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545Y1 -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545Y1
KR910009545Y1 KR2019890013309U KR890013309U KR910009545Y1 KR 910009545 Y1 KR910009545 Y1 KR 910009545Y1 KR 2019890013309 U KR2019890013309 U KR 2019890013309U KR 890013309 U KR890013309 U KR 890013309U KR 910009545 Y1 KR910009545 Y1 KR 910009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output
light emitting
transistor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527U (ko
Inventor
노경원
Original Assignee
노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원 filed Critical 노경원
Priority to KR2019890013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545Y1/ko
Publication of KR910005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멜로디IC 20 : 발진부
N1-N3 : 낸드게이트 Q1-Q6 : 트랜지스터
PT : 적외선 수광소자 LED1-LED3 : 발광다이오드
R1-R12 : 저항 C1-C4:콘덴서
LED4:적외선 발광소자 S. P : 스피이커
본 고안은 완구용 입형에 일정의 행위가 가하여지면, 멜로디음이 출력됨과 동시에, 두눈과 입에서는 발광다이오우드가 점멸되도록하여 흥미감을 북돋을수 있도록 한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용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같은 종류의 회로로서는, 완구용 인형에 사람의 신체중 손톱 따위를 제외한 신체부위가 접촉되면, 사람으로 부터의 정전기가 완구용 인형에 형성된 감지장치에 전탈됨으로써 멜로디움이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Touch)식의 회로가 제한된바 있으나, 이는 인형을 가지고 놀이를 할때에 사람의 손 또는 신체부위중 어느 일부분이 접촉될 때마다 멜로디용이 층력되는 것이어서. 상기 멜로디용의 출력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완구용 입형과의 비접속이 볼가피하므로, 놀이를 하는 데에 있어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완구용 인형을 가지고 놀이를 함에 있어 쉽게 싫증을 내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완구용 인형의 얼굴 부위중 임의의 위치에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내장하여, 인형의 입술에 사람이 키스(Kiss)를 하는 동작을 취하면 인형의 얼굴 위치와 사람의 얼굴 위치가 일치되게 됨에 따라, 상기 인형의 입술에 내장된 발광소자로 부터의 빛이 사람의 일굴부위에서 반사되어 다시 인형의 얼물에 내장된 수광소자에 가하여지게 됨으로써, 수광소자가 동작되어 출력되고 신호에 의하여 멜로디움이 출력됨과 동시에, 인형의 안구에 내장된 발광 다이오드와 입술속에 내장된 발광다이오드가 점멸되어 눈은 깜박이듯 하고, 입은 노래하듯 반작이게 함으로써 흥미감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저항(R4), (R5) 및 콘덴서(C1)가 접속된 멜로디 IC(10)의 입력단자(IN1), (IN2)에 적외선 발광소자(LED4)로 부터의 빛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소자(PT)의 출력이 낸드게이트(M2)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접속하고, 상기 멜로디 IC(10)의 출력단자(OUT1)에는 트랜지스터(Q6)를 통하여 스피이커(SP)를 접속하며. 상기 멜로디 IC(10)의 출력단자(OUT2)에는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발광다이오우드(LED3)를 접속하고, 상기 멜로디 IC(l0)의 출력단자(OUT3)에는 낸드게이트(N3)및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 (Q4), 저항(R6-R8), 콘덴서(C2), (C3)로 된 발진부(20)를 접속하고, 글의 출력단에 발광다이오우드(LED1), (LED2)를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 발광다이오우드(LED1), (LED2)는 인형의 두눈에 내장한 것이고, 발광다이오우드(LED3)는 입술속에 내장하여 구성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Rl-R3, R9-R12는 저항이고, N1은 낸드게이트이며, Q1은 트랜지스터이고, C4는 콘덴서이며,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표에 전원단자(VCC)를 통하여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1)을 통한 낸드게이트(N1)의 입력단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낸드게이트(N1)의 출력단에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출력됨으로서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됨에 따라 인형의 얼굴부위에 내장된 적외선 발광소자(LED4)가 계속적으로 발광하여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람이 인형의 입술에 키스를 하는 동작을 취하면, 자외선 발광소자(LED4)로부터 송출된 적외선 신호가 사람의 얼굴 또는 눈에서 반사되어 적외선 수광소자(PT)에 가해지게 됨에 따라 적외선 수광소자(PT)가 도통되므로 낸드게이트(N2)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멜로디IC(10)의 입력단자(INl), (IN2)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입력단자(INl), (IN2)로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멜로디 IC(l0)는 그의 내부에 구성된 메모리(도시않음)에서 이미 기억된 멜로디용 신호를 출력단자(OUT1)를 통하여 출력하게 됨과 동시에, 출력단자(OUT3)로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자(OUT2)로는 멜로디음의 고저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멜로디용 출력단자(OUT1)로 출력된 멜로디용 신호는 트랜지스터(Q6)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스피이커(SP)를 통하여 출력되고, 이와 동시에 출력단자(OUT2)로 출력된 고저파형 신호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5)를 도통시킴으로 인형의 입술속에 내장된 발광다이오우드(LED3)가 발광된다.
이때 저항(R4), (R5)및 콘덴서(C1)에 의하여 설정된 시정수에 의하여 멜로디용의 속도가 조정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우드(LED3)는 노래하듯이 점멸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OUT3)로 출력된 로우상태의 신호는, 낸드게이트(N3)를 통하여 하이상태의 신호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를 토통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면, 트랜지스터(Q2)는 그의 콜렉터 및 에미터볼 통하여, 저항(R6-R8), 콘덴서(C2), (C3)및 트랜지스터(Q3), (Q4)에 의하여 멀리바이브 레이터 회로로 구성된 발진부(2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상기 발진부(20)로 부터의 발진출력 신호에 의하여 인형의 눈속에 내장된 발광다이오우드(LED1), (LED2)가 점멸 동작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인형의 입술에 사람이 키스를 하는 동작을 취하면, 발광소자인 적외선 발광소자(LED4)로부터의 빛을 수광한 적외선 수광소자(PT)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멜로디IC(10)가 동작되어 이미 기억된 멜로디용이 출력됨과 동시에, 인형의 두 눈속에 내장된 발광다이오우드(LEDl), (LED2)가 점멸동작되어 눈이 깜빡이듯 동작하게 되고, 또한 인형의 입술속에 내장된 발광 발광다이오우드(LED3)로 점멸동작되어, 상기멜로디용 출력에 따라 인형이 노래를 하는듯 반짝거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멜로디IC(10)대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대체하면, 어떠한 음악도 기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멜로디용을 변화있게 선택 할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OUT2), (OUT3)에는 발광다이오우드(LEDl), (LED3)를 점멸시키는 구동회로를 접속하는것 외에, 모우터 또는 기타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접속하여 구성한다면 인형의 움직임도 제어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인형의 입술에 키스를 하는 동작을 취하면, 멜로디움이 출력됨과 동시에 눈은 깜빡이고, 입은 노래하둣 반짝이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감을 한층 더 북돋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출력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저항(R4), (R5)및 콘덴서(C1)가 접속된 멜로디IC(l0)의 입력단자(INl, (IN2)에 적외선 발광소자(LED4)로 부터의 빛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소자(PT)의 출력이 낸드게이트(N2)을 통하여 인가되도록 접속하고, 상기 멜로디IC(10)의 출력단자(OUT1)에는 트랜지스터(Q6)를 통하여 스피이커(SP)를 접속하며, 상기 멜로디IC(10)의 출력단자(OUT2)에는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발광다이오우드(LED3)를 접속하고, 상기 멜로디IC(10)의 출력단자(OUT3)틀에는 낸드게이트(N3)및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 (Q4) 저항 (R6-R8), 콘덴서(C2), (C3)로된 발진부(20)를 접속하고, 그의 출력단에 발광다이오우드(LED1), (LED2)를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움 발생회로.
KR2019890013309U 1989-09-08 1989-09-08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KR910009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309U KR910009545Y1 (ko) 1989-09-08 1989-09-08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309U KR910009545Y1 (ko) 1989-09-08 1989-09-08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527U KR910005527U (ko) 1991-04-22
KR910009545Y1 true KR910009545Y1 (ko) 1991-12-13

Family

ID=1928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309U KR910009545Y1 (ko) 1989-09-08 1989-09-08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5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527U (ko) 199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513A (en) Illuminating toy
US5267886A (en) Multiple action plush toy
US6330427B1 (en) Talking novelty device with book
US5236383A (en) Illuminated toy ball
US6089943A (en) Toy
US5281180A (en) Toy doll having sound generator with optical sensor and pressure switches
US5471192A (en) Sound producing device stimulated by petting
US4314423A (en) Sound producing toy
US7662015B2 (en) Interactive toy unicorn
US4820229A (en) Amusement device
US4737131A (en) Toy
US5524638A (en) Amusement device for use during sexual intercourse
US6139394A (en) Stuffed animal figure with sound and illuminated face
US6053797A (en) Interactive toy
US4740186A (en) Doll
US20070065792A1 (en) Dental hygiene tutorial toy
WO2008057320A2 (en) Peek-a-boo doll with dual activation
KR910009545Y1 (ko) 완구용 인형의 멜로디음 발생회로
US6547630B2 (en) Heart shaped novelty device
US20200246713A1 (en) Hand puppet with controllable audio output
US20130324009A1 (en) Variable sound generator
US9844733B1 (en) Interactive toy bin
KR910008377Y1 (ko) 음향용 동물완구
KR900002313Y1 (ko) 전자 음향 인형완구
JPH02238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