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73B1 - Sanitary faility unit - Google Patents

Sanitary failit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173B1
KR910009173B1 KR1019860004238A KR860004238A KR910009173B1 KR 910009173 B1 KR910009173 B1 KR 910009173B1 KR 1019860004238 A KR1019860004238 A KR 1019860004238A KR 860004238 A KR860004238 A KR 860004238A KR 910009173 B1 KR910009173 B1 KR 91000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oilet
centuries
washing water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11336A (en
Inventor
류우소오 기다무라
마사미 신도오
마사미찌 미야나가
요시미찌 후꾸다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시라가와 히로시
도오교오 가스 쥬우다꾸 세쓰비 가부시기가이샤
류우소오 기다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시라가와 히로시, 도오교오 가스 쥬우다꾸 세쓰비 가부시기가이샤, 류우소오 기다무라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6000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173B1/en
Publication of KR87001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위생설비 유니트Sanitary Equipment Unit

제1도는 본 발명 위생설비 유니트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anitary install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횡단평면도.2 is a transverse plan view of FIG.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확대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 확대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제7도는 제4도의 (Ⅶ)-(Ⅶ)선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제8도는 세정수 탱크와 커버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cover.

제9도는 세정수탱크에 있어서의 조작레버와 커버와의 함께 조여진 구조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tightened together with an operation lever and a cover in a washing water tank.

제10도는 제4도의 (Ⅹ)-(Ⅹ)선 확대단면도.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4.

제11도는 세정수탱크의 볼탭 수전에 접속하는 급수관의 접속을 표시하는 확대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of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ball tap faucet of a washing water tank.

제12도는 물품 수납함의 횡단평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ticle storage box.

제13도는 제12도의 분해사시도.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제14도는 물품 수납함의 도어와 세정수탱크의 커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종단면도.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or of the article storage box and the cover of the washing water tank;

제15도는 제 2도의 (XV)-(XV)선 확대 단면도.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XV) of FIG.

제16도는 에이프런 부착 카운터 및 힌지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ron attachment counter and hinge.

제17도는 제15도의 (XVII )-(XVII)선 확대단면도.FIG. 17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XVII)-(XVII) line in FIG.

제18도는 수세기가 변기쪽으로 이동한 상태의 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uries moving toward the toilet.

제19도는 제18도의 단면사시도.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18.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변기 b : 수세기a: toilet bowl b: centuries

c : 샤워 d : 에이프런 부착 카운터c: Shower d: Counter with apron

d3 : 수용부 R : 유니트 룸d3: accommodation part R: unit room

S : 샤워용 공간S: Shower space

본 발명은 위생설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위생설비 유니트로서 종래에 유니트 욕실이 공지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installation unit. Unit bathrooms are conventionally known as sanitary units.

이 유니트 욕실은 벽패널(wall panel)을 조립하여서 구성되는 유니트룸내에 변기, 손을 씻거나 세면을 위한 수세기, 욕조, 샤워기등을 집합 설치하여 공간의 감축화를 도모한 것이다.This unit bathroom is designed to reduce space by installing toilets, hand washing or washing machines, bathtubs and showers in the unit room, which is composed of wall panels.

그런데 상기한 유니트 욕실을 설치하는 호텔이나 맨션등에 있어서는, 유니트 전체를 종래의 것보다 한층 더 소형화하는 것을 요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소형화의 요망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니트 욕실에 있어서 욕조를 생략하고 샤워기와 샤워용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생략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욕조를 생략해도 전과 다름없이 유니트룸내에 있어서 변기 및 수세기가 독립하여 공간을 점유하고, 또한 샤워용 공간이 남기 때문에 유니트룸내의 공간의 감축화는 근소하여 유니트전체의 대폭적인 소형화는 기대할 수 없었다.By the way, in the hotel, the apartment, etc. which install the above-mentioned unit bathroom, it may be desired to make the whole unit further downsized than the conventional one.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 of miniaturization, omitting a bathtub and leaving a shower and a shower space in a unit bathroom are omitted. However, even if the bathtub is omitted, the toilet and the centuries are occupied independently and occupy the space in the unit room as before, and since the space for the shower is left, the space in the unit room is slightly reduced, and thus the overall miniaturization of the unit is expected. Could not.

또 샤워용 공간과 변기 설치 공간과의 사이에는 커텐등의 차단수단을 설치해 두지 않으면 샤워시 물이 튀어서 변기가 젖어버릴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양쪽 공간 사이를 커텐등에 의하여 간막이 해놓으면 샤워용 공간 및 변기의 설치공간이 전체적인 전용공간으로 되어버려서 공간의 낭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니트룸내에 수세기를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를 개재하여 샤워용 공간과 변기의 설치공간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샤워용 공간과 변기의 설치 공간을 각각 샤워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에 있어서 수세기의 사용공간으로 겸용하여 공간의 감축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샤워시 수세기의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로 변기를 덮어서 물이 튀어도 변기가 젖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water will splash and the toilet will get wet when the shower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shower space and the toilet installation space. However, if a partition is form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spaces by curtains or the lik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shower and the toilet becomes an entire dedicated space, which wastes space.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stallation of the shower space and the toilet by installing the centrifugal movement between the shower space and the toilet installation space through the counter with aprons for centuries in the unit room The space can be used as a space for centuries when not using a shower,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and the shower is covered with a counter with centuries of aprons so that the toilet does not get wet when water splashes. It i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 수단은, 유니트룸내에 변기와 샤워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함과 아울러, 수세기를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를 개재하여 샤워용 공간과 변기의 설치공간과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전기한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의 내측에는 변기의 설치공간으로의 이동위치에서 변기를 수용하여 덮은 수용부(storage space)를 설치한 것이다.The technical means devi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the toilet and the shower at intervals in the unit room, the centuries through the counter with the apron, the shower space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inside and the counter, which is attached to the above apr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storage space) for receiving and covering the toilet at the movement position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샤워를 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 샤워용 공간에 수세기를 위치시켜, 그 샤워용 공간이 수세기의 사용공간으로서 겸용되고 또한 변기의 사용공간이 확보되는 한편, 샤워를 사용할 때에 있어서는 전기한 수세기를 샤워용 공간에서 변기의 설치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설치공간이 수세기의 사용공간으로서 겸용되며 또한 샤워용 공간이 확보됨과 아울러, 수세기의 카운터 수용부에 변기를 수용하여 덮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샤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에 있어서 각각 샤워용 공간 및 변기의 설치공간을 수세기의 사용공간으로 겸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감축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유니트 전체를 대폭적으로 소형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샤워기를 사용할 때에 있어서 변기를 에이프런이 부착된 수세기의 카운터로서 덮어 물이 튀는 것에 의하여 변기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means, centuries are placed in the shower space when the shower is not taken, and the shower space is also used as the centuries of use space and the toilet space is secured. By moving the centuries from the shower space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the installation space is also used as the space for centuries, the shower space is secured, and the toilet is accommodated and covered by the centuries of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ower space and the toilet installation space can be used as centuries of use spaces, respectively, when the showerhead is not used and when the showerhead is used, the entire unit is excellent in space reduc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size and to prevent the toilet from getting wet by splashing water by covering the toilet as a centuries-based counter with an apron when using a shower.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drawing.

본 실시예의 위생설비 유니트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룸(R)내에 변기(a), 손을 씻거나 세면 또는 세발을 위한 수세기(b), 샤워(c)를 설치한 것이다.In the sanitary installation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3, a toilet (a), a hand washing or washing (washing) or a washing machine (b), a shower (c) are installed in the unit room (R). It is.

유니트룸(R)은 벽패녈을 조립하여서 구성되며, 그 한쪽면에 출입구(1)를 갖추고 또한 그 출입구(1)에 도어(2)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a)는 유니트룸(R)내의 코오너부(R1)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배치구조에 의하여 변기(a)의 후부 주위에 형성되는 쓸모없는 공간을 적게하여 공간의 감축화가 도모되어 있다. 변기(a)의 후단면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방의 하부커버(3a)에 따르도록 평탄면으로 되어, 변기(a)의 후부주위에 먼지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기한 하부커버(3a)는 변기(a)에 접속하는 세정수급수관(4) 및 오물의 배수관(5)을 덮어서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유니트룸(R)의 코오너부(R1) 에 있어서의 측벽(r1)(r2)사이에 걸쳐서 만나는 면에 패킹(6)을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변기(a)에의 세정수 급수계(給水系)는 변기(a)의 통수로(a1)에 세정수 급수관(4)을 접속하고, 그 세정수 급수관(4)을 변기(a) 윗쪽의 세정수탱크(t)에 접속한 구성이다. 그 세정수 급수관(4)은 전기한 하부커버(3a)의 상단에 연속되어 있는 상부커버(3b)로 덮혀 은닉되어 있다. 상부 커버(3b)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오너부(R1)의 측벽(r1)(r2)사이에 걸쳐서 합치면에 패킹(7)을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측벽(r1)(r2)를 연속시키는 벽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The unit room R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wall panel, and has a doorway 1 on one side thereof and a door 2 on the doorway 1. The toilet bowl a is disposed in the co-owner portion R 1 in the unit room R,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reduces space by reducing the useless space formed around the rear part of the toilet bowl a. . As shown in FIG. 4, the rear end surface of the toilet bowl a is made flat so that it may follow the lower cover 3a of the rear part, and dust etc. do not accumulate around the rear part of the toilet bowl a. The lower cover 3a described above covers and covers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4 and the waste water drainage pipe 5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a, and as shown in FIG. kooh neobu is detachably installed via a packing (6) meet the surface over a period of between (R 1) side wall (r1) (r2) of the. The washing water supply system to the toilet bowl (a) connects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4) to the water passage (a1) of the toilet bowl (a), and washes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4) above the toilet bowl (a). It is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 The washing water feed pipe 4 is covered with a top cover 3b that is continuous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3a, which is hidden. A top cover (3b) is interposed a packing (7) in combined over between the side walls (r1) (r2) of kooh neobu (R 1) detachably installed, as shown in Figure 6 that the side wall (r1) It functions as a wall surface which makes (r2) continuous.

상부커버(3b)표면의 질감, 색조 및 모양은 디자인적인 요구에 따라서 측벽(r1)(r2)과 일치시켜도 되고, 다르게 해도 좋다. 전기한 세정수탱크(t)는 용변시 사용자가 변기(a)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등부분이 닿지 않도록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합성수지재 등으로서 전기한 코오너부(R1) 에 합치하는 평면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변기(a)측으로의 돌출량이 작아지게 억제되어서 공간의 감축화가 도모되어 있다.The texture, color ton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upper cover 3b may coincide with the side walls r1 and r2 according to design requirements, or may be different. The wash water tank (t) described above is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touch the back part while sitting on the toilet bowl (a), and the flat triangle that coincides with the co-owner portion R 1 described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 like. It is formed in an upper shape,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to the toilet bowl a side is suppressed to be small, thereby reducing the space.

세정수탱크(t)의 전방벽에는 그 전체면을 덮는 커버(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8)에 의하여 세정수탱크(t)와 그 세정수탱크(t)에 인접하는 코오너부(R1)의 측벽(r1)(r2)와의 일체감이 부여되어 있다. 즉, 커버(8)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오너부(R1)의 측벽(r1)(r2)사이에 걸쳐서 합치면 패킹(9)을 개재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정수탱크(t)에서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벽(r1)(r2)를 연속시키는 벽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커버(8)표면의 질감, 색조 및 모양은 디자인적인 요구에 따라서 측벽(r1)(r2)과 일치시켜도 좋으며, 다르게 해도 좋다. 세정수탱크(t)에의 커버(8) 부착구조는 그 커버(8)의 상부를 세정수탱크(t)에 대하여 그 밸수밸브(10)의 조작레버(11)와 함께 조여서 고정하는 한편, 그 커버(8)하부의 그 접힘부(8a)에 있어서 세정수탱크(t)의 부착시트부(12)에 나사로 고정한 것이다.The front wall of the washing water tank (t) is provided with a cover (8) covering the entire surface thereof. The cover (8) has a coowner portion adjacent to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the washing water tank (t). A sense of unity with the side walls r1 and r2 of (R 1 ) is provided. That is, the cover 8 is detachably installed via the packing 9 when the cover 8 is joined between the side walls r1 and r2 of the nose holder R 1 as shown in FIG. 7 and the washing water tank t It extends upwards at the side, and functions as a wall surface which continues the side wall (r1) (r2). The texture, color ton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cover 8 may be matched with the sidewalls r1 (r2) o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design requirements. The cover 8 attachment structure to the washing water tank t tightens and fixes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8 with the operation lever 11 of the valve 10 in relation to the washing water tank t. In the folded part 8a of the lower part of the cover 8, it is screwed to the attachment sheet part 12 of the washing | cleaning water tank t.

커버(8)상부의 공체구조(共締構造)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11)의 부착보스(13)와 세정수탱크(t)내 지지목(14)과의 사이에 세정수탱크(t)의 전면벽 커버(8)를 끼우고, 전기한 부착보스(13)에 대하여 세정수탱크(t)의 내측에서 너트(15)로 조작레버(11)와 커버(8)를 함께 조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체구조를 채용하면, 조작레버(11)와 커버(8)의 부착작업이 동시에 행해져서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다.The hollow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cover 8 is located between the attachment boss 13 of the operating lever 11 and the support wood 14 in the washing water tank t, as shown in FIG. Insert the front wall cover 8 of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the operating lever 11 and the cover 8 with the nut 15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water tank t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boss 13 described above. Tighten together. By adopting such a hollow structure, the attach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11 and the cover 8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workability.

세정수탱크(t)에의 급수계는 그 세정수탱크(t)내에 볼탭수전(16)을 설치하고, 이 볼탭수전(16)을 도면표시 하지 않은 급수원에 급수관(17)을 개재하여 접속한 구성이다. 볼탭수전(16)은 전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탱크(t)의 변기(a)쪽으로의 돌출량을 적게하는 관계로서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탱크(t)내에 있어서 코오너부(R1) 측벽(r1)(r2)의 한쪽, 예컨대 (r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도수관부(16a)가 급수관(17)과 세정수탱크(t)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system to the washing water tank t is provided with a ball tap faucet 16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the ball tap faucet 16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in the drawing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7. Configuration. The ball tap faucet 16 reduces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washing water tank t toward the toilet bowl a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0, the co-owner portion R is dispos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 1 )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side wall r1 (r2), for example (r1), and the water pipe part 16a is detachably connect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 and the wash water tank t.

전기한 도수관부(16a)와 급수관(17)의 연결구조는 급수관(17)상단에 연결하는 접속부재(18)를 도수관부(16a)와 직교하는 코오너부(R1)의 측벽(r2)에 플랜지(19)를 개재하여 삽착하고, 또한 전기한 접속부재(18)선단부의 연결관(18a)과 도수관부(16a)를 캡너트(20)로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하면, 볼탭수전(16)과 급수관(17)의 연결 및 고정작업이 유니트룸(R)내에 있어서의 세정수탱크(t)내부의 개소에서 캡너트(20)를 개재하여 행해지고, 전기한 볼탭수전(16)과 급수관(17)의 연결 및 고정을 각각 2개소에서 각각 별도로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며 또한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세정수탱크(t)내부에서 캡너트(20)을 풀어서 볼탭수전(16)을 떼어내므로써 볼탭수전(16)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볼탭수전(16)에서 급수원으로 급수관(17)의 연결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측벽(r2)에서 유니트룸(R) 외부로 도출하는 급수관(17)을 아래쪽으로 연장한 후 그 측벽(r2)에 삽입 관통하여 일단 상부커버(3b) 내측으로 도입하며, 그 도입부(17a)에 지수전(止水栓)(21)을 접속하고 거기에서 재차 측벽(r2)을 삽입관통하여 유니트룸(R)쪽으로 도출시켜서 급수원에 접속하는 것이다.A side wall (r2) of the electricity dosugwan part (16a) and the supply line (17) connecting structure of the water line 17 kooh neobu (R 1) to the connection member 18 connecting the top of the perpendicular to the dosugwan part (16a) of The connecting pipe 18a and the water pipe 16a of the tip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8 inserted and inserted through the flange 19 are detachably connected as the cap nut 20. According to such a connection structure, the connection and fixing operation of the ball tap faucet 16 and the water supply pipe 17 is performed through the cap nut 20 at a location inside the washing water tank t in the unit room 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and fixing of the ball tap faucet 16 and the water supply pipe 17 which have been performed and performed at each of two separate locations,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washing water tank (t The ball tab faucet 16 can be maintained by releasing the cap nut 20 from the inside thereof and removing the ball tap faucet 16. The conn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7 from the ball tap faucet 16 to the water supply source extends downward from the side wall r2, which is drawn out of the unit room R, as shown in FIG. It penetrates into the side wall r2 and is once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3b, and a still water 21 is connected to the introduction portion 17a, and the side wall r2 is inserted therethrough again. It is led to the unit room (R)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상기한 상부커버(3b) 내측으로의 도입부(17a)에 급수전(21)을 접속한 이유는 볼탭수전(16)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상부커버(3b)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유니트룸(R)내에서 지수전(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세정수탱크(t)내에는 전기한 볼탭수전(16)의 고장등에 의한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관(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플로우관(22)은 세정수탱크(t)내의 정상수면보다 상부위치에 개구하고 또한 전기한 세정수 급수관(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수탱크(t)가 전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세정수의 수압이 커서 오우버플로우관(22)에 작용하는 부압(負壓)이 크게되며, 그 오버플로우관(22)에서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어 세정수에 혼입되어 세정수의 급수 소음이 크게 되므로, 오버플로우관(22)은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의 개구면적이 링(23)에 의하여 좁혀져서 흡입공기량의 감소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관(22) 상단의 개구면적이 좁혀진 결과, 1개의 오버플로우관(22)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방지기능이 부족할 염려가 있으므로, 세정수탱크(t)내에는 별도로 보조 오버플로우관(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오버플로우관(24)은 세정수탱크(t)저부에 개구하여, 나머지 세정수를 유니트룸(R)내로 직접 배수하든가 또는 변기(a)의 배수계(排水系)등에 배관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그 배수계등에 나머지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변기(a)에 있어서의 배수계는 그 변기(a)의 배수트랩(a2)에 하부커버(3a)의 플랜지(25)를 개재하여 플렉시블 호오스로서 이루어진 배출관(5)을 접속하고, 또한 그 배출관(5)을 코오너부(R1) 의 측벽(r1)(r2)에 통공(26)을 개재해서 삽입 관통하는 것에 의하여 유니트룸(R)외부로 도출시켜서 도면표시하지 않은 하수관에 접속한 구성이다.The reason why the water supply 21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7a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3b is that the unit room R is removed by removing the upper cover 3b during maintenance of the ball tap faucet 16. This is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top 21 in the interior. An overflow pipe 22 is provid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 in order to prevent overflow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ball tap faucet 16 described above. The overflow pipe 22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4 opened at the upper position than the normal water surface in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described above. As the washing water tank t is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large,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acting on the overflow pipe 22 becomes large, and the overflow pipe 22 Since a large amount of air is sucked into the washing water and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and the water supply noise of the washing water becomes large, the opening area of the overflow pipe 22 is narrowed by the ring 23 as shown in FIG. The amount of air is reduc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narrowing of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pipe 22, there is a fear that the overflow prevention function is insufficient for one overflow pipe 22. Therefore, the auxiliary overflow pipe 24 is separately included in the washing water tank t. Is installed. The auxiliary overflow pipe 24 is open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s directly drained into the unit room R, or through a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bowl a through a pipe.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s drained to the drain system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drain system in the toilet bowl (a) connects the discharge pipe (5) made of a flexible hose to the drain trap (a2) of the toilet bowl (a) via the flange (25) of the lower cover (3a). The discharge pipe 5 is l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room R by inserting the discharge pipe 5 through the through hole 26 through the side walls r1 and r2 of the co-owner part R 1 and connected to the sewer pipe not shown. to be.

배수관(5)이 삽입관통하는 코오너부(R1) 의 측벽(r1)(r2)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간에 지주가 없는 앵글형상인 하나의 패널(P1)로서 이루어지며, 유니트룸(R)의 외부로의 배출관(5)의 도출 및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배수관(5)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면, 코오너부(R1) 에 대한 변기(a)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한 패널(P1)은 그 좌우양쪽의 측변부(側邊部)에 연속되어서 측벽(r1)(r2)을 구성하는 측벽패널(P2)(P3)과 지주(i) 및 접합부재(j)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그 패널(P1)에 있어서의 세정수탱크(t)보다 상부위치에는 소형공구류를 넣어두기 위한 물품 수납함(e)이 부착되어 있다. 물품수납함(e)은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지주(27a)(27b)(27c)와, 2개의 측판(28a)(28b)와, 그 측판(28a)(28b)사이의 상하에 간격을 두어서 설치되는 3개의 단판(29a)(29b)(29c)으로서 이루어지며, 코오너부(R1) 합치하는 평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Made water pipe 5 as a side wall (r1) (r2) is a middle angle-type merchant without holding on, as illustrated in FIG. 5 of the panel (P1) of kooh neobu (R 1) which is inserted through, a unit room It is possible to easily derive and connect the discharge pipe 5 to the outside of (R). In other words, if the drain pipe 5 can be easily connecte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toilet bowl a with respect to the nose holder R 1 can be set freely. The panel P1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sidewall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constitutes the sidewall panels P2 and P3 and the struts i and the joining member j, which constitute the sidewalls r1 and r2. It is connected via. In addition, an article holder e for storing small tools is attached at a position above the washing water tank t in the panel P1. The goods storage box e has three struts 27a, 27b and 27c, two side plates 28a and 28b, and side plates 28a and 28b as shown in FIGS. ) is made as a single piece and down three (29a) (29b) (29c ) are installed by placing a gap between, and is formed in a plane triangle which match kooh neobu (R 1).

전기한 중간 및 하단의 단판(段板)(29b)(29c)은 좌우의 지주(27a)(27b)에 핀(30)을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지지되고 또한 그 하단의 단판(29c)이 세정수탱크(t)의 덮개로서 겸용 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단판(29b)(29c)을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수정수탱크(t)내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middle and lower end plates 29b and 29c described above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truts 27a and 27b via the pins 30, and the lower end plates 29c at the lower ends thereof are supported. The cover of the washing water tank t is used as a cover, and the maintenance in the correction water tank t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end plates 29b and 29c.

물품수납함(e)의 전방에는 도어(3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도어(31)는 하단이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물품수납함(e)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세정수탱크(t)의 커버(8)에 대하여 그 전방위치에서 겹쳐져 있으며, 도어(31)와 커버(8)가 서로 겹쳐지는 것에 의하여 물품 수납함(e) 및 세정수탱크(t)사이의 간극이 덮혀 가려지고, 또한 코오너부(R1) 의 측벽(r1)(r2)를 연속시키는 벽면으로서 기능하는 커버(8)가 실질적으로 윗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The door 31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goods storage box e. The door 31 has a lower e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box e as shown in FIG. 14, and overlaps the cover 8 of the washing water tank t at its front position. 31 and the cover 8 overlap each other to cover and cover the gap between the article storage box e and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further to continuous the side walls r1 and r2 of the nose holder part R 1 . The cover 8 which functions as a wall surface to be made extends substantially upward.

도어(31) 표면의 질감, 색조 및 모양은 디자인적인 요구에 따라서 코오너부(R1) 의 측벽(r1)(r2) 및 커버(8)와 일치시켜도 좋고, 다르게해도 좋다. 다음에 수세기(b)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texture, color tone, and shape of the surface of the door 31 may coincide with the sidewalls r1 (r2) and the cover 8 of the nose holder R 1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design requirements. Next, the centuries (b) will be described.

수세기(b)는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를 개재하여 샤워(c)앞쪽의 샤워용 공간(S)과 변기(a)의 설치공간과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기(a)설치공간으로의 이동위치에서 전기한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가 변기(a)를 수용하여 덮도록 되어 있다.Centuries (b) are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shower space (S) in front of the shower (c)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bowl (a) via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attached, the toilet (a)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attached at the movement position to the installation space accommodates and covers the toilet bowl a.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는 제15도 내지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부(d1)가 수세기(b)와 동일체로서 형성되고 또한 그 카운터부(d1)의 둘레가장자리에서 에이프런부(d2)가 아래로 내려져 있다. 카운터부(d1)는 그 외주부에 평탄한 스톱퍼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톱퍼면(32)이 수세기(b)를 변기(a)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유니트룸(R)내의 벽면 예컨대, 전기한 상부커버(3b)에 맞닿아 수세기(b)를 이동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다. 에이프런부(d2)는 카운터부(d1)와 별개체로 구성되며, 수세기(b)가 샤워용 공간(S)에 설치된 상태에서 변기(a)의 측부상방에 대응하는 측면 즉, 전기한 카운터부(d1)의 스톱퍼면(32)하방 측면에 오목부(33)를 개재하여 휴지걸이(f)가 부착됨과 아울러, 오목부(33) 하단에 연속해 있는 벽면이 절결하여 개장되고, 그 개방부 내측에 변기(a)를 수용하는 수용부(d3)가 설치되어 있다. 에이프런부(d2)의 하단은 캐스터(34)를 개재하여 유니트룸(R)내의 바닥면(R₂)에 접해서 수세기(b)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5 to 17,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is formed with the counter portion d1 as the same as the centuries b, and the apron portion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unter portion d1. d2) is lowered down. The counter portion d1 has a flat stopper surface 32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ce, and when the stopper surface 32 has moved the counting force b toward the toilet bowl a, the wall surface in the unit room R, for example, In contact with the upper cover 3b, the centrifugal force b is stopped at the moving position. The apron part d2 is constituted separately from the counter part d1, and has a counterpart that corresponds to a side upper side of the toilet bowl a in the state where the centuries b are installed in the shower space S. The stopper surface f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surface 32 via the recess 33, and the wall surface continuous to the lower end of the recess 33 is cut and opened. The accommodating part d3 which accommodates the toilet bowl a inside is provided. The lower end of the apron portion d2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R2 in the unit room R via the caster 34 so as to smoothly move the centuries b.

수세기(b)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를 그 코오너부분에서 복수, 예건대 2개의 힌지(h)를 개재하여 상기한 측벽(r2)에 회동가능하게 부착지지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한 힌지(h)를 중심으로 하여 수세기(b)가 샤워용 공간(S)과 변기(a)의 설치공간과의 사이를 회동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힌지(h)는 측벽(r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h1)와,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의 에이프런부(d2)에 부착되어서 전기한 고정부재(h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부재(h2)로 이루어져 있다. 그 고정부재(h1)는 측벽(r2)에서 돌출하는 지지편(35a)을 갖추고, 그 지지편(35a)의 선단에 지지파이프(35b)가 용접되어 있다. 가동부재(h2)는 에이프런부(d2)에 설치한 오목 절결부(37)내에 나사로 고정되고, 중간부의 연결파이프(36)를 전기한 고정부재(h1)의 지지파이프(35b)상단에 수지제 와셔(38)를 개재하여 돌합되며, 또한 그 연결파이프(36)와 지지파이프(35b)에 결쳐서 지축(39)을 삽착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h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또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힌지구조에 의하면, 힌지(h)의 가동부재(h2)가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므로, 그 카운터(d)외면을 측벽(r2)에 근접시켜서 양자사이의 간극을 작게할 수가 있다.The means for making the centrifugal force (b) moveable is a rotatably attaching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to the sidewall (r2) described above, through a plurality of hinges (h) at the nose holder part. It is made by supporting, the centrifugal force (b) rotates between the shower space (S)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bowl (a) around the hinge (h). The hinge h is movable to be fixed to the fixing member h1 fixed to the side wall r2 and to the fixing member h1 attached to the apron portion d2 of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attached thereto. It consists of the member h2. The fixing member h1 has a support piece 35a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r2, and a support pipe 35b is welded to the tip of the support piece 35a. The movable member h2 is screwed into the concave notch 37 provided in the apron portion d2, and is made of resin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pe 35b of the fixing member h1, which has connected the connecting pipe 36 in the middle portion. It is projected via the washer 38, and is detachab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h1 by inserting the support shaft 39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pipe 36 and the support pipe 35b. Connected and supported. However, according to the hing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vable member h2 of the hinge h is located i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nter d is brought close to the side wall r2. The gap between them can be made small.

상기한 수세기(b)으로의 토수(吐水)는 냉 온수 혼합전(40)으로 방향을 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접속하는 수도꼭지(41)를 개재하여 행해지는 바, 이 수도꼭지(41)는 수세기(b)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힌지(h)의 부착부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세기(b)가 샤워용 공간(S)에 있는 상태와 변기(a)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각각 하나의 수도꼭지(41)에서 수세기(b)로 토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세기(b)의 배수계는 수세기(b)저부의 배수구(b1)에 플랙시블 호오스로서 이루어진 배수용 호오스(42)를 접속하고, 또한 그 배수용 호오스(42)를 유니트 바닥면(R2)의 배수구멍(43)에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샤워(c)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water jet to the above-mentioned centrifugal force (b) is carried out via a faucet 41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mixture 40 so that the direction can be turned, and the faucet 41 is the centrifugal force (b). It is installed above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hinge (h) to b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nd each of the faucet 41 in the state where the centuries (b) is in the shower space (S) and moved to the toilet bowl (a) It is possible to jet in centuries (b). The drainage system of the centuries (b) connects a drainage hose 42 made of a flexible hose to the drainage port b1 at the bottom of the centuries (b), and further connects the drainage hose 42 of the unit bottom surface R2. It is made by inserting into the drainage hole 43. Next, the shower c will be described.

샤워(c)는 유니트룸(R)내에 있어서 전기한 수세기(b)를 부착지지하는 측벽(r2)에 설치되고, 상기한 온.냉수 혼합전(40)에 호오스(45)를 개재하여 샤워헤드(44)를 접속한 것이다. 샤워용 공간(S)의 배수계는 유니트룸 바닥면(R2)에 배수홈(46)을 형성하고, 그 배수홈(46)을 상기한 배수구멍(43)과 연락시켜서 이루어 진다. 또한 도면중(1)은 조명등, (m)은 거울, (n)은 물품보관함, (o)는 수건걸이이다.The shower (c)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r2) to which the above-mentioned centuries (b) are attached and supported in the unit room (R). (44) is connected. The drainage system of the shower space S is formed by forming a drainage groove 46 in the bottom surface R 2 of the unit room and contacting the drainage groove 46 with the drainage hole 43. In addition, (1) is a lamp, (m) is a mirror, (n) is a product storage, (o) is a towel rack.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위생설비 유니트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샤워(c)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샤워용 공간(s)에 수세기(b)가 설치되고, 그 샤워용 공간(s)이 수세기(b)의 사용공간으로 겸용되는 한편 변기(a)의 사용공간이 확보된다. 샤워용 공간(s)에 설치된 수세기(b)는 그 설치위치에서 마그네트 캐치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sanitary installation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when the shower (c) is not used, the centrifugal force (b) is provided in the shower space (s), and the shower space (s) is provided. The space used for several centuries (b) is used while the space for the toilet bowl (a) is secured. The centuries b installed in the shower space s are fixed by a magnet catch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마그네트 캐치는 전기한 설치위치에서 서로 대면하는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의 둘레면과 측벽(r2)과의 한쪽에 마그네트(47a)를 매설하고, 다른쪽에 마그네트(47a)에 흡착하는 흡착판(47b)를 매설한 것이다. 샤워(c) 사용시에 있어서는 제18도 및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세기(b)가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와 함께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변기(a)쪽으로 이동되고, 샤워용 공간(s)이 확보됨과 아울러, 상기한 이동위치에 있어서의 수세기(b)의 에이프런 부착 카운터(d)가 그 수용보(d3)내에 변기(a)를 수용하여 덮으며, 변기(a)의 설치공간이 그대로 수세기(b)의 사용공간으로 겸용되고 또한 물이 튀는 것에 의하여 변기(a)가 젖는일이 없다. 또 전기한 이동위치에 있어서의 수세기(b)의 에이프런 부착 카운터(d)는, 그 카운터부(d1)가 스톱퍼면(32)을 개재하여 상부커버(3b)에 맞닿으므로, 그 스톱퍼면(32) 하방의 오목부(33)내에 부착된 휴지걸이(f)가 상부 커버(3b)에 덮혀 물이 튀는 것에 의하여 휴지걸이(f)의 휴지를 젖게 하는 일이 없다. 변기(a)의 사용공간에 설치된 수세기(b)는 그 설치위치에서 마그네트 캐치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마그네트 캐치는 마그네트 캐치와 동일하게 상기한 설치위치에서 대면하는 에이프런 부착 카운터(d)의 둘레면과 측벽(r2)에 각각 마그네트(48a)와 흡착판(48b)을 매설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위생설비 유니트는 유니트룸(R)내의 코오너부(R1)에 변기(a)세정수탱크(t), 수납함(e)을 집합시켜서 설치하며 또한 그 변기(a)윗쪽의 세정수탱크(t) 및 수납함(e)의 돌출량을 적게하고 코오너부(R1)의 측벽(r1)(r2)의 일체감을 갖도록 하였으므로, 공간의 감축성에 있어서 우수하면서도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있는 것이다.The magnet catch is a suction plate for embedding the magnet 47a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nter d with the aprons facing each other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side wall r2 and adsorbing the magnet 47a on the other side ( 47b) was buried. When using the shower (c),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centuries (b) are rotated around the hinge (h) together with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and moved toward the toilet (a). The shower space s is secured, and the apron attachment counter d of the centrifugal force b in the movement position accommodates and covers the toilet a in the receiving beam d3. The installation space of a) is used as the use space of centuries (b) as it is, and the toilet bowl a does not get wet by water splashing. The counter d with the apron of the centrifugal force b in the above-described moving position has the stopper surface (1) because the counter portion d1 contacts the upper cover 3b via the stopper surface 32. 32) The toilet paper hanger f attached to the recessed part 33 below is covered by the upper cover 3b, and water does not wet the toilet paper of the tissue hanger f by splashing. The centuries b installed in the space used for the toilet bowl a are fixed by a magnet catch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agnet catches the magnet 48a and the suction plate 48b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de wall r2 of the apron-attached counter d facing each other at the mounting position as in the magnet catch,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nitary installation unit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by collecting the toilet bowl (a) and the washing water tank (t) and the storage box (e) in the co-owner portion (R 1 ) in the unit room (R). Since the protruding amounts of the water tank t and the storage box e are reduced and the sense of unity of the side walls r1 and r2 of the nose holder part R 1 is achieved, there is an excellent and visually open feeling in space reduction.

Claims (1)

변기(a) 샤워헤드 및 수세기(b)가 설치된 위생설비 유니트룸(R)에서, 상기한 유니트룸은 측벽, 바닥 및 천장을 패널조립하여 간막이 없이 구성되며, 상기한 수세기(b)는 샤워헤드 하부의 샤워용 공간(s)에서 선회(pivot)하여 유니트룸의 코너부(R1)에 위치하는 변기(a)의 설치공간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이 수세기는 아랫쪽으로 에이프런이 부착된 카운터(d)를 구비하고, 카운터 내측에는 수용부(d3)를 설치하여, 수세기를 변기의 설치공간쪽으로 선회이동함에 있어서 변기(a)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덮어씌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In a sanitary installation unit room (R) equipped with a toilet (a) showerhead and a centuries (b), the unit room is panel-assembled with side walls, floors, and ceilings, without a partition, and the centuries (b) are showerheads. It pivots in the lower shower space s to move towar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bowl a located at the corner portion R 1 of the unit room, and this centrifugal counter has an apron attached downwards. (d), the inside of the count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d 3 ), the hygienic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seat (a) is accommodated and covered in the inside of the centrifugal movement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bowl Equipment unit.
KR1019860004238A 1986-05-29 1986-05-29 Sanitary faility unit KR910009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238A KR910009173B1 (en) 1986-05-29 1986-05-29 Sanitary failit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238A KR910009173B1 (en) 1986-05-29 1986-05-29 Sanitary failit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36A KR870011336A (en) 1987-12-22
KR910009173B1 true KR910009173B1 (en) 1991-11-04

Family

ID=1925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238A KR910009173B1 (en) 1986-05-29 1986-05-29 Sanitary failit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17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36A (en) 198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8131A (en) Sanitary facility unit
KR100760108B1 (en) Tankless toilet
KR960015382B1 (en) Water urinal
KR910009173B1 (en) Sanitary faility unit
JPH0256088B2 (en)
JP4715597B2 (en) Washbasin
US11649617B2 (en) Method for water saving by retrofitting an institutional plumbing fixture and plumbing fixture made by such method
JPH0243258Y2 (en)
JPH0243261Y2 (en)
JPH0243260Y2 (en)
JP2512564Y2 (en) Sanitary equipment such as washroom or hair wash equipped with a ball
CN220978229U (en) Integrated washstand
JP2532055Y2 (en) Unit bathroom
JPH0349184Y2 (en)
JP2580527Y2 (en) Unit bath toilet room
JP2512566Y2 (en) Sanitary equipment such as washroom or hair wash equipped with a ball
JP2940550B2 (en) Bathroom wash counter
JPH0336627Y2 (en)
KR200349751Y1 (en) A supply/drain pipe cover of the wash bowl
JP2510354Y2 (en) Flush toilet equipment
JP2591018Y2 (en) Sink device
JP3338787B2 (en) Washroom unit floor structure
JP4512430B2 (en) Water supply / drainage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vanity
JP2574421Y2 (en) Flush toilet equipment
JPH0345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