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306Y1 -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06Y1
KR910009306Y1 KR2019880011301U KR880011301U KR910009306Y1 KR 910009306 Y1 KR910009306 Y1 KR 910009306Y1 KR 2019880011301 U KR2019880011301 U KR 2019880011301U KR 880011301 U KR880011301 U KR 880011301U KR 910009306 Y1 KR910009306 Y1 KR 910009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horizontal
vertical bar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654U (ko
Inventor
유연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1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306Y1/ko
Publication of KR900003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or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의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시스템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모듈레이션 튜너부 2 :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
3 : 고주파 변조부 4 : 서보부
5 : 수평동기신호발생부 6 : 수직동기신호발생부
8 : 수직바신호발생부 8 : 영상신호발생부
9 : 절환스위치 ND1, ND2 : 랜드게이트
ANT : 안테나 VD : 영상헤드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스트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VCR에서, TV수상기의 채널을 세팅하기 위하여 수직바(bar)로 나타나게 되는 테스트신호발생과, 그 테스트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외부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있께한 테스트신호발생 및 음성 신호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럽방식의 VCR에 있어서는 VCR을 TV수상기에 연결하였을 경우에, TV수상기의 채널을 세트하기 위하여 VCR의 고주파 변조부내 신호발생용 집적소자로 테스트신호를 발생하게 구성하였으므로 테스트신호를 다른용도에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VCR은 서보부가 캡스틴모타 등을 구동시키는 제어의 기준신호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영상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외부에서 입력시키는 음성신호 즉, 예를들면 스테레오 음성신호 및 마이크의 신호등을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수 없는 결합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 결합을 갖지 않는 테스트신호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VCR의 고주파 변조부내에서 테스트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수평동기신호발생부의 수평동기신호로 테스트신호를 발생시켜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에 입력시킴으로써 TV수상기의 채널을 세팅하도록 함과 아울러 테스트신호에 혼합되어 있는 동기 신호로 서보부가 캡스턴모타등을 제어하여 비디오테이프에 외부음성 신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신호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테스트 신호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시스템은, 가변저항, 저항 및 콘덴서의 시정수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발생부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각기 발생시키고, 수평동기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테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직바신호 발생부가 발진하여 수직바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복합동기신호발생부가 복합하여 복합동기신호를 발생하며, 수직바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된 수직바 신호와 복합동기 신호발생부에서 출력된 복합동기신호는 영상신호발생부에서 혼합하여 테스트신호를 발생한 후 절환스위치의 절환에 따라 루미 넌스/ 칼라 프로세서부에 입력되게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 및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테스트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TV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디모듈레이션 튜너부(1)와, 상기 디모듈레이션 튜너부(1)의 출력신호 또는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신호 (OV)를 처리하는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2)와, 상기 루미넌스 칼라 프로세서(2)의 출력신호를 고주파로 변조하는 고주파 변조부(3)와, 상기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2)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로 캡스턴 모타등을 서보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4)로 된 VCR에 있어서, PAL방식의 15625HZ 및 50HZ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각기 발생하는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 가변저항(VR1), (VR2), 저항(R1), (R2) 및 콘덴서(C1, C2), (C3, C4)로 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발생부(5), (6)와,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발생부(5), (6)의 출력신호를 반전 논리합하여 복합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D1)와, 상기 수평동기 신호 발생부(5)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발진하여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발생하는 낸드게이트(ND2), 저항(R3-R5), 가변저항(VR3), 트랜지스터(TR1) 및 콘덴서(C5)로 된 수직바신호발생부(7)와, 상기 수직바신호 발생부(7)에서 출력되는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반전 증폭하며, 상기 낸드게이트(NC1)의 복 합동기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면서 영상증폭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6-R13), 트랜지스터(TR2-TR5) 및 콘덴서(C6)로 영상신호발생부(8)와, 상기 디모듈레이션 튜니부(1)의 출력신호, 영상신호 발생부(8)의 출력신호 및 외부영상신호(OV)를 절환하여 상기 루미넌스 칼라 프로세서부(2)에 선랙적으로 입력시키는 절환스위치(9)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VCC는 전원단자이고, VD는 비디오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영상신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원은 각각의 수평동기신호발생부(5), 수직동기신호발생부(6)의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의 전원 입력단자(VDD1), (VDD2)에 인가되어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가 정상 동작하게 됨과 아울러 가변저항(VR1), (VR2) 및 저항(R1), (R2)을 통해 콘덴서(C1), (C3)에 충전되면서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의 드레시홀드단자(THE1), (THE2)에 인가되고, 상기 콘덴서(C1), (C3)에 일정전압이상이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압은 저항 (R1), (R2)을 통해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의 방전단자(DIS1), (DIS2)로 방전되면서 각각의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는 발진하게 된다.
이 때 발진용 집적소자(IC1)는 가변저항(VR1), 저항(R1), 콘덴서 (C1)에 의하여 PAL방식의 수평동기주파수인 15625HZ의 주파수와 저항(R1),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하여 10㎲의 네가티브펄스를 발생하는 수평동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진용 집적소자(IC2)는 가변저항(VR2), 저항(R2), 콘덴서(C3)에 의하여 PAL방식의 수평동기주파수인 50HZ의 주파수와 저항(R2), 콘덴서(C3) 시정수로 0.4㎳정도의 네가티브펄스를 발생하도록 하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수평동기신호발생부(5)와 수직동기신호발생부(6)의 발진용 집적소자(IC1), (IC2)외 출력단자(OUT1), (OUT2)로 부터 각기 출력되는 PAL방식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는 복합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낸드게이트(ND1)에 입력되어 반전 논리곱되면서 복합동기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수평동기신호발생부(5)의 수평동기 신호는 수직바 신호발생부(7)의 낸드게이트(ND2)에 입력되어 수평 동기신호에 따라 발진되면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수평동기신호발생부(5)에서 출력되어 낸드게이트(ND2)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수평동기신호자 저 전위일 경우에는 낸드게이트(ND2)가 그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고전위를 출력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로 저전위가 출력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상기 낸드게이트(ND2)의 출력단자에서 고전위가 출력될 때 트랜지스터(TR1)가 온됨과 아울러, 출력된 고전위가 저항(R3) 및 가변저항(VR3)을 통해 콘텐서(C5)에 충전되면서 낸드게이트(ND2)의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콘덴서(C5)에 일정 전압 이상이 충전되어 낸드게이트(ND2)의 타측입력단자에 고전위가 인가될 경우에는 낸드게이트(ND2)의 출력단자에서는 저전위를 출력하여 온되어 있던 튤내지스터(TR1)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콘덴서(C5)의 충전전압이 가변저항(VR3) 및 저항(R3)을 통해 낸드게이트(ND2)의 출력단자로 방전되어, 상기 콘덴서(C5)의 전압이 일정전답이상 방전되면 낸드게이트(ND2)의 타측입력 단자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낸드게이트(ND2)의 출력단자에서는 다시 고전위를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가변저항(VR3)의 가변으로 수직바 신호발생부(7)의 발진시정수를 조절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바신호발생부(7)에서 출력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는 영상신호발생부(8)의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반전 증폭되고, 트랜지스터(TR3)를 통해 다시 반전증폭된 후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로 출력되며,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는 상기 복합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낸드게이트(ND1)에서 출력한 복합동기 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R5)에서 스위칭되면서 저항(R11), (R13)으로 분배되어 콘덴서(C6)를 통해 절환스위치(9)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영상신호발생부(8)로 부터 절환스위치(9)에 입력된 영상 신호로 증폭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는 절환스위치(9)의 절환에 따라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2)에 입력되어 처리되는데, VTR에 TV수상기를 연결하여 TV수상기의 채널을 세트할 경우 상기 영상신호발생부(8)로 부터 증폭된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는 고주파 변조부(3)에 입력되면서 고주파로 변조되어 출력되므로 TV수상기의 채널을 세트할 수 있게되고, 외부 오디오신호를 녹음하려할 경우 또한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2)에 입력된 영상신호로 증폭된 테스트신호에서 다시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서보부(4)에 입력시키게 되므로 서보부(4)는 상기 복합동기신호를 기준신호로 캡스턴 모타를 제어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외부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고주파 변주부내에서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수평동기 신호발생부의 수평동기신호로 테스트신호를 발생시켜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에 입력시키므로서 테스트신호의 복합동기신호로 서보부가 서보 제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어 영상신호가 없어도 비디오 테이프가 마이크로 신호 및 스테레오신호등의 외부음성신호를 정확히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모듈레이션 튜너부(1)가 튜닝한 TV방송신호 및 외부영상신호가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2)에 선택적으로 입력되어 처리된 후 고주파 변조부(3)에서 고주파 변조되어 출력됨과 아울러 상기 루미넌스/칼라 프로 세서부(2)에서 검출된 복합동기신호를 기준신호로 서보부(4)가 캡스턴모타를 서보제어하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발진하면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수평동기신호 발생부(5) 및 수직동기신호발생부(6)와,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발생부(5), (6)의 출력신호를 반전 논리곱하여 복합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D1)와. 상기 수평동기신호 발생부(5)의 출력신호에 따라 반전하여 TV채널을 세팅하는 데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바신호 발생부(7)와, 수직바신호 발생부(7)로 부터의 테스트신호인 수직바신호를 반전증폭하며, 상기 낸드게이트(ND1)의 복합동기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면서 영상증폭된 테스트신호를 발생하는 영상신호발생부(8)와, 디모듈레이션 튜너부(1)의 출력신호, 영상신호발생부(8)의 출력신호 및 외부 영상 신호를 상기 루미넌스/칼라 프로세서부 (2)에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는 절환스위치(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기록 시스템.
KR2019880011301U 1988-07-11 1988-07-11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KR910009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301U KR910009306Y1 (ko) 1988-07-11 1988-07-11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301U KR910009306Y1 (ko) 1988-07-11 1988-07-11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654U KR900003654U (ko) 1990-02-08
KR910009306Y1 true KR910009306Y1 (ko) 1991-12-05

Family

ID=1927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301U KR910009306Y1 (ko) 1988-07-11 1988-07-11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3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654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600B1 (en) Microphone and receiver for automatic accompaniment
KR910009306Y1 (ko) 테스트 신호 발생 및 음성신호 기록 시스템
KR970019443A (ko) 자체진단 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CA1238975A (en) Television sync signal processing circuit
US5040076A (en) Video disk player including signal switching synchronization
KR970004635B1 (ko) 씨디 내장 티브이씨알의 영상 및 음성 기록 방법 및 회로
KR920005984B1 (ko) 음성 합성 신호의 음량 조절회로
KR910006141Y1 (ko) Vtr의 영상신호 무신호시 멜로디 발생 장치
JP3309455B2 (ja) Rfモジュレータ
KR930012165B1 (ko) Ldp 화면안정화회로 및 방법
KR950012191B1 (ko) 브이씨알(vcr)의 슬로우 화면 유동 방지를 위한 드럼 제어 방법
KR0127344B1 (ko) 자막 편집장치 및 방법
KR200150920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회로
KR940007288Y1 (ko) 브이씨알의 에디팅장치
KR960003742Y1 (ko) 픽처 인 픽처 모드에서 메인화면과 서브화면 절환회로
KR970057691A (ko) 비디오테이프 재생시 일정 부분 가림기능을 갖춘 텔레비디오
KR910006139Y1 (ko) Vtr의 영상신호 무신호시 멜로디 발생장치
KR960006399B1 (ko) 영상 및 음성 선택 기능이 내장된 브이씨알(vcr)
KR93000491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고속감기 및 되감기시 모드 절환장치
KR970056848A (ko) 절전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H0531996B2 (ko)
KR960038859A (ko) 팔 방식용 고주파 변조회로
JPH0260383A (ja) ビデオカメラ
KR960038878A (ko) 재생변조 신호발생장치
JPS6325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