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84B1 -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84B1
KR920001384B1 KR1019830005538A KR830005538A KR920001384B1 KR 920001384 B1 KR920001384 B1 KR 920001384B1 KR 1019830005538 A KR1019830005538 A KR 1019830005538A KR 830005538 A KR830005538 A KR 830005538A KR 920001384 B1 KR920001384 B1 KR 92000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ing
air inlet
inlet pipe
liquid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6792A (en
Inventor
미쯔루 후지이
도모유끼 도바시
히사시 사사끼
마사미찌 이마니시
도시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산도리 가부시기가이샤
사지 게이죠
다이닛본 인끼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니찌에이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와무라 시게구니
하라 마사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20454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03854A/en
Priority claimed from JP1500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21377U/en
Priority claimed from JP62889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68353U/en
Priority claimed from JP6288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68352U/en
Application filed by 산도리 가부시기가이샤, 사지 게이죠, 다이닛본 인끼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니찌에이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와무라 시게구니, 하라 마사도시 filed Critical 산도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注液器)Injector with sound generator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주액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II 방향 단부의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the end of arrow II in FIG.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도시한 주액기의 주액노즐의 저면도.4 is a bottom view of the pouring nozzle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

제5도는 제1도의 도시한 주액기의 변형을 보여주는 제2도와 유사한 단부의 정면도.FIG. 5 is a front view of an end similar to FIG. 2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주액기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주액기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

제8도는 제6도의 주액기를 병구멍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uring machine of FIG. 6 is attached to a bottle hole. FIG.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주액기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제9도의 화살표 IX방향에서 본 주액기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the pouring machine as seen from the arrow IX direction of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주액기의 종단면도.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주액기의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제12도의 XIII-X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주액기의 측면도.14 is a side view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 12;

제15도는 제13도의 XV선에 따른 주액기의 리드(reed)기구의 평면도.FIG. 15 is a plan view of the reed mechanism of the pouring machine along the XV line of FIG.

본 발명은 주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깡통, 통 또는 병과 같은 용기의 유출구에 부착하여 용기속에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따르도록 되어 있는 주액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r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ring machine that is attached to an outlet of a container, such as a can, barrel, or bottle, to facilitate pouring of liquid in the container.

최근 예를들어 2리터 및 3리터짜리 금속 또는 프라스틱제의 중간크기의 용기속에 담은 맥주가 시판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맥주를 술잔 또는 컵에 용이하게 따르기 위하여 마개를 뽑은 다음에 상기와 같은 용기에 주액기를 부착하는 것이 요청되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주액기가 제안되었으나 그러한 주액기들은 용기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따르는 량을 조절하기 쉽게 하는 등 주액기 자체의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그와같은 개선노력은 단지 기본적인 액체따르기 기능에 관한 것이었다.Recently, for example, beers in medium-sized containers of 2 and 3 liters of metal or plastic have begun to be marketed.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attach the dispenser to such a container after removing the stopper to easily pour the beer into a glass or cup. Various injectors have been proposed so far, but the injectors were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injector itself, such as facilitating attachment to the container or adjusting the amount of pouring. But such improvements were only about the basic liquid pouring function.

본 발명은 음료수 용기에 부착되어 효과적으로 따를 수 있는 특성을 가질 뿐만아니라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따를때 유쾌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특성을 갖는 주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injector having a novel property of being attached to a beverage container and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effectively followed, as well as generating a pleasant sound when pouring beverage from th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라 주액기는 적어도 한개의 주액관, 한개의 공기유입관 및 그 공기유입관속에 설치된 한개의 소리발생기구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o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injection pipe, one air inlet pipe, and one sound generat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air inlet pipe.

공기유입관의 직경과 길이를 적절히 결정하므로서 맥주와 같은 액체를 용기로부터 주액관을 통하여 술잔 또는 컵에 따를때 공기유입관속에 단속적인 또는 진동하는 공기흐름이 발생된다. 따라서 소리발생기구를 공기유입관속에 결합하면 긴 휘파람소리가 아닌 ″삐약 삐약″소리 또는 단속적인 병아리 소리를 발생한다. 따라서 그 소리는 광범위한 이용자에게 듣기 좋다.By appropriately determining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air inlet tube, an intermittent or vibrating air flow occurs in the air inlet tube when a liquid such as beer is poured from the container into the wine glass or cup. Therefore, whe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air inlet pipe, it produces a ″ bumble bleak ″ sound or an intermittent chick sound rather than a long whistle. Therefore, the sound is good for a wide range of users.

상기 소리발생기구는 공지된 소리발생장치들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그 소리발생기구는 리드 또는 공기유입관 속에서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작은 구멍이거나 또는 공기유입관으로 뚫린 측방구멍일수도 있다. 작은 구멍일 경우에는 공기유입관속에 공명실을 만들 수 있다.The sound generator may be selected from known sound generators. 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may be a small hole for intermittent air flow in the lead or air inlet pipe or a lateral hole drill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In the case of small holes, a resonance chamber can be built in the air inlet pipe.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액기(1)는 몸체(2)와 주액노즐(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는 제1도의 오른쪽부분의 유출구에서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제1도의 좌측부분에는 플랜지(5)가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몸체(6)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기(7)를 이용하여 상기 주액기(1)는 액체용기(도시되지 않았음)의 유출구 속으로 끼워 박고 다시 뺄수 있게 되어 있다.1 to 4, the pour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dy 2 and a pouring nozzle 3. The body 2 is bent at an angle at the outlet of the right part of FIG. The flange 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 in the left part of FIG. Several protrusions 7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6. Using the projections 7, the pourer 1 is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liquid container (not shown) and can be pulled out again.

몸체(2)의 굴곡부에는 몸체(2)의 내부원주면의 상부로부터 반원경 격벽(8)이 주액원통(9)의 주유출관(10)속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격벽(8)에 의하여 액체가 주유출관(10)을 통하여 따를때 공기정체공간(11, 12)이 주유출관(10)의 굴곡부 근방에 형성된다. 용기를 들어올려 주액작업을 중지할때 유출관속에 남아 있는 액체, 예를들어 맥주와 거품이 용기속으로 다시 흘러들어갈때 유출관벽으로 흐르는 액체에 가해지는 점성저항은 상기 공기정체공간(11, 12)에 의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용기속의 내부압력으로 인하여 돌발적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액원통(9)의 끝부분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주액노즐(3)과 간단히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위쪽에 주액원통(9)의 상부(9a)로부터 간격을 띄우고 후술하는 소리발생기구인 ″삐약 삐약″기구를 갖는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가 위치한다. 공기유입관(13)의 반대편에 돌출부(14)가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내측에는 뒷받침(15)이 형성되어 있고, 대략 반원형 단면을 갖는 삽입홈(16)이 상기 뒷받침(15)과 돌출부(14)사이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bent portion of the body 2, a semi-radial partition 8 project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 into the main outflow pipe 10 of the liquid injection cylinder 9. When the liquid is poured through the main outflow pipe 10 by the partition 8, air stagnant spaces 11 and 12 are formed near the bent portion of the main outflow pipe 10. The viscous resistance applied to the liquid remaining in the outflow pipe when lifting the container and stopping the pou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liquid flowing into the outflow pipe wall when beer and foam flows back into the container, may cause Decreases b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al flow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container. The tip of the liquid injection cylinder 9 is simply combined with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outer end 13a of the air inflow pipe 13 which has a space | interval from the upper part 9a of the liquid filling cylinder 9, and has the "beep beak beak" mechanism mentioned lat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inlet pipe 13, the projection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 A back support 15 is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14, and an insertion groove 16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back support 15 and the protrusion 14.

제1도의 왼쪽에 공기유입관(13)의 내측단부(13b)가 부착플랜지(5)로부터 일정한 길이(S)로 연장되어 있다. 제1도의 오른쪽에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에는 병아리소리를 내는 소리발생관(17)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소리발생관(17)은 한쪽끝이 열려있고 다른쪽은 작은 구멍(21)을 가진 격벽(18)에 의해 막혀있다. 격벽(18)으로부터 멀리 돌출된 소리발생관(17)은 보호관(19)을 형성하여 끝부분이 경사면(20)을 이루고 있가.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의 내경(d1)은 약 4-6mm이고, 상기 소리발생관(17)의 작은 구멍(21)의 내경(d)은 약 2.7-3.3mm이며, 상기 작은 구멍(21)에 인접하여 소리발생관(17)속에 형성된 공동실(30)의 내경(D)은 약 7-10mm이다.On the left side of Fig. 1, the inner end 13b of the air inlet pipe 13 extends from the attachment flange 5 to a certain length S. On the right end of FIG. 1, a sound generating pipe 17 for making a chick sound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13a of the air inlet pipe 13.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is blocked by a partition 18 having one end open and the other having a small hole 21.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protruding away from the partition 18 forms a protective tube 19 so that the end forms an inclined surface 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d 1 of the outer end 13a of the air inlet pipe 13 is about 4-6 mm, and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mall hole 21 of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Is about 2.7-3.3 mm, and the inner diameter D of the cavity 30 formed in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adjacent to the small hole 21 is about 7-10 mm.

주액노즐(3)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뻗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22a, 22b, 2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2a, 22b, 22c)들은 주액노즐(3)을 원통(9)에 장착하였을때 상기 주액노즐(3)의 견고성을 보강하여 준다. 상기 주액노즐(3)은 얇은 벽으로된 결합부(23)를 형성하고 있어서 주액원통(9)의 단부에 얇은 벽으로 형성된 개구부(24)에 끼우게 되어 있다. 한개의 보조유출관(25)이 주유출관(10) 아래부분에 주액노즐(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우측단부에 상기 보조유출관(25)이 보조유출구(26)로 통하고 있다. 상기 보조유출관(25)의 상부면은 주유출관(10)과 통하고 있다. 상기 보조 유출관(25)의 좌측단부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얇은 벽으로된 결합부(23)에 절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7)에 인접하여 반원형단면을 갖는 삽입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8)는 전술한 몸체(2)의 삽입홈(16)속에 끼워진다. 상기 주액노즐(3)의 주유출관(10)은 경사진 유출구 표면(29)을 형성하고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22a, 22b, 22c having semicircular cross section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The protrusions 22a, 22b and 22c reinforce the firmness of the injection nozzle 3 when the injection nozzle 3 is mounted on the cylinder 9. The injection nozzle 3 forms a joining portion 23 made of a thin wall so as to be fitted into an opening 24 formed of a thin wall at the end of the injection cylinder 9. One auxiliary outlet pipe 2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jection liquid nozzle 3 under the main outlet pipe 10. The auxiliary outlet pipe 25 communicates with the auxiliary outlet port 26 at the right end of FIG.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outlet pipe 25 communicates with the main outlet pipe 10. At the left end of the auxiliary outlet pipe 25, a cutout 27 is formed in the thin-walled engaging portion 23, as shown in FIG. An insertion portion 28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adjacent to the cutout 27. The insertion portion 28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 of the body (2) described above. The main outflow pipe 10 of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forms an inclined outlet surface 29.

상기 주액기(1)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 몸체(6)를 액체용기의 구멍에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보통, 용기를 들고 기울여서 맥주와 같은 액체를 술잔에 따른다. 이때 공기는 소리발생관(17)의 작은 구멍(21)과 공동실(30)을 통하여 공기유입관(13)으로 유입된다. 작은 구멍(21)은 오리피스로 작용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난류로 만들고, 공동실(30)은 소리를 발생하는 공명실의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유입관(13)을 통한 공기흐름이 단속됨으로써 소리는 길게 연속되는 휘파람소리가 아니고 새소리와 같은 ″삐약 삐약″하는 단속적인 소리가 된다. 상기 ″삐약 삐약″하는 소리는 듣기에 유쾌한 소리이다.In order to use the injector 1, the cylindrical body 6 is pushed into the hole of the liquid container to be coupled. Usually, the container is tilted to pour a liquid, such as beer, into the glass. At this time,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ipe 13 through the small hole 21 and the cavity chamber 30 of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The small hole 21 acts as an orifice to make turbulent air flow therethrough, and the cavity 30 serves as a resonance chamber for generating sound. As the air flow through the air inlet pipe 13 is interrupted, the sound is not a long continuous whistling sound, but an intermittent sound of ″ beep bleaking ″ like a bird sound. Said ″ spiking spiking ″ sounds pleasant to hear.

용기속에 있는 액체를 공기유입관(13)을 통하여 들어온 공기의 도움을 받아 주액노즐(3)의 주유출관(10)을 통하여 따를때 상기 보조유출관(25)의 액체도 동시에 보조유출구(26)로부터 나오게 된다. 비교적 다량의 액체를 주로 주유출관(10)을 통해서만 나오게 하면 다량의 공기가 컵 속으로 배출되어 거품을 형성하게 된다. 보조유출구(26)를 통하여 따르어지는 액체는 먼저 따른 액체가 형성한 액체표면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액체속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진동에 의하여 무수한 작은 기포들로 분리되어 액체표면을 덮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공기비말동반(空氣飛沫同伴 ; entraining)은 단지 주액초기에 국한되며, 따라서 공기거품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When the liquid in the container is poured through the main outflow pipe 10 of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with the help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13, the liquid in the auxiliary outflow pipe 25 is also the auxiliary outlet port 26 at the same time. Will come from. When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quid mainly comes out through the main outlet pipe 10, a larg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into the cup to form bubbles. The liquid pouring through the auxiliary outlet 26 exerts a slight vibration on the liquid surface formed by the liquid first. Therefore, the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liquid is separated into a myriad of small bubbles by vibration to cover the liquid surface. In this way the entraining of the air droplets is limited only to the beginning of the liquor,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air bubbles is effectively reduced.

용기를 들어올려 따르기를 중지하면 주액기(1)의 유출관속에 남아있는 액체와 거품은 용기속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액체를 따르는 동안 격벽(8) 양측의 정체공간(11 및 12)에 고여 있는 공기는 액체가 용기속으로 되돌아가는 사이에 점성저항을 감소시키며, 또한 돌발적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When the container is lifted and stopped pouring, the liquid and bubbles remaining in the outflow pipe of the injector 1 enter the container again. The air accumulated in the stagnant spaces 11 and 12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8 while pouring the liquid reduces the viscous resistance between the liquid returning to the container and also prevents it from flowing accidentally.

병아리소리 발생기구의 소리는 작은 구멍(21)의 직경(d), 공동실의 직경(D)과 축방향의 길이 및 소리발생관(17)의 구조재료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공기유입관(13)의 내측단부를 용기속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하므로서 흐르는 공기에 미소한 진동을 발생시켜 휘파람 소리 대신에 단속적인 ″삐약 삐약″소리를 내게 된다.The sound of the chick sound generating mechanism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d of the small hole 21, the diameter D of the cavity chamber,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tructural material of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As the inner end of the air inlet pipe 13 extends into the container by a certain length, a slight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flowing air, thereby producing an intermittent "beep beep" sound instead of a whistle.

용기속의 모든 액체가 소모된 후에는 주액기(1)를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호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관(13)의 내측단부(13b)를 입에 물고 공기를 불어내거나 빨아들인다. 이때 소리발생관(17)속에서 공명현상이 일어나서 휘파람 소리가 난다.After all the liquid in the container has been consumed, the injector 1 can be removed from the container and used as a whistle. The inner end 13b of the air inlet pipe 13 is held in the mouth to blow or suck air. At this time,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in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and a whistle sounds.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주액기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서는 보조유출관과 그의 유출구를 주액기(1)로부터 제거한 것이며, 그밖에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5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 In FIG. 5, the auxiliary outlet pipe and its outlet are removed from the pouring machine 1, and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액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주액기는 제7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폴리에치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프라스틱재료로 형성된 것으로서 주액기의 몸체(2′) 및 주액노즐(3′)로 이루어져서 서로 결합시키게 되어 있다. 공기유입관(13)은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외측단부(13a)는 주액노즐(3′)과 일체로 형성된 소리발생관(17)속으로 끼우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소리발생관(17)은 작은 구멍(21)이 뚫려있는 격벽(18)을 가지고 있다.6 to 8 show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to 8, the injector shown in FIGS. 6 to 8 is formed of a suita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nd the body 2 'and the injector of the injector. It consists of the nozzle 3 ', and is mutually joined. The air inlet pipe 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2 ', while the outer end 13a is inserted into the sound generating pipe 17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jection liquid nozzle 3'. Similarly,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has a partition 18 through which a small hole 21 is drilled.

상기 주액노즐(3′)은 소리발생관(17)이 달려있는 노즐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주유출관(10)은 두개의 보조유출구(261 및 262)를 가지고 있는 보조유출구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유출관(10)의 결합단부(31)는 평평한 상부를 갖는 대략 반원형이며, 상기 결합단부(31)는 보조유출구(261 및 262)와 연통되어 있고, 그 보조유출구(261 및 262)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타원형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결합단부(31)의 형상은 원하는 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보조유출관(25)은 주유출관(10)과 직접 통해 있지 않고, 몸체(2′)의 플랜지(5′)에 인접된 구멍(32)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주액기의 작용은 제1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The injection liquid nozzle 3 'is composed of a nozzle body having a sound generating tube 17, and the main discharge pipe 10 includes an auxiliary outlet portion having two auxiliary outlets 261 and 262. As shown in FIG. 8, the coupling end 31 of the main outlet pipe 10 is substantially semi-circular with a flat top, and the coupling end 3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uxiliary outlets 261 and 262, and the auxiliary outlet port is 261 and 262 form an ellips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oupling end 31 may be selected as desired. The auxiliary outflow pipe 25 is not 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 main outflow pipe 10 but communicates with the hole 32 adjacent to the flange 5 'of the body 2'. The operation of the pouring machine shown in Figs. 6 to 8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액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액기(1)의 몸체(2 또는 2′)는 외측결합선(A-B)을 따라 주액노즐(3 또는 3′)과 결합되게 되어 있으나. 본 제 3 실시에서는 주액노즐(3″)의 주유출관부분은 몸체(2″)와 결합하며,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에는 상기 주액노즐(3″)과 일체로 형성된 소리발생관(17′)이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9도 및 10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액기 몸체(2″)의 단부면은 평평하고 외측결합선(A-A)은 직선이다.9 and 10 show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body 2 or 2 'of the pouring machine 1 is coupled with the pouring nozzle 3 or 3' along the outer coupling line A-B.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main outflow pipe portion of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 is engaged with the body 2 ″,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 at the outer end 13 ′ a of the air inflow pipe 13. The formed sound generating tube 17 'is inser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the end face of the injection body 2 " is flat and the outer coupling line A-A is straight.

상기 주액노즐(3″)의 각 부분은 몸체(2″)의 각 부분에 착설되어 있따. 좀더 자세히 말해서 소리발생관(17′)은 주액노즐(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소리발생관(17′)의 단부에는 작은 구멍(21′)을 가진 격벽(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은 구멍(21′)의 맞은편에 간격을 두고 또 하나의 작은 구멍(33)이 공기유입관(13)에 형성된 격벽(34)에 뚫려 있다. 격벽(34 및 18′)들 사이에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공동실(30)이 공기유입관(13)속에 형성하게 된다. 공동실(30)의 공기가 공명되면 소리가 발생된다. ″삐약 삐약″소리기구 또는 소리발생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격벽(18′ 및 34)의 두께는 1mm, 작은 구멍(21′ 및 33)의 내경은 2.8mm, 공동실(30), 즉 격벽(18′ 및 34)사이의 간격은 10mm이고, 공기유입관(13)과 소리발생관(17)의 내경은 4mm이다.Each part of the injection liquid nozzle 3 ″ is mounted on each part of the body 2 ″. More specifically,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 and the bulkhead 18' having the small hole 2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sound generating tube 17'. Form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mall hole 21 ', another small hole 33 is drilled through the partition 34 formed in the air inlet pipe 13. Between the partitions 34 and 18 ', a cavity 30 having a constant inner diameter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air inlet pipe 13. When the air in the cavity 30 is resonated, sound is generat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 spiking " sounding device or sound generating device,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s 18 'and 34 is 1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small holes 21' and 33 is 2.8 mm, and the cavity 30, i.e., the partition wall The interval between 18 'and 34 is 10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pipe 13 and the sound generating pipe 17 is 4 mm.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보조유출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몸체(2″)와 주액노즐(3″)사이의 연결부는 제1 및 제 2 실시예에 비하여 약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구조는 매우 간단하고 밀착되어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does not have an auxiliary outlet,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2 ″ and the liquid injection nozzle 3 ″ is weakly construc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tight.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액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 4 실시예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소리발생기구이다. 제11도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작은 구멍(21″)은 주액기몸체(2″)의 외벽에 뚫려서 공기유입관(13)과 연통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같은 격벽(18′)이 없는 관형의 소리발생관(17″)이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에 부착되어 있다. 관형의 소리발생관(17″)과 작은 구멍(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전술된 공동실(30)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주유출관(10)과 연통되어 있는 보조유출관(25)과 보조유출구(26)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11 shows a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is fourth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is 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small hole 21 ″ is drill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2 ″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let pipe 13. A tubular sound generating tube 17 ″ having no partition 18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outer end 13'a of the air inlet tube 13.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ubular sound generating tube 17 ″ and the small hole 21 ″ serves as the cavity 30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outflow pipe 25 and the auxiliary outflow port 26 communicating with the main outflow pipe 10 are form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액기(4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주액기(40)는 원통형 몸체(6)가 달려 있는 플랜지(5), 유입구(41)와 주유출관(10)을 형성하는 주액기몸체(42), 주유출관(10) 및 보조유출구(26)와 연통되어 있는 보조유출관(25)을 형성하는 돌출부(43), 그리고 공기유입관(13)을 형성하는 상부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12 to 15 show the pouring machine 4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or 40 has a flange 5, a inlet 41, and a main outlet pipe 10, on which a cylindrical body 6 rests, a main body 42, a main outlet pipe 10, and an auxiliary outlet 26. It is composed of a protrusion 43 for forming an auxiliary outflow tube 25 and the upper protrusion for forming an air inlet pipe (13) in communication with.

음향발생기구로서 리드기구가 상기 주액기(40)에 사용되었다. 상기 공기유입관(13)에는 어떤 종류의 리드기구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리드기구는 얇은 금속판으로 성형된 탄력성 리드(45), 상기 리드(45)의 연부에 상당하는 외주연부와 상기 리드(45)로부터 사이가 떨어져 있는 요부(46b)를 가지고 있는 딱딱한 보트형 부재(46), 그리고 상기 리드(45)와 보트형 부재(46)를 잡아 주는 짧은 슬리브(4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짧은 슬리브(47)는 공기유입관(13)속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47)는 공기유입관 속에 공지의 방법으로 공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47)에는 외주홈(47a)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유입관(13) 내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돌기(13c)와 결합하므로서 리드기구(45)를 공기유입관(13)속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47)와 주액기 몸체(42)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프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리드(45), 보드형 부재(46) 및 슬리브(47)로 이루어지는 리드조립체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으로부터 공기유입관(13)속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상기 보트형 부재(46)는 공기유입관(13)속에서 일종의 쓰로틀(throttle)역할을 하며 리드(45)로 공기흐름을 유도하여 리드(45)를 진동시켜 준다. 따라서 리드(45)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45)는 양쪽방향의 공기흐름에 따라 소리를 내며, 따라서 주액기(40)는 공기를 공기 유입관(13)의 내측단부(13b)로부터 볼때 호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주액기용으로서 리드(45)를 일방향호각으로 만들수도 있다.A reed mechanism was used for the pouring machine 40 as the acoustic generator. The air inlet pipe 13 may be inserted into any kind of lead mechanism.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ad mechanism has an elastic lead 45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an outer periphery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ead 45 and a recess 46b spaced apart from the lead 45. It is composed of a rigid boat-like member 46, and a short sleeve 47 for holding the lid 45 and the boat-like member 46. The short sleeve 47 is to be inserted into the air inlet pipe (13). The sleeve 47 can be processed in a known manner in the air inlet pipe. In the embodiment, the sleeve 47 is form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47a, thereby engaging the lead mechanism 45 with the air inlet pipe 13 by engaging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13c formed in the air inlet pipe 13. It can be fixed at the proper position in the inside. The sleeve 47 and the dispenser body 42 are preferably made of a suitable plastic material. The lead assembly consisting of the lid 45, the board member 46 and the sleeve 47 can be pushed into the air inlet pipe 13 from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The boat-type member 46 serves as a kind of throttle in the air inlet pipe 13 and induces an air flow to the lid 45 to vibrate the lid 45. Therefore, sound is generated by the lead 45.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id 45 makes a sound according to the air flow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pouring machine 40 can be used as a whistle when viewing the air from the inner end 13b of the air inlet pipe 13. Can be. The lead 45 can also be made into a one-way whistle for the injector.

제1, 7, 11도 및 제12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보조유출구는 주액기를 맥주 따르는데 사용할 경우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5 및 10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조유출구를 주액기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The secondary outlets shown in the examples of FIGS. 1, 7, 11 and 12 are effective in generating fine bubbles when the pouring machine is used to pour beer.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outlet can be removed from the pouring machin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주액기는 음료수, 특히 맥주를 따르는데 이상적이며 간단한 소리발생기구, 즉 공기유입관과 결합된 ″삐약 삐약″소리발생기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음료수를 따를때 공기유입관 속에서 단속적인 공기흐름에 의하여 유쾌한 소리가 발생된다. 상기 주액기를 사용하는 사람은 음료수를 따르면서 유쾌한 소리를 들을때 음료수를 더 마시게 된다. 상기 주액기는 용기를 비운 다음에 호각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애들이 주액기를 좋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주액기는 음료수를 따를때 ″삐약 삐약″소리를 내고, 주액기를 용기로부터 분리하였을 때는 호각소리를 내기 때문에 두가지의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in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deal and simple sounding mechanism for pouring beverages, in particular beer, ie a ″ spiking spiking ″ sounding mechanism combined with an air inlet pipe. Therefore, when the drink is poured, a pleasant sound is generated by the intermittent air flow in the air inlet pipe. The person using the liquid drinker will drink more drink when you hear a pleasant sound while following the drink. Children like the dispenser because the dispenser can be used as a whistle after emptying the container. As a result, the in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two sounds because it makes a whistle sound when the beverage is poured, and a whistle sound when the injector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Claims (8)

액체용기의 유출구에 부착하게 되어 있는 액체주액기(1, 40)로서, 적어도 한개의 주액관, 하나의 공기유입관(13) 및 그 공기유입관(13)속의 소리발생기구(17, 17′, 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A liquid injector (1, 40) attached to an outlet of a liquid container, comprising at least one liquid inlet pipe, one air inlet pipe (13), and a sound generating mechanism (17, 17 ') in the air inlet pipe (13). , 17 ″) with a sound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기구(17, 17′, 17″)가 리드(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The pour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17, 17 ', 17 ") is composed of a lid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기구(17, 17″)가 상기 공기유입관(13)의 외측 원주상에 형성된 최소 한개의 작은 구멍(21, 21″)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The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17, 17 ″) has at least one small hole (21, 21 ″)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ir inlet pipe (13). Injector with utens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기구(17, 17′)가 상기 공기유입관 속에 갖춰지고 한개의 작은 구멍(21′, 33)이 뚫려있는 최소 한개의 격벽(18, 18′, 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2.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7, 17 ')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17, 17')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pipe and at least one partition (18, 18 ', 34) through which one small hole (21', 33) is drilled. Injector having a sound generat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격벽(18′, 34)이 상기 공기유입관(13)내에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져 있고, 각각 작은 구멍(21′, 3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2. The sound of claim 1, wherein two partitions 18 ′, 34 are longitudinally spaced in the air inlet pipe 13 and have small holes 21 ′, 33 ′, respectively. Injector with gene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8, 18′, 34)이 상기 공기유입관(13)의 외측단부(13a, 13′a)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5. The injector with a sound generating mechanism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partitions (18, 18 ', 34) are attached to the outer ends (13a, 13'a) of the air inlet pipe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13)이 용기속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어 공기유입관(13)을 통하여 용기속으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진동시키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The sound generat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inlet pipe (13) extends by a certain length into the container to vibrate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air inlet pipe (13). The drinker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액기(1)는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음료수의 주액기이며, 상기 주액관은 한개의 직경이 큰 주유출관(10)과 그 주유출관(10)밑에 최소 한개의 직경이 작은 보조유출관(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기구를 가진 주액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injector (1) is a liquid injector of the beverage containing carbonic acid gas, the liquid infusion pipe is a large diameter main outflow pipe 10 and at least one diameter below the main outflow pipe (10) Injector having a sound generat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is small auxiliary outlet pipe (25).
KR1019830005538A 1982-11-24 1983-11-23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KR9200013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540 1982-11-24
JP57204540A JPS59103854A (en) 1982-11-24 1982-11-24 Pour-out tool with sound generating mechanism
JP15000 1983-02-05
JP1500083U JPS59121377U (en) 1983-02-05 1983-02-05 Beverage pouring tool
JP6288983U JPS59168353U (en) 1983-04-28 1983-04-28 Beverage pouring tool
JP6288883U JPS59168352U (en) 1983-04-28 1983-04-28 Beverage pouring tool
JP62888 1983-04-28
JP62889 1983-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792A KR840006792A (en) 1984-12-03
KR920001384B1 true KR920001384B1 (en) 1992-02-13

Family

ID=2745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538A KR920001384B1 (en) 1982-11-24 1983-11-23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112035B1 (en)
KR (1) KR920001384B1 (en)
AU (1) AU568100B2 (en)
CA (1) CA1206442A (en)
DE (1) DE3372743D1 (en)
MX (1) MX15642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8714C2 (en) * 1998-03-26 1999-05-27 Hoogovens Corporate Services B Can with acoustical signal
WO1999028202A1 (en) * 1997-12-03 1999-06-10 Hoogovens Corporate Services B.V. Can with acoustic signal
AU2001267516A1 (en) * 2000-06-10 2001-12-24 Wella Aktiengesellschaft Container
DE102005006590A1 (en) * 2004-12-06 2006-06-08 BERICAP Záródástechnikai B.T. Bottle seal for beverage bottles has lower section, outpouring section fitted with oscillation producing element whereby flowing through fluid shifts oscillations or through overflowing liquid, oscillations are produced in liquid by itself
CA2773801C (en) * 2011-04-08 2019-08-06 Gotohti.Com Inc. Dispenser with sound generators
CA3000244A1 (en) * 2018-04-04 2019-10-04 Op-Hygiene Ip Gmbh Fluid pump with whistle
DE102018211064A1 (en) 2018-07-04 2020-01-09 Magna Exteriors (Bohemia) s.r.o. Vehicle door or flap with a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5C (en) * J. F. HEINTZE, Metallwaaren - Fabrikant, in Bremen Filling jug to prevent overflow
GB821769A (en) * 1956-03-05 1959-10-14 Geoffrey Vernon Smit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ttle stoppers
US4398652A (en) * 1979-11-21 1983-08-16 Suntory Limited Method and dispenser for dispensing be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133083A (en) 1984-05-31
CA1206442A (en) 1986-06-24
EP0112035B1 (en) 1987-07-29
KR840006792A (en) 1984-12-03
EP0112035A3 (en) 1984-12-12
DE3372743D1 (en) 1987-09-03
AU568100B2 (en) 1987-12-17
EP0112035A2 (en) 1984-06-27
MX156423A (en) 198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8652A (en) Method and dispenser for dispensing beer
US5518143A (en) Container cap and assembly for sipping liquids
JP4359306B2 (en) Device for pumping liquid from a package or container
US4674654A (en)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KR920001384B1 (en) Liquid dispenser having sound generating mechanism
US3081008A (en) Siphoning liquid dispenser
JPH09254990A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JP4489254B2 (en) Extractor for sparkling beverages
JPS627063B2 (en)
US2619263A (en) Liquid measuring and pouring attachment
JPS6344367Y2 (en)
JP3330943B2 (en) Fluid storage container
JPS5938360Y2 (en) Beer pouring tool
US20240034547A1 (en) A Pouring Attachment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JPS621905B2 (en)
KR200250733Y1 (en) air inlet structure for bottle
JP2537172Y2 (en) Measuring tap for liquid dispensing container
JPH0120289Y2 (en)
JPH0118528Y2 (en)
JPH0120290Y2 (en)
JPS5933800Y2 (en) Draft beer mini barrel spout
JPS627062B2 (en)
JP2002104466A (en) Metering type compression container
JPS60158051A (en) Pour-out tool with sound generating mechanism
JP2546878Y2 (en) Rinse tank dru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