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01Y1 -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01Y1
KR920002101Y1 KR2019890021496U KR890021496U KR920002101Y1 KR 920002101 Y1 KR920002101 Y1 KR 920002101Y1 KR 2019890021496 U KR2019890021496 U KR 2019890021496U KR 890021496 U KR890021496 U KR 890021496U KR 920002101 Y1 KR920002101 Y1 KR 920002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witching element
control circuit
scr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971U (ko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101Y1/ko
Publication of KR910011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83For heating of fluids, e.g.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C : 교류전원 BR : 브릿지다이오드
INV : 반전기 R : 저항
Ry : 리레이 Ry' : 리레이(Ry)의 접점
SCR : 스위칭소자 T1: 다이리스터
10 : 잡음제거회로 20 : 히터
30 : 입력레벨 조절부
본 고안은 순간 온수기의 히터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온도의 안정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히터와 직렬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온도감지 및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사용에 알맞은 온도로 히터가 발열되도록한 제어장치가 널리 활용되었으나, 이러한 히터 제어 회로장치는 고온 다습한 욕탕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고장율이 높으며 고장시에 제어장치가 스위칭소자에 과전류를 흘리는 경우 스위칭 소자가 파손됨을 물론 갑작스런 고온수의 공급으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히터의 과열로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위칭소자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스위칭 소자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회로장치를 보호함은 물론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양단에 노이즈 및 서어지 전압제어를 위한 잡음제거회로(10)의 입력을 접속하고 그 출력에 히터(20) 및 스위칭 소자(SCR)를 직렬 접속하며 스위칭 소자(SCR)의 입력인 게이트에 입력 레벨 조절부(30)를 접속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SCR)의 양단에 브릿지다이오드(BR)의 입력측을 접속하고 그 출력측에 저항(R5)을 연결하며, 히터(20) 및 스위칭 소자(SCR)와 직렬 접속된 접점(Ry')을 구동하기 위한 리레이(Ry)와 직렬 접속된 다이리스터(T1)의 게이트에 저항(R5)의 일측과 접속된 반전기(INV)의 출력을 접속하여서 된 것으로, 미 설명부호, C1, C2, C3, C4, C5는 콘덴서이고, TNR은 바리스터, R1, R2, R3, R4는 저항이며, Vcc는 전원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입력레벨 조절부(30)를 조작하여 스위칭 소자(SCR)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게 되면 히터(20)는 그에 상응하는 정도로 열을 내게 되고, 그러므로 히터(20)의 주위에 설치된 수관(도면에는 불 표시함)을 흐르는 물이 가열되어 순간 온수기로써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스위칭 소자(SCR)가 전류의 단속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므로 그 양단간에는 상당한 비교적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어 브릿지다이오드(BR)의 출력 전압도 높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저항(R5)의 양단에 걸린 전압도 높게 되는 것이며, 반전기(INV)를 통과한 전압은 반대로 낮게 되어 다이리스터(T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매우 낮은 수준이 된다.
따라서, 다이리스터(T1)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며, 리레이(Ry)에 전류를 흘려 주지 못하여 접점(Ry')이 턴온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정상적인 전류의 단속이 이루어져 히터(20)는 정상 발열 동작으로 물을 가열하여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욕탕의 고온 다습한 환경 또는 수분의 침투 등으로 인하여 스위칭 소자(SCR)에 흐르는 전류가 정상 수준을 상회하면 과열로 인한 화재, 화상의 우려가 있고 스위칭 소자의 파손이 야기되므로 스위칭 소자(SCR)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켜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서는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이때 스위칭 소자(SCR)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되면서 그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이 감소하므로 브릿지다이오드(BR)의 출력전압이 감소하게 되며 그 결과 저항(5R)의 양단 전압이 감소하게 되고 반전기(INV)의 입력전압이 로우레벨이 되므로 그 출력전압은 하이레벨이 된다.
이에 따라 다이리스터(T1)의 게이트에는 하이레벨 상태인 트리거 전압이 인가되어 턴온되므로 리레이(Ry)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므로 그 접점(Ry')의 상태가 반전되어 턴오프된다.
그 결과 스위칭 소자(SCR)를 통하여 흐르던 전류가 완전 차단되어 히터(20)의 발열이 정지되므로 과열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스위칭 소자(SCR)의 작동이 정상화되어 그 양단간을 흐르는 전류에 의한 유기전압은 정상수준으로 회복되기 마련이며, 이때에는 브릿지다이오드(BR)의 출력전압이 다시 높아져서 반전기(INV)의 출력전압이 로우레벨이 되고 다이리스터(T1)가 턴오프되어 리레이(Ry)에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게 되고 그 접점(Ry')은 턴온되어 전기한 바와 같은 정상온수 가열 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히터가 과열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작동을 신뢰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인 스위칭 소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어 고장 발생시에도 수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교류전원(AC)양단에 노이즈 및 서어지 전압제거를 잡음제거회로(10)의 입력을 접속하여 그 출력에 히터(20) 및 스위칭 소자(SCR)를 직렬 접속하며 스위칭 소자(SCR)의 입력인 게이트에 입력레벨 조절부(30)를 접속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SCR)의 양단에 브릿지다이오드(BR)의 입력측을 접속하고 그 출력측에 저항(R5)을 연결하며 히터(20) 및 스위칭 소자(SCR)와 직렬 접속된 접점(Ry')을 구동하기 위한 리레이(Ry)와 직렬 접속된 다이리스터(T1)의 게이트에 저항(R5)의 일측과 접속된 반전기(INV)의 출력을 접속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KR2019890021496U 1989-12-31 1989-12-31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KR920002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496U KR920002101Y1 (ko) 1989-12-31 1989-12-31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496U KR920002101Y1 (ko) 1989-12-31 1989-12-31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71U KR910011971U (ko) 1991-07-30
KR920002101Y1 true KR920002101Y1 (ko) 1992-03-28

Family

ID=1929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496U KR920002101Y1 (ko) 1989-12-31 1989-12-31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1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71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49448T1 (de) Schutzschaltungsanordnungen
KR920002101Y1 (ko) 순간온수기의 히터 제어회로
WO2000010364A3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heating elements
US4081660A (en) Heater shutdown circuit
IE47893B1 (en) Electric hairdrier
US4171533A (en) Low 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induction motors
KR100744574B1 (ko) 전기온열매트용 과열방지장치
KR0126525Y1 (ko) 세탁기의 안전장치
KR100728322B1 (ko) 초장파발생기의 과열방지장치
KR100942500B1 (ko) 전기매트 또는 전기온수매트 온도조절기의 온도제어 불능시 발열선의 과열을 방지하는 2중 과열방지 회로
US5132868A (en) Over-heating protective circuit
KR100354128B1 (ko) 발열체의과열방지회로
KR200153223Y1 (ko) 전자렌지에서의 과부하 방지회로
KR200187630Y1 (ko) 세탁기건조히터의보호회로
JP2727561B2 (ja) 温度制御装置の保護装置
KR970002641Y1 (ko) 전기장판의 자동온도조절회로
KR101833542B1 (ko) 자가진단과 과열방지 기능을 가진 온열 매트용 온도 조절기
JPH0328257Y2 (ko)
KR200144033Y1 (ko) 바리스터를 이용한 과전압 보호회로
KR810000358Y1 (ko) 오일버어너의 안전 작동제어장치
KR200156726Y1 (ko) 110/220v 겸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
JPS62222311A (ja) 温度制御装置
KR970025551A (ko) 식기건조기용 히터발열부 과열방지회로
KR0132351Y1 (ko) 전기장판의 온도제어장치
KR860000301Y1 (ko) 순간온수기의 동결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