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67Y1 -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67Y1
KR910007667Y1 KR2019890011753U KR890011753U KR910007667Y1 KR 910007667 Y1 KR910007667 Y1 KR 910007667Y1 KR 2019890011753 U KR2019890011753 U KR 2019890011753U KR 890011753 U KR890011753 U KR 890011753U KR 910007667 Y1 KR910007667 Y1 KR 910007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pm
deflection yoke
ma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983U (ko
Inventor
서범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667Y1/ko
Publication of KR910004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컬러 테레비젼의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의 일부 절개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컬러 텔레비젼의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편향요크 4 : 작은개구부
8 : CPM 조립체 9 : 넥크부
11 : 숫나사부 12 : 구멍
13 : 암나사부
본 고안은 컬러 텔레비젼의 편향요크와 CPM(Color Purity Magnets)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에 접속된 넥크부상에 CPM 조립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CPM 조립체의 장착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편향요크는 반나팔체로된 1쌍의 세퍼레이터의 내, 외주에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을 감아 만들어지고, CPM 조립체는 2극, 4극, 6극의 자석이 각각 2매가 1쌍이 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편향요크는 브라운관의 판넬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 부터 발사되는 전자비임을 편향시키는 역활을 하고, CPM 조립체는 브라운관의 넥크부 상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 부터 발사되는 3개의 전자비임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관측 0과 일치시킴으로서 색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토록 하기 위하여서는, 이들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고도 확실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종래의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브라운관의 편넬부(1)의 외주에 편향요크(2)가 삽입되어져, 큰 개구부(3)쪽의 안쪽으로 고정구(도시생략)가 고정딤과 아울러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설치 된다. 편향요크(2)의 작은 개구부(4)쪽에는 넥크부(9)가 삽입되어 볼트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2극자석(5), 4극자석(6) 및 6극자석(7)로 이루어진 CPM 조립체(8)은 넥크부(9)에 삽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체결밴드(10)에 의해 고정 설치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브라운관에 편향요크(2)와 CPM 조립체(8)을 장착 시킬때에 우선 편향요크(2)를 편넬부(1)에 부착시킨후, 편향요크(2)의 작은 개구부(4)내로 CPM 조립체(8)가 삽입되어 있는 넥크부(9)의 한쪽끝단을 삽입시키고 고정시킨후, CPM 조립체(8)의 위치를 조정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체결하여, 넥크부(9)상에 CPM 조립체(8)를 고정설치하였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고, 특히 CPM 조립체(8)은 안쪽면에 논슬립부재를 개재시켜 체결밴드(10)으로 고정시키는 체결방식으로 장착되어지기 때문에, 체결밴드(10)을 조일때 CPM 조립체(8)의 위치가 다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CPM 조립체(8)의 2극자석(5)가 전자총의 제3전극(도시생략)의 바깥부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게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체결밴드(10)가 자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과 더불어 더욱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CPM 조립체의 장착을 용이함과 아울러 CPM 조립체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작은 개구부쪽에, 숫나사부를 연장 형성시키고, CPM 조립체의 안쪽면에 상기한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형성시킨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체를 일부 절개한 도면으로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펀넬부(1)에 고정설치된 편향요크(2)는 제2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편향요크(2)의 작은 개구부(4)측에는, 숫나사부(11)이 연장 형성 된다. 이 숫나사부(11)은, 편향요크(2)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의 재질은 자계가 통과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편향요크(2) 및 숫나사부(1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는 투명재질로 할 수도 있고, 불투명재질로 할 수도 있으며,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제가 사용된 경우에는, 넥크부(9)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숫나사부(11)에 구멍(12)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CPM 조립체(8)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극자석(5), 4극자석(6), 6극자석(7)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CPM (8) 안쪽면에는 암나사부(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편향요크(2)를 편넬부(1)에 통상의 방식으로 장착시킨다음, CPM (8)을 미리 끼워 놓은 넥크부(9)의 앞끝단부를, 숫나사부(11)의 내부를 통하여 편향요크(2)의 작은 개구부(4)의 선단까지 밀어 넣은 후, 체결 수단에 의해 넥크부(9)를 작은 개구부(4)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CPM 조립체(8)의 암나사부(12)를 편향요크(2)의 숫나사부(11)에 나사 결합 시키면 CPM 조립체(8)를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숫나사부(11)이 투명재질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브라운관의 넥크부(9)안쪽에 설치된 전자층이 투시되어 관측가능하고 또한, 불투명재질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구멍(12)를 통하여 넥크부(9)내에 설치된 전자총이 투시되어 관측 가능하기 때문에, CPM 조립체(8)의 2극자석(5)와 전자총의 제3전극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조립체는, 편향요크(2)와 CPM 조립체(8)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브라운관상에 장착되어지기 때문에 CPM 조립체(8)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이 CPM 조립체(8)이 숫나사부(11)상에서 앞뒤로 이동되므로, 브라운관의 규격별 또는 종류별에 따라 전자총의 제3전극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CPM 조립체(8)의 위치를 맞출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체는 편향요크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CPM조립체(8)의 위치를 맞출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체는 편향요크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CPM 조립체의 안쪽면에 암나사부를 마련하여 이들을 나사결합시켜 장착시킴으로서,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장착 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체결수단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체결밴드를 사용치 않음으로서 자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로 이루어지는 편향요크와 2극, 4극, 6극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CPM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한 편향요크(2)의 작은 개구부(4)측에 숫나사부(11)이 일체로 형성되고, CPM 조립체(8)의 안쪽면에 상기한 숫나사부(11)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숫나사부(11)상에 구멍(12)가 뚫려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KR2019890011753U 1989-08-08 1989-08-08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KR910007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3U KR910007667Y1 (ko) 1989-08-08 1989-08-08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753U KR910007667Y1 (ko) 1989-08-08 1989-08-08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83U KR910004983U (ko) 1991-03-20
KR910007667Y1 true KR910007667Y1 (ko) 1991-09-30

Family

ID=1928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753U KR910007667Y1 (ko) 1989-08-08 1989-08-08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6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645B1 (ko) * 2000-03-2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83U (ko) 199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67Y1 (ko) 편향요크와 cpm 조립체
GB1294941A (ko)
US4359707A (en) Picture tube demagnetizing coil arrangement
BR9106436A (pt) Sistema de tubo de imagens em cores de tela grande auto-convergente
US3781730A (en) Yoke mounting ring with deformable finger members
KR950008407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19701B1 (ko) 편향요오크
KR930006178Y1 (ko) 편향요크의 수직코일 취부구조
KR910004065Y1 (ko) 칼라 브라운관의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20003296Y1 (ko) 편향요크(deflection yoke)
KR910003413Y1 (ko) Cpm
KR950002698Y1 (ko) 편향요크의 고정장치
KR200209650Y1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KR100354925B1 (ko) 칼라브라운관의씨피엠유동방지장치
KR950007055Y1 (ko) 편향요크
KR950002699Y1 (ko) 편향요크 고정장치
KR200289331Y1 (ko) 편향요크의 네크 고정구조
KR200177738Y1 (ko) 랜딩 조절용 pcm 조립체
JPH0366773B2 (ko)
JPH0217904B2 (ko)
KR200365166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950001335Y1 (ko) 편향요크
KR960001824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장치
KR20015404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900002014Y1 (ko) 편향요크의 크로스아암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