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078Y1 -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078Y1
KR920002078Y1 KR2019900001413U KR900001413U KR920002078Y1 KR 920002078 Y1 KR920002078 Y1 KR 920002078Y1 KR 2019900001413 U KR2019900001413 U KR 2019900001413U KR 900001413 U KR900001413 U KR 900001413U KR 920002078 Y1 KR920002078 Y1 KR 920002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wick
oil
fuel supply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02U (ko
Inventor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수 filed Critical 전상수
Priority to KR2019900001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078Y1/ko
Publication of KR910015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서 연료공급 보조통을 발취한 부분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구성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보일러와 기존 석유보일러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량조절기 2' : 유량조절기의 연료상한선
4 : 솔레노이드 발브 5 : 심지통
5' : 심지통의 연료상한선 6 : 연료공급 보조통
6' : 연료공급 보조통의 연료상한선 7 : 연료수평선
8 : 기판 9 : 수평기
본 고안은 심지기화식으로된 난방용 석유보일러에 있어서 심지통 내부로 일정량의 석유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상태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주입되게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한 석유 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는 연료탱크로 부터 유입되는 석유를 유량조절기를 통해서 석유보일러의 심지통에 곧바로 주입하고 있기때문에 유량조절기를 조정한다 하여도 심지통 내부에 어느정도의 석유량이 주입된 것인지 외부에서는 알수가 없어 석유보일러의 연소실 내부를 열고 일일이 눈으로 확인 해야만 되기 때문에 심지통 내부로 석유가 과대하게 주입되거나 또는 너무 적게 주입된 상태에서도 점화를 하게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되어 이상적이면서 경제적인 점화시기를 조정하기 어려웠고 석유보일러가 작동중 수조의 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되어 열감지 센서에 의해서 심지통 내부로 주입되는 석유를 솔레노이드 발브에 의해 자동 차단 하였다가 수조의 물 온도가 하강되면 솔레노이드 발브가 다시 개전되어 석유를 다시 심지통에 주입할 때 유량조절기 내부의 석유가 신속하게 심지통내부로 주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연소통이 화력이 석유주입량의 부족으로 저하되어 열효율에 심한기복이 생기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고저 창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석유(18)가 주입된 연료탱크(17)를 유량조절기(2)와 송유관(3)으로 연결하고 유량조절기(2)에는 솔레노이드 발브(4)와 심지통(5)을 송유관으로 연결한 통상의 석유보일러에 있어서 유량조절기(2)가 솔레노이드 발브(4)사이에 투명체로된 연료공급 보조통(6)을 설치하되 유량조절기(2)에 표시된 연료 상한선(2')과 연료 공급 보조통(6)에 표시된 연료상한선(6' )및 심지통(5)의 연료상한선(5')까지 석유가 각각 유입되어 연료수평선(7')이 유지되게 유량조절기(2)와 연료공급 보조통(6) 및 보일러본체(11)의 심지통(5)을 기판(8)상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연료공급 보조통(6)의 상단에는 투명체로 되어 내부에 기포가 내장된 수평기(9)를 착탈자재토록 뚜껑으로 덮어서 된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10)(11)을 송유관이고, (12)은 열감지센서, (13)은 심지(14)는 수조, (15)는 연소통 (16)은 부구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연료탱크(17)의 발브와 유량조절기(2)를 열면 석유(18)는 송유관(3)을 거쳐 유량조절기(2)에 유입된 후 송유관(10)을 거쳐 연료공급 보조통(6)에 유입되고 전원이 공급된 상태의 솔레노이드 발브(4)를 거쳐 송유관(11)을 통해서 심지통(5)에 이르게 되는 것인데 연료공급보조통(6)은 투명체로 되어있어 석유가 유입되는 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유량조절기(2)에 의해 외부에 표시된 연료상한선(6')까지 석유가 유입되도록 하면 유량 조절기(2)와 심지통(5)의 석유 유입량은 제 3 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연료수평선(7)을 이루게 되므로서 이때 심지통(5)에 삽입된 심지(13)에 점화를 적정시키게 하여 석유보일러를 가동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경우 심지통(5) 내부의 석유유입량이 연료상한선(5')을 넘으면 연료의 손실이 많고 열효율이 좋지못하게 되기때문에 연료상한선(5')을 반드시 유지해야만 하는것인데 본 고안은 심지통(5)의 연료상한선(5')이 연료공급 보조통(6)의 연료상한선(6')과 연료수평선(7)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유량조절기(2)의 조정으로서 연료공급 보조통(6)의 연료상한선(6')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심지통(5) 내부에 유입되는 석유 유입량과 화력을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연소되어 보일러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수조(14)의 온도가 적정온도(약 80℃)에 이르면 열감지센서(12)에 의해서 솔레노이드 발브(4)아 폐쇄되어 심지통(5) 내부로는 석유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렇게되면 심지(13)의 불꽃은 작아지고 화력도 점차 감소하면서 심지통(5) 내부에 유입된 석유도 고갈상태가 되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심지(13) 화력의 감소로 수조(14)내부의 물 온도가 적정온도(80℃)이하로 하강하면 열감지 센서(12)가 자동적으로 동작되어 솔레노이드 발브(4)을 개전하기 때문에 석유는 다시 심지통(5)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은 석유가 유량조절기(2)에서 곧바로 송유관(10)[일반적으로 유량조절기(2)에서 나오는 송유관(10)의 송출구 직경은 0.5m/m임]을 통해서 심지통(5)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이 아니고 연료공급보조통(6)으로부터 송유관(11)[송출구 직경은 3m/m임]을 통해 신속하게 심지통(5)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종래 유량조절기(2)에서 유입되는 것에 비해서 석유의 유입 속도가 신속하게 유입되어 심지통(5)의 연료상한선(5')을 채울수 있는바 심지통(5)에 석유가 늦게 유입되므로서 생기는 열파상도 적고 열효율을 제 4 도에서와 같이 최대한 높일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연료공급 보조통(6)에 표시된 연료상한선(6')에 의해서 항시 심지통(5) 내부에 유입된 석유 유입량을 한눈에 알수있으므로 화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연료의 낭비를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점화시간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한 것이며 설치시에는 연료공급 보조통(6)상단에 수평기(9)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없이도 이 수평기(9)를 보고서 기판(8)을 간단하게 수평으로 설치하여 보다 저렴한 연료경비로서 가정이나 기타 사무소에서 이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료탱크(17)의 연료가 유량조절기(2)를 통해 보일러 본체(1)의 심지통(5)으로 공급되도록 한 통상의 석유 보일러에 있어서 유량조절기(2)와 심지통(5)의 송유관(10)(11)사이에는 심지통(5)의 연료상한선(5)과 일치되는 연료상한선(6')이 표시되고 투명체로된 연료공급 보조통(6)을 설치하며, 연료공급 보조통(6)의 상단에는 수평기(9)를 뚜껑으로 착탈자재 할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장치.
KR2019900001413U 1990-02-08 1990-02-08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KR920002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413U KR920002078Y1 (ko) 1990-02-08 1990-02-08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413U KR920002078Y1 (ko) 1990-02-08 1990-02-08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2U KR910015702U (ko) 1991-09-25
KR920002078Y1 true KR920002078Y1 (ko) 1992-03-28

Family

ID=1929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413U KR920002078Y1 (ko) 1990-02-08 1990-02-08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0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2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8998A (en) Diesel fuel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US4538981A (en) Combustion catalyzing system for commercial grade fuels
GB685813A (en) Improvements in heating devices for washing boilers and like liquid heaters
KR100739122B1 (ko) 증기를 이용한 연료분사장치
KR920002078Y1 (ko) 심지기화식 석유보일러의 연료공급 장치
RU2006129168A (ru) Регулирующий/отсечной газовый клапан и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циркуляции теплой вод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азового клапана
FR2755752B1 (fr) Module hydraulique pour installation de chauffage central et de production d'eau chaude, et chaudiere equipee d'un tel module
US6730272B2 (en) In-line gas pre-heating
KR900003242Y1 (ko) 보일러용 석유 연소기의 자동급유 차단장치
US2848972A (en) Boat having underwater fluid propulsion
CN2232557Y (zh) 全自动燃油多用茶炉
KR950007557Y1 (ko) 벙커c유 버어너의 연료순환 공급장치
KR820002215Y1 (ko) 구멍탄 보일러
JPS56108039A (en) Heater for liquid
KR860007517A (ko) 난방용 보일러
US2402871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vaporizing liquid
KR910000910Y1 (ko) 석유 연소기의 연료탱크
SU1740921A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KR920000281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SU100833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грева и непрерывного обезвоживани органических в жущих материалов
US3653795A (en) Surface burner systems
KR20020027120A (ko) 물전기분해식 용접/절단기의 온도조절기
KR890006766Y1 (ko) 개스, 기름 겸용 보일러
KR200315488Y1 (ko) 온수 보일러의 폐열흡수용 연통.
KR900010500Y1 (ko) 온수기 겸용 구멍탄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