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446Y1 - 은단 케이스 - Google Patents

은단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446Y1
KR910007446Y1 KR2019880005621U KR880005621U KR910007446Y1 KR 910007446 Y1 KR910007446 Y1 KR 910007446Y1 KR 2019880005621 U KR2019880005621 U KR 2019880005621U KR 880005621 U KR880005621 U KR 880005621U KR 910007446 Y1 KR910007446 Y1 KR 910007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holes
presen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011U (ko
Inventor
안성도
Original Assignee
안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도 filed Critical 안성도
Priority to KR2019880005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446Y1/ko
Publication of KR890021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은단 케이스
제1도 (a) (b)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발췌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 발췌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 1" : 구획실
101, 102 : 구획벽 101', 102' : 구멍
103 : 은단실 103' : 배출구멍
2, 2" : 걸림구멍 3 : 보턴
3', 3" : 걸림돌기 4 : 은단받이구
5 : 스프링 6 : 축
7 : 작동손잡이 8 : 원통관
8', 8" : 유입구멍
본 고안은 은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은단케이스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보턴을 눌리기만 하면 은단실의 수개의 은단이 외방으로 튀어 나오도록 하여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손으로 케이스내의 은단을 간단히 입안에 투입시킬수 있도록 한데 있다.
종래의 은단케이스는 개폐판을 슬라이드되게 스프링으로 탄력시켜 개폐시키게 된 것이므로, 은단을 먹고자 할 때는 반드시 한 손으로 개폐판을 열어서 다른 손에다 적당수 배출시킨 다음 입안에 투입하게 되었다.
이는 번거롭기도 하거니와 손이 깨끗하지 못할 때는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턴을 눌림과 동시 적당수의 은단이 외방으로 튀어 나오도록 하여 은단케이스내의 은단을 바로 입안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은단케이스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내에 구멍(101')(102')을 뚫은 구획벽(101)(102)으로 구획실(1')(1")을 형성하여 구획실(1')에는 케이스(1)의 걸림구멍(2')(2")이 걸려지는 걸림돌기(3')(3")를 형성한 보턴(3)을, 구획실(1")에는 은단받이구(4)를 스프링(5)으로 끼워 고정하여 축(6)에 끼워 탄력시키고 은단실(103)의 하방에는 배출구멍(103')을 뚫어서 된 것인데,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는 제3도와 같이 작동손잡이(7)와 은단받이구(4)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프링(5)으로 탄력시킬 수도 있도, 제5도와 같이 은단실(103)을 양측에 설치하여 이의 중간에 유입구멍(8')(8")이 뚫린 원통관(8)을 스프링(5)으로 탄력시켜서 케이스(1)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작동손잡이(7)로 원통관(8)을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A는 케이스(1)에 뚫은 은단을 넣는 내입구멍이고, 9은 은단이며, 10은 내입구멍(1A)을 나사결합으로 밀폐시키는 마개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a)와 같이 보턴(3)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은단실(103)의 은단(9)을 입안에 투입하고자 할 때는 먼저 보턴(3)을 제1도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눌리면 보턴(3)의 걸림돌기(3')(3")는 제1도(b)와 같이 걸림구멍(2")에 걸려지게 되며 이 상태는 은단받이구(4)는 은단실(103)의 배출구멍(103')을 개방시켜 은단실(103)내의 수개의 은단(9)은 은단받이구(4)에 얹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기존의 볼펜을 작동시키는 것처럼 걸림돌기(3")를 제1도(b)의 화살표방향으로 밀게 되면 스프링(5)의 순간 탄발력에 의하여 보턴(3) 및 은단받이구(4)는 순간적으로 상승됨과 동시에 구획벽(101)(102)의 구멍(101')(102')상단에 강하게 부딪히는 충격에 의하여 은단받이구(4)에 얹혀져 있던 은단(9)은 구획실(1")외방으로 튕겨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획실(1")입구를 입과 일치시키기만 하면 튕겨져 나오는 은단(9)은 자동적으로 입안으로 투입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제3도 역시 작동은 유사하나 다른 점은 작동손잡이(7)를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하향 이동시켰다 놓기만 하면 은단받이구(4)에 놓여진 은단(9)이 튕겨 나오게 되며 제5도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역시 작동손잡이(7)를 하강시키면 원통관(8)의 유입구멍(8')(8")이 은단실(103)의 배출구(103')와 일치됨과 동시에 은단(9)이 원통관(8)으로 유입케 되며, 하강시켰던 작동손잡이(7)에서 손을 떼게 되면 순간적인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손잡이(7)내의 은단(9)은 외방으로 튕겨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매우 합리적인 구조에 의하여 양손을 사용하여 은단(9)을 입에 투입하는 번거러움을 덜 수 있음과 아울러 손에 접촉시키는 일이 없게 되어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1)내에 구멍(101')(102')을 뚫은 구획벽으로 구획실(1')(1")을 형성하여 구획실(1')에는 케이스(1)의 걸림구멍(2')(2")이 걸려지는 걸림돌기(3')(3")를 형성한 보턴(3)을, 구획실(1")에는 은단받이구(4)를 스프링(5)으로 끼워 고정하여 축(6)에 끼워 탄력시키고 은단실(103)의 하방에는 배출구멍(103')을 뚫어서 된 은단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의 외방으로 관출되는 작동손잡이(7)과 은단받이구(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은단받이구(4)를 스프링(5)으로 탄력시켜서 된 은단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은단실(103)을 양측에 설치하여 중간에 유입구멍(8')(8")이 뚫린 위통관(8)을 스프링(5)으로 탄력시켜서 케이스(1)의 외방으로 돌출시킨 작동손잡이(7)로 원통관(8)을 이동시켜 배출구(103)와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된 은단 케이스.
KR2019880005621U 1988-04-18 1988-04-18 은단 케이스 KR910007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621U KR910007446Y1 (ko) 1988-04-18 1988-04-18 은단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621U KR910007446Y1 (ko) 1988-04-18 1988-04-18 은단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011U KR890021011U (ko) 1989-11-01
KR910007446Y1 true KR910007446Y1 (ko) 1991-09-27

Family

ID=1927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621U KR910007446Y1 (ko) 1988-04-18 1988-04-18 은단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4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00B1 (ko) * 2011-07-18 2013-03-26 박충만 고형체 낱개 배출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00B1 (ko) * 2011-07-18 2013-03-26 박충만 고형체 낱개 배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011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446Y1 (ko) 은단 케이스
KR012842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KR0131848Y1 (ko) 이쑤시개통
KR960002286Y1 (ko) 휴대용 보온물통의 마개밸브장치
KR0130829Y1 (ko) 분리조립식 직립수저통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KR920001939Y1 (ko) 보턴식 은단갑
KR900010190Y1 (ko) Vtr도아 개폐장치
KR940003138Y1 (ko) 판넬도어 개폐장치
KR810001953Y1 (ko) 치솔케이스
FR2756471A1 (fr) Brosse a dent musicale
KR880004485Y1 (ko) 원격조정송신기 케이스의 출입장치
KR200167283Y1 (ko) 트윈 케이크 케이스 개폐 장치
KR970003124Y1 (ko) 애쉬트레이 개폐장치
KR900004082Y1 (ko) 쥬서겸용 믹서의 안전장치
KR830003000Y1 (ko) 도마
KR200201809Y1 (ko) 착즙기
KR880002313Y1 (ko) 설탕통
KR200234177Y1 (ko) 휴대용가스렌지부착형기름수납구
KR200232560Y1 (ko) 휴지통이 부설된 화장지상자
KR860001756Y1 (ko) 라이터를 수장한 바클
KR850003236Y1 (ko) 은단갑
KR20220002456U (ko) 짤주머니용 믹싱볼
KR900002342Y1 (ko) 냉장고 문의 개폐장치
KR960009530Y1 (ko) 마늘껍질까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