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272Y1 - 요지경 (瑤 池 鏡) - Google Patents

요지경 (瑤 池 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272Y1
KR910009272Y1 KR2019880003270U KR880003270U KR910009272Y1 KR 910009272 Y1 KR910009272 Y1 KR 910009272Y1 KR 2019880003270 U KR2019880003270 U KR 2019880003270U KR 880003270 U KR880003270 U KR 880003270U KR 910009272 Y1 KR910009272 Y1 KR 910009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lm
plate
coinciding
film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904U (ko
Inventor
김갑생
Original Assignee
김갑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생 filed Critical 김갑생
Priority to KR2019880003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272Y1/ko
Publication of KR890018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5/00Peep-shows, e.g. raree-shows; Kaleidoscopic or other opalescence exhib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8Kaleido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요지경(瑤池鏡)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a도는 제2도의 A 방향에서 본 결합도, 제4b도는 제2도의 B 방향에서 본 결합도.
제5a도-제5c도는 필름 원판의 회전 작동을 보인 전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갑체 12, 12' : 원형리브
14 : 받침리브 20 : 후갑체
21 : 지지보스 23 : 장공
24 : 투시구 30 : 필름원판
32a, 32b : 표시부 40 : 차광판
41, 41' : 투광구 42, 42' : 스톱퍼
43, 43', 57' : 경사단부 50 : 돌리개판
55, 55', 56 : 구멍 57 : 훅크
본 고안은 필름 원판을 삽입하여 여러가지 그림을 확대 관찰하여 보는 쌍안경형 요지경에 있어서 렌즈 2개를 통하여 동시에 동일한 필름 2개를 입체적으로 확대 관찰하게 하되 특히 그 필름의 내용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필름 원판에 구획된 표시부가 별도의 투시구를 통하여 보이도록 고안된 것이다.
보편적으로 요지경은 렌즈1개를 사용하는 단안경형과 2개를 사용하는 쌍안경형으로 구분되는데 쌍안경형은 피사체(필름)를 입체적으로 확대 관찰하는 것이므로 단안경형보다 더욱 실감나게 볼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쌍안경형 요지경(실용신안 공고 제76-301호 참조)은 필름만을 확대하여 볼수 있고 그 필름의 내용을 이해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그림을 즐겨보는 정도의 완구용으로 사용되었을 뿐 관광안내 또는 교육용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이용 가치가 낮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금까지의 요지경과는 달리 확대 관찰하는 필름의 내용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완구용 이외에도 외국인을 위한 관광 안내용 및 학생들의 교육용으로 서도 사용될 수 있는 그 이용 가치가 높은 요지경을 제공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과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요지경의 구성은 제1도및 제2도와 같이 전, 후갑체(10), (20)로 결합하여 그 결합부 상부에 필름원판(30)투입구(11)및 요홈부(11')를 갖는 통상의 쌍안경형 요지경에 있어서, 전갑체(10)내면에 좌우 대칭한 원형 리브(12), (12')를 형성하여 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체인 투광판(13), (13')과 함께 역시 좌, 우 대칭형의 차광판(40)을 결합시키고 차광판(40)에는 투광구(41), (41')의 스톱퍼(42), (42')를 한쌍씩 형성하되 스톱퍼(42), (42') 단부에는 중심에서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동일한 경사단부(43), (43')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원형리브(12), (12') 아래에는 분할된 필름 원판 받침리브(14)를 형성하여 주며, 후갑체(20)내면 중심부에는 지지보스(21)를 형성하여 돌리개판(50)을 그 중앙보스(51)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되 그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구(52)와 후갑체(20)에서 돌출된 고정봉(22)사이에 스프링(53)을 탄지시키고 동시에 그 손잡이(54)를 후갑체에 마련된 장공(23)을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시켜 캡(54')을 씌워주며 돌리개판(50)에는 또한 상기한 투광구(41), (41')와 일치하는 2개의 구멍(55), (55') 필름원판(30)의 표시부(32a, 32b,......)중 한개와 일치하는 또 하나의 구멍(56) 그리고 상기한 스톱퍼의 경사단부(43), (43')와 동일 원주상에 놓이고 같은 경사단부(57')를 갖는 훅크(57)를 형성하여 주는 한편, 후갑체(20)에는 상기한 돌리개판의 구멍(56)과 일치하는 투시구(24)를 형성하여 준 구성으로서 미설명 부호 25, 25'는 통상의 렌즈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요지경에 사용되는 필름 원판(30)은 통상적으로 배열된 갖가지 필름(31a, 31b,...), (31'a, 31'b,.....)들 및에 표시부(32a, 32b,.....)를 구획하여 그 한쌍의 필름 내용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설명 또는 그명칭등을 각각 기입토록 한것이며 그 외측에 통상의 이송용구멍(33a, 33b,....), (33'a, 33b'...)을 각각 천공한 것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요지경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필름 원판(30)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갑체(10)와 후갑체(20)사이의 투입구(11)로 삽입하여 주면 차광판(40)과 돌리개판(50)사이로 개재됨과 동시에 그 하반부가 전갑체(10)에 형성된 받침리브(14)상에 가볍게 얹혀지고 상부는 오목한 요홈부(11')로 조금 돌출된 상태로 요지경에 결합된다.
그러면 필름 원판(30)의 다수의 필름중 좌, 우 수평한 한쌍의 필름(31a), (31'a)이 차광판(40)의 투광구(41), (41')와 일치하게 되고 돌리개판(50)의 구멍(55), (55')과 각각 일치하므로 제3a도와 같이 외부의 빛이 투광판(13), (13')투광구(41), (41')를 통하여 그에 일치된 필름(31a), (31'a)이면을 밝게 비춰주므로 렌즈(25), (25')를 통하여 필름(31a), (31'a)을 동시에 입체적으로 확대관찰할 수가 있다.
무릇 필름 원판(30)을 처음 삽입할 때에는 투광구(41), (41')와 구멍(55), (55')사이에 반드시 필름이 위치하지는 않으나 이후에 설명된 돌리개판(50)의 회전 이송 작용 1회로써 바른 위치에 놓이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확대 관찰되는 필름(31a), (31a')은 그 내용이 소정의 표시부(32a)에 잘 설명되어 있는 바 이 표시부(32a)는 돌리개판(50)의 또다른 구멍(56)에 자연 일치되어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제3b도와 같이 후갑체(20)의 투시구(24)를 통하여 그 필름(31a), (31'a)의 표시부(32a)를 읽어 볼수 있고 그럼으로써 관찰하는 필름(31a), (31'a)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4a도 또는 제4b도와 같이 필름원판(30)을 투입구(11)로 삽입하게되면 후갑체(20)내의 돌리개판(50)과 전갑체(10)내의 차광판(40)사이로 개재되어 위와 같이 됨과 동시에 스톱퍼(42), (42')의 경사단부(43), (43 ')와 돌리개판(50) 훅크(57)의 경사단부(57')에는 필름 원판(30)의 해당하는 이송용 구멍(33a), (33h) 및 (33e)가 각각 걸리어 정확하게 위치 맞춤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 경사단부(43), (43') 및 (57')는 다같이 한쪽으로 경사져 있고 각기 몸체로 부터 유연한 탄성을 받는 것이므로 손잡이(54)로써 돌리개판(50)을 돌려줌으로써 필름 원판(30)의 필름(31a, 31b,....), (31'a, 31'b,..... )을 차례로 이동시켜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의 작용은 전개상으로 단면도시된 제5a도-제5d도에 순서도시되어 있다.
즉, 제5a도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54)를 조작하여 돌리개판(50)를 회전 이송시키면 그 훅크(57)의 경사단부(57')에 의하여 필름 원판(30)이 회전 이송 되면서 스톱퍼(42), (42')의 경사단부(43), (43')는 그 이송용 구멍(33a), (33h)으로 부터 이탈되어 용이하게 진행되고(제5b도 참조)소정간격 만큼 이동하면 제5b도와 같이 되어 일단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53)이 인장되어 탄성을 발휘하므로 손잡이(54)를 놓게 되면 그 스프링(53)작용에 의해 돌리개판(50)이 복귀되는데 진행하여 이송용 구멍(33d), (33c')에 걸린 경사단부(43), (43')때문에 필름 원판(30)은 그대로 있게 되고 그 훅크(57)의 경사단부(57')가 이탈하여 용이하게 복귀되고 곧 진행된 이송용 구멍(33h)에 걸리어 처음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사용자는 필름 원판(30)에 배열된 다수의 필름(31a, 31b,....), (31'a, 31'b,....)들을 하나하나 확대 관찰할 수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투시구(24)를 통하여 그 내용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 요지경은 단순히 그림을 즐겨보는 정도의 종래와는 달리 각종 필름을 입체적으로 관찰하면서 그 필름의 내용을 쉽게 인식시킬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하므로 외국인을 위한 관광명소의 안내용 또는 필름 내용에 교육자료를 담을때 교육용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어 그 이용가치가 한층 증대되는 고안이다.

Claims (1)

  1. 전, 후갑체(10), (20)로 결합되고 2개 렌즈를 사용하는 통상의 쌍안경형 요지경에 있어서, 전갑체(10)는 투광판(13), (13')지지용 원형리브(12), (12')와 필름 원판(30)의 받침리브(14)가 형성되고 투광판(13), (13')은 통상의 투광구(41), (41')에 형성된 스톱퍼(42), (42')및 그 경사단부(43), (43')를 가지며 후갑체(20)는 돌리개판(50)의 중앙보스(51)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보스(21)와 그 손잡이(54)가 돌출되는 장공(23)이 형성되어지되 돌 리개판(50)은 스프링(53)으로 탄지되어 회전이송 및 복귀 가능하며 상기한 투광구(41), (41')와 일치하는 구멍(55), (55')및 필름 원판의 표시부(32a, 32b,....)중 한개와 일치하는 또 다른 구멍(56)을 가지는 한편, 이 구멍(56)과 일치하여 후갑체(20)에 투시구(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지경.
KR2019880003270U 1988-03-11 1988-03-11 요지경 (瑤 池 鏡) KR910009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70U KR910009272Y1 (ko) 1988-03-11 1988-03-11 요지경 (瑤 池 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70U KR910009272Y1 (ko) 1988-03-11 1988-03-11 요지경 (瑤 池 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904U KR890018904U (ko) 1989-10-05
KR910009272Y1 true KR910009272Y1 (ko) 1991-12-05

Family

ID=1927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270U KR910009272Y1 (ko) 1988-03-11 1988-03-11 요지경 (瑤 池 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2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904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4971A (en) Instructional sky scanner
US3624939A (en) Novelty container for photographs
US5165779A (en) Compact combined light and magnifier apparatus for a hand-held computer with video screen and method
US5321449A (en) Projecting flashlight
US5769684A (en) Compact low-cost portable slide presentation toy
US2258540A (en) Illuminated vanity case
US2495223A (en) Camera and folding lens mount therefor
US3500034A (en) Illuminated reading device
KR910009272Y1 (ko) 요지경 (瑤 池 鏡)
US4952004A (en) Improved kaleidoscopic device
US4733960A (en) Lens adapter for creating photographically reproduced designs with turnable mirror tube
JPH07505723A (ja) ビューアーアッセンブリ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観察可能な材料の改良
CN209054388U (zh) 一种投影台灯
KR910009273Y1 (ko) 요지경 (瑤 池 鏡)
US4730898A (en) Stereoscopic viewer of the lorgnette type
KR101193369B1 (ko) 외부 연필꽂이 필통
US3613251A (en) Hand held bearing compass
US2302556A (en) Display device
US4762380A (en) Interactive kaleidoscope
US4790756A (en) World globe geographic area viewer
US2570913A (en) Toy film viewer
US20070272757A1 (en) Multimedia book
US3096681A (en) Kaleidoscopic viewer
US6598981B1 (en) Binocular kaleidoscope
US2846921A (en) Device for selectively forming various pictorial representations and for projecting same on a vie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