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797Y1 -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797Y1
KR920001797Y1 KR2019890011653U KR890011653U KR920001797Y1 KR 920001797 Y1 KR920001797 Y1 KR 920001797Y1 KR 2019890011653 U KR2019890011653 U KR 2019890011653U KR 890011653 U KR890011653 U KR 890011653U KR 920001797 Y1 KR920001797 Y1 KR 920001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circuit
subscri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138U (ko
Inventor
이강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이강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 김정섭 filed Critical 이강
Priority to KR2019890011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797Y1/ko
Publication of KR910005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8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line protection circuits such as current o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제 1 도는 전자교환기의 블로다이어그램.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입자 선로회로의 개략적 회로 구성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이용되는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제어신호 파형도.
제 5 도는 제 2 도에 이용되는 펄스부호 변조기의 블록다이어그램.
제 6 도는 가입자선로 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의 내부블록다이어그램.
제 7 도는 자기보상회로의 일부발췌 회로도.
제 8 도는 감사기능시의 신호파형도.
제 9 도는 링/팁 및 링릴레이 구동회로도.
제 10 도는 출력시험시의 신호파형도.
제 11 도는 입력시험시의 신호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가입자 2 : 선로보호부
3 : 제어회로 4 : 선로 인터페이스
5 : 펄스부호 변조기 6 : 제 2 가입자
10, 11, 41, 42 : 릴레이 12 : 라인트랜스포머
16 : 가입자선로 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
본 고안은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낙뢰로부터 전자교환기를 보호하며 그의 크기가 소형인 가입자 선로회로에 관한것이다.
전화국, 구내교환기 또는 다른 단말전화 설비를 중앙국에 연결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애널로그 가입자 선로회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부품의 점유면적과 전송특성및 낙뢰와 같은 과전압 보호 특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입자 선로회로는 주로 하이브리도 집적회로(Jybrid IC)를 사용 하였던바, 이는 주변소자들을 포함하는 부품의 갯수가 많으므로 그의 점유면적이 크고, 기기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팩키지화 되어 있기 대문에 회로변경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이러한 하이브리드 IC를 사용한 가입자 선로회로는 수만 볼트의 낙뢰시에 정상기능을 발휘할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기기의 크기를 최소형으로 하고, 회로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수 있으며, 낙뢰시에도 정상기능을 발휘할수 있는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화국, 구내 교환소 또는 단말전화설비를 중앙국에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가입자 모듈과, 이를 제어하기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한 전자교환기에 있어서, 급격한 전압변동을 안정시키기 위한 선로보호부와, 제어회로의 제어하에서 선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선로 인터페이스 및 상기의 선로 인터페이스를 통과한 애널로그 신호를 부호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신호변조부로 구성시켜서 된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로 인터페이스는 자계를 보상하며 낙뢰로 인한 고전압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자교환기의 개략적 블록다이어그램을 도시한것인바, 제 1 가입자(1)로부터의 팁/링신호(TIP/RING)는 선로보호부(2)에 인가되고, 선로보호부(2)에 입력된 신호는 제어회로(3)의 제어하에서 선로인터페이스(4)를 통해 펄스부호변조기(5)에 입력되어 펄스부호 변조된뒤 제 2 가입자(6)에 전달된다 또한, 제 2 가입자(6)로부터의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대의 방식으로 제 1 가입자(1)에게 전달될수 있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입자 선로회로의 개략적회로 구성도인바, 제 2 도에는 명세서 및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한개의 채널에 대한것만이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수의 채널 예컨대 16체널까지 확장 해석될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기능수행시 제 1 가입자(1)로부터 전송된 애널로그신호(TIP/RING)는 세라믹배리스터(8, 9)에 의해 높은전압(낙뢰시)을 바이패스시킨뒤 통화전류 극성 반전릴레이(10)의 접점(10A)과 통화로 테스트릴레이(11)의 접점(11A)을 경유하여 라인트랜스포머(12)와 브릿지저항(13A 13D)으로된 낙뢰방지부에 입력된다.
라인트랜스포머(12)의 1차측코일(LP)에 인가된 신호에의해 그의 2차측코일(LS)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바, 정전압 다이오드(14, 15)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유지된 신호는 펄스부호변조기(5)에 인가된다. 이때 펄스부호변조기(5)는 가입자선로 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16)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전송라인(DX)을 통해 제 2 가입자(6) (제 1 도)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이용되는 제어회로(3)의 블록도인바, 이에대해 설명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인터페이스용 클럭신호(CLKc)가 8주기가 될때 칩셀렉트신호(CS)가 인에이블되면 유효한 데이터가 발생된다. 예컨대 비동기 작동시에 별도의 전송 및 수신클럭이 인가될수 있는바, 이들 전송클럭 및 수신클럭은 2.048MHZ이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펄스부호변조기(5)의 출력(DX)은 폴링전송 비트클럭(BCLKX)에 의해 디스에이블되고, 2비트 클럭주기를 갖는 수신 프레임 동기펄스(FSR)로서 수신입력데이터(DR)에서의 펄스부호변조데이터의 최하위비트는 래치되어 후속신호프레임을 수신한후 출력단에 나타나서 다음의 수신프레임 동기펄스(FSR)에서 전송데이터(DX)를 통해 시프트된다.
제 5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펄스부호변조기(5)의 블록 다이어그램인바, 라인트랜스포머(12)를 통과한 애널로그의 팁/링신호(TIP/RING)는 하이브리도회로(17)를 통해 저역필터(18)에 의해 소정의 대역만이 여파된뒤 애널로그/디지틀변환기(19)에 입력된다. 이때 애널로그/디지틀변환기(19)는 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여 전송단자(DX)를 통해 제 2 가입자(6)에게 전송한다.
한편, 제 2 가입자(6)로부터 수신단자(DR)를 통해 입력된 디지틀신호는 디지틀/애널로그 변환기(20)에의해 변환되어 저역필터(21)에 입력된뒤 여파되어 하이브리드회로(17)에 입력된다. 하이브리드회로(17)는 입력된 신호를 라인트랜스포머(12)를 통해 팁/링신호(TIP/RING)를 제 1 가입자(1)에게 전달함으로서 제 1 가입자(1)와 제 2 가입자(6)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제 6 도는 가입자선로 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16)의 내부블록다이어그램인바, 이것을 이용한 각종의 기능을 설명한다.
제 7 도는 자기보상회로도를 도시한 것인바, 이 자기보상회로는 고임피던스 브릿지저항(13A∼13D)을 사용하는데, 저항(13A, 13C)에 흐르는 전압을 감지하여 루프전류를 측정하고, 차동증폭기(22)에서의 순간 루프전류에 비례하는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차동증폭기(22)에서 출력된 전압(V1)은 저항(23)과 콘덴서(24)로된 저역필터에 의해 여파된뒤 출력전압 플로워(25)와 출력트랜지스터(26)에 의해 증폭되어 라인트랜스포머(12)의 보조권선코일(LC)에 인가된다.
콘덴서(24)는 루프전류의 음성주파수 성분이 가입자회로의 출력임피던스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한것이다. 그리고, 저항(27)은 전류를 야기시켜 보조권선코일(LC)에 전류를 흐르도록한다. 따라서 저항(27)과 라인트랜스포머(12)의 보조권선코일(LC)의 권선비를 적당히 조절하게 되면, 보상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정확하게 제거될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를 소형으로 할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감시기능(Supervision)은 전화기의 온/오프 훅크감지, 다이얼펄스응답, 링/트립을 감지하는바, 이를 위한 감시회로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루프전류비교기(28)와 인버터(29)로 구성된다.
비교기(28)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차동증폭기(22)의 출력, 즉 순간 루프전류를 표시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전화기의 온-훅크상태시에, 감시출력신호(sup)는 하이레벨을 나타낸다.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전류(ILOOP)가 13mA이상일 경우 감시출력신호(sup) 오프-훅크를 나타내는 로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루프전류가 약11mA이하로 강하될때 감시출력신호(sup)는 온-훅크를 나타내는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될것이다.
펄스다이얼링시 루프전류는 브레이크 (Break)주기 동안에는 0mA로부터 변화하고 메이크(Make)주기 동안에는 정상적인 크기로 복귀된다. 이때 감시출력(sup)은 다이얼펄스의 논리응답을 발생시킬 것이다. 그러나, 선로의 사정이 악화되어 선로손이 발생되면 브레이크 주기의 단락이 발생되어 감시출력(sup)에 나쁜영향을 주게될 것이다.
그리고, 제 6 도에 도시한 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16)내에는 자동링/팁 회로(30)가 내장되어 있는바, 이 링/팁회로(30)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증폭기(22) (제 7 도 참조)의 출력(V1)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는다. 자동증폭기(22)의 출력(V1)은 비교기 (31)에서 기준전압(Vref)과 비교되는바, 비교기(31)의 출력극성에 따라 전류원(32)은 콘덴서(24)에 10uA의 전류를 제공한다. 이때 콘덴서(24)는 충, 방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양의 동기입력신호(RSYNC)는 콘덴서(24)가 트랜지스터(33)에 의해 방전된후 원쇼트회로(34)를 통해 비교기(35)를 인에이블시킨다. 그러면 비교기(35)는 링신호의 영전위에서 이후 기술할 링구동 플립-플롭을 리셋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릴레이구동기는 링/팁래치(36)와 링릴레이 플립플롭(37)과 레벨시프터(38)및 릴레이구동용 출력 트랜지스터(39)로 구성된다. 이 링릴레이 구동기는 링입력(RING)의 상태에 따라 제 2 도에 도시한 노아게이트(40)로 부터 출력된 인에이블신호(EN)가 하이일경우에 링/트립 래치(36)는 셋트 또는 클리어되고, 인에이블신호(EN)가 로우일경우에는 래치된다. 또한 링/팁 래치(36)는 비교기(35)의 출력에 의해서도 클리어된다.
링/트립래치(36)의 출력상태에 따라 플립플롭(37)은 양의 동기입력신호(RSYNC)의 인가시 셋트되어 이후 기술할 링릴레이를 턴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플립플롭(37)에서 출력된 신호는 레벨시프터(38)를 통해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39)를 온/오프시킨다.
한편,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에 있어서 출력시험(out test)을 할경우, 제 10 도에 도시한 파형도와같이 라인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16)의 인에이블신호(EN)가 폴링에지로 떨어질때 데이터 신호라인(D6)으로부터 입력된 릴레이제어단자(RC2)의 데이터 값이 유효하며, 그의 출력단(RY2)에서 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10)를 작동시켜 릴레이접점(10A, 10B)을 오프시키게 된다. 릴레이 접점이 오프됨에 따라 팁(TIP)신호는 릴레이접점(10A)을 통해 단자(OT)로 출력되고, 링(RING)신호는 릴레이접점(10B)을 경유하여 단자(OR)를 통해 출력되어 정상적인 출력시험을 하게 된다.
입력시험(In Yest)을 하고자 할경우, 제 11 도에 도시한 파형도와 같이 라인인터페이스용 집적회로(16)의 인에이블신호(EN)가 폴링에지일때 데이터신호라인(D5)으로부터 입력된 릴레이 제어단자(RC1)의 데이터값이 유효하다. 따라서, 릴레이(11)가 동작하여 릴레이접점(11A, 11B)이 오프되어 인테스트 팁/링신호(IT/IR)는 라인트랜스포머(12)를 경유하여 기기의 내부로 전송되어 입력시험을 할수 있게된다. 여기에서 입력시험의 기능은 통화전류측정, 유효, 무효잡음, 신호대잡음비(S/N), 전송수신이득측정및 혼선측정을 포함한다.
한편, 링신호(RING IN)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같이 릴레이제어단자(RYR)의 신호가 릴레이(41, 42)를 작동시킴으로써 링입력(RING IN) 시험을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낙뢰시에 단자(TIP)에 인가된 고압전류는 라인트랜스포머(12)의 1차측코일(LP)과 저항(13A, 13B)을 경유하여 접지로 흐르게되므로 전자교환기의 취약점인 낙뢰피해를 완벽하게 보호할수가 있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종래의 하이브리드 IC대신에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가입자선로의 크기를 최소화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낙뢰시에 전자교환기및 가입자선로 회로의 손상을 용이하게 보호할수 있는 특징을 지닌것이다.

Claims (2)

  1. 전화국, 구내 교환소 또는 단말전화설비를 중앙국에 연결하기위한 다수의 가입자 모듈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한 전자교환기에 있어서, 급격한 전압변동을 안정시키기 위한 선로보호부와, 제어회로의 제어하에서 선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선로인터페이스 및, 상기의 선로인터페이스를 통과한 애널로그신호를 부호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신호변조부로 구성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선로인터페이스는 통화시 발생되는 자계를 보상하며 낙뢰로인한 고전압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KR2019890011653U 1989-08-05 1989-08-05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KR920001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653U KR920001797Y1 (ko) 1989-08-05 1989-08-05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653U KR920001797Y1 (ko) 1989-08-05 1989-08-05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138U KR910005138U (ko) 1991-03-20
KR920001797Y1 true KR920001797Y1 (ko) 1992-03-16

Family

ID=1928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653U KR920001797Y1 (ko) 1989-08-05 1989-08-05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7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138U (ko) 199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9845A (en) Optical coupling interface circuit for telephone line ringing signal indication or detection
US4433212A (en)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CA2240287C (en) Modem loop current detect system to detect an off-hook condition in an extension telephone
US4056691A (en) Telephone subscriber line circuit
US5600715A (en) Integrated loop current detector apparatus for a PSTN modem
US3851112A (en) Data detector with voice signal discrimination
US6047063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xiliary communication line
US5228081A (en) Ringing signal control circuit for an enhanced subscriber line interface
US3936617A (en) Code-controlled ringer attachment for telephones
US4455456A (en) Digital supervisory circuit for a telephone system
KR920001797Y1 (ko) 전자교환기용 가입자 선로회로
US5163090A (en) Over-current verifier circuit for an enhanced subscriber line interface
US4614843A (en) Arrangement for opening the loop for a well-defined time interval from a telephone set
CA1067635A (en) Telephone metering interface with reverse signal sensor
US4262172A (en) Ring-trip detector
US4562308A (en) Subscriber connection circuit comprising feed resistors which can be bridged in low-ohmic fashion and an indication circuit which effects different indications
US3908091A (en) Dial pulse correction circuit for telephone signaling system
US3749857A (en) Cable testing device for long-distance cables, particularly for occupied cables
US3835258A (en) Ring trip circuit
US7218713B1 (en) Telephone line interface for DAA circuitry
EP0944995B1 (en) Ring-trip circuit and method
SU10223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состо ни абонентского шлейфа
US5289537A (en) On-hook transmission circuit in cable line
US4899379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connection of line circuits of a digital time multiplex-telephone network
KR920000092Y1 (ko) 팩스 모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