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57B1 -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57B1
KR920000657B1 KR1019890002929A KR890002929A KR920000657B1 KR 920000657 B1 KR920000657 B1 KR 920000657B1 KR 1019890002929 A KR1019890002929 A KR 1019890002929A KR 890002929 A KR890002929 A KR 890002929A KR 920000657 B1 KR920000657 B1 KR 92000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ing device
wall
fix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39A (ko
Inventor
마사요시 우수이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우수이 유다로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xtending along the attachmen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clamp)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1도의 라인 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1도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 : 크램프본체 2,12,22 : 고정벽
3,3′ : 관통공 4,4′,4″,4″′ : 보조벽
5 : 죔쇠요소 7,13,23 : 볼트공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 또는 수지관(이후에은 파이프로 지칭함)을 고정하기 위한 크램프(clamp)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일,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또는 자동차내에, 또는 기계장치내에 설치되는 작은 직경의 파이프(30mm 이하)를 고정하기 위한 크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램프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형태가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램프 장치는 파이프를 고정벽(12)로 고정하기 위해, 그 기부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13)을 가지는 평탄한 설치벽으로부터 종방향에서 볼때 부분절췌 원형인 고정벽(12)로 굴곡되어, 크램프 본체(11)을 형성한다. 따라서, 파이프 P′는 지지벽(12)에 의해 조여져 고정된다.
종래의 다른 크램프 장치로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고정벽은 기부에 고정되기 위한 볼트구멍을 가지며, 이 평탄한 고정벽에 이어지는 부분을 곡면 지지벽으로 구성함으로 크램프 본체(21)를 형성한다. 곡면 지지벽(22)의 단부는 L자형태로 굴곡되어 평탄한 지지벽(23)에 접촉되며, 파이프 P″를 고정할때, 상기 접촉된 상태로 수지 또는 고무와 같은 쿠션재(24)를 통하여 파이프 P″를 고정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파이프 P″는 볼트(25)에 의해 죄어져서 고정된다.
상술된 첫번째의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파이프 P′를 고정한 후에 지지벽의 탄성회복(spring back)의 영향으로 크램프 장치가 느슨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파이프가 장치된 차량 또는 기계를 사용하여 수송 또는 제품을 조작할때, 엔진 또는 기계의 진동으로 의해 파이프 P′의 위치가 변하거나 또는 굵혀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정부는 불안정하게 된다.
두번째로는 설명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원형으로 구부러진 지지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볼트(25)에 의해 파이프 P″가 죄어지기 때문에, 그리고 지지벽(22)의 단부가 L자형태로 굴곡된 형태로 평탄한 지지벽에 접촉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정부에서 파이프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더우기 크램프 장치의 오랜 사용후에는 개재된 쿠션재(24)의 변질로 인해 P″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크램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파이프가 고정된 후 수송 또는 조작될때, 진동으로 인해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오랜 사용중에도 바림직한 파이프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파이프 위치의 변화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크램프 장치는 가요성 스트립(flexible strip)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종방향에서 U-형으로 굴곡되어 고정벽을 형성하고, 그 타단부는 기부상에 설치될 수 있는 설치벽을 형성하는 크램프 본체와 ; 크램프 본체의 고정벽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로 구비된다.
상기 크램프 본체에는 고정벽의 기부와 말단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기부와 말단부사에에는 간격이 유지되고, 관통공 부근에서 고정부의 측열부가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지지벽이 제공되는 데, 상기 지지벽은 파이프의 외부원주부에 접하게 된다. 죔쇠부재(tightening member)는 관통공을 통해 조임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램프 장치는 상술한 형태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외측 원주면의 거의 전체가 고정면의 전체면과 완전히 접촉되므로, 파이프는 가요성 크램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부가해서, 상기 크램프 장치는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이 고정벽과 접촉되고, 또한 고정벽의 기부와 말단부사이에 간격을 유지함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적 지지력에 의해 파이프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 내지 제3도 상에서의 크램프 본체는 금속성 재질(수지가 코팅된 재질을 포함한다) 또는 수지성 재질의 가요성 스트립으로 성형되며, 상기 크램프 본체(1)은 금속 또는 수지관으로 되어지는 파이프 P를 고정하기 위해 대체로 U-형으로 굴곡된 고정벽(2)가 그 종방향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그 타단부는 기부에 설치되기 위한 볼트공(7)을 갖는 평탄한 설치벽으로 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관통공(3)(3′)는 굴곡된 고정벽(2)의 기부와 말단부에 각각 형성되는데, 이들은 조여질때 상호간에 대해 적정간격(6)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호 중첩되어 있다. 나아가서, 관통공들의 부근에서 고정벽(2)의 측연부들을 내측으로 돌출시켜 파이프 P의 외측 원주면에 접하는 지지벽(4,4′,4″ 및 4″′)를 형성한다.
크램프 기구가 조여질때, 상기 파이프 P는 고정볼트(제1,2도에 도시) 또는 리벳(제3도에 도시)과 같은 죔쇠부재(5)를 관통구멍(3),(3′)를 통해 삽입함에 의해 크램프 장치에 의해 조여진다.
실제로 파이프 P와 접촉되게 되는 지지벽(4),(4′) 그리고 (4″),(4″′)부분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P의 원주면에 따른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선형표면을 가진다. 부가해서, 상기 U-형 고정벽(2)를 형성하는데 가요성 스트립이 사용되기 때문에 고정벽(2)를 전개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는 고정벽(2)의 기부 및 말단부에 각각 관통공(3),(3′)가 마련되고 조여진 상태에서 양구멍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관통공들의 근처의 고정벽의 측연부들은 돌출되어 파이프 P와 접하게 되는 상기 지지벽(4),(4′) 및 (4″),(4″′)를 형성하고 파이프가 설치된 크램프 장치는 관통공(3),(3′)를 통해 삽입된 죔쇠부재(5)에 의해 조여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크램프 장치는 고정벽(2)가 그 전체 면적에서 파이프 P를 밀착하여 고정하고 또한 관통공(3),(3′)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에 대해 지지벽(4),(4′) 및 (4″),(4″′)를 접하게 하는 지지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 P를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크램프 장치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제품의 수송 또는 조작시에, 또는 진동상태에서도 파이프 P가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의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크램프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종방향에서 그 일단부가 U-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고정벽을 포함하고 그 타단부는 기부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벽으로 형성되는 크램프 본체와 ; 상기 크램프 본체의 고정벽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크램프 본체에는 고정벽의 기부 및 말단부에서 각각 관통공이 마련되되 이들 관통공들 사이에는 간격이 유지되며, 상기 관통공 근처의 상기 고정부의 측연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벽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은 상기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에 대해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죔쇠부재는 파이프를 조이기 위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벽이 기부에 고정되기 위한 볼트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금속파이프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죔쇠부재가 죔쇠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에 대해 접하는 상기 지지벽의 각각의 부분이 상기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 원주면에 대해 접하는 상기 지지벽의 각각의 부분이 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가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수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죔쇠부재가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램프 장치.
KR1019890002929A 1988-03-11 1989-03-10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KR920000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374 1988-03-11
JP62-32374 1988-03-11
JP1988032374U JPH01136783U (ko) 1988-03-11 198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39A KR890014939A (ko) 1989-10-25
KR920000657B1 true KR920000657B1 (ko) 1992-01-20

Family

ID=123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929A KR920000657B1 (ko) 1988-03-11 1989-03-10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32619A (ko)
JP (1) JPH01136783U (ko)
KR (1) KR920000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886U (ko) * 1989-04-21 1990-11-15
US5078074A (en) * 1990-03-22 1992-01-07 Gomez Laurence B Vehicle horn
US5797697A (en) * 1996-08-23 1998-08-25 Keller; Richard D. Cross-connectors for tubular members forming frameworks
US6405826B1 (en) * 2000-11-01 2002-06-18 Trampass N. Bass Hanger with swivel arm
JP2006194432A (ja) * 2004-12-17 2006-07-27 Tokai Rubber Ind Ltd 燃料輸送用の配管部材
US20090134282A1 (en) * 2007-11-26 2009-05-28 Grim Sr Glenn R Pipe clamp
DE102012209764B4 (de) * 2012-06-12 2014-01-16 Lisega SE Kälteisoliertes Rohrlager
CN103104749A (zh) * 2013-02-05 2013-05-15 侯如升 一种用于数控车床的电缆固定装置
US9119381B2 (en) * 2013-02-15 2015-09-01 Paul J. Gingerich Poultry migration fence system
US10711920B2 (en) * 2016-09-28 2020-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Clamping device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9573A (en) * 1928-04-27 1930-07-01 Cons Aircraft Corp Attachment clamp
GB1538522A (en) * 1975-09-30 1979-01-17 Mirowski M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heart and for cardioverting a malfunctioning heart
JPS591909B2 (ja) * 1980-04-28 1984-01-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シ−ル弁装置
JPS5759104U (ko) * 1980-09-25 1982-04-07
US4535960A (en) * 1983-06-27 1985-08-20 W. H. Brady Co. Cable clamp with alignment means
US4533102A (en) * 1983-08-17 1985-08-06 Ferrell David R Grounding wire clamping device
US4588152A (en) * 1984-03-16 1986-05-13 Illinois Tool Works Inc. Stucco wall fastener
GB8518251D0 (en) * 1985-07-19 1985-08-29 Signfix Ltd Mounting for offset sign
US4790502A (en) * 1988-01-29 1988-12-13 Usui Kokusai Sangyo Kabushiki Kaisha Clamp for disposing and securing small-diamet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32619A (en) 1990-06-12
JPH01136783U (ko) 1989-09-19
KR890014939A (ko)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57B1 (ko) 작은 직경의 파이프 고정용 크램프 장치
US3848839A (en) Conduit support clamp
US5337983A (en) In-toto connector
US5588683A (en) Anti-resonance pipe clip
US4379537A (en) Cable hanger
US4006874A (en) Tube clamp
EP0118986A1 (en) A self-supporting base for use in a clamp for mounting cable or the like on channel support
US4899965A (en) Apparatus for collectively fixing pipes
KR900007978B1 (ko) 파이프 라인을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와 클램프 조합
US5248119A (en) Clamp body for fixing small-diameter pipe
RU97117940A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опливопровода к штуцеру
US5009376A (en) Seizure-fixing device of pipe by clamp member
AU695714B2 (en) Pipe and cable clamp with base part and receiving strap
US6186452B1 (en) Robust tube strap clamp
ES2114290T3 (es) Abrazadera para tubos y cables con parte de base y estribo de alojamiento.
JPH0226085B2 (ko)
US4844379A (en) Slender pipe fixing clamp
US5027495A (en) Method of fixing pipe with plate-like support
US2431379A (en) Snap clamp
KR100205906B1 (ko) 이중 밴드 케이블
US2712326A (en) Tank patch holder
GB2250079A (en) A piggy back pipe line saddle
KR200141428Y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클램프
JPH0979432A (ja) クランプ
KR200150381Y1 (ko) 파이프와 호스 연결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