading lamp assembly
US4801478A (en) Musical ornament for celebrated occasions
KR890006137A (ko) 모세관 현상의 특성을 응용한 자동급수 화분 및 급수량 조절방법
US5569511A (en) Fragrance-emitting decorative object
KR920002305Y1 (ko) 방향구
ATE223179T1 (de) Kanüle mit einem aus zwei komponenten zusammengestellten stopfen
US2772500A (en) Protective closure for decorative ornaments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US1908662A (en) Novelty cane
US2468007A (en) Console set
KR940001095Y1 (ko) 방향제가 발산하는 장치
CN204611613U (zh) 一种新型带音箱的香薰灯
KR900010872Y1 (ko) 방향기
KR830002987Y1 (ko) 볼펜을 겸한 향(香)팔찌
KR900008596Y1 (ko) 방향제를 내장한 스텐드
CN218961393U (zh) 一种具有装饰件的播放香薰器
KR900004201Y1 (ko) 방향성 조화
KR950000015A (ko) 신종의 지피(地被)형 장미
KR880004044Y1 (ko) 멜로디 츄리용 장식구
ES1042138U (es) Corona funeraria.
KR200186163Y1 (ko) 양초
US2040985A (en) Ornament
KR20210050980A (ko) 디퓨져가 구비된 화분
KR200221225Y1 (ko) 조화
KR200304791Y1 (ko) 전등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